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13992B1 - 가변비 완충기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변비 완충기 및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992B1
KR960013992B1 KR1019890701546A KR890701546A KR960013992B1 KR 960013992 B1 KR960013992 B1 KR 960013992B1 KR 1019890701546 A KR1019890701546 A KR 1019890701546A KR 890701546 A KR890701546 A KR 890701546A KR 960013992 B1 KR960013992 B1 KR 960013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chamber
valve
shock absorber
flu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1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0791A (ko
Inventor
리 케이시 게리
제임즈 하비 브루스
Original Assignee
얼라이드 시그날 인코오퍼레이티드
제럴드 피. 루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134,497 external-priority patent/US4854429A/en
Application filed by 얼라이드 시그날 인코오퍼레이티드, 제럴드 피. 루니 filed Critical 얼라이드 시그날 인코오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00700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0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99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5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using servo control, the servo pressure being created by the flow of damping fluid, e.g. controlling pressure in a chamber downstream of a pilot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6Characteristics of dampers, e.g. mechanical dampers
    • B60G17/08Characteristics of fluid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가변비 완충기 및 이를 위한 시스템
도면에서;
제1도는 본 발명의 부분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완충기의 많은 주요부재들을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센서를 장착한 차량의 위치도.
제4도는 완충기의 대안실시예의 단면도. 그리고
제5도는 완충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본 발명은 전기적으로 반응하는 가변기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완충기는 압축시 저감쇠작용 및 인장시 고감쇠작용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계되어진다.
저감쇠작용은 운전자 안락을 위하여 바람직한 반면에 운전성을 떨어뜨린다.
증대된 운전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차량진동을 빠르게 감소시키는 것은 바람직하다.
차량의 운전성을 향상시키고 그리고 증대된 승객안락을 위하여 제공되는 차량의 다양한 완충기의 감쇠작용특성을 적합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일이다.
각각의 바퀴의 수직속도에 맞추어 완충기의 감쇠작용을 변화시킴으로써 차량이동을 제어될 수 있다는 것이 종전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되었다. 이러한 제어는 각가의 바퀴 즉 바퀴 및/또는 바퀴-차축 조합용으로 다수의 센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요구하고 있다.
만약 바퀴가 실시간내에서 제어되어야 한다면, 센서 및 관련된 전기기계식 장치는 상대적 고주파 반응성을 가지고 있어야만 하므로 시스템비용을 증가시킨다.
마사히로에 의한 미국 특허 제4,463,839호는 전기적으로 제어받는 하아모닉댐퍼 또는 완충기의 피스톤 내부에 솔레노이드를 가지고 있는 완충기를 예시하고 있다.
독일특허공개공보 제29 11 768은 전기적으로 제어받고 있는 모노 튜우브 완충기를 보여주고 있다.
운전성 및 운전자 안락을 향상시키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이 이러한 개선책을 받아들이기 위하여 가변비 완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진동이동을 감쇠시키기 위하여 단일체의 그리고 쭉뻗은 식으로 완충기를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이 구성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차량용 완충기는 케이싱, 케이싱 내부에 왕복적으로 수용되는 중공스트럿, 피스톤을 관통하여 개구부를 포함하는 피트톤 그리고 케이싱 내부를 유체를 포함하고 있는 상부 및 하부 챔버로 분할하기 위한 스트럿에 의하여 지지되는 피스톤, 인장 및 압축시 소정의 높이에서 스트럿의 운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나비형 밸브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스트럿은 더우기 상부챔버 및 스트럿의 내부 사이에서 유체를 연통시키기 위하여 십자형구멍을 포함하고 있다.
소정의 감쇠작용수준을 선택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부재는 스트럿 내부에 위치하며 그리고 스트럿에 의하여 지지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부재를 구성하며 여기에서 솔레노이드 밸브부재는 리테이너의 십자형부재 내부에 형성된 제1유체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전자력에 반응하여 가동할 수 있는 아마츄어를 포함하고 있는 주밸브를 포함하고 있다. 리테이너는 아마츄어 주위의 제1유체챔버 및 제1유체챔버와 연통하는 제2유체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스트럿 내부와 협동한다.
리테이너는 더우기 스트럿의 내부로부터 우묵하게 들어가 있으며 그리고 제1유체챔버로부터 축방향으로 떨어져 뻗어져 있고 개방된 끝단부를 포함하고 있는 벽을 포함한다.
솔레노이드 밸브부재는 더우기 피스톤 개구부를 통하여 하부챔버 및 스트럿의 내부 사이에서 하부통로를 형성하는 밸브시이트부재를 구성하며 솔레노이드밸브의 한쪽끝단에서 제2밸브시이트부재를 더 포함하고 있다.
완충기의 더우기 하부통로를 통하여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2밸브시이트에 대하여 포핏밸브 전후의 차압에 반응하여 가동할 수 있는 포핏밸브를 포함하고 그리고 리테이너벽 내부에 미끄럼 이동식으로 수용된 원통형벽 및 원통형벽을 통하여 좁은 블리드통로를 포함하고 있는 원통형벽의 한쪽끝단에서 형성된 밑면을 포함하고 있고 여기에서 블리드 통로는 리테이너의 제2유체통로보다도 더 좁다.
리테이너 및 포핏밸브는 그 사이에서 압력챔버를 형성하기 위하여 협동하며 여기에서 하부챔버 내부츄체의 압력이 상부챔버 내부압력보다도 크고 아마츄어가 활성화되지 않고 제1밸브시이트 위에 위치하고 있을 때, 하부챔버 내부유체는 블리드통로를 통하여 압력챔버 내부로 이동하여서 포핏밸브를 제2시이트위로 가속시키는 힘을 포핏밸브위에 발휘시킨다. 아마츄어가 활성화되고, 그리고 제1시이트에서 떨어져 위치할 때, 압력챔버 내부유체는 포핏밸브를 포핏밸브시이트로부터 떨어지게 가속시키는 차동압력을 포핏밸브 전후에 발생시켜서 하부챔버로부터 상부챔버까지 유동을 허용하여 이것에 의하여 소정의 높이로부터 스트럿의 감쇠작용을 작게한다.
상부챔버 내부압력은 아마츄어가 활성화되고 제1밸브시이트 위에 위치하여서 제2유체통로를 통한 유동을 금지시킬 때, 증가된 압력유체는 포핏밸브의 밑면 위에 작용하여서 밸브시이트 내부 하부통로를 통하여 상부 챔버로부터 하부챔버까지 유체가 흐르도록 제2밸브시이트로부터 포핏밸브를 가속시킨다.
아마츄어가 활성화되고 그리고 제1밸브시이트에서 떨어져 위치하고 있을 때, 가압된 유체는 제2유체통로를 통하여 압력챔버로 유동하여서 하부통로를 통하여 유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포핏밸브를 제2밸브시이트 위에 가속시킨다.
완충기는 차량의 수직가속도를 표시하는 제1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그리고 차량의 수평가속도를 표시하는 제2신호를 얻음으로써 또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많은 목적 및 의도가 하기의 자세한 설명에서 더욱 분명하게 될 것이다.
제1도에서 가변비 완충기(10)는 (14)로서 표시된 브래킷에 의하여 바퀴 또는 차축조립체와 같은 자동차의 비탄성체의 견고히 부착된 외부 실린더 또는 케이싱(12)을 구성하고 있는 모노 튜우브타입의 완충기이다. 종래기술에서 공지된 것처럼, 여러가지 부착장치가 브래킷(14) 대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형적으로 도시된 타입의 완충기는 어큐뮬레이터(18)을 형성하며 완충기의 개스로 충전된 챔버를 둘러싸는 다이어프램(16)을 포함하고 있다. 실린더(12)를 유압압체를 포함하고 있는 상부(22) 및 하부(24)유체로 충진된 챔버로 분리시키는 피스톤(20)이 실린더(12) 내부에 미끄럼 이동식으로 수용된다.
공지된 구조의 나비형밸브(26,26a; 제2도 참조)는 피스톤(20)의 어느 한쪽에 위치한다.
나비형밸브는 피스톤(20)이 케이싱(12)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할 때 유체가 챔버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좁은 통로(28,29)의 한쪽 또는 다른쪽을 개폐한다.
개구부(28,29) 및 관련된 스프링(31,33)은 피스톤(20)의 이동을 공지된 식으로 감쇠시키기 위하여 스로틀을 형성한다.
피스톤(20)은 케이싱(12)의 한쪽 끝단(32)을 통하여 뻗어있는 스트럿(30)에 의하여 이동된다.
시일(34)은 스트럿(30)의 한쪽끝단(32)에 있는 개구부(35) 내부에 위치하여 유체가 케이싱(12)으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스트럿(30)의 상부끝단(36)은 탄성체 또는 자동차몸체(42)에 부재(40)를 견고히 부착시키기 위하여 (40)로서 도시된 부재로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부재는 차량몸체의 일부분을 통하여 수용되며 그리고 너트(47)에 의하여 차량몸체에 견고히 고정되는 좁은 나사로서 부분(44)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럿(30)은 바람직하게는 전선 또는 케이블(50)을 수용하기 위하여 속이 비어 있다.
케이블(50)은 전기제어유니트(52; ECU)에 결합되어 있다.
(60)으로 표시된 밸브가 스트럿(30) 내부에 위치하고 피스톤(20) 근처에 있으며 이러한 밸브(60)는 제1도에서 표시되지 않지만 제2도에서 상세히 도시되어진다.
나비형밸브(26,26a)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부터 완충기(10)의 감쇠작용특성은 밸브(60)아래 도시된 것처럼 수정된다.
제1개구부(62)는 유체를 챔버(24)로부터 밸브까지 전달하기 위하여 피스톤(20)을 통하여 제공된다.
스트럿(30)은 더우기 상부챔버(22)을 밸브(60)까지 연동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개구부 또는 십자형홀(64)을 포함하고 있다.
밸브(60)는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완충기의 전체의 감쇠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통로(62,64) 및 챔버(22,24) 사이에서 유체가 흐르도록 하기 위하여 양쪽 방향의 유동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챔버(22,24) 사이에서 효율적인 유체 유동율을 제어함으로써 피스톤(20)이 이동하는 비율 및 이에 따른 피스톤의 감쇠작용은 변화될 수 있다. 부과적으로 양쪽방향의 밸브를 사용함으로써 간단한 제어원리가 차량의 수직진동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이용된다. 예를 들면, 이러한 제어원리는 차량의 장착되는 가속도계(66) 및 속도신호를 얻기 위하여 사용되는 집적기(68)에 이용될 수 있다.
속도신호의 방향을 결정한 후에, 밸브(60)는 완충기(10)의 감쇠작용비를 변화시켜서 차량의 수직가속도를 영으로 감쇠시키기 위하여 보통 개폐된다.
솔레노이드밸브(60) 및 완충기(10)의 상세도가 제2도에 다시 도시되어진다.
도시된 것처럼, 솔레노이드밸브(60)는 스트럿(30)의 계단식보어(65)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전선 또는 케이블(50)이 축방향의 통로(67)을 통하여 밸브(60)로부터 뻗어있다.
밸브는 플라스틱제 보빈(76) 주위에 감겨질 수 있는 코일(74) 내부에 위치한 고정자(72)을 구성하고 있는 (70)으로서 도시된 솔레노이드 조립체를 포함하고 있다.
보빈의 상부플랜지(78)는 고정자(72)의 가로방향으로 뻗은 플랜지(84)에 대하여 노출하여 있는 O링(82)용 그루우브(80)를 포함하고 있다. 코일(74)은 전선(50)에 연결되어 있다.
보빈의 하부플랜지(76)는 또한 하부플랜지의 원주방향의 가장자리(88)에서 또다른 O링(92)을 수용하기 위하여 환형의 그루우브(90)을 포함하고 있다.
O링(92)은 유체가 코일공간으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트럿(30)의 내벽에 대하여 가속된다.
플럭스판부재(94)는 보빈의 플랜지(76)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플럭스판부재(94)는 보빈(76) 내부통로(98)에 대하여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는 중앙개구부(96)을 포함하고 있다.
솔레노이드 조립체(70)은 더우기 플럭스판부재(94)의 개구부(96)를 통하여 미끄럼이동식으로 수용되며 그리고 솔레노이드 조립체의 한쪽 끝단(95)에서 통로(98) 속으로 부분적으로 뻗어있는 아마츄어(100)을 포함하고 있다. 아마츄어(100)는 더우기 스프링(108)을 수용하기 위하여 플랜지(106)을 형성하는 확대된 끝단부(104)을 포함하고 있다. 스프링(108)은 또한 플럭스판에 형성된 쇼울더(110) 주위에 수용되며 그리고 리테이너(122) 내부에 형성된 밸브시이트(120)쪽 고정자(72)로부터 바깥쪽으로 아마츄어를 가압한다.
리테이너(122)는 벽(132)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는 기초판부재(124) 그리고 아마츄어가 기초판부재(124)에 대하여 가속될 때 공기틈새(130)가 아마츄어(100) 및 고정자(72) 사이에서 형성되도록 고정자의 하부끝단(126)으로부터 고정된 거리를 구성하고 있다.
벽(132)은 보어(65)의 내벽에 대하여 밀착되게 수용된다.
리테이너(122)는 더우기 판부재(124)의 밑면으로부터 뻗어있는 제2원통형벽(134)을 포함하며 그리고 벽(132)에 대하여 대향하고 있다. 벽(134)의 지름은 바람직하게 스트럿의 내부벽보다도 좁으며 스트럿과 협동하여 환형의 유체통로(140)를 형성한다.
환형의 유체통로(140)를 피스톤(20)에 결합시키는 밸브시이트부재(142)는 리테이너(122) 아래에 위치하며 그리고 리테이너(122)로부터 간격을 두고 있다.
밸브시이트부재(142)는 피스톤(20) 내부의 개구부(146) 내부에 수용되며 그리고 통로(62)을 형성한다.
밸브시이트부재는 더우기 예시된 바처럼 평탄하고 환형의 안착되는 표면, 바람직하게는 벽(134)의 내부지름보다도 작은 내부 및 외부지름을 구성하고 있는 밸브시이트(140)을 포함하고 있다.
압력(하중)반응 포핏밸브(150)는 리테이너(122)의 벽(134) 내부에 미끄럼이동식으로 위치하고 있다.
포핏밸브(150)는 밑면부재(152), 밸브시이트(148)위에 안착되기 위한 폐쇄표면을 형성하는 밑면부재의 하부표면(154)을 포함하고 있다. 포핏밸브는 더우기 밑면(152)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뻗어있으며 그리고 벽(134)의 내부부분을 미끄럼이동식으로 맞물리게 하는 크기로 되어 있는 벽(156)을 포함하고 있다.
스프링(160)의 한쪽끝단은 포핏밸브(150)의 밑면에 형성된 보스(162) 주위에 수용되며 그리고 스프링의 다른 끝단은 기초판부재(124)로부터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또다른 보스(164) 주위에서 수용되어진다.
밸브시이트(120)에서 끝을 이루면 아마츄어(100)에 의하여 지지되는 보올과 같은 밸브폐쇄부재(174)을 수용하기 위하여 채용된 유통경로(170)는 기초판부재(124) 및 리테이너(122)의 보스를 통하여 뻗어있다.
밑면(152) 및 포핏밸브(150)의 보스(162)는 유동통로(170) 및 통로(28,29)보다도 바람직하게 더 좁은 블리드통로(176)을 부과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리테이너 기초판부재(124) 근처 리테이너(122)는 환형의 유체통로(140)에 수용되는 유체를 리테이너(122) 및 플럭스판부재(94)에 의하여 형성된 유체챔버(182)까지 전달하기 위하여 (180)으로 도시된 복수의 통로를 포함하고 있다.
더우기, 리테이너(122) 및 더욱 특별히 벽(134) 및 포핏밸브(150)는 압력챔버(190)을 형성하고 협동한다.
알수있는 것처럼 포핏밸브(150)는 이러한 압력챔버(190)의 가동할 수 있는 벽을 형성하고 있다.
일반적인 완충기의 감쇠작용은 제2도에서 도시된 나비형밸브(26)와 유사한 장치에 의하여 전형적으로 제어된다.
다양한 스프링 및 이러한 나비형밸브의 통로는 완충기가 제어능력 및 운전자의 안락 사이에서 조화를 이루기 위한 목적으로 인장시 뻣뻣하고 그리고 압축시 부드러워지도록 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상기 언급한 바처럼, 운전자의 안락을 희생시키지 않는 반면에 운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은 완충기의 감쇠작용을 제어할 수 있게 변화시킴으로써 차량의 수직속도를 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또한 성취할 수 있다. 더욱 특별하게 각각의 완충기의 솔레노이드밸브는 차량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때마다 완충기는 고감쇠 작용형식에 있도록 제어된다.
차량이동의 제어는 차량이 상방향으로 이동할 때 솔레노이드밸브(S)는 활성화되고 그리고 차량이 하방향으로 이동할 때는 솔레노이드밸브(S)가 증가된 감쇠작용의 바람직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활성화되지 않는 식으로 하나의 가속도계(66) 또는 한쌍의 가속도계의 출력에 반응하여 이에 상응하는 완충기(10)의 각각의 내부에 있는 각각의 솔레노이드밸브(60)를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고 그리고/또는 활성화시키지 않음으로써 가장 간단하게 성취될 수 있다.
하기 설명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여러가지 비탄성체 이동이 하기에 설명되는 바처럼 완충기의 작동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감쇠되기 때문에 여러가지 빠른 이동과 관계가 있지만 감시할 필요는 없다.
솔레노이드밸브(60)의 여러가지 상태를 보여주는 하기의 표를 언급하고 그리고 완충기(10)의 압축 및/또는 인장기능으로서 감쇠작용에 솔레노이드밸브의 효과를 언급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Figure kpo00001
차량이 상방향으로 이동할 때 차량속도는 플러스(Ⅴ≥0)이고 그리고 완충기는 인장상태(만약 비탄성체가 보다 높은 플러스의 수직속도를 가지지 않는다면)이다.
더우기, 만약 솔레노이드가 온상태이면, 효과적인 감쇄작용은 고 상태가 된다.
비슷하게 차량이 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속도는 마이너스(Ⅴ≤0)이며 완충기는 압축상태(만약 비탄성체가 보다 높은 마이너스의 속도를 가지지 않는다면)이다.
만약 솔레노이드가 작동되지 않는다면 즉 오프상태라면 감쇠작용은 상응하게 고상태가 된다.
차량의 제어는 차량속도(Ⅴ)를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즉 가속도계(66)로써 수직속도를 측정하여서 차량속도(V)를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성취할 수 있다.
속도를 얻는 하나의 이러한 수단은 가속도계(68; 제1도 참조)로부터 출력을 집적하는 것이다.
속도신호는 ECU(52)에 연통되며 그리고 다양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고 여기에서 ECU(52)가 코일(74)을 작동시키고 그리고/또는 작동시키지 않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참조도와 비교되어 있다.
차량의 수직가속도의 제어는 수지속도가 영과 같거나 또는 보다 클때(V≥0) 또는 어떤 소정의 데드밴드(deadband)일때 솔레노이드밸브(60)는 오프상태가 되며 속도가 영보다도 적거나 또는 어떤 소정의 데드밴드일때 솔레노이드밸브는 온상태로 되는 식으로 ECU 논리 내부에서 합동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완충기의 감쇠작용비는 인장 또는 압축의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감쇠작용제어를 얻기 위한 장치는 속도신호 및 제어신호를 발생시킨 ECU와 일치되게 선택적으로 맺어지는 솔레노이드밸브(60)의 2가지 작동형식을 고려함으로써 이해될 수 있다.
2가지 작동형식은 a) 제어신호가 코일(74)에 연결되어서 이것에 의하여 아마츄어(100)로 하여금 밸브시이트(120)로부터 신축하도록 하여서 억제된 유체를 통로(176,180)을 통하여 유동하게 하는 작동형식 b) 이러한 통로를 통하여 연속적인 유동이 금지되는 비작동형식이 있다.
차량이 상방향으로 이돌할때, 스트럿(30)이 케이싱(12)외부로 이동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보자, 스트럿(30) 및 피스톤(20)의 이러한 이동은 챔버(22) 내부유체를 압축하여 유체로 하여금 통로(28)을 통하여 나비형밸브(26)까지 유동하도록 한다.
이제 챔버(22) 내부 고압유체는 또한 포핏밸브(150)의 밑면(154)위에 작용한다.
유사하게 챔버(24) 내부 저압유체는 통로(62)와 연통한다.
챔버(190) 내부압력은 블리드통로(176)을 통하여 연통에 의하여 하부챔버(24) 내부유체의 감소된 압력에서 보통 안정화된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한다.
만약, 솔레노이드밸브(60)가 활성화되지 않는다면(오프), 포핏밸브(150) 전후의 차동압력은 포핏밸브를 밸브시이트로부터 가속시켜서 많은 양의 유체를 통로(64,140)를 통하여 상부챔버(22)로부터 통로(62)을 통하여 하부챔버(24) 내부로 흐로게 한다.
이처럼 피스톤(20)이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그리고 솔레노이드밸브(60)가 폐쇄되거나 또는 오프될때, 완충기(10)의 감쇠작용은 나비형밸브에 의하여 정해진 고감쇠작용으로부터 증가된 유동에 의하여 감소된다.
솔레노이드밸브(60)가 활성화될때, 상부챔버(22) 내부보다 높은 압력유체는 통로(64,140 및 180)을 통하여 압력챔버(182) 및 이후 통로(170)을 통하여 압력챔버(190) 내부로 유동한다.
스프링(160)과 제휴하여 이제 챔버(190) 내부보다 높은 포핏밸브(150)를 포핏밸브의 시이트를 위로 가속시켜서 챔버(22,24) 사이에서의 유체유동을 억제시킨다.
통로(176)는 통로(170)보다도 바람직하게 더 좁다는 것을 상기해야만 한다.
알 수 있는 것처럼, 이동안 유체는 좁은 블리드통로(176)을 통하여 하부챔버(24) 내부로 유동되도록 허용된다.
그러나, 밸브(60)을 통한 유동은 매우 억제되기 때문에 완충기의 감쇠작용은 본질적으로 나비형밸브(26)에 의하여 본질적으로 형성된 증가된 (고)감쇠작용수준에 있게 된다.
유사한 방법으로 피스톤(20)이 케이싱(12) 내부에서 아래로 이동할때 하부챔버(24)는 압력을 받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압력을 받고 있는 유체는 통로(62,176)을 통하여 압력챔버(190) 내부로 이동한다.
만약 솔레노이드밸브가 오프상태라면, 차동압력 및 힘은 포핏밸브전후에서 발생되어 상부 및 하부챔버 사이에서 유체의 더이상의 유동을 대단히 억제하는 포핏밸브시이트(148)위로 포핏밸브를 가속시킨다. 포핏밸브를 통한 유동이 본질적으로 끝날때 완충기의 감쇠작용은 나비형밸브(26a)에 의하여 본질적으로 정해진 값까지 증가된다. 솔레노이드밸브(60)의 작동상태(온)가 될때, 폐쇄부재(174)는 폐쇄부재의 밸브시이트(120)로부터 이동되어서 통로(62,176,170,180,140 및 64)을 통하여 상부 및 하부챔버(22,24) 사이에서 이것에 의하여 포핏밸브 전후의 차동압력 및 힘을 발생시켜 포핏밸브의 시이트로부터 포핏밸브를 떨어지게 가속시키며 밸브를 통한 유동을 증가시키고 그리고 완충기(10)의 감쇠작용을 감소시킨다.
상기에서 언급한 것처럼, 본 발명을 이용한 제어시스템의 장점은 차량의 수직이동이 차량의 이동을 바로 잡고 그리고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측정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다음의 예로부터 알 수 있다.
제어시스템이 차량의 수직속도(V=0)를 안정화시켰다고 가정해보자 만약 이러한 솔레노이드밸브(60)가 활성화된다면, 그리고 나서 만약 각각의 바퀴가 구멍 속에 빠졌다면 완충기는 뻗어질 것이다. 상기 표로부터 완충기의 감쇠작용은 고상태가 되며 그리고 구멍속에 빠질려는 바퀴의 경향에 저항하는 힘을 발생시킨 다음 알 수 있다. 만약 다른 한편 각각의 바퀴가 범프 위에서 회전한다면, 차량으로부터 바퀴의 상방향이동을 차단시키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것은 압축시 솔레노이드밸브가 온상태로써 저감쇠작용력이 발생되어 이것에 의하여 바퀴의 상방향이동으로부터 차량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키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성취된다.
본 발명의 장점들중의 하나는 모든 작동상태동안에 완충기의 감쇠작용을 변화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의 능력이다.
주요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포핏밸브에 있어서, 포핏밸브가 주밸브(150) 이동으로부터 관련된 부품의 작동의 차단은 솔레노이드밸브설계에서 절대적이다.
종전의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포핏밸브에 있어서, 포핏밸브가 주밸브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이 일정한 고압 상태에서 가능하다. 이러한 접촉은 포핏밸브의 이동을 제한하며 그리고 본질적으로 포핏밸브를 작동하지 못하게 만든다.
이러한 상황은 본 발명에서는 생기지 않는다.
상기 설명된 제어시스템은 차량의 수직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가장 간단한 형태로 하나의 가속도계를 사용한다. 어떤 상황에 있어서, 차량의 상하흔들림 및 비틀림 이동을 제어하는 것은 또한 바람직한 일이다.
이것은 차량에 추가적인 센서를 첨가함으로써 간단히 성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하 흔들림 및 수직제어는 제3도에서 도시된 것처럼 위치(A1,A2)에서 차량의 대칭축을 따라서 또는 대칭축에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으며 가속도계를 사용함으로써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차량의 이동(수직이동, 상하흔들림 및 비틀림)의 완전한 제어는 전방(10a,10b) 및 후방(10c,10d) 완충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 위치(A1,A2 및 A2)에서 가속도계를 사용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스트럿(406)은 제1도의 완충기와 같은 식으로 케이싱(12) 내부에 수용된다. (420)으로 도시된 피스톤조립체가 스트럿(406)의 하부부분 내부에서 나사이동식으로 수용되며 그리고 케이싱 내부에서는 미끄럼 이동식으로 수용된다.
피스톤조립체는 케이싱을 상부(22) 및 하부(24) 유체중진챔버로 분할하고 있다.
피스톤조립체는 제1 및 제2계단식으로된 보어(472,474)를 포함하고 있는 피스톤 하우징(470)을 구성하고 있다.
개구부(478)을 가지고 있는 십자형부재(476)는 보어(472,474)를 분리시킨다.
솔레노이드 조립체는 보어(472) 내부에서 나사식 이동으로 수용되는 고정자(426)를 포함하고 있다.
고정자는 반경방향의 플랜지(434)로부터 뻗어 있으며 스트럿의 부분보어(432) 내부에 수용되는 축방향으로 돌출한 부재(430)를 형성하고 있다. 제1플래퍼밸브(436)는 스트럿위 하부부분(438), 고정자플랜지(434) 및 피스톤하우징(470) 사이에서 샌드위치되어 있다.
고정자는 블라인드보어(440) 내부에서 커넥터조립체(448)를 지지한다. 보어(440)는 스트럿(446) 길이로 뻗어있는 보어(446)에 대하여 동축으로 위치하고 있다.
커넥터조립체(448)는 코일(450)전선의 끝을 제어신호를 받기 위하여 채택된 또다른 전선 또는 케이블(452)에 연결된다.
코일(450)은 고정자의 반대방향으로 뻗어있는 부재(452)을 둘러싼다. 코일은 개구부(478)에 동축으로 통과하는 아마츄어(460)을 수용하기 위한 통로(456)를 형성하는 보빈(454) 주위에 감겨져 있다.
피스톤하우징(470)은 부과적으로 복수의 축방향의 유동통로(480,482)을 각각 포함하고 있다.
나비형밸브(436)의 스프링(484)은 하부챔버(24)로부터 상부챔버(22)까지 제어할 수 있는 유동을 억제하고 그리고 역방향으로 유동을 금지시키기 위하여 통로(480)이 정상끝단부(486) 주위에 위치하고 있다.
하부챔버근처 통로(480)의 부분(496)은 유체유동에 개방되어 있다.
또다른 나비형밸브(490)는 피스톤 하우빙(470)의 하부끝단에 위치하며 이러한 나비형밸브(490)는 또한 상부챔버로부터 하부챔버까지 제어할 수 있게 유동을 억제하고 그리고 역방향으로 유동을 금지시키기 위하여 통로(482)의 하부부분(494)을 폐쇄하는 복수의 스프링(492)을 포함하고 있다.
통로(482)의 상부부분(488)은 상부챔버(22)로부터 유동시키기 위하여 개방되어 있다.
(500)으로 표시된 밸브시이트조립체는 보어(474) 내부에 나사식 이동으로 수용된다.
하부나비형밸브(490)는 리테이너(498)에 의하여 밸브시이트조립체(500) 및 하우징(470)에 보통 확실히 고정될 수 있다.
밸브시이트조립체는 중심보어 또는 유동통로(502) 및 평탄하고 안착되는 표면을 바람직하게 형성하는 환형의 돌출된 밸브시이트(504)를 포함하고 있다.
(501)으로 표시된 리테이너는 밸브시이트조립체(500) 및 십자형부재(476)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리테이너는 경화된 철강으로 바람직하게 만들어지며 유동통로(518)을 포함하고 있는 십자형부재(516)에 의하여 분리된 상부보어(512) 및 하부보어(514)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추형모양인 밸브시이트(520)는 통로(518) 주위에 위치하거나 또는 통로의 일부분으로서 형성된다.
하부보어(514)는 원통형의 축방향으로 뻗은 벽(522)에 의하여 형성된다.
벽(522)은 바람직하게는 보어(474)의 내벽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있다. 릴리이프통로(524)는 벽(522) 및 보어(474) 사이에서 보어(512)을 환형의 간격(525)에 연통시키기 위하여 리테이너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530)는 필리이프통로(524) 근처에 형성되고 피스톤하우징(470) 내부에 있다.
개구부(530)는 공간(525) 및 통로(482)을 연통시키고 있다.
통로(530)을 조립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드릴통로이며 그리고 통로(530)의 연장으로서 생각될 수 있는 통로(532)는 또한 피스톤하우징(470)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리테이너는 더우기 유체를 공간(525)을 왕래하여 공동(514)속으로 유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의 개구부(567)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언급한 바처럼, 아마츄어(460)는 피스톤하우징의 개구부(478) 내부 및 보빈(454)의 통로(456) 내부에서 왕복적으로 수용된다.
아마츄어는 가압스프링(542)을 수용하기 위하여 채용된 플랜지(540)를 포함하고 있다.
아마츄어는 더우기 십자형통로(546)를 통하여 보어(512)에 연통되는 축방향으로 향하여 있는 통로(544)을 포함하고 있다.
통로(544,546)의 목적은 고정자(426) 및 아마츄어(460) 사이에서 형성된 공기틈새(550) 내부에서 막힐 수 있는 유체용 누출통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공기 틈새내부에 갇혀져 있는 유체는 아마츄어(460)의 감쇠작용을 변경한다.
더우기 아마츄어, 고정자 및 코일에 의하여 형성된 전자석 밸브의 자성을 고양시키기 위하여 아마츄어(460)는 바람직하게는 규소타입철에서 만들어지며 그리고 고정자는 소결철에서 만들어진다.
아마츄어(460)는 더우기 아마츄어안에서 억지 끼워 맞춤인 경화된 철강으로서 원추형 모양의 폐쇄부재(522)를 포함하고 있다.
포핏밸브(560)와 함께 챔버(515)을 형성하고 있는 포핏밸브(560)는 리테이너(510)는 하부보어(514)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포핏밸브는 축방향의 벽(562) 및 더 얇은 십자형부재(563)을 포함하고 있다.
십자형부재는 리테이너(510) 내부에 형성된 통로(518)보다도 바람직하게 더 좁은 블리드토로(564)을 포함하고 있다.
포핏밸브(560)은 피스톤(568)과 같은 운동형시일을 수용하기 위하여 환형의 그루우브를 포함하고 있다.
십자형부재(563) 및 벽(562)은 포핏밸브(560)을 시이트(504)에 가압하기 위하여 옵셔널스프링(570)을 수용하는 쇼울더를 형성한다.
코일이 활성화되지 않고 그리고 하부챔버(24) 내부유체를 압축하기 위하여 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러한 압축된 유체는 통로(502)를 통하여 포핏밸브(560)의 하부표면에 상방향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압력을 받고 있는 유체는 블리드통로(54)를 통하여 이동하며 그리고 보어(514)의 상부부분으로 이동한다.
제4도에서 알 수 있는 바처럼, 십자형부재(563) 및 벽(562)에 의하여 형성된 포핏밸브의 상부부분의 유효면적의 포핏밸브의 하부부분의 면적보다도 크다.
밸브시이트(504)의 내부에 있으며 하부공동(24) 내부유체에 노출된다. 이와 같이 차동압력이 포핏밸브(560)을 포핏밸브시이트위로 가속시키며 이것에 의하여 상부 및 하부 챔버 사이에서 어떤 부과적인 유동을 금지시킨다.
이 동안에 나비형밸브(436)는 통로(480)을 통하여 유동을 억제하여 완충기의 고감쇠작용상태를 형성한다.
만약 축(406)이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 나비형밸브(436)에 의하여 형성된 감쇠작용특성으로부터 완충기의 감쇠작용특성을 감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면, 코일(450)은 활성화된다.
코일(450)을 활성화될때, 아마츄어(460)는 고정자쪽으로 가속되어져 통로(518)을 개방하고 그리고 릴리이프통로(524), 개구부(530) 및 통로(482)을 통하여 챔버(514)을 상부 챔버(22)에 연통시킨다.
통로(518)을 개방시킬때, 챔버(514) 내부유체압력은 감소된다.
압력에 반응하여 포핏밸브(560)는 밸브시이트로부터 상방향으로 가속되어져 리테이너 내부개구부(567), 개구부(530) 및 통로(482)를 통하여 챔버(514)를 상부 챔버(22)에 연통시킨다.
통로(518)를 개방시킬때, 챔버(514) 내부유체압력은 감소된다.
압력에 반응하여 포핏밸브(560)는 밸브시이트로부터 상방향으로 가속되어서 리테이너 내부개구부(567), 개구부(530) 및 통로(482)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유체를 흐르게 한다.
만약 스트럿(406)이 상방향으로 이동된다면, 상부공동(22) 내부유체는 압축된다.
코일이 활성화되지 않을때 통로(518)에는 폐쇄부재(522)의 작용에 의하여 폐쇄된다.
보어(514) 내부유체는 블리이드통로(564)를 통하여 하부공동(24)속으로 새어들어가며 이것에 의하여 포핏밸브의 정상부분위에 작용하는 유체압력을 안정화시켜서 하부공동 내부유체압력을 본질적으로 안정화시킨다. 이제 상부챔버(22)의 증가된 유체압력은 밸브시이트(504)을 넘어 뻗어있는 포핏밸브의 바깥부분에 연통되어서 통로(502)를 통하여 상부 및 하부챔버 사이에서유체유량의 증가된 비율을 허용하는 밸브시이트(504)에서 포핏밸브를 떨어지게 가속시키며 이것에 의하여 완충기를 감쇠작용특성을 감소시킨다.
상방향으로 스트럿이동동안 이러함 감쇠작용특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코일(450)은 더 고압의 상부챔버유체압력이 통로(518)을 통하여 포핏밸브의 상부부분에 연통되도록 활성화된다.
알 수 있는 것처럼 포핏밸브(560) 전후에 작용하는 압력은 본질적으로 정상에서 더 높으며 따라서 스프링(572)은 포핏밸브를 다시 한번 포핏밸브시이트를 위로 가속시켜서 이것에 의하여 통로(502)를 통하여 상부 및 하부챔버 사이에서 더 이상의 유동을 금지시킨다.
따라서, 완충기의 감쇠작용은 통로(482)를 통하여 유체의 유동을 제한하는 나비형밸브(490)에 의하여 형성되었던 것처럼 고수준의 감쇠작용으로 복귀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대안의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으며 그리고 더욱 특이한 것은 완충기(10)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또다른 솔레노이드밸브(200)을 예시하고 있다.
제4도에서 유사한 구조적인 항목은 제2도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번호로서 표시되고 있다.
하기 설명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제4도의 밸브 및 제2도의 밸브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의 하나는 밸브의 결함형식이다.
전형적으로 솔레노이드는 전형적으로 아마츄어가 신축할 수 없는 것과 같은 결함일 것이다.
제2도의 밸브의 경우에 있어서, 결함형식은 완충기가 인장시에 저감쇠작용비 및 압축시에 고감쇠작용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제5도의 솔레노이드밸브는 설계자가 역방향의 결함특성을 가지는 완충기 및 역방향으로 또한 작동하는 완충기를 제공하도록 한다.
제2도 및 제5도를 비교하면 솔레노이드밸브는 또한 포핏밸브의 설계에 있어서 다르다.
더욱 특별한 것은, 제5도의 포핏밸브(202)는 플럭스판부재(94)쪽으로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밑면(204) 및 벽(206)을 가지고 있는 컵모양의 부재(202)를 구성하고 있다.
벽(202)의 길이는 포핏밸브(202)가 시이트(148)위에 위치하고 있을때 틈새가 만들어지는 식으로 선택되며 이 틈새는 공기틈새(130)보다도 더 작다.
밑면(204)은 제1좁은 통로(212) 및 제2조금 넓은 통로(214)을 포함하며, 밑면의 정상부는 보올(174)을 수용하기 위한 밸브시이트(216)을 형성하고 있다.
아마츄어(100)는 제1스프링(108)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가압된다. 밸브시이트(148)의 맞물려 있는 플럭스부재(94)로부터 떨어지게 포핏밸브(202)를 가압하기 위한 제2스프링(220)은 제1스프링주위에 위치하고 있다.
하기표는 솔레노이드(200)을 사용하는 완충기(10)의 선택적인 상태를 요약하여 나타내고 있다.
Figure kpo00002
완충기가 인장상태일때, 즉 피스톤(30)이 상방향으로 이동할때, 상부챔버(22) 내부에 유압유체의 압력은 증가할 것이다.
만약 솔레노이드밸브(200)가 활성화되지 않으면(오프상태), 챔버(230) 내부 및 포핏밸브(202) 및 플러스판부재(94) 사이에서 형성된 압력은 포핏밸브를 밸브시이트(216)위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차동압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증가시킨다.
만약 아마츄어(100)가 밸브시이트(216)로부터 떨어져 이동한다면, 즉 활성화될때, 챔버(230) 내부 압력은 더 큰 통로(214)를 통하여 유체유동에 의하여 급속히 감속하며 이것에 의하여 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포핏밸브를 상방향을 가속시키기 위하여 충분한 차동압력을 포핏밸브(202)의 밑면전후에서 발생시킨다.
어떤 고압상태의 경우에 있어서 포핏밸브(202)의 보올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이동할려는 경향이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통로(214)를 통하여 유동을 끝낸다.
이러한 상태는 아마츄어(100)의 상방향이동보다도 적도록 하기 위하여 포핏밸브(202)의 상방향이동을 제한하는 더 긴 길이의 벽(206)을 사용함으로써 방지된다.
포핏밸브를 밸브시이트로부터 떨어지게 이동시킬때, 완충기의 감쇠작용는 챔버(22,24) 사이에서 증가된 유동에 의하여 감소된다. 만약 완충기가 압축상태에 있다면, 즉 피스톤(30)이 하방향으로 이동한다면, 하부챔버(24) 내부유체압력은 증가한다.
만약 솔레노이드밸브가 활성화되지 않는다면(또는 오프상태), 아마츄어(100)는 통로(214)를 통하여 유동을 금지시킨다.
이 동안에 챔버(230) 내부의 유체압력은 포핏밸브 및 아마츄어(100)가 동시에 포핏밸브(202)의 밑면(204) 전후의 차동압력을 발생시키는 상부챔버(22)의 저압쪽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작용은 많은 양의 유체가 챔버(24,22) 사이에서 흐르도록 한다. 밸브(200)을 자극할때, 아마츄어(100)는 유체가 통로(214)를 통하여 챔버(230)속으로 연통하도록 한다.
통로(212)가 통로(214)보다도 좁다는 사실에 의하여 챔버내부압력은 형성되며 이것에 의하여 포핏밸브(202)를 밸브시이트(148)위로 다시 한번 안착시키도록 가속하며 밸브를 통하여 유동을 억제하고 그리고 완충기가 나비형밸브(26)에 의하여 형성된 고감쇠 작용비에서 완충기가 작동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언급된 실시예에서 많은 변화 및 수정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많이 물론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에 의하여 단지 제한될 것이다.

Claims (10)

  1. 케이싱을 상부챔버(22) 및 하부챔버(24)로 분할하기 위하여 케이싱 내부에 왕복적으로 수용되고 상부 및 하부챔버를 연결하는 2개의 원격위치된 통로(480,482)를 구성하고 있는 피스톤조립체(420), 케이싱 및 피스톤조립체 사이에서 상대적인 이동과 일치되어 소정의 높이에서 제1 및 제2의 2개의 통로를 통하여 유체유동을 선택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부재(436,490) 및 제어신호에 반응하며 2개의 통로중 하나를 통하여 제한작용부재(436,490)에 의하여 형성된 상부 및 하부챔버 사이에서 유체유동을 선택적으로 증가시켜서 피스톤조립체(420)에 작용하는 유체감쇠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부재(422,56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2. 제1항에 있어서, 피스톤조립체는 케이싱(14)의 측면을 밀봉되게 맞물리게 하는 운동형시일(473)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3. 제2항에 있어서, 운동형시일은 피스톤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4. 제2항에 있어서, 피스톤하우징은 하부보어(474), 벽(522) 및 보어(474) 사이에 환형의 공간(525)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부보어(474)로부터 간격을 둔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벽을 포함하고 있는 하부보어(514) 내부에 수용되는 리테이너(510), 벽(522)의 끝단과 맞닿는 관계로 하부보어(474) 내부에 수용되는 환형의 밸브시이트(504)를 포함하며 그리고 리테이너(510)와 협동하여 챔버(515)를 형성하는, 통로(520)를 통하여 하부챔버(24)에 관통통로(520)를 포함하는 밸브시이트부재(500), 챔버(515) 내부에 위치하며 벽(522)의 내부부분을 미끄럼이동식으로 그리고 밀봉되게 맞물리게 하기 위한 부재를 포함하고 챔버(515) 및 관통통로(502)를 연통하게 하는 좁은 블리드통로(563)를 포함하는, 관통통로(502)를 실질적으로 밀봉하기 위하여 밸브시이트(504) 위에 안착하도록 채용된 포핏밸브(560), 밸브시이트(504)를 넘어서 반경방향으로 포핏밸브(550)의 부분(563)을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증가작용부재는 포핏작용(560)의 뻗어있는 부분(563) 및 챔버(515) 내부로 유체를 전달하여 피스톤조립체의 이동과 일치하게 포핏밸브를 포핏밸브 시이트에서 떨어지게 또는 포핏밸브시이트 위로 가속시키기 위하여 포핏밸브전후의 차동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5. 제4항에 있어서, 연통부재는 복수의 통로중 제1통로를 환형의 통로(525)에 연통시키는 제3통로(530) 및 환형의 통로(525)를 포핏밸브(550)의 뻗어있는 부분(560)에 연통시키기 위한 제1통로부재(567)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6. 제5항에 있어서, 제1통로는 벽의 하부끝단에서 형성된 복수의 통로(567), 블리드통로(564)로부터 반대방향의 챔버(515)속으로 뻗어있는 리테이너(560)에 형성된 유동통로(518) 및 환형의 공간(525)을 유동통로(518) 에 연통시키는 제2통로부재(524)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리고 여기에서 증가작용부재는 더우기 유동통로(518)를 개폐하기 위한 제어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7. 제6항에 있어서, 제어부재는 선택적으로 유동통로(518)를 밀봉하기 위하여 아마츄어(54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8. 제7항에 있어서, 아마츄어(540)는 틈새(550)를 통하여 고정자(426)에 대하여 내부챔버(512)와 함께 왕복운동되며, 내부챔버(512)는 유동통로(518) 및 제2통로부재(524)에 의하여 서로 교차되고 그리고 아마츄어(560)는 틈새(550)를 내부챔버에 연통시키기 위하여 제3통로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9. 제8항에 있어서, 포핏밸브의 밀봉작용부재는 피스톤링(568)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10. 케이싱(12), 케이싱(12) 내부에서 왕복적으로 수용되며 상부챔버 및 하부챔버 사이에서 유체를 연통시키기 위하여 십자형부재를 더 포함하고 있는 중공 스트럿(30), 피스톤을 통하여 개구부(146)을 포함하며 케이싱 내부를 유체를 포함하고 있는 상부 및 하부챔버(22,29)로 분할하기 위한 스트럿(30) 그리고 인장 및 압축시 소정의 높이에서 스트럿의 동작을 감쇠시키기 위하여 복수형 나비형밸브(26)와, 축방향으로 가동할 수 있는 포핏밸브(202) 내부에 형성된 블리드통로(21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전자력에 반응하여 축방향으로 가동할 수 있는 아마츄어(100)을 포함하고 있는 주밸브(100), 블리드통로(214) 및 아마츄어(100)를 둘러싸고 있는 유체챔버(230)을 형성하는 원통형벽(206)을 포함하고 있는 밑면(204)을 포함하고 있는 포핏밸브(202), 아마츄어에 의하여 지지되는 폐쇄부재(176) 및 유체챔버(230)와 상부챔버(22) 사이에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하여 반경방향으로 오프셋통로(212)를 수용하기 위한 아마츄어(100) 근처 블리드통로(214)의 끝단에서 형성된 제1밸브시이트, 포핏밸브의 축방향이동을 억제시켜 아마츄어(100)의 축방향 이동보다도 적게 하기 위하여 이동정지에 대하여 스트럿(30)의 내부벽 내부에서 미끄럼이동식으로 가동할 수 있는 포핏밸브, 출구통로(62)의 한쪽 끝이 피스톤(20)을 통하여 하부챔버에 연통되어 있는 출구통로(62)를 포함하고 있는 밸브시이트부재(142) 및 출구통로(62)의 다른 끝에서 형성되고 포핏밸브(2)의 밑면(204)을 수용하기 위하여 채용된 제2밸브시이트부재(148), 십자형구멍(64) 및 출구통로(62) 사이에서의 유체유동을 중지시키는 폐쇄된 상태와의 사이에서 전환시키는 전기적 신호에 반응하는 솔레노이드밸브부재(60)로 구성된 소정의 높이로부터 선택적으로 스트럿의 감쇠작용을 감소하게 하기 위한, 스트럿의 내부에 위치하여 그리고 스트럿에 의하여 지지되는 솔레노이드밸브부재(20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KR1019890701546A 1987-12-18 1988-12-15 가변비 완충기 및 이를 위한 시스템 Expired - Lifetime KR9600139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518187A 1987-12-18 1987-12-18
US07/134,497 US4854429A (en) 1987-12-18 1987-12-18 Variable rate shock absorber and system therefor
US135,181 1987-12-18
US134,497 1987-12-18
PCT/US1988/004478 WO1989005929A1 (en) 1987-12-18 1988-12-15 A variable rate shock absorber and system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0791A KR900700791A (ko) 1990-08-17
KR960013992B1 true KR960013992B1 (ko) 1996-10-11

Family

ID=26832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1546A Expired - Lifetime KR960013992B1 (ko) 1987-12-18 1988-12-15 가변비 완충기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397702B1 (ko)
JP (1) JPH04503238A (ko)
KR (1) KR960013992B1 (ko)
CA (1) CA1319373C (ko)
DE (1) DE3853080T2 (ko)
ES (1) ES2012909A6 (ko)
WO (1) WO19890059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16351A1 (de) * 1988-05-13 1989-11-23 Hauni Werke Koerber & Co Kg Stossdaempfer mit veraenderbarer daempfungscharakteristik
DE3835705A1 (de) * 1988-10-20 1990-04-26 Bosch Gmbh Robert Stossdaempfer zur daempfung von bewegungsablaeufen
DE4024920C2 (de) * 1990-08-06 1996-02-01 Fichtel & Sachs Ag Schwingungsdämpfer
JPH04312224A (ja) * 1991-04-12 1992-11-04 Oehlins Racing Ab 減衰器
DE4125316C1 (ko) * 1991-07-31 1992-10-01 Boge Ag, 5208 Eitorf, De
DE4239160C1 (de) * 1992-11-21 1994-05-11 Bilstein August Gmbh Co Kg Regelbarer hydraulischer Schwingungsdämpfer für Kraftfahrzeuge
US5730261A (en) * 1996-01-11 1998-03-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Damper control valve
DE19822448C2 (de) * 1997-07-08 2000-11-30 Mannesmann Sachs Ag Regelbarer Schwingungsdämpfer für Kraftfahrzeuge
DE102014215566B3 (de) * 2014-08-06 2016-01-21 Zf Friedrichshafen Ag Dämpfventil
JP6838372B2 (ja) * 2016-12-02 2021-03-0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減衰力調整機構
DE102019203898A1 (de) 2018-04-04 2019-10-10 Zf Friedrichshafen Ag Verstellbare Dämpfventil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73360A (en) * 1975-10-22 1980-03-11 John R. Daniels Non-antigenic collagen and articles of manufacture
DE2911768C2 (de) * 1979-03-26 1983-01-20 F & O Electronic Systems GmbH & Co, 6901 Neckarsteinach Regelbarer Stoßdämpfer,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US4463839A (en) * 1981-11-06 1984-08-07 Tokico Ltd. Hydraulic damper
GB2147683B (en) * 1983-09-24 1986-10-01 Bilstein August Gmbh Co Kg Shock absorber, with electromagnetically biased pressure responsive valve
SE443622B (sv) * 1984-04-04 1986-03-03 Rolf Blixt For stotdempare avsedd anordning for att mojliggora variation av dempformagan
EP0200446A1 (en) * 1985-04-25 1986-11-05 Moog Inc. A damping mechanism
US4671280A (en) * 1985-05-13 1987-06-09 Ethicon, Inc. Surgical fasten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e
US4682675A (en) * 1985-11-25 1987-07-28 Allied Corporation Variable rate shock absorber
CA1263414A (en) * 1986-06-05 1989-11-28 Magnus Lizell Restriction valve device for hydraulic pressure fluids in vehicle shock absorbing mechanisms
DE3719113C1 (de) * 1987-06-06 1988-08-25 Boge Ag Regelbarer Schwingungsdaempf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53080T2 (de) 1995-06-14
WO1989005929A1 (en) 1989-06-29
JPH04503238A (ja) 1992-06-11
DE3853080D1 (de) 1995-03-23
EP0397702B1 (en) 1995-02-15
CA1319373C (en) 1993-06-22
KR900700791A (ko) 1990-08-17
ES2012909A6 (es) 1990-04-16
EP0397702A1 (en) 1990-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4429A (en) Variable rate shock absorber and system therefor
US5085299A (en) Shock absorber with two seat valve
US4682675A (en) Variable rate shock absorber
JP3973111B2 (ja) 減衰力可変式油圧緩衝器
US4821849A (en) Control method and means for vibration attenuating damper
CN105051404B (zh) 缓冲装置
US6860370B2 (en) Controllable damping force hydraulic shock absorber
JPH023720A (ja) ダンピング調節可能な流体圧衝撃・振動ダンパー
US5285878A (en) Cylinder including a piston with a valve control
KR960013992B1 (ko) 가변비 완충기 및 이를 위한 시스템
GB2342423A (en) A stroke dependent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suspension
JPH04312227A (ja) 振動ダンパ
GB2319321A (en) Stroke dependent damping
JPH0437294B2 (ko)
US5152379A (en) Adjustable shock absorber assembly
JPH0396730A (ja) 液圧流体用弁を包含するショックアブソーバ
GB2223822A (en) Hydraulic vibration damper with variable damping force
US4971298A (en) Hydraulic engine mount
JP4868130B2 (ja) 油圧緩衝器
KR102559735B1 (ko) 완충기
US20010002639A1 (en) Solenoid apparatus for use in hydraulic shock absorber
JP2823963B2 (ja) 油圧ダンパ
US4863002A (en) Active vehicle suspension apparatus with suspension velocity responsive actuator unloading
US4987875A (en) Fuel injection pump for supplying the combustion chamber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intended for vehicle operation
JPH09133171A (ja) 減衰力可変式油圧緩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08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312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908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6091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104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