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299B1 -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60013299B1 KR960013299B1 KR1019890012072A KR890012072A KR960013299B1 KR 960013299 B1 KR960013299 B1 KR 960013299B1 KR 1019890012072 A KR1019890012072 A KR 1019890012072A KR 890012072 A KR890012072 A KR 890012072A KR 960013299 B1 KR960013299 B1 KR 9600132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memory
- communication terminal
- identification information
- register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2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4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식별정보로서 이용되는 가입자번호와 부어드레스에 대한 개념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cept of subscriber number and boolean dress used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7도는 제5도에 도시된 동작모드 메모리에 격납된 정보내용을 나타낸 도표.FIG. 7 is a table showing the contents of information stored in the operation mode memory shown in FIG.
제8도는 제5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8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제9도는 제5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장치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9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operation exampl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된 메시지 메모리에 격납된 메시지 문서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FIG.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message docu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message memory shown in FIG.
제12도는 제10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12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4도는 제13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장치의 플래그관리루틴의 처리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FIG. 14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processing of a flag management routin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제15도와 제16도, 제17도 및 제18도는 각각 제14도에 도시된 플래그관리를 전제로 한 제13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15, 16, 17, and 18 respectively show an operation exampl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3 on the premise of flag management shown in FIG. It is a flowchar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중앙제어부 2 : 화상메모리1: central control unit 2: image memory
10 : 통신부 11 : 통신망제어부10: communication unit 11: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unit
12 : 통신제어부 20 : 콘솔부12: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 console
21 : 키보드 22 : 디스플레이21: keyboard 22: display
23 : 콘솔제어부 30 : 화상처리부23: console control unit 30: image processing unit
31 : 이미지센서 32 : 독출부31: image sensor 32: reader
33 : 독출제어부 34 : 기록헤드33: read control unit 34: recording head
35 : 기록부 36 : 기록제어부35: recording unit 36: recording control unit
42,52,62,72,82 : 식별정보레지스터 45,53,63,73,83 : 레지스터제어부42, 52, 62, 72, 82:
44,54,64,74,84 : 호출측 식별정보 메모리 45 : 전송처 식별정보 메모리44, 54, 64, 74, 84: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emory 45: transfer destin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memory
46,56,66,76,86 : 메모리제어부 76 : 메시지 메모리46,56,66,76,86: memory controller 76: message memory
86 : 타이머 87 : 셋트플래그86: timer 87: set flag
[산업상의 이용분야][Industrial use]
본 발명은 회선교환정보라던지 패킷교환정보 등의 정보전송에 이용되는 정보챈널과 통신처(通信處) 호출을 위한 호출제어에 이용되는 신호챈널을 매개해서 통신망에 접속되는 통신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호챈널을 매개해서 교환이 이루어지는가입자번호라던지 부어드레스(sub-address) 등을 식별정보로 해서 이들 정보의 적절한 식별에 기초한 효율좋은 통신처리를 실현하도록 된 통신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via an information channel used for transmission of information such as circuit switched information or packet switched information and a signal channel used for call control for calling a communication destination.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onfigured to realize efficient communication processing based on proper identification of such information using subscriber numbers, sub-addresses, and the like, which are exchanged through a signal channel.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Traditional Technology and Problems]
통신망으로서 교환정보전송용 정보챈널과 제어정보전송용 신호챈널을 분리하고, 예컨대 신호챈널을 통해 교환정보인 음성정보라던지 화상정보와 독립하여 언제라도 제어정보가 전송되도록 하거나, 또는 1개의 신호챈널을 통해 복수의 정보챈널의 제어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전화라던지 텔렉스 또는 팩시밀리 등과 같이 각각 성격이 다른 각종 서비스를 종합적이면서 효율좋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통신망의 하나로서 종래부터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이 알려져 있다.As a communication network, an information channel for exchang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a signal channel for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are separated, and for example, the control information is transmitted at any time independently of the audio information or the image information through the signal channel, or one signal channel. By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channels through, it is possible to comprehensively and efficiently perform various services, each having a different personality such as a telephone, a telex, or a facsimile. As one of such communication networks, an ISDN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has been known.
이 ISDN에서는, 상기 정보챈널은 B챈널, 상기 신호챈널은 D챈널이라고 각각 불리워지고 있다. 또, 특히 신호챈널인 D챈널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정보로서 호출측 통신단말의 식별정도 등도 병형해서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피(被) 호출측의 통신단말에 있어서는 이 D챈널을 매개해서 전송되는 호출츨 통신단말의 식별정보에 기초해서 B챈널의 전송정보(음성정보라던지 화상정보)가 어느 통신단말로부터 발생된 것인지를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정보로서는 당해 통신망으로의 가입자에 대해 미리 할당되는 가입자번호와 그 가입자번호의 부가정보로서 이들 가입자 사이에서 임의로 설정되는 부어드레스가 있다. 그중 부어드레스는 필요에 따라 상기 가입자 번호에 부가되는 정보로서, 예컨대 공통의 가입자번호가 할당된 어떤 임의의 단말군(가입자의 주택내에 설비)중에서 특정의 통신단말을 지정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 이용된다.In this ISDN, the information channel is called B channel and the signal channel is called D channel. In particular, in the D channel, which is a signal channel,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communication terminal is transmitted in parallel as the control information.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alled party, transmission information (voice information or image information) of the B channel is generated from any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ted through this D channel. You can see if it is. A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re is a subscriber number previously assigned to a subscriber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econdary address arbitrarily set between these subscribers as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number. The sub address is information added to the subscriber number as necessary, for example, used to designate a specific communication terminal in any arbitrary terminal group (equipment in the subscriber's house) to which a common subscriber number is assigned.
그런데, 이러한 ISDN에 의하면, 확실하게 상기한 각종 서비스를 종합적이면서 효율적으로 실현할 수 있고, 또 각각의 통신단말에서의 그때 그때의 착신에 대해 그 호출측이 어느 통신단말인가 등도 상기 D챈널로 전송되는 식별정보에 기초해서 착신된 측(피호출측)의 통신단말에서 인식할 수 있게 되지만, 이 ISDN에 접속되는 통신단말로서 현재 어떤 것은 상기 식별정보를 단지 호출측의 인식 또는 식별에만 이용할 뿐이고, 실제의 통신에 관한 처리 및 제어 등은 그 조작패널 등을 통해 오퍼레이터가 별도로 수행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통신망 전체로서 반드시 효율좋은 이용이 도모되고 있다고 할 수 없었다.By the way, according to such ISDN, it is possible to reliably and comprehensively implement the above-mentioned various services, and also to which D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mmunication terminal, etc. for the incoming call at each communication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D channel. It can be recognized by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alled party (calling party)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but as a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this ISDN, some currently use onl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ication or identification of the calling party. The communication and processing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was performed by the operator separately through the operation panel and the like, and therefore, it was not always possible to efficiently use the whole communication network.
예컨대, (a) 특정의 통신단말로부터 전송되어 온 교환정보를 다른 특정의 통신단말에 대해 자동전송하는 것, (b) 호출측이 어느 가입자(통신단말)인지를 피호출측 통신단말의 오퍼레이터 자신이 즉석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 (c) 통신프로토콜과는 관계없이 특정의 통신단말을 특정의 동작모드로 자동설정하는 것, (d) 피호출측의 통신단말이 통신불가능 상태에 있는 경우, 그 상태가 회피된 시점에서 호출측 통신단말에 대해 그 취지를 나타내는 어떤 메시지를 자동으로 발신하는 것, (e) 상기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임의의 착신조건을 설정하고, 이 조건의 성립유무에 기초해서 임의의 착신제어를 실행하는 것 등은, 통신단말장치로서의 가입자인터페이스의 향상을 도모하는 데다가, 더 나아가서는 통신망 전체로서의 통신효율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대단히 의의가 있는 이용형태를 실현하는 것이지만, 현재 어떤 통신단말장치에서는 이것이 어떻게 해서 상기 ISDN에 접속되어 있더라도 그 실현이 완전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For example, (a) automatically transmitting exchan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specific communication terminal to another specific communication terminal, and (b) which subscriber (communication terminal) the calling party is the operator of the called party's communication terminal itself. (B) automatically setting a specific communication terminal to a specific operation mode irrespective of the communication protocol, or (d) when the called terminal's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non-communicable state, Automatically sending a message to the calling communication terminal at the time when the condition is avoided, (e) setting an arbitrary incoming condition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existence of this condition By performing arbitrary call control, the improvement of the subscriber interface as 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is further improved, and furthermore, the communication efficiency as a whole communication network is improved. Although to achieve a use form which is very significant, present in som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has a problem, even if this is how it is connected to the ISDN that is not fully realized.
[발명의 목적][Purpose of invention]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상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특히 교환정보전송용 정보챈널과 제어정보전송용 신호챈널을 별도로 구비한 통신망에 있어서 가입자인터이스에 우수하면서 통신효율의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통신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in particular, in a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separate information channel for exchang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signal channel for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it is excellent in subscriber interface and greatly improves communication efficienc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that can contribute.
구체적으로는, 특정의 통신단말로부터 전송되어 온 교환정보를 다른 특정의 통신단말에 대해 유효하게 자동전송할 수 있고, 호출측이 어느 가입자(통신단말)인지를 피호출측 통신단말의 오퍼레이터 자신이 즉석에서 파악할 수 있으며,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통신프로토콜과는 관계없이 특정의 통신단말을 특정의 동작모드로 자동설정할 수 있고, 피호출측의 통신단말이 통신불가능 상태에 있는 경우 그 상태가 회피된 시점에서 호출측 통신단말에 대해 그 취지를 나타내는 어떤 메시지를 자동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임의의 착신조건을 설정하고 이 조건의 성립유무에 기초해서 임의의 착신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통신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exchan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pecific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effectively and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other specific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operator himself or herself of the called party's communication terminal can immediately identify which subscriber (communication terminal) the calling party i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used to automatically set a specific communication terminal to a specific operation mode irrespective of the communication protocol, and when the called terminal's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n uncommunicable state, the state is avoided. Can automatically generate any message indicating the purpose to the calling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n set any incoming condition u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erform arbitrary incoming control based on the existence of this conditi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terminal device.
[발명의 구성 및 작용][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Inven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소정의 1 내지 복수의 식별정보를 미리 메모리(제1메모리)에 등록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착신되는 식별정보에 대해서도 이것이 적절한 메모리(제2메모리)에 일시적으로 기억되도록 하고, 이들 식별정보를 대조해서 제2메모리에 일시 기억된 식별정보와 일치되는 식별정보가 제1메모리에 등록되어 있을 때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제어를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적어도 피호출측의 통신단말장치에서는 오퍼레이터에 의한 어떠한 조작도 필요로 하지 않고 소망하는 어떠한 제어가 자동적으로 실행되게 되어 통신단말장치로서의 효율좋은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predetermined one to a plurality of pieces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memory (first memory), and this is also appropriate for the incom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 And temporarily execute predetermined control wh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emporarily stored in the second memory is registered in the first memory by matching thes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each other.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on the side does not require any operation by the operator, and any desired control is automatically executed, thereby enabling efficient use as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보챈널을 매개해서 전송되는 교환정보가 일시 기억되는메모리(제3메모리)를 구비함과 더불어, 상기 제1메모리에 등록되는 식별정보에 대응해서 다른 식별정보도 미리 메모리(제4메모리)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2메모리에 일시 기억된 식별정보와 일치되는 식별정보가 제1메모리에 등록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소정의 제어로서 상기 제2메모리에 일시 기억된 식별정보에 대응해서 전송된 교환정보를 상기 제3메모리에 기억시키면서 상기 제1메모리내의 상기 일치된 식별정보에 대응해서 등록되어 있는 상기 제4메모리내의 등록식별정보를 자동으로 호출해서 그 호출된 식별정보가 속하는 통신단말장치로 이 제3메모리로의 기억정보를 자동적으로 재전송하는 제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들 메모리와 제어수단을 갖춘 당해 통신단말장치에서는 오퍼레이터에 의한 어떠한 조작도 필요로 하지 않고 소망하는 피호출측으로 착신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third memory) in which the exchange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information channel is temporarily stored, and oth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lso stored in advance in correspondence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first memory. Fourth identification), and wh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emporarily stored in the second memory is registered in the first memor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emporarily stored in the second memory under the predetermined control.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fourth memory which is registered corresponding to the match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first memory is automatically called while storing the exchange information transmit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third memory. These memories and the number of controls can be executed by allowing the belonging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to execute a control for automatically retransmitting the stored information to the third memory. The art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it is possible to send the called side information automatically without the need any manipulation by the operator to a desired called with.
또 본 발명에서는, 적절한 표시수단을 구비함과 더불어, 상기 제1메모리에 등록되는 식별정보에 대응해서 각 해당하는 가입자에 관한 사업소명이라던지 성명 등의 보조정보도 미리 메모리(제5메모리)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2메모리에 일시 기억된 식별정보와 일치되는 식별정보가 제1메모리에 등록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소정의 제어로서 상기 제1메모리내의 상기 일치된 식별정보에 대응해서 등록되어 있는 보조정보를 상기 제5메모리로부터 독출해서 그 독출된 보조정보를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제어를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당해 통신단말장치의 오퍼레이터는 어떠한 착신이 있는 경우에 즉석해서 그 호출측의 가입자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providing appropriate display means, auxiliary information such as a business name or a name for each corresponding subscriber is also stored in the memory (a fifth memory) in correspondence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first memory.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emporarily stored in the second memory is registered in the first memory, registration is performed corresponding to the match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first memory as the predetermined control. By carrying out the control of reading the auxiliary information which has been read from the fifth memory and displaying the read auxiliary information on the display means, the operato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promptly receives the subscriber of the calling party when there is any incoming call. You can check it.
또 본 발명에서는, 식별정보 특히 부어드레스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의 정보내용에 대응해서 당해 통신단말장치의 1 내지 복수의 동작모드를 나타내는 모드정보를 도표로서 미리 메모리(제6메모리)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2메모리에 일시 기억된 식별정보와 일치되는 식별정보가 제1메모리에 등록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소정의 제어로서 각 해당하는 부어드레스정보에 대응되는 모드정보를 상기 제6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그 독출된 모드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동작모드를 자동으로 실행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출측의 통신단말장치를 통해 당해 통신단말장치의 동작을 임의로 원격조정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mode information indicating one to a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an be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memory (sixth memory) in correspondence with the information content of part or all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articularly the address information. Wh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emporarily stored in the second memory is registered in the first memory, m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corresponding sub-address information is read out from the sixth memory as the predetermined control. By performing control to automatically execute the operation mode indicated by the read mode information,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an be arbitrarily remotely controlled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of the calling party.
또 본 발명에서는, 당해 통신단말장치가 통신불가능 상태에 있을 때 그 취지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제2메모리에 일시 기억된 식별정보를 별도로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제7메모리), 통신가능 상태로의 복귀를 통지하는 메시지정보가 미리 등록되는 메모리(제8메모리)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통신불가능 상태가 검출되어 있을 때 상기 제2메모리에 일시 기억된 식별정보를 상기 제7메모리로 전송해서 기억시키고, 상기 센서에 의한 통신불가능 상태의 검출이 해제될 때 상기 제7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정보를 자동으로 호출하여 그 호출된 식별정보가 속하는 통신단말장치로 상기 제8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메시지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제어를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호출측의 통신단말장치에서는 통신불가능에 대한 쓸데없는 시간을 소비하지 않고 원할하게 장치의 운용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ensor for detecting the fact th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is in an uncommunicable state, a memory (seventh memory) for separately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emporarily stored in the second memory, and a communicable state And at least a memory (eighth memory) in which message information for notifying the return of data is registered in advance, and when the uncommunicable state is detected by the sens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emporarily stored in the second memory is transferred to the seventh memory. When the detection of the uncommunicable state by the sensor is cancele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eventh memory is automatically called and registered in the eighth memory as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to which the call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belongs. By executing the control to automatically transmit the message informa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of the calling party is unnecessary for the communication impossible. Smoothly without spending liver it is able to promote the operation of the devic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보챈널을 매개해서 전송되는 교환정보에 대해 그 착신조건을 별도로 설정하기 위한 착신조건설정수단을 설치하고, 이 착신조건설정수단에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그때 그때의 착신을 허가할 것인가 또는거부할 것인가를 선택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당해 통신단말장치에서는 상기 착신조건설정수단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제어조건에 따라 자유도(自由度)가 있는 자동착신선택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ption condition setting means for separately setting the reception condition for the exchange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information channel is provided, and at that tim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condition set in the reception condition setting means is satisfied. By allowing selective selection of whether to allow or reject an incoming call,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an realize automatic incoming selection with freedom according to a control condition preset for the incoming condition setting means. Will be.
[실시예]EXAMPLE
이하, 예시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통신망으로서 상술한 ISDN망을 상정하고, 또 통신단말장치로서는 팩시밀리장치를 상정하고 있다.1 shows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ISDN network described above is assumed as a communication network for convenience, and a facsimile apparatus is assumed as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이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당해 실시예 장치의 총괄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중앙제어부(1)와, 이 중앙제어부(1)의 관리하에 필요에 따라 화상데이터가 일시 기억되는 화상메모리(2), 주로 당해 실시예 장치의 통신에 관련한 제어 및 처리를 실행하는 통신부(10), 가입자(오퍼레이터)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및 정보의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콘솔(consol)부(20), 팩시밀리장치로서 화상데이터의 독출이라던지 기록 등의 화상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부(30), 그리고 이들 각 부의 기능과 더불어 그 제1실시예 장치로서의 후술하는 데이터(화상데이터) 자동전송처리를 실현하는 제1확장부(4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하에, 이들 각 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As shown in FIG. 1,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embodiment has a
통신부(10)는, 상술한 B챈널, 및 D챈널(도시하지 않음)을 매개해서 ISDN망에 접속되는 통신망제어부(11)와, 이 통신망제어부(11)에 접속되어 그 팩시밀리장치로서의 G4모드 또는 G3모드에 의한 통신제어기능을 실현하는 통신제어부(12)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이 통신부(10)에서는 주로 상기 중앙제어부(1)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한 ISDN망으로의 호출처리, 또 ISDN망으로부터 착신이 있는 경우의 착신처리를 실행한다. 단, 착신이 있는 경우에 실제로 착신처리를 실행할 것인가, 이것을 거부할 것인가는 중앙제어부(1)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해서 결정된다.The
콘솔부(20)는, 호출조작이라던지 그 이외의 키입력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키보드(21)와, 조작안내정보라던지 그 이외의 필요정보를 가시적(可視的)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2), 키보드(21)에 의한 입력정보를 중앙제어부(1)로 전송하거나, 상기 키보드(21)에 의한 입력정보라던지 중앙제어부(1)로부터의 표시지령 정보를 디스플레이(22)를 통해 표시제어하는 콘솔제어부(23)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오퍼레이터에 의한 통상의 호출은 이 콘솔부(20)를 통해 수행[중앙제어부(1)가 그 취지를 인지해서 상기 통신부(10)를 기동시킴]되며, 또 착신이 있는 경우의 호출측의 번호 등도 그 콘솔부(20)를 통해 오퍼레이터에게 표시통지된다.The
화상처리부(30)는, CCD센서 등과 같은 이미지센서(31)를 통해 입력된 원고의 화상을 독출하는 독출부(32)와, 이 독출부(32)에 의한 화상독출동작을 소정 형식으로 제어하면서 독출된 화상을 화상신호로서 2진화하는 독출제어부(33), 써멀헤드(thermal head) 등과 같은 기록헤드(34)를 통해 각 화상신호(2진신호)에 따른 화상을 기록지에 기록하는 기록부(35), 이 기록부(35)에 대해 상기 화상신호를 공급하면서 그 기록동작을 소정 형식으로 제어하는 기록제어부(36), 상기 중앙제어부(1)로부터의 지령을 기초로 상기 독출제어부(33)로부터 전송되는 화상신호를 버퍼처리하면서 이 화상신호를 통신부[10; 통신제어부(12)]에 전송하거나, 또는 통신부[10; 통신제어부(12)]로부터 전송되는 화상신호를 버퍼처리하면서 이 화상신호를 상기 기록제어부(36)에 전송하는 등의 처리를 수행하는 화상버퍼처리부(37)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이 화상처리부(30)에서는, 팩시밀리장치로서의 주지의 화상독출 및 화상기록을 수행하게 된다.The
그리고 제1확장부(40)는, 이하에 설명하는 화상데이터 자동전송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중앙제어부(1)에 대한 처리지령이 미리 프로그램된 데이터 자동전송 프로그램 메모리(4)와, 상기 통신부(10)에 착신된 신호에 식별정보(ID)로서 상기 가입자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 식별정보가 일시 기억되는 식별정보(ID)레지스터(ID레지스터; 42), 상기 중앙제어부(1)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해서 이 ID레지스터(42)에 관한 데이터(번호)의 독출·기록제어를 수행하는 레지스터제어부(43), 식별정보(ID)로서의 상기 가입자번호에 대해 호출측(호출측의 통신단말 : 팩시밀리장치)을 특정하는 임의의 1 내지 복수의 번호가 미리 등록되는 호출측 식별정보메모리(ID메모리; 44), 상기 가입자번호에 대해 전송처 통신단말(팩시밀리장치)을 특정하는 임의의 1 내지 복수의 번호가 미리 등록되는 전송처 식별정보메모리(ID메모리; 45), 상기 중앙제어부(1)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해서 상기 ID메모리(44,45)에 관한 데이터(번호)의 독출·기록제어를 수행하는 메모리제어부(46)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호출측 ID메모리(44)에 등록되는 가입자번호는 전송하고자 하는 화상데이터의 송신측의 가입자(팩시밀리장치)의 번호로서, 또 상기 전송처 ID메모리(45)에 등록되는 가입자번호는 상기 송신되는 화상데이터의 소망하는 전송처의 가입자(팩시밀리장치)의 번호로서 각각 예컨대 디스플레이(22)상으로의 적절한 안내표시에 기초해서 키보드(21)를 통해 입력되는 것으로, 이들 가입자번호로서 각각 복수의 번호가 등록되는 경우에는 전송대상으로 되는 각각의 화상데이터에 대해 그 호출측의 가입자번호와 전송처의 가입자번호는 상기 ID메모리(44,45)내에서 동일 또는 관련된 어드레스 데이터가 이용되는 등, 서로 소정의 관계를 이루어 격납된다.The
제2도는 상기한 제1확장부(40)의 기능(주로 상기 데이터 전동전송 프로그램 메모리(41)에 등록된 프로그램)에 기초해서 이 실시예 장치의 동작에 대해 그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이하 이 제2도를 참조해서 이 실시예 장치에 의한 화상데이터 전동전송 메카니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FIG. 2 show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device of this embodiment based on the function of the
지금, ISDN망에 접속된 다른 통신단말(도시하지 않은 팩시밀리장치)에 의해 제1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 장치에 대한 발신이 수행되었다고 하면, 그 발신한 통신단말로부터는 먼저 이 제1실시예 장치를 호출하기 위한 신호(호출신호)가 ISDN망에 송출된다. 이 호출신호에는 통상 그 발신측(호출측)의 통신단말에 미리 할당된 가입자번호를 나타내는 번호가 포함되어 있다.Now, suppose that the transmission to the first embodiment device shown in FIG. 1 is performed by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not shown facsimile apparatus) connected to the ISDN network. Example A signal (call signal) for calling a device is sent to the ISDN network. This call signal usually includes a number indicating a subscriber number previously assign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alling party (calling party).
이와 같이 해서 ISDN망에 송출된 호출신호는 ISDN회선(D챈널)을 매개해서 착신신호로서 당해 제1실시예 장치의 통신망제어부(11)에 수신된다. 그리고, 통신망제어부(11)에 착신신호가 수신되면, 이 제1실시예 장치의 통신망제어부(11)에 수신된다. 그리고, 통신망제어부(11)에 착신신호가 수신되면, 이 제1실시예 장치에서는 중앙제어부(1)에 의한 착신의 인지에 기초해서(제2도 단계 101), 이하에 열거하는 형태의 처리를 개시한다.The call signal sent to the ISDN network in this way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1) 중앙제어부(1)는, 상기 통신망제어부(11)로부터의 착신보고에 기초해서 착신이 있음을 인지하면, 그 통신망제어부(11)를 통해 당해 착신신호에 상기 호출측 통신단말의 가입자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제2도 단계 102).(1) The
(2) 이 판단결과, 상기 가입자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중앙제어부(1)는 통상의 착신응답을 수행하도록 당해 제1실시예 장치를 제어한다. 즉, 이 경우 당해 착신신호에 대응해서 송신되어 온 화상데이터가 통상제어부(12)를 통해 적절하게 복조된 다음 화상버퍼처리부(37)에 전송되고, 그후 기록부(35)를 통해 기록지에 기록된다(제2도의 단계 103).(2)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scriber number is not included as a result of this determination, the
(3) 제2도의 단계 102에서의 판단결과, 당해 착신신호에 호출측의 가입자번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중앙제어부(1)는 레지스터제어부(43)를 통해 착신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가입자번호를 ID레지스터(42)에 셋트(격납)시킨다(제2도의 단계 104). 또한 이때, 전회(前回)의 착신에 의한 다른 가입자번호가 이 ID레지스터(42)에 셋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전회의 가입자번호를 새로이 착신된 번호에 의해 갱신한다. 다만, 이 ID레지스터(42)가 그때 그때의 처리가 종료될 때마다 기억내용이 클리어되는 경우에는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3) When it is determined in
(4) 중앙처리부(1)는 다음에, 호출측 ID메모리(44)에 상기 호출측을 특정하기 위한 가입자번호가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제2도의 단계 105).(4) The
(5) 이 확인결과, 상기 가입자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중앙제어부(1)는 상기 (2)항과 마찬가지로 통상의 착신응답을 수행하도록 당해 제1실시예 장치를 제어한다. 그에 따라, 당해 착신신호에 대응해서 송신되어 온 화상데이터가 통신제어부(12)를 통해 적절히 복조된 다음 화상버퍼처리부(37)에 전송되고, 그후 기록부(35)를 통해 기록지에 기록되는데(제2도의 단계 103), 이 기록동작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수행된다.(5) As a result of this confirmation, when the subscriber number is not registered, the
(6) 상기 확인(제2도의 단계 105)결과, 상기 호출측 ID메모리(44)에 상기 호출측을 특정하기 위한 가입자번호가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중앙제어부(1)는 메모리제어부(46)를 통해 상기 호출측 ID메모리(44)로부터 1개의 가입자번호를 독출해서 이 독출된 가입자번호와 상기 ID레지스터(42)에 셋트된 가입자번호를 비교대조한다(제2도의 단계 106).(6) In the case where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scriber number for specifying the calling party is registered in the calling
(7) 이 대조결과, 변화가 일치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제2도의 단계 107), 중앙제어부(1)는 상기 호출측 ID메모리(44)에 그 외에도 가입자 번호가 등록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제2도의 단계 108) 상기 (6)항의 처리(제2도의 단계 106)를 반복해서 호출측 ID메모리(44)에 등록되어 있는 가입자번호 모두가 상기 ID레지스터(42)에 셋트된 가입자번호와 일치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2)항과 마찬가지로 통상의 착신응답을 수행하도록 당해 실시예 장치를 제어한다(제2도의 단계 103).(7) In the case where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nge does not match (
(8) 상기 대조(제2도의 단계 106)결과, 번호가 일치된다고 판단된 경우(제2도의 단계 107), 중앙제어부(1)는 착신응답을 수행한 다음 통신망제어부(11)와 통신제어부(12)를 매개해서 입력되는 당해 화상데이터를 화상메모리(2)에 격납하도록 제어한다(제2도의 단계 109).(8) When the result of the check (
(9) 입력 화상데이터를 화상메모리(2)에 격납수신한 경우, 즉 상기 일치되는 가입자번호가 호출측 ID메모리(44)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중아제어부(1)는 이 일치되는 가입자번호에 대응해서 상기 전송처 ID메모리(45)에 등록되어 있는 가입자번호를 메모리제어부(46)를 통해 독출해서 이 독출된 가입자번호(소망하는 전송처의 가입자번호)를 통신제어부(12)와 통신망제어부(11)를 통해 호출한다(제2도의 단계 110).(9) When the input image data is stored and received in the
(10) 이 호출처리에 의해 상대방(호출처, 착신측) 통신단말(팩시밀리장치)과 정보교환이 가능한 상태로 되면, 중앙제어부(1)는 최후로 상기 화상메모리(2)에 격납된 화상데이타를 새로이 통신상태로 된 상대방 통신단말에 대해 전송한다(제2도의 단계 111). 물론 이러한 데이터전송도 통신부(10)를 구성하는 상기 통신제어부(12)와 통신망제어부(11)를 통해 이루어진다.(10) When the call processing enables information exchange with the other party (call originator, called party) communication terminal (facsimile apparatus), the
이 제1실시예 장치에 의한 이상의 처리에 의해, 제1실시예 장치를 중계용 단말로 한 특정 통신단말 사이에서의 화상데이터 자동전송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호출측 ID메모리(44)와 전송처 ID메모리(45)에 대해 미리 임의의 번호를 등록해 놓으면, 이후 이 실시예 장치에 있어서는 오퍼레이터가 부재중이더라도 이들 등록된 번호의 통신단말(팩시밀리장치) 사이에서는 양호하게 화상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이들 통신단말을 보다 유연성 좋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By the above processing by the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realize automatic transmission of image data between specific communication terminals using the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as a relay terminal. That is, if an arbitrary number is registered in advance to the
또한, 이 제1실시예 장치에 있어서 상기 (9)항의 호출처리와 상기 (10)항의 데이터전송처리는 상기 화상 데이터의 수신중에 그 화상데이터를 화상메모리(2)에 격납시키면서 비어 있는 정보챈널(B챈널)을 이용하여 병행해서 실행하도록 해도 좋고, 착신응답한 상대방(호출측 통신단말)과의 통신이 종료된 다음 별도로 개시하도록 해도 좋다.Further, in the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the call processing of (9) and the data transfer processing of (10) above are performed while the image data is stored in the
또, 상기의 예에서는 호출측 ID메모리(44)와 전송처 ID메모리(45)에 각각 복수의 가입자번호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제2도에 나타낸 단계 106과 단계 107 및 단계 108의 처리를 통해 이들 가입자번호를 1개씩 읽어들여 비교대조하도록 했지만, 중요한 것은 이들 등록되어 있는 모든 가입자번호에 대한 대조가 실행되기만 하면 좋고, 메모리제어부(46)를 통해 이들 가입자번호를 읽어들이는 제어의 방식은 하등 상기의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이 비교대조처리에 있어서는, 등록되어 있는 모든 가입자번호를 중앙제어부(1)에 내장된 레지스터(도시하지 않음)에 동시에 모아서 읽어들이도록 해도 물론 좋다.In the above example, when a plurality of subscriber numbers are registered in the calling
더욱이, 상기의 예에서는 통신단말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정보(ID)로서 가입자번호만을 이용했지만, 이러한 통신망에 있어서는 착신시에 호출측의 가입자번호와 함께 상기 부어드레스가 전송되어 오는 것도 있기 때문에, 이 부어드레스를 상기 통신단말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정보(ID)로서 전극적으로 이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이 경우, ID레지스터(42)에는 착신되는 가입자번호에 병행해서 이 부어드레스도 일시 저장하도록 함과 더불어 호출측 ID메모리(44)에도 호출측 통신단말을 특정하는 가입자번호에 병행해서 임의의 서브어드레스를 미리 등록해 놓도록 하고, 착신이 있을 때에는 이들 가입자번호와 부어드레스의 양쪽이 일치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술한 데이터 자동전송처리가 실행되도록 한다. 또한, 전송처 ID메모리(45)에 등록하는 식별정보(ID)로서는 가입자번호 뿐이어도 좋고, 부어드레스가 부가된 것이어도 좋지만, 적어도 이 부어드레스를 부가하도록 하면, 소망의 데이터전송처 통신단말을 보다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게 된다.Moreover, in the above example, only the subscriber number is used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for specify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However, in suc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subaddress is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subscriber number of the calling party.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secondary address as an electrode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for specify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in this case, the
또, 부어드레스를 부가하는 경우이든 부가하지 않는 경우이든 상기 호출측 ID메모리(44)와 전송처 ID메모리(45)에 각각 대응해서 등록되는 식별정보(ID; 가입자번호)의 수는 [1 : 복수] 또는 [복수 : 1]이라는 관계로 등록되어도 좋다. 이 경우, *『호출측=1』에 대해 『전송처=복수』라는 관계로 이들 식별정보(ID)가 등록설정되는 경우에는, 1개의 호출측 통신단말로부터 전송된 화상데이터가 동시에 또는 시경열적(詩經列的)으로 복수의 소망하는 전송처 통신단말에 전송되고, 또 *『호출측=복수』에 대해 『전송처=1』이라는 관계로 이들 식별정보(ID)가 등록설정되는 경우에는, 1개의 호출측 통신단말로부터 각각 별도로 전송된 화상데이터가 그때 그때 1개의 소망하는 전송처 통신단말에 대해 전송되게 된다.The number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subscriber number) registe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calling
그런데, 상기의 예에서는이들 호출측 ID메모리(44)와 전송처 ID메모리(45)가 모두 이 제1실시예 장치로서 상정하는 팩시밀리장치의 내장 메모리라는 전제를 토대로 설명했지만, 제1도에 점선으로 부가한 바와 같이 이들 호출측 ID메모리(44)와 전송처 ID메모리(45)의 한쪽 또는 양쪽은 IC카드 등과 같이 그 팩시밀리장치 본체에 대해 자유로이 접속·분리시킬 수 있는 외부메모리라도 좋다. 이러한 외부메모리라면, 상기 데이터 전송에 관한 호출측과 전송처의 정보를 자유로이 운반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간단한 IC카드기록 장치만 있으면 장소에 관계없이 이들 정보의 기록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통신단말로서 유연성이 더욱 좋은 이용을 도모할 수 있는 점에서도 이들 메모리를 적극적으로 외부메모리화하는 의의는 자못 크다고 할 수 있다.Incidentally, in the above example, the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 제2실시예에서도, 편의상 통신망으로서 상술한 ISDN망을 상정하고, 또 통신단말장치로서 팩시밀리장치를 상정하고 있다.3 shows 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 this second embodiment, the ISDN network described above is assumed as a communication network for convenience, and a facsimile apparatus is assumed as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이 제2실시예 장치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는 당해 실시예 장치의 총괄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제어부(1)와, 이 중앙제어부(1)의 관리하에 필요에 따라 화상데이터가 일시 기억되는 화상메모리(2), 주로 당해 실시예 장치의 통신에 관련한 제어 및 처리를 실행하는 통신부(10), 가입자(오퍼레이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및 정보의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콘솔부(20), 팩시밀리장치로서 화상데이터의 독출이라던지 기록 등의 화상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부(30), 그리고 이들 각 부의 기능과 더불어 이 제2실시예 장치로서의 후술하는 보조정보표시처리를 실현하는 제2확장부(5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중 상기 제2확장부(50) 이외의 부분은 상기 제1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 장치와 공통되는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주로 제2확장부(50)의 구성과 기능을 설명한다.As shown in FIG. 3, this second embodiment apparatus has a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확장부(50)는 이하에 설명하는 보조정보 표시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중앙제어부(1)에 대한 처리지령이 미리 프로그램된 보조정보표시 프로그램 메모리(51)와, 통신부(10)에 착신된 신호에 식별정보(ID)로서 상기 가입자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 식별정보(ID)가 일시 기억되는 ID레지스터(52), 중앙제어부(1)로부터의 지령에 기초새서 이 ID레지스터(52)에 관한 데이터(번호)의 독출·기록제어를 수행하는 레지스터제어부(53), 식별정보(ID)로서의 상기 가입자번호에 대해 호출측(호출측의 통신단말 : 팩시밀리장치)을 특정하는 임의의 1 내지 복수의 번호가 미리 등록되는 호출측 ID메모리(54), 상기 가입자번호에 대응해서 그 가입자의 사업소명, 성명 등과 같은 고유명사정보라던지 동 가입자에 관한 메모 등을 포함하는 문서정보 등으로 이루어진 보조정보가 미리 등록되는 보조정보 메모리(55) 및, 상기 중앙제어부(1)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해서 이들 메모리(54,55)에 관한 데이터의 독출·기록을 제어하는 메모리제어부(56)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여기서, 상기 호출측 ID메모리(54)에 등록된 가입자번호는 상기 보호정보에 대해 그 내용을 자동 표시하고자 하는 송신측 가입자의 번호로서, 또 상기 보조정보 메모리(55)에 등록된 보조정보는 그 구체적인 문자정보로서 각각 예컨대 디스플레이(22)로의 적절한 안내표시에 기초해서 키보드(21)를 통해 입력되는 것으로, 이들 가입자번호와 보조정보로서 각각 복수의 데이터(정보)가 등록되는 경우 등록대상으로 되는 각각의 가입자에 대해 상기 메모리(54,55)내에서 동일 또는 관련된 어드레스가 이용되는 등 서로 소정의 관계를 이루어 격납된다.Here, the subscriber number registered in the calling
제4도는 이러한 제2확장부(50)의 기능[주로 상기 보조정보표시 프로그램메모리(51)에 등록된 프로그램]에 기초한 제2실시예 장치의 동작에 대해 그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이하 이 제4도를 참조해서 당해 제2실시예 장치에 의한 보조정보자동표시 메카니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FIG. 4 show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device of the second embodiment based on the function of the second expansion unit 50 (mainly a program registered in the auxiliary information display program memory 51). With reference to Fig. 2, the auxiliary information automatic display mechanism by the second embodiment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지금 ISDN망에 접속된 다른 통신단말(도시하지 않는 팩시밀리장치에 의해 제3도에 도시된 제2실시예 장치에 대한 발신이 수행되었다고 하면, 그 발신한 통신단말로부터는 먼저 제2실시예 장치를 호출하기 위한 신호(호출신호)가 ISDN망에 송출된다. 이 호출신호에는 통상 그 발신측(호출측)의 통신단말에 미리 할당된 가입자번호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If transmission is performed to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facsimile apparatus not shown) of the second embodiment device connected to the ISDN network at this time,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is first used from the originating communication terminal. A signal for calling (calling signal) is sent to the ISDN network, which usually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a subscriber number previously assign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alling party (calling party).
이렇게 하여 ISDN망에 송출된 호출신호는 ISDN회선(D챈널)을 매개해서 착신신호로서 당해 실시예 장치에서의 통신망제어부(11)에 수신되고, 이 통신망제어부(11)에 착신신호가 수신되면 이 제2실시예 장치에서는 중앙제어부(1)에 의한 이 착신의 인지에 기초해서(제4도 단계 201), 이하에 열거하는 형식의 처리를 개시한다.The call signal transmitted to the ISDN network in this way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1) 중앙제어부(1)는, 상기 통신망제어부(11)로부터의 착신보고에 기초해서 착신이 있음을 인지하면, 그 통신망제어부(11)를 통해 당해 착신신호에 상기 호출측 통신단말의 가입자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제4도의 단계 202).(1) The
(2) 이 판단결과, 상기 가입자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중앙제어부(1)는 착신처리로서 통상의 착신통지를 수행하도록 당해 실시예 장치를 제어한다. (제4도의 단계 203).(2) As a result of this determination, when the subscriber number is not included, the
(3) 상기 판단(제4도의 단계 202)결과, 당해 착신신호에 호출측의 가입자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중앙제어부(1)는 레지스터제어부(53)를 통해 착신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가입자번호를 ID레지스터(52)에 셋트(격납)시킨다(제4도의 단계 204). 이때, 전회의 착신에 의한 다른 가입자번호가 상기 ID레지스터(52)에 셋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것을 새로이 착신된 번호에 의해 갱신한다. 다만, 이 ID레지스터(52)가 그때 그때의 처리가 종료될때 마다 기억내용이 클리어되는 경우에는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3)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step 202 of FIG. 4), when the incoming signal includes the subscriber number of the calling party, the
(4) 중앙처리부(1)는 다음에, 호출측 ID메모리(54)에 상기 호출측을 특정하기 위한 가입자번호가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제4도의 단계 205).(4) The
(5) 이 확인결과, 상기 가입자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는 경우, 중앙제어부(1)는 상기 착신된 가입자번호 즉 ID레지스터(52)에 셋트된 가입자번호를 콘솔제어부(23)를 통해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하고(제4도의 단계 206), 그후 상기 (2)항과 마찬가지로 착신처리로서 통상의 착신통지를 수행하도록 당해 실시예 장치를 제어한다.(제4도의 단계 203).(5) As a result of this confirmation, if the subscriber number is not registered, the
(6) 상기 확인(제4도의 단계 205)결과, 상기 호출측 ID메모리(54)에 상기 호출측을 특정하기 위한 가입자번호가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중앙제어부(1)는 메모리제어부(56)를 통해 상기 호출측 ID메모리(54)로부터 그중의 하나를 독출해서 이 독출된 가입자번호와 상기 ID메모리(52)에 셋트된 가입자번호를 비교대조한다(제4도의 단계 207).(6) In the case where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scriber number for specifying the calling party is registered in the calling
(7) 이 대조결과, 번호가 일치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제4도의 단계 208), 중앙제어부(1)는 상기 호출측 ID메모리(54)에 그 외에도 가입자번호가 등록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제4도의 단계 209) 상기 (6)항의 처리(제4도의 단계 207)를 반복해서 호출측 ID메모리(54)에 등록되어 있는 가입자번호 모두가 상기 ID레지스터(52)에 셋트된 가입자번호와 일치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5)항과 마찬가지로 ID레지스터(52)에 셋트된 가입자번호를 콘솔제어부(23)를 통해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하고(제4도의 단계 206), 그후 착신처리로서 착신통지를 수행하도록 당해 실시예 장치를 제어한다(제4도의 단계 203).(7)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umbers do not match (
(8) 상기 대조(제4도의 단계 207)결과, 번호가 일치된다고 판단된 경우(제4도의 단계 208), 중앙제어부(1)는 그 일치되는 가입자번호에 대응해서 상기 보조정보메모리(55)에 등록되어 있는 당해 가입자의 보조정보를 메모리제어부(56)를 통해 독출해서 이 독출된 보조정보를 콘솔제어부(23)를 통해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제4도의 단계 206). 그리고 그후는, 상기 (5)항과 마찬가지로 ID레지스터(52)에 셋트된 가입자 번호도 콘솔제어부(23)를 통해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하고(제4도의 단계 206), 이어 착신처리로서의 착신통지를 수행하도록 당해 실시예 장치를 제어한다(제4도의 단계 203).(8) When the result of the check (
이 제2실시예 장치에 의한 처리에 의해, 호출측 가입자의 사업소명이라던지 성명 또는 그 가입자에 관한 메모 등이 착신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22)상에 표시되게 된다. 따라서, 교환정보의 착신후 즉 통신상태로 들어가 비로소 그 상대방을 확인할 수 있었던 이제까지의 불편한 점이 양호하게 해소되어 착신처리에 관한 보다 원활한 운용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By the processing by the apparatus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business name of the calling party subscriber, the name or a memo about the subscriber is automatically displayed on the
또한, 이 제2실시예에 장치에 있어서도,Also in the apparatus in the second embodiment,
호출측 ID메모리(54)에 등록되어 있는 모든 가입자번호에 대한 대조가 실행되지만 하면 좋고, 메모리제어부(56)를 통해 이들 가입자번호를 읽어들이는 제어의 방식은 상기한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 It is only necessary to perform a check against all subscriber numbers registered in the calling
상기 부어드레스를 상기 호출측 통신단말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정보로서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는 것, The sub-dress may be actively used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call side communication terminal,
호출측 ID메모리(54)와 보조정보메모리(55)의 한쪽 또는 양쪽이 IC 카드 등과 같이 그 통신단말장치(팩시밀리장치) 본체에 대해 자유로이 접속·분리시킬 수 있는 외부메모리라도 좋다는 것 등는 상기 제1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 장치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One or both of the calling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 제3실시예에서도, 편의상 통신망으로서 상술한 ISDN망을 상정하고, 또 통신단말장치로서는 팩시밀리장치를 상정하고 있다.5 shows 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 this third embodiment, the ISDN network described above is assumed as a communication network for convenience, and a facsimile apparatus is assumed as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이 제3실시예 장치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는 당해 실시예 장치의 총괄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제어부(1)와, 이 중앙제어부(1)의 관리하에 필요에 따라 화상데이터가 일시 기억되는 화상메모리(2), 주로 당해 실시예 장치의 통신에 관련한 제어 및 관리를 실행하는 통신부(10), 가입자(오퍼레이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및 정보의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콘솔부(20), 팩시밀리장치로서 화상데이터의 독출이라던지 기록 등의 화상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부(30), 그리고 이들 각 부의 기능과 더불어 당해 실시예장치로서 기록 등의 화상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부(30), 그리고 이들 각 부의 기능과 더불어 당해 실시예장치로서의 후술하는 동작모드 자동선택처리를 실현하는 제3확장부(6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중 상기 제3확장부(60) 이외의 부분은 상기 제1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 장치 또는 제3도에 도시된 제2실시예 장치와 공통되는 것이므로, 이하에는 주로 제3확장부(60)에 대한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As shown in FIG. 5, this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has a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확장부(60)는 이하에 설명하는 동작모드 자동선택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중앙제어부(1)에 대한 처리지령이 미리 프로그램된 모드자동선택 프로그램 메모리(61)와, 통신부(10)에 착신된 신호에 식별정보로서의 상기 가입자번호 또는 가입자번호와 그 부어드레스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것이 일시 기억되는 ID레지스터(62), 상기 중앙제어부(1)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해서 이 ID레지스터(62)에 관한 데이터(가입자번호)의 독출·기록을 제어하는 레지스터제어부(63), 식별정보로서의 상기 가입자번호와 그 부어드레스에 대해 호출측 통신단말을 특정하면서(가입자번호) 통신단말자신과 그 선택되는 동작모드를 특정하는 (부어드레스) 임의의 1내지 복수의 정보가 미리 등록되는 호출측 ID메모리(64), 상기 부어드레스(이 실시예에서는 그 일부)에 대응해서 통신단말자신(당해 실시예 장치)에 있어서 각각 선택될 수 있는 동작모드를 나타내는 정보가 미리 등록되는 동작모드메모리(65), 상기중앙제어부(1)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해서 이들 메모리(64,65)에 관한 데이터의 독출·기록을 제어하는 메모리제어부(66)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third expansion unit 60 includes a mode automatic
여기서, 이 제3실시예에 있어서 처리되는 가입자번호와 그 부가정보인 부어드레스의 관계 및 부어드레스와 상기 동작모드의 관계에 대해 각각 제6도와 제7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scriber number to be processed in this third embodiment and the sub address which is the additional inform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 address and the operation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nd FIG. 7, respectively.
먼저, 제6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번호는 당해 통신망으로의 가입자에 대해 미리 할당된 소정길이의 식별정보이다. 즉, 이 가입자번호는 그 내용을 가입자가 자유로이 변경시킬 수 있는 성질의 것은 아니다.First, as shown in FIG. 6 (a), the subscriber number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length allocated in advance for the subscriber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In other words, this subscriber number is not of a nature that the subscriber can freely change its contents.
이에 대해 부어드레스는 상기 통신망으로의 가입자 사이에서 자유로이 취사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는 식별정보로서, 통상은 동일 가입자번호가 할당된 복수의 통신단말이 있을 때 가입자번호만으로는 특정할 수 없는 이들 통신단말중 어느 하나를 더 특정하는 소위 「단말식별정보」로서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On the other hand, the peer address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can be freely selected and set among subscribers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In general,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terminals assigned the same subscriber number, any one of these communication terminals cannot be specified only by the subscriber number. It is often used as so-call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specifying one more.
그래서 이 제3실시예에서는, 부어드레스의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부어드레스를 예컨대 제6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기능식별정보」와, 상기 통신단말을 지정하기 위한 「단말식별정보」로 나누고, 특히 전자의 「기능식별정보」를 통해 그 지정하는 동작모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us, in this third embodiment, by using this property of the sub dress, the func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sub dress, for example, the operation mode as shown in Fig. 6B,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are specified. For example, th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mode specified by the former "functi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identified.
제7도는 이러한 「기능식별정보」와 그 지정하는 동작모드의 관계에 대해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이 예에서는 「기능식별정보=01」이 동작모드로서 소위「중계동보(中繼同報)」를 지정하고, 「기능식별정보=02」가 동작모드로서 소위 「원격다중복사」를 지정하는… 등의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즉, 이 제3실시예에 장치는 부어드레스중 「기능식별정보」에 의해 그 동작모드가 지정된 경우, 이 지정된 동작모드를 식별해서 해당하는 동작모드가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다.FIG. 7 shows an exampl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uch "functi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ts designated operation mode. In this example, "functi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 01" is referred to as "modern broadcast" as an operation mode. To specify so-called "remote multiple copy" as the operation mode. The case of these is shown. That is, in this third embodiment, when the operation mode is designated by "functi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sub-dresses, the apparatus identifies the designated operation mode so that the corresponding operation mode is automatically executed.
또한, 호출측 ID메모리(64)에 등록되는 가입자번호와 그 부어드레스는, 당해 실시예 장치의 이러한 동작모드로의 이행을 지정할 수 있는 통신단말과, 통신단말자신(당해 실시에 장치) 및, 이 실시예 장치에 있어서 자동실행할 수 있는 동작모드를 각각 특정하는 번호정보로서 예컨대 제6도(a)와 제6도(b)에 나타낸 형식으로, 또 동작모드메모리(65)에 등록되는 동작모드정보는 부어드레스의 상기 「기능식별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동작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예컨대 제7도에 나타낸 형식으로 각각 예컨대 디스플레이(22)로의 적절한 안니표시에 기초해서 키보드(21)를 통해 입력되는 것으로, 이들 식별정보와 동작모드정보로서 각각 복수의 정보가 등록되는 경우에는, 등록대상으로 되는 가입자라던지 동작모드에 대해 그 식별정보(ID; 가입자번호와 부어드레스)와 동작모드정보로는 상기 메모리(54,55)내에서 동일 또는 관련된 어드레스데이터가 이용되는 등 서로 소정의 관계를 이루어 격납된다.In addition, the subscriber number registered in the
제8도는 이러한 제3확장부(60)의 기능[주로 상기 모드자동선택 프로그램메모리(61)에 등록된 프로그램]에 기초한 당해 실시예 장치의 동작에 대해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이하 제8도를 참조해서 이 제3실시예 장치에 의한 동작모드 자동선택 메카니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FIG. 8 show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of the embodiment based on the function of the third expansion unit 60 (mainly a program registered in the mode automatic selection program memory 61). See FIG. 8 below. The operation mode automatic selection mechanism by the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지금, ISDN망에 접속된 다른 통신단말(도시하지 않은 팩시밀리장치)에 의해 제5도에 도시된 제3실시예 장치에 대한 발신이 수행되었다고 하면, 그 발신한 통신단말로부터는 먼저 이 제3실시예 장치를 호출하기 위한 신호(호출신호)가 ISDN망에 송출된다. 이 호출신호에는 통상 그 발신측(호출측)의 통신단말에 미리 할당된 가입자정보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그 부가정보로서의 부어드레스가 포함되어 있다.Now, if the transmission to the third embodiment device shown in Fig. 5 is performed by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not shown facsimile apparatus) connected to the ISDN network, the third communication is first performed from the originating communication terminal. Example A signal (call signal) for calling a device is sent to the ISDN network. This call signal usually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subscriber information pre-assign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alling party (calling party) or a secondary address as its additional information.
이렇게 하여 ISDN망에 송출된 호출신호는 ISDN회선(D챈널)을 매개해서 착신신호로서 당해 실시예 장치에서의 통신망제어부(11)에 수신되고, 이 통신망제어부(11)에 착신신호가 수신되면 이 제3실시예에 장치에서는 중앙제어부(1)에 의한 이 착신의 인지에 기초해서(제8도의 단게 301), 이하에 열거하는 형태의 처리를 개시한다.The call signal transmitted to the ISDN network in this way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1) 중앙제어부(1)는, 상기 통신망제어부(11)로부터의 착신보고에 기초해서 착신이 있음을 인지하면, 상기 통신망제어부(11)를 통해 당해 착신신호에 상기 호출측 통신단말의 가입자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제8도의 단계 302).(1) When the
(2) 이 판단결과, 상기 가입자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중앙제어부(1)는 통상의 착신처리를 수행하도록 당해 실시예 장치를 제어한다(제8도의 단계 303). 이 경우의 제어조건의 설정은 임의이고, 후술하는 착신거부처리(제8도의 단계 309)가 선택되도록 해도 물론 좋다.(2) As a result of this determination, when the subscriber number is not included, the
(3) 상기 판단(제8도의 단계 302)결과, 당해 착신신호에 호출측의 가입자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중앙제어부(1)는 레지스터제어부(63)를 통해 착신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가입자번호를 ID레지스터(62)에 셋트(격납)시킨다(제8도의 단계 304). 또한 이때, 전회의 착신에 의한 다른 가입자번호가 이 ID레지스터(62)에 셋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전회의 가입자번호를 새로이 착신된 번호에 의해 갱신한다. 다만 이 ID레지스터(62)가 그때 그때의 처리가 종료될때마다 기억내용이 클리어되는 경우에는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 또, 상기 착신된 가입자번호에 부어드레스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부어드레스도 병행해서 ID레지스터(62)에 셋트시킨다.(3)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
(4) 중앙제어부(1)는 다음에, 호출측 ID메모리(64)에 상기 호출측을 특정하기 위한 가입자번호가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제8도의 단계 305).(4) The
(5) 이 확인결과, 상기 가입자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중앙제어부(1)는 상기 (2)항과 마찬가지로 통상의 착신처리를 수행하도록 당해 실시예 장치를 제어한다(제8도의 단계 303).(5)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scriber number is not registered as a result of this confirmation, the
(6) 상기 확인(제8도의 단계 305)결과, 상기 호출측 ID메모리(64)에 상기 호출측을 특정하기 위한 가입자번호가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중앙제어부(1)는 메모리제어부(66)를 통해 상기 호출측 ID메모리(64)로부터 그중의 하나를 독출해서 이 독출된 가입자번호와 상기 ID레지스터(62)에 셋트된 가입자번호를 비교대조한다(제8도의 단계 306).(6)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scriber number for specifying the calling party is registered in the calling
(7) 이 대조의 결과, 가입자번호가 일치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제8도의 단계 307), 중앙제어부(1)는 상기 호출측 ID메모리(64)에 그 외에도 가입자번호가 등록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제8도의 단계 308) 상기 (6)항의 처리(제8도의 단계 306)를 반복해서 호출측 ID메모리(64)에 등록되어 있는 가입자번호 모두가 상기 ID레지스터(62)에 셋트된 가입자번호와 일치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당해 착신정보의 착신을 거부하는 착신거부처리를 수행하도록 당해 실시예 장치를 제어한다(제8도의 단계 309).(7) As a result of this check,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scriber numbers do not match (
(8) 상기 대조(제8도의 단계 306)결과, 번호가 일치된다고 판단된 경우(제8도의 단계 307), 중앙제어부(1)는 상기 ID레지스터(62)의 내용을 참조해서 당해 가입자번호에 부어드레스가 부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제8도의 단계 310).(8)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umbers match (
(9) 이 확인경과, 부어드레스가 부가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중앙제어부(1)는 상기 (2)항 또는 (5)항과 마찬가지로 통상의 착신처리를 수행하도록 당해 실시예 장치를 제어한다(제8도의 단계 303).(9)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is confirmation pass and no additional address are added, the
(10) 상기 확인(제8도의 단계 310)결과, 부어드레스가 부가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중앙제어부(1)는 상기 일치되는 가입자번호에 대응해서 상기 호출측 ID메모리(64)에 등록되어 있는 부어드레스를 메모리제어부(66)를 통해 독출해서 이 독출된 부어드레스와 상기 ID레지스터(62)에 셋트되어 있는 부어드레스가 일치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제8도의 단계 311).(1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 dress is added as a result of the checking (
(11) 이 확인결과, 부어드레스가 일치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중앙 제어부(1)는 상기 (7)항과 마찬가지로 착신거부처리를 수행하도록 당해 실시예 장치를 제어한다(제8도의 단계 309).(1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ur dress is not matched as a result of this check, the
(12) 상기 확인(제8도의 단계 311)결과, 부어드레스가 일치된다고 판단된 경우, 중앙제어부(1)는 먼저 소정의 전송제어수순에 따른 착신처리를 수행하고(제8도의 단계 312), 상기 일치되는 부어드레스의 「기능식별정보」에 대응해서 상기 동작모드메모리(65)에 등록되어 있는 동작모드정보를 메모리제어부(66)를 통해 독출해서 이 독출된 동작모드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동작모드로 자동 이행하도록 당해 실시예 장치를 제어한다(제8도의 단계 313).(12) In the case where the result of the check (step 311 of FIG. 8) determines that the pour dress is matched, the
이 제3실시예 장치에 의한 이상의 처리에 의해, 상기 제3실시예 장치를 제어대상단말 또는 중계단말로한 특정의 통신단말[호출측 ID메모리(64)에 등록된 통신단말]에 의한 원격제어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By the above processing by the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remote control by a specific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terminal registered in the calling side ID memory 64) in which the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is the control target terminal or the relay terminal. Can be realized.
즉, 상기의 호출측 ID메모리(64)와 동작모드메모리(65)에 대해 미리 임의의 번호와 정보를 등록해 놓으면, 이후 이 실시예 장치에 있어서는 오퍼레이터가 부재중이더라도 이들 등록된 번호의 통신단말에 의해 이들 등록된 동작모드에서의 처리가 전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이들 통신단말의 유연성이 더욱 좋으면서 효율좋은 이용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 이러한 원격제어는 통신프로토콜과는 관계없이 실행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통신프로토콜의 사용수준이 다른 이종 메이커간의 통신단말장치에 대해서도 이 실시예에 따른 동작모드 자동선택처리를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다.That is, if an arbitrary number and information are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또한, 제8도에 동작예를 나타낸 상기의 제3실시예에서는, 그 단계 311[상기(10)항의 처리]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부어드레스까지 일치되는 조건에서 상기 동작모드 자동선택처리가 실행되도록 했지만, 그 외에 예컨대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입자번호가 일치된 조건에서(제9도의 단계 307) 착신신호에 부어드레스가 있기만 하면(제9도의 단계 310), 소정의 전송제어수순에 따른 착신처리를 수행하고(제9도의 단계 312), 이어 상기 부어드레스의「기능식별정보」에 대응된 동작모드정보가 상기 동작모드메모리(65)에 등록되어 있으면 이 등록되어 있는 동작모드정보를 메모리제어부(66)를 통해 독출해서 이 독출된 동작모드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동작모드로 자동이행하도록(제9도의 단계 314)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8, the operation mode automatic selection process is executed under the conditions that match up to the boodress as shown in step 311 (process in (10) abov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for example, as long as the incoming signal has a pour address (step 310 in FIG. 9)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subscriber number is matched (
또, 이 제3실시예 장치에 있어서도,Also in the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호출측 ID메모리(64)에 등록되어 있는 모든 가입자번호에 대한 대조가 실행되기만 하면 좋고, 메모리제어부(66)를 통해 이들 가입자번호를 읽어들이는 제어의 방식은 상기의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 It is only necessary to perform a check against all subscriber numbers registered in the calling
호출측 ID메모리(64)와 동작모드메모리(65)의 한쪽 또는 양쪽은 IC카드 등과 같이 그 통신단말장치(팩시밀리장치)본체에 대해 자유로이 접속·분리시킬 수 있는 외부메모리라도 좋다는 것 등은 앞의 실시예 장치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One or both of the calling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에 장치에 따른 통신단말장치의 구성를 나타낸 것이다. 이 제4실시예에서도, 편의상 통신망으로서 상기한 ISDN망을 상정하고, 또 통신단말장치로서 팩시밀리장치를 상정하고 있다.10 shows a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device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 this fourth embodiment, the ISDN network is assumed as a communication network for convenience, and a facsimile apparatus is assumed as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이 제4실시예 장치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는 당해 실시예 장치의 총괄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제어(1)와, 이 중앙제어부(1)의 관리하에 필요에 따라 화상데이타가 일시 기억되는 화상메모리(2), 주로 당해 실시에 장치의 통신에 관한 제어 및 처리를 실행하는 통신부(10), 가입자(오퍼레이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및 정보의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콘솔부(20), 팩시밀리장치로서 화상데이터의 독출이라던지 기록 등의 화상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부(30), 그리고 이들 각 부의 기능과 더불어 당해 실시예 장치로서의 후술하는 복귀메시지전송처리를 실현하는 제4확장부(7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중 상기 제4확장부(70) 이외의 부분은 앞에 나타낸 각 실시예 장치와 공통되는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주로 이 제4확장부(70)의 구성과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As shown in FIG. 10, this fourth embodiment apparatus has a central control (1) which performs overall control of the embodiment apparatus as large as possible, and image data is managed as necessary under the management of the central control unit (1). An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확장부(70)는 이하에 설명하는 복귀메시지전송처리를 위한 중앙제어부(1)에 대한 처리지령이 미리 프로그램된 복귀메시지전송 프로그램 메모리(71)와, 상기 통신부(10)에 착신된 신호에 식별신호(ID)로서 상기 가입자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 식별번호(ID)가 일시 기억되는 ID레지스터(72), 중앙제어부(1)로부터 지령에 기초해서 이 ID레지스트(72)에 관한 데이터(번호)의 독출·기록제어를 수행하는 레지스터제어부(73), 당해 실시예 장치가 통신불가능상태에 있을때에 착신된 식별정보 즉 상기 ID레지스터(72)에 일시 기억된 가입자번호[식별정보(ID)가 일시적으로 등록격납되는 호출측 ID메모리(74), 상기 중앙제어부(1)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해서 상기 호출측 ID메모리(74)에 관한 데이터의 독출·기록제어를 수행하는 메모리제어부(75), 예컨대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내용의 복귀메시지를 나타내는 문서정보가 미리 격납된 메시지 메모리(76) 및, 상기 기록부(35)에 배설되어 기록지가 전부 소비되었는지의 여부를 항상 검출하는 기록지센서(7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또한, 상기 제11도에 도시된 복귀메시지에 있어서 그 기재사항은 예컨대 디스플레이(22)로의 적절한 안내표시에 기초해서 키보드(21)를 통해 입력되고, 또 특히 시각에 관한 기재항목은 그 전송시에 중앙제어부(1; 통상 시계가 내장되어 있음)를 통해 자동적으로 기입된다.In addition, in the return message shown in FIG. 11, the description is input through the
제12도는 이러한 제4확장부(70)의 기능[주로 상기 복귀메시지전송 프로그램 메모리(71)에 등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기초한 당해 실시예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하 이 제12도를 참조해서 제4실시예 장치에 의한 복귀메시지전송 메카니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FIG. 12 show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based on the function of the fourth expansion unit 70 (mainly a program registered in the return message transmission program memory 71). See FIG. 12 below. The return message transmission mechanism by the fourth embodiment apparatus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지금, ISDN망에 접속된 다른 통신단말(도시하지 않은 팩시밀리장치)에 의해 제10도에 도시된 제4실시예 장치에 대한 발신이 수행되었다고 하면, 그 발신한 통신단말로부터는 먼저 이 제4실시예 장치를 호출하기 위한 신호(호출신호)가 ISDN망으로 송출된다. 이 호출신호에는 통상 발신측(호출측)의 통신단말에 미리 할당된 가입자번호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Now, if transmission is performed to the fourth embodiment device shown in FIG. 10 by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not shown facsimile apparatus) connected to the ISDN network, the fourth communication is first performed from the originating communication terminal. Example A signal (call signal) for calling a device is sent to the ISDN network. This call signal usually contains information indicating a subscriber number previously assign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alling party (calling party).
이렇게 하며 ISDN망에 송출된 호출신호는 ISDN회선(D챈널)을 매개해서 착신신호로서 당해 실시예 장치의 통신망제어부(11)에 수신된다.In this way, the call signal sent to the ISDN network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한편, 상기 중앙제어부(1)는 상기 기록지센서(77)로부터 기록지가 모두 소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검출신호가 출력되고 있지 않은 상황하에서는 정상적인 팩시밀리동작루틴을 실행하고(제12도의 단계 401, 단계 402),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착신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중앙제어부(1)는 통상의 착신응답을 수행하도록 당해 실시예 장치를 제어한다. 즉, 이 경우 당해 착신신호에 대응해서 송신되어 온 화상데이터는 통신제어부(12)를 통해 적절하게 복조된 다음 화상버퍼처리부(37)로 전송되고, 그 후 기록부(35)를 통해 기록지에 기록된다.On the other hand, the
그렇지만, 상기 기록지센서(77)로부터 기록지가 모두 소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검출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즉 당해 실시예 장치(팩시밀리장치가) 통신불가능상태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망제어부(11)에 착신신호가 수신되면 당해 실시에 장치에서는 중앙제어부(1)에 의한 이 착신의 인지에 기초해서(제12도의 단계 403) 이하에 설명하는 형식의 처리를 개시한다. 또한, 이렇게 하여 기록지가 모두 소비된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는, 중앙제어부(1)는 콘솔제어부(23)를 통해 그 취지를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하는 한편 오퍼레이터에 대한 통지를 병행함으로써, 오퍼레이터는 이 통지에 기초해서 신속하게 기록지를 보충하는 등의 복구작업을 수행하게 된다.However, in a state in which a detection signal indicating a state where all the recording paper is consumed from the
또한 이것과 병행해서 수행되는 제4실시예 장치에 의한 처리는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process by a 4th Example apparatus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is is as follows.
(1) 중앙제어부(1)는, 상기 통신망제어부(11)로부터의 착신보고에 기초해서 착신이 있었다는 것을 인지하면, 상기 통신망제어부(11)를 통해 당해 착신신호에 상기 호출측 통신단말의 가입자번호가 포함되어 있음을 판단해서 레지스터제어부(73)를 통해 이 포함되어 있는 가입자번호를 ID레지스터(72)에 셋트(격납)시킨다(제12도의 단계 404). 또한 이때, 상기 ID레지스터(72)에 전회의 착신에 의한 다른 가입자번호가 셋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전회의 가입자번호를 새로이 착신된 번호로 갱신한다. 단 상기 ID레지스터(72)가 그때 그때의 처리가 종료될때마다 기억내용이 클리어되는 경우에는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1) When the
(2) 중앙제어부(1)는 다음에, 상기 ID레지스터(72)에 셋트된 가입자번호를 메모리제어부(75)를 통해 호출측 ID메모리(74)에 등록격납시킨다(제12도의 단계 405).(2) The
(3) 이 사이, 중앙제어부(1)에서는 상기 기록센서(77)에 의한 검출출력 또는 키보드(21)를 통한 오퍼레이터에 의한 작업종료보고 등에 기초해서 복구작업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에 관한 감시를 계속하는 한편, 이와 병행해서 통신가능상태 즉 수신가능상태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제12도의 단계 406). 또한, 이렇게 하여 통신불가능상태에 있는 동안 복수의 호출측으로부터의 호출 및 착신이 있는 경우에는, 그때마다 상기 (1)항과 (2)항의 처리를 반복해서 복수의 가입자번호를 상기 호출측 ID메모리(74)에 등록시킨다.(3) In the meantime, the
(4) 이 판단(제12도의 단게 406)에 있어서, 수신가능상태로 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중앙제어부(1)는 상기 호출측 ID메모리(74)에 등록되어 있는 가입자번호를 메모리제어부(75)를 통해 1개씩 독출함과 더불어, 이 독출된 가입자번호를 상기 통신부(10)를 통해 호출하고, 이 호출처리에 의해 상대방(호출측, 피호출측) 통신단말(팩시밀리장치)과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상태로 된 후, 메시지 메모리(76)에 격납되어 있는 복귀메시지정보를 독출해서 이것을 새로이 통신상태로 된 상대방통신단말에 대해 전송한다(제12도의 단계 407).(4) In the judgment (step 406 of FIG. 12),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ption is possible, the
이 제4실시예 장치의 이상의 처리에 의해, 전송된 복귀메시지는 상대방통신단말(팩시밀리장치)에서 통상의 동작루틴를 거쳐 수신기록되게 된다.By the above processing of the fourth embodiment apparatus, the returned return message is received and recorded by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terminal (facsimile apparatus) via a normal operation routine.
따라서, 상대방 통신단말에서는 이 수신기록된 메시지에 의해 당해 실시예 장치가 통신가능상태로 복귀된 것을 즉시 알 수 있어 그 후 언제라도 재호출의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또 이점에 관해, 복구가 언제되는지 알지못한 상태에서 재차 호출조작을 수행해야만 했던 종래의 것과 비교하면, 쓸데없는 조작이라던지 대기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고, 그 때문에 신경을 소모시키는 일도 없게 된다.Accordingly,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terminal can immediately know that the device of the embodiment is returned to the communicable state by the received and recorded message, so that the countermeasure can be taken at any time thereafter. On the other hand,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one, which had to perform the call operation again without knowing when the recovery was made, the useless operation or the waiting time can be greatly reduced, and therefore, no nerve is consumed.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통신불가능상태로 될 수 있는 조건을 기록지가 모두 소비된 상태로 한정해서 설명했지만, 이러한 통신불가능의 다른 조건으로서는 복사동작모드에서의 비지(busy) 등과 같은 요인을 포함하도록 해도 물론 좋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nditions that can be made into a non-communicable state are limited to a state where all of the recording papers are consumed. Of course, it may include.
또,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착신된 신호에 호출측의 가입자번호만 포함되어 있으면, 상술한 복귀메시지의 전송서비스가 실행되도록 했지만, 그 외에도 예컨대 이제까지 나타낸 각 실시예 장치와 마찬가지로 특정의 호출측에 관한 가입자번호를 별도로 등록시켜 놓고, 이들 등록된 가입자번호의 호출측 통신단말에 대해서만 상술한 복귀메시지의 전송서비스가 실행되도록 해도 좋다.In the above embodiment, if only the caller's subscriber number is included in the incoming signal, the above-described return message transmission service is executed. The subscriber number may be separately registered, and the above-mentioned return message transfer service may be executed only for the calling party's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registered subscriber number.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 제5실시예에서도, 편의상 통신망으로서는 상기한 ISDN망을 상정하고, 또 통신단말장치로서 팩실밀리장치를 상정하고 있다.13 shows 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 this fifth embodiment, the ISDN network is assumed as a communication network for convenience, and a facsimile device is assumed as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이 제5실시예 장치는,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는 당해 실시예 장치의 총괄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제어부(1)와, 이 중앙제어부(1)의 관리하에 필요에 따라 화상데이터가 일시 기억되는 화상메모리(2), 주로 당해 실시예 장치의 통신에 관련한 제어 및 처리를 실행하는 통신부(10), 가입자(오퍼레이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및 정보의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콘솔부(20), 팩시밀리장치로서 화상데이터의 독출이라던지 기록 등의 화상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부(30) 및, 이득 각 부의 기능과 더불어 당해 실시예 장치로서의 후술하는 착신조건관리를 실현하는 제5확장부(8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중 상기 제5확장부(80) 이외의 부분은 앞에 나타낸 각 실시예 장치와 공통되는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주로 제5확장부(80)의 구성과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The apparatus of the fifth embodiment is, as shown in FIG. 13, largely the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확장부(80)는 이하에 설명하는 착신조건관리를 실현하기 위한 중앙제어부(1)에 대한 처리지령이 미리 프로그램된 착신조건관리 프로그램 메모리(81)와, 통신부(10)에 착신된 신호에 식별정보(ID)로서 상기 가입자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 식별정보(ID)가 일시기억되는 ID레지스터(82), 상기 중앙제어부(1)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해서 이 ID레지스터(82)에 관한 데이터번호)의 독출기록제어를 수행하는 레지스터제어부(83), 식별정보(ID)로서의 상기 가입자번호에 대해 호출측 통신단말을 특정하는 임의의 1 내지 복수의 번호가 필요에 따라 미리 등록되는 호출측 ID메모리(84), 중앙제어부(1)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해서 상기 호출측 ID메모리(84)에 관한 데이터의 독출·기록제어를 수행하는 메모리제어부(85), 상기 콘솔부(20)를 통해 설정되는 타이머시간에 기초해서 시한(時限)동작을 실행하는 타이머(86) 및, 착신조건관리를 위한 지표로서 중앙제어부(1)에 의한 소정의 제어에 기초해서 셋트되거나 리셋트되는 셋트플래그(87)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3, the fifth expansion unit 80 includes a reception condition
여기서, 상기 호출측 ID메모리(84)에 등록되는 가입자번호는 착신을 허가하거나 거부하는 1 내지 복수의 특정의 호출측 가입자번호로서 필요에 따라 예컨대 디스플레이(22)로의 적절한 안내표시에 기초해서 키보드(21)를 통해 입력되고, 또 상기 타이머(86)에 설정된 타이머시간은 이 특정의 호출측으로부터의 착신에 관한 착신신호(착신의 허가 또는 거부)설정의 유효시간으로서 이 타이머시간도 예컨대 디스플레이(22)로의 적절한 안내표시에 기초해서 키보드(21)를 통해 입력되는 것이다.Here, the subscriber number registered in the calling
또, 상기 셋트플래그(87)는 이들 호출측 ID메모리(84)에 등록되는 가입자번호와 타이머(86)에 설정된 타이머시간에 의한 상기 착신조건의 설정이 유효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제14도에 도시된 플래그관리루틴에 기초해서 중앙제어부(1)에 의해 그 셋트 또는 리셋트가 제어되는 것이다.The
덧붙여서 말하면, 중앙제어부(1)에서는 이 플래그관리루틴으로서 다음과 같은 제어를 수행한다.Incidentally, the
(1) 상기 호출측 ID메모리(84)에 가입자번호가 등록되어 있는 것(제14도의 단계 501)과, 상기 타이머(86)에 대해 타이머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것(제14도의 단계 502)의 앤드(AND)조건에 기초해서, 셋트플래그(87)를 셋트상태로 한다(제14도의 단게 503).(1) The subscriber number is registered in the caller ID memory 84 (
(2) 상기 타이머시간내에 상기 호출측 ID메모리(84)에 등록된 가입자번호가 삭제된 경우, 즉 송신측을 특정하는 가입자번호의 등록이 해제된 경우(제14도의 단계 504), 또는 상기 타이머(86)로부터 타이머 업(timer up)을 나타내는 시한(時限)신호가 출력된 경우(제14도의 단계 505), 셋트플래그(87)를 릿세트상태로 한다(제14도의 단계 506).(2) When the subscriber number registered in the calling
제15도는 이러한 제5확장부(80)의 기능[주로 상기 착신조건관리 프로그램 메모리(81)에 등록된 프로그램]에 기초한 당해 실시예 장치의 동작에 대해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이하 제15도를 참조해서 당해 실시예 장치에 의한 착신조건관리 메카니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FIG. 15 show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based on the function of the fifth expansion unit 80 (mainly a program registered in the incoming condition management program memory 81). See FIG. 15 below. The reception condition management mechanism by the embodiment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지금, ISDN망에 접속된 다른 통신단말(도시하지 않은 팩시밀리장치)에 의해 제13도에 도시된 제5실시예 장치에 대한 발신이 수행되었다고 하면, 그 발신한 통신단말로부터는 먼저 이 제5실시예 장치를 호출하기 위한 신호(호출신호)가 ISDN망에 송출된다. 이 호출신호에는 통상 그 발신측(호출측)의 통신단말에 미리 할당된 가입자번호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Now, if the transmission to the fifth embodiment device shown in Fig. 13 is performed by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not shown facsimile apparatus) connected to the ISDN network, the fifth communication is first performed from the outgoing communication terminal. Example A signal (call signal) for calling a device is sent to the ISDN network. This call signal usually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a subscriber number previously assign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alling party (calling party).
이렇게 하여 ISDN망에 송출된 호출신호는 ISDN회선(D챈널)을 매개해서 착신신호로서 당해 실시예 장치에서의 통신망제어부(11)에 수신되고, 이 통신망제어부(11)에 착신신호가 수신되며 이 제5실시예 장치에서는 중앙제어부(1)에 의한 착신의 인지에 기초해서(제15도의 단계 511), 이하에 열거하는 형식의 처리를 개시한다.The call signal transmitted to the ISDN network in this way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1) 중앙제어부(1)는, 상기 통신망제어부(11)로부터의 착신보고에 기초해서 착신이 있음을 인지하면, 먼저 셋트플래그(87)가 셋트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제15도의 단계 512).(1) When the
(2) 이 확인의 결과, 상기 셋트플래그(87)가 셋트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중앙제어부(1)는 통상의 착신처리를 수행하도록 당해 실시예 장치를 제어한다(제15도의 단게 513).(2) As a result of this check,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3) 상기 확인(제15도의 단계 512) 결과, 상기 셋트플래그(87)가 셋트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중앙제어부(1)는 상기 통신망제어부(11)를 통해 당해 착신신호에 상기 호출측 통신단말의 가입자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제15도의 단계 514).(3)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4) 이 판단의 결과, 상기 가입자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중앙제어부(1)는 당해 착신신호의 수신을 거부하는 착신거부처리를 수행하도록 당해 실시예 장치를 제어한다(제15도의 단계 515).(4) As a result of this determin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scriber number is not included, the
(5) 상기 판단(제15도의 단계 514)결과, 당해 착신신호에 호출측의 가입자번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중앙제어부(1)는 레지스터제어부(83)를 통해 착신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가입자번호를 ID레지스터(82)에 셋트(격납)시킨다(제15도의 단계 516). 또한 이때, 전회의 착신에 의한 다른 가입자번호가 상기 ID레지스터(82)에 셋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셋트되어 있는 전회의 가입자번호를 새로이 착신된 번호로 갱신한다. 단 이 ID레지스터(82)가 그때 그때의 처리가 종료될때마다 기억내용이 클리어되는 경우에는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5)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step 514 of FIG. 15),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coming signal includes the subscriber number of the calling party, the
(6) 중앙제어부(1)는 다음에, 메모리제어부(85)를 통해 호출측 ID메모리(84)로부터 가입자번호중 1개를 독출해서 이 독출된 가입자번호와 상기 ID레지스터(82)에 셋트된 가입자번호를 비교대조한다(제15도의 단계 517).(6) The
(7) 이 대조의 결과, 번호가 일치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제15도의 단계 518), 중앙제어부(1)는 상기 호출측 ID메모리(84)에 그 외에도 다른 가입자번호가 등록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제15도의 단계 519) 상기 (6)항의 처리(제15도의 단계 517)를 반복해서 상기 호출측 ID메모리(84)에 등록되어 있는 가입자번호 모두가 상기 ID레지스터(82)에 셋트된 가입자번호와 일치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4)항과 마찬가지로 착신거부처리를 수행하도록 당해 실시예 장치를 제어한다(제15도의 단게 515).(7)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umbers do not match as a result of this check (
(8) 상기 대조(제15도의 단계 517)결과, 번호가 일치된다고 판단된 경우(제15도의 단계 518), 중앙제어부(1)는 착신을 허가한 호출측으로부터의 데이타의 송신으로서 통상적으로 착신처리를 수행하도록 당해 실시예 장치를 제어한다(제15도의 단계 513).(8) If the result of the check (step 517 of FIG. 15) determines that the numbers match (step 518 of FIG. 15), the
이와 같이 이 제5실시예 장치에 의한 처리에 의하면, 셋트플래그(87)가 셋트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A-1) 셋트되어 있으면, 즉 호출측에 관한 특정의 가입자번호가 등록되어 있으면서 타이머유효시간이면, 이 등록되어 있는 가입자로부터의 호출에 대해서만 착신응답해서 착신처리를 실행하고, 다른 가입자로부터의 호출에 대해서는 착신을 거부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ocessing by the fifth embodiment apparatus, if (A-1) is set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set
(A-2) 셋트되어 있지 않으면, 어느 가입자로부터 호출에 대해서도 착신응답해서 착신처리를 실행한다. 즉 개방(open)상태로 한다라는 다른 조건하에서의 착신처리가 자동실행되게 된다.(A-2) If not set, an incoming call is made to any call from any subscriber and incoming call processing is executed. In other words, the incoming call processing is automatically executed under another condition of being in an open state.
따라서, 필요에 따라 호출측 ID메모리(84)와 타이머(86)에 대한 상술한 설정만 미리 수행하도록 하면, 예컨대 『이후 1시간 동안에는 A사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화상데이타)만을 수신하고 그 이후에는 착신되는 모든 데이타를 수신한다』는 등의 착신조건변경도 오퍼레이터가 부재중인 상태에서 자유자재로 실현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f only the above-described setting of the calling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셋트플래그(87)의 셋트유무에 따라 상기 (A-1) 또는 (A-2)의 착신조건이 설정되도록 했지만, 그 외에 예컨대 제16도에 나타낸 형식으로 착신조건관리 프로그램 메모리(81)에 대한 착신조건관리 프로그램을 짜 맞추도록 하면, 마찬가지로 셋트플래그(87)의 셋트유무에 따라, (B-1) 셋트되어 있으면, 즉 호출측에 관한 특정의 가입자번호가 등록되어 있으면서 타이머유효시간이면, 이 등록되어있는 가입자로부터의 호출에 대해서만 착신응답해서 착신처리를 실행하고, 다른 가입자로부터의 호출에 대해서는 착신을 거부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reception condition of (A-1) or (A-2) is set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set
(B-2) 셋트되어 있지 않으면, 어느 가입자로부터의 호출에 대해서도 그 착신을 거부한다. 즉 폐쇄(close)상태로 한다라는 착신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고, 또 제17도에 나타낸 형식으로 메모리(81)에 대한 착신조건관리 프로그램을 짜 맞추도록 하면, 마찬가지로 셋트플래그(87)의 셋트유무에 따라, (C-1) 셋트되어 있으면, 즉 호출측에 관한 특정의 가입자번호가 등록되어 있으면서 타이머유효시간이면, 이 등록되어 있는 가입자로부터의 호출에 대해서만 그 착신을 거부하고, 다른 가입자로부터의 호출에 대해서는 통상적으로 착신응답해서 착신처리를 실행한다.(B-2) If not set, the call is rejected from any subscriber. In other words, an incoming call condition to be in a closed state can be set, and if the incoming call condition management program for the
(C-2) 셋트되어 있지 않으면, 어느 가입자로부터의 호출에 대해서도 그 착신을 거부한다. 즉 폐쇄상태로 한다라는 착신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으며, 또 제18도에 나타낸 형식으로 메모리(81)에 대한 착신조건관리 프로그램을 짜 맞추도록 하면, 마찬가지로 셋트플래그(87)의 셋트유무에 따라, (D-1) 셋트되어 있으면, 즉 호출측에 관한 특정의 가입자번호가 등록되어 있으면서 타이머유효시간이면, 이 등록되어 있는 가입자로부터의 호출에 대해서만 그 착신을 거부하고, 다른 가입자로부터의 호출에 대해서만 통상적으로 착신응답해서 착신처리를 실행한다.(C-2) If not set, the call is rejected from any subscriber. Namely, the incoming call condition to be in the closed state can be set, and if the incoming call condition management program for the
(D-2) 셋트되어 있지 않으면, 어느 가입자로부터의 호출에 대해서도 착신응답해서 착신처리를 실행한다. 즉 개방상태로 한다라는 착신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한 모든 착신조건관리 프로그램을 미리 준비해 놓고, 그 때마다 필요로 되는 것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D-2) If not set, incoming calls are made to any call from any subscriber, and incoming calls are executed. In other words, the call condition can be set to open. Of course, all the above-mentioned incoming call condition management program may be prepared in advance, and each time it may be freely selected.
또, 제13도에 도시된 통신단말장치에서는 타이머(86)를 구비하고, 호출측 ID메모리(84)에 가입자번호가 등록되어 있는 것과, 이 타이머(86)에 대해 타이머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것의 앤드조건에 기초해서 상기 셋트플래그(87)가 셋트되도록 했지만, 이 제5실시예에서는 타이머(86)를 구비하는 것이 필수로 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단지 호출측 ID메모리(84)에 가입자번호가 등록되어 있는 것만을 조건으로 해서, 상기 셋트플래그(87)가 셋트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shown in FIG. 13 includes a
그런데, 이상에서 설명한 제1 내지 제5실시예 장치에서는 편의상 모두 통신망으로서 ISDN망을 상정하고, 또 통신단말장치로서 팩시밀리장치를 상정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장치가 이들 통신망 또는 단말장치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특히 통신단말장치로서는 상기 팩시밀리장치 이외에 전화기라던지 텔렉스 등이어도 좋다.By the way, in the above-described apparatuses of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all assume the ISDN network as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facsimile apparatus as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However,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se communication networks or terminal devices. Of course not.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may be a telephone, a telex, or the like in addition to the facsimile apparatus.
또,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장치로서의 각각의 기능별로 상기 제1 내지 제5실시예로서 별도로 도시해서 설명했지만, 이들 각 실시예에서의 각 확장부는 모두 서로 조합이 가능하고, 또 그 조합의 상태에 따라서는 가입자인터페이스의 향상이라던지 통신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점에서 더욱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실용적인 측면에서는 이들 실시예를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합시켜 이용하도록 해도 물론 좋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respective functions as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ly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but each of the extension parts in each of these embodiments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combination, the subscriber interface or the communication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in terms of improving the communication efficiency. In practical terms, these embodiments may be appropriately combined and used as necessary.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교환정보전송용 정보챈널과 제어정보전송용 신호챈널을 별도로 구비한 통신망에 있어서, 가입자인터페이스에 우수하면서 통신효율의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통신단말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separate information channel for exchang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signal channel for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which is excellent in subscriber interface and can greatly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efficiency. You can do it.
Claims (3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63-208080 | 1988-08-24 | ||
JP63208080A JPH0258467A (en) | 1988-08-24 | 1988-08-24 |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
JP63-217245 | 1988-08-31 | ||
JP63217245A JP2694348B2 (en) | 1988-08-31 | 1988-08-31 | Facsimile machine image information transfer method |
JP63261857A JPH02108365A (en) | 1988-10-18 | 1988-10-18 | Facsimile equipment |
JP63-261857 | 1988-10-18 | ||
JP63309668A JPH02155350A (en) | 1988-12-07 | 1988-12-07 |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
JP63-309668 | 1988-12-07 | ||
JP1-13993 | 1989-01-25 | ||
JP1013993A JPH02195760A (en) | 1989-01-25 | 1989-01-25 |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
JP01-13993 | 1989-01-2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04145A KR900004145A (en) | 1990-03-27 |
KR960013299B1 true KR960013299B1 (en) | 1996-10-02 |
Family
ID=27519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90012072A Expired - Fee Related KR960013299B1 (en) | 1988-08-24 | 1989-08-24 |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960013299B1 (en) |
CA (1) | CA1334866C (en) |
-
1989
- 1989-08-23 CA CA000609075A patent/CA1334866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9-08-24 KR KR1019890012072A patent/KR96001329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04145A (en) | 1990-03-27 |
CA1334866C (en) | 1995-03-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216517A (en) |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 |
JPS619079A (en) | Facsimile transmission system | |
JP3616682B2 (en) | ATM switch | |
KR960013299B1 (en) |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 |
US6710897B1 (en) | Facsimile device applying one-touch dialing operation for effecting automatic transmission by pre-registered destination facsimile numbers | |
JP2694348B2 (en) | Facsimile machine image information transfer method | |
JP3367138B2 (en) | Calling device of communication device | |
JPS62236250A (en) | Facsimile equipment | |
JP3203938B2 (en) | Terminal device | |
JPH07110020B2 (en) | How to transfer a digital phone | |
JPH06133054A (en) | Transfer control device | |
JP3283667B2 (en) | Facsimile machine for ISDN | |
JP2741551B2 (en) | ISDN telephone | |
JPH09200366A (en) |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 |
JPH0241073A (en) | Facsimile equipment | |
JPH11164011A (en) | Communication equipment, incoming call respond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 |
JPH01194641A (en) | Telephone erroneous connection detecting system | |
JPH10174132A (en) | Private branch of exchange system | |
JPH05324796A (en) | Electronic file | |
JPH01243744A (en) | Facsimile equipment | |
JPH0279544A (en) | Facsimile equipment | |
JP2001186318A (en) | Facsimile communication equipment | |
JPH03188759A (en) | Facsimile document sequential transfer system | |
JPS63142756A (en) | Incoming transfer system for non-telephone terminal | |
JPH04306044A (en) | Private branch exchan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1005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510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51003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