[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14288B1 - 열팽창 스팀보온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팽창 스팀보온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288B1
KR960014288B1 KR1019940011222A KR19940011222A KR960014288B1 KR 960014288 B1 KR960014288 B1 KR 960014288B1 KR 1019940011222 A KR1019940011222 A KR 1019940011222A KR 19940011222 A KR19940011222 A KR 19940011222A KR 960014288 B1 KR960014288 B1 KR 960014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ner tube
tube
steam
sil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1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214A (ko
Inventor
오대홍
Original Assignee
대경철강산업 주식회사
오대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경철강산업 주식회사, 오대흥 filed Critical 대경철강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11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4288B1/ko
Publication of KR950033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2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9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lay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8Compositions for or methods of fixing a thermally insulat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 F16L59/075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the air layer or the vacuum being delimited by longitudinal channels distributed around the circumference of a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팽창 스팀보온관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일부절개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외관 4 : 내관
6 : 암면층 8 : 실리카 커버층
10 : 폴리우레탄폼층
본 발명은 열팽창 스팀보온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틸재의 내관 안으로 흐르는 유체(스팀)의 고온에 의해 내관이 원주방향과 길이 방향의 팽창이 이루어질때 내관의 열팽창을 원활하게 하여 스팀보온관의 파손을 방지하고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유체, 특히 스팀이 통과하는 관이 스틸, 스테인레스, 동등의 재질로된 내관과 보온재층 및 외관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내관과 외관사이에 암면(Rock Wool) 또는 실리카(Silica)를 형성하여 1차단열시키고, 그 외부에 폴리우레탄폼층을 형성시킨 2중구조의 보온재층을 가진 관이었다. 이때 내관안으로 고온의 스팀이 통과하면 스팀의 온도에 의해 내관이 가열되면서 원주방향 및 길이방향의 열팽창이 발생gks다. 그러면, 열전도 현상에 의해 암면 또는 실리카 커버가 가열된다. 이때 암면층인 경우에는 암면층 외부의 폴리우레탄폼의 발포시 폼의 발포압력에 의하여 암면은 내관의 외면에 밀착되고, 내관이 유체의 높은 온도에 의해 팽창함에 따라 밀착된 암면층이 재질의 특성상 찢어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찢어진 틈 사이로 스팀의 높은 온도가 폴리우레탄폼층에 직접 전달되어 폴리우레탄이 탄화되어 결국 보온관으로써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1차 단열재가 실리카 커버인 경우에는 실리카 커버가 내관의 외경을 감싸는 반원형의 고형체인 관계로 스팀보온관의 제작시 내관의 외면에 밀착시켜 제조하므로 내관의 열팽창시 내관과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내관의 길이방향 팽창시 열팽창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상대적으로 실리카 커버가 파손되는 현상을 초래하였고, 또 이러한 손상과정을 통해 스팀의 온도가 폴리우레탄폼층에 바로 전달되면서 폴리우레탄폼층이 고온에 의해 탄화되어 손상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관의 외주면에 순차적으로 암면층, 실리카 커버층, 폴리우레탄품층을 형성하고 외관을 구비하므로써 내관 안으로 흐르는 고온의 스팀에 의한 열팽창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보온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열팽창 스팀 보온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온관을 이루는 외관과 내관의 사이에 순차적으로 암면층, 실리카 커버층, 폴리우레탄폼층의 3중보온재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스팀보온관을 제조하기 위해 내관의 외주면에 암면층을 감는 단계와, 암면층 위에 고온단열재인 실리카 커버층을 장착한 다음 접착제로 실리카 커버층의 각 연결부위에 실리카 커버층의 틈을 제거하도록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균일한 폴리우레탄폼의 두께를 유지하기 위해 소정 크기의 스페이서를 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단계와, 그 위에 외관을 조립하는 단계와, 폴리레탄폼액의 발포가 원활하게 되도록 온풍기로 조립관을 예열하는 단계와, 외관의 양단을 엔드캡으로 밀폐시키는 단계와, 포밍헤드에 의해 폴리우레탄폼액을 분사하여 실리카 커버층의 외부에 충전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져 열팽창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도면 제1도에 도시되 바와 같이 지중매설용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재 또는 지상노출용의 스파이럴(spiral) 형태의 알루미늄재의 외관(2)과 스틸재의 내관(4) 사이에 암면층(6)이 형성되고, 이 암면층(6)의 외주면에 고온 단열재인 실리카 커버층(8)이 형성되며, 이 실리카 커버층(8)의 외면에 폴리우레탄폼층(10)이 형성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2는 스팀, 14는 폴리에텔렌계(P, E)재질의 스페이서이다.
여기서, 상기 실리카 커버층(8) 대신에 퍼얼라이트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관(4)의 외주면에 소정 두께의 암면층(6)을 감는 단계와, 이 암면층(6)의 외면에 고온단열재인 실리카 커버층(8)을 장착한 다음 접착제로 실리카 커버층(8)의 각 연결 부위에 접착제(예컨대, 실리카 본드)를 도포하는 단계와, 폴리우레탄폼층이 일정한 두께가 유지되도록 소정크기의 스페이서(14)를 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단계와, 그 위에 외관(2)을 조립하는 단계와, 폴리우레탐폼액의 발포가 원할하게 되도록 온풍기로 조립관을 예열하는 단계와, 외관(2) 양단을 엔드캡으로 밀폐시키는 단계와, 폴리우레탄 발포기의 포밍헤드에 의해 분사하여 폴리우레탄폼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제조시 외관(2)을 조립한 다음 온풍기로 예열하는데, 이는 외관(2)과 실리카 커버층(8)사이의 공간에 폴리우레탄폼액을 분사할때 보다 잘 발포되도록 한 것이며, 엔드캡을 끼우는 것은 액체상태의 폴리우레탄액의 주입시 액의 누출을 막기위해 밀폐가 되어야 하므로 외관(2)의 양단을 막는 것이고, 포밍헤드에 의해 폴리우레탄 발포층을 형성할때 조립관 자체를 소정각도 (대략 5o)로 경사지게 하여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지중매설용이나 지상노출용으로 스팀의 수송관으로 시공하는데, 이 스팀(12)은 소정의 온도 예컨대, 180℃인 경우에 내관(4)은 강관으로 열팽창을 수반하게 되는데, 이때 내관(4)의 외주면에는 암면층(6)이 형성되고 있고, 암면층(6)위에 고온 단열재인 고형체의 실리카 커버층(8)이 형성되어 있어 스팀(12)의 온도가 전도되는 과정에서 단열재의 특성인 열전달이 차단되어 대략 120℃ 정도까지 견디는 폴리우레탄폼층(10)이 탄화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실리카 커버층(8)의 내경이 내관의 외경보다 소정 간격(예컨대, 10mm)확대시켜 장착하며, 그 공간을 울계통의 암면층으로 내관(4)에 감싸 채우게 되는데, 실리카 커버층(8)이 파이프형태의 고형체이기 때문에 암면층(6)은 폴리우레탄폼층(10)의 발포시 실리카 커버층(8)의 장착으로 인해 폴리우레탄폼층(10)의 발포 압력이 암면층(6)에 직접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내관(4)의 외면에 암면층(6)이 밀착되지 않고 공간을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고온의 스팀이 흐르더라고 본 발명의 보온관은 원활하게 열팽창이 이루어져 보온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고온의 스팀(12)이 흐르는 스팀보온관에 있어서, 외관(2)과 스틸재의 내관(4)의 사이에 암면층(6)이 형성되고, 이 암면층(6)의 외주면에 고온 단열재인 실리카 커버층(8)이 형성되며, 이 실리카 커버층(8)의 외면에 폴리우레탄폼층(10)의 3중 보온재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팽창 스팀보온관.
  2. 내관(4)의 외주면에 소정 두께의 암면층(6)을 감는 단계와 이 암면층(6)의 외면에 고온단열재인 실리카 커버층(8)을 장착한 다음 접착제로 실리카 커버층(8)의 각 연결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소정 크기의 스페이서(14)를 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단계와, 그 위에 외관(2)을 조립하는 단계와, 온풍기로 예열하는 단계와, 외관(2)의 양단을 엔드캡으로 밀폐시키는 단계와, 포밍헤드에 의해 분사하여 폴리우레탄폼층(1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팽창 스팀보온관의 제조방법.
KR1019940011222A 1994-05-23 1994-05-23 열팽창 스팀보온관 및 그 제조방법 KR960014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1222A KR960014288B1 (ko) 1994-05-23 1994-05-23 열팽창 스팀보온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1222A KR960014288B1 (ko) 1994-05-23 1994-05-23 열팽창 스팀보온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214A KR950033214A (ko) 1995-12-22
KR960014288B1 true KR960014288B1 (ko) 1996-10-14

Family

ID=19383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1222A KR960014288B1 (ko) 1994-05-23 1994-05-23 열팽창 스팀보온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42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497B1 (ko) * 2002-01-22 2004-07-23 김광수 내면 세라믹 코팅 이중보온관
CN110307444A (zh) * 2018-03-20 2019-10-08 天津豪威特管道设备有限公司 一种隔热管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214A (ko) 199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31710A (en) Spray foam insulated pipe
US3711124A (en) Connections for insulated pipes
US4736509A (en) Method of making water heater construction
KR102404567B1 (ko) 이중 보온관용 열수축 케이싱, 이중 보온관용 열수축 케이싱 제조 방법 및 이중 보온관용 열수축 케이싱 시공 방법
US3559660A (en) Pipe insula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KR960014288B1 (ko) 열팽창 스팀보온관 및 그 제조방법
US3279503A (en) Snap-on foamed resin insulation
US4957097A (en) Foam insulated vesse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2112197B1 (ko) 저온배관용 단열장치
KR101404011B1 (ko) 보온관과 그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배관의 시공방법과 보수방법 및 단열 시공방법, 이중 보온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123247B1 (ko) 이중 보온관 연결용 마개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JPS56113894A (en) Transporting pipeline for cold thermal fluid
US4979637A (en) Water heater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ITMI20010513A1 (it) Dispositivo termoisolante tubolare e procedimenti per la sua produzione
CA3085287C (en) Gas insulated tubing
US5755265A (en)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hot substances
NL8900385A (nl) Werkwijze ter vervaardiging van een met schuim geisoleerd vat.
US4130140A (en) Heat insulated conduit especially suitable for carrying high temperature fluids
SU829852A1 (ru) Термоизолированна колонна
US4958620A (en) Water heater construction
KR101198682B1 (ko) 가요성을 갖는 현장제작용 이중보온관 엘보우 시공방법 및 그 방법으로 시공된 이중보온관 엘보우
US7650859B2 (en) Water heater and system for insulating same
KR950005506Y1 (ko) 단열이중관의 이음부구조
CN218992795U (zh) 一种防止结霜的保温管道
US20080085104A1 (en) Polyolefin sealing gas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5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5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6092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1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0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70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0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1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1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1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16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31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41123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