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12834B1 - 직기에 있어서의 개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직기에 있어서의 개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2834B1
KR960012834B1 KR1019950006505A KR19950006505A KR960012834B1 KR 960012834 B1 KR960012834 B1 KR 960012834B1 KR 1019950006505 A KR1019950006505 A KR 1019950006505A KR 19950006505 A KR19950006505 A KR 19950006505A KR 960012834 B1 KR960012834 B1 KR 960012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coupling
eccentric
cladding
ed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6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쯔히로 이와사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쇽끼 세이사꾸쇼
이소가이 찌세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쇽끼 세이사꾸쇼, 이소가이 찌세이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쇽끼 세이사꾸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2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83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1/00Dobbi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1/00Dobbies
    • D03C1/14Features common to dobbies of different types
    • D03C1/16Arrangements of dobby in relation to lo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요약없슴

Description

직기에 있어서의 개구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 정면도.
제2도는 전자 솔레노이드 소자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주요부 확대 정면도.
제3도는 전자 솔레노이드 여자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주요부 확대 정면도.
제4도는 전자 솔레노이드 여자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주요부 확대 정면도.
제5도는 서보 모터의 회전 속도 및 개구 패턴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제7도는 또 다른 예의 전자 솔레노이드 소자 상태를 도시한 일부 파단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제8도는 전자 솔레노이드의 여자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 주요부의 확대 정면도.
제9도는 또 다른 예의 전자 솔레노이드의 소자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 주요부의 확대 정면도.
제10도는 전자 솔레노이드 여자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주요부의 확대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동축,1a,1b : 결합 변환 수단을 구성하는 결합 오목부,
2 : 편심테두리,2a,2b : 수용홈,
5 : 변속 구동 모터로 되는 서보 모터,
6 : 결합 변환 수단을 구성하는 제1빗장체,
7 : 결합 변환 수단을 구성하는 제2 빗장체,
6a,7a : 회전자,8 : 연결 테두리,
8a : 가이드,9 : 결합 변환 기구를 구성하는 밀어 넣기 레버,
11,11A,11B : 결합 변환 기구를 구성하는 끌어 당김 스프링,
12,12A,12B : 결합 변환 기구를 구성하는 전자 솔레노이드;
27,29 : 가이드,Co : 변속 제어 수단으로 되는 제어 컴퓨터.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직기에 있어서의 개구(shedding)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소 제59-30930호, 특허 공개 공보 소 제59-30931호 공보에는 구동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진 편심 테두리와 구동축이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결합 위치(결합 오목부에 결합되는 위치)와, 상기 구동축이 편심 테두리에 대해서 상대 회전하는 결합 해제 위치(결합 오목부에서 이탈된 위치)에 빗장 부재를 변환 배치하며 종광틀()을 상하움직임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계에 대해서 상기 편심 테두리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어 맞추어진 연결 테두리를 연결한 개구 장치가 알려져 있다. 종광틀을 상부개구 또는 하부개구로 유지할 경우에는 상기 빗장 부재가 결합 해제 위치에 배치된다. 종광틀을 상하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상기 빗장 부재가 결합 위치로 배치된다. 빗장 부재가 결합 위치에 배치된 경우에는 편심 테두리가 회전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여 연결 테두리가 구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한다. 이 선회 운동에 의해 종광축이 상하운동된다. 빗장부재가 결합 해제 위치에 배치된 경우에는 편심 테두리가 회전축과 일체적으로 회전되는일 없이 종광틀이 상부 개구 혹은 하부 개구의 위치에 유지된다. 이 개구 장치에 의하면 도비(dobby) 개구장치와 같이 리피드 수(직물 조직의 1싸이클)를 임의로 설정 할 수 있으며 복잡한 조직의 직물을 짤수가 있다. 그리고도 도기 배구 장치 만큼 기구가 크게 되지 않는다.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구동축과 직기의 크랭크축의 2회전에 대해서 1회전하는 크랭크에 연결된 래크와 구동축 상의 피니언과의 결합에 기초하여 상기 크랭크축에서 구동력을 얻을 수 있다. 즉, 구동축은 직기의 1회전에 대하여 반회전하며 그 회전 방향이 서로 변한다. 따라서, 구동축의 회전 속도는 상호 반회전의 경우에 영(Zero)으로 된다. 상기 빗장 부재가 구동축의 회전 속도가 영일 때에 결합위치와 결합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환 배치된다. 그러나, 구동축의 회전 속도 영의 상태는 일순간이며 빗장 부재가 결합 오목부에 확실히 들어가거나 혹은 결합 오목부에서 확실히 이탈된다는 보장은 없다. 구동축과 편심 테두리와의 확실한 결합 및 결합해제가 행하여지지 않으면 원하는 개구 패턴을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은 구동축과 편심 테두리와의 결합 및 결합 해제를 행하는 개구 장치에 있어서 원하는 개구 패턴을 정확히 수행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A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그것을 위해 본 발명은 구동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진 편심 테두리와 구동축을 일체적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축상의 결합 오목부에 결합되는 결합 위치와 상기 구동축을 편심 테두리에 대해 상대 회전시키도록 상기 결합 오목부에서 이탈된 결합 해제 위치에 빗장체를 변환 배치하는 결합 변환 수단을 구비하며 종광틀을 상하 움직이기 위한 구동력 전달계에 대해서 상기 편심 테두리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진 연결 테두리를 연결한 직기에 있어서의 개구 장치를 대상으로 하며 청구한 제1항의 발명에서는 상기 빗장체를 결합 해제위치와 결합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환 배치할 때에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 속도를 상기 변환 배치의 전후의 사이에서 통상 회전 속도에서 감속하여 저속 또는 영으로 되도록 하였다.
청구항 제2항의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축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변속 구동 모터와 상기 변속 구동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변속 제어 수단을 구비한 개구 장치를 구성하였다.
청구항 제3항의 발명에서는 구동축의 둘레면의 반회전의 회전 대칭 위치에 형성된 1쌍의 결합 오목부와 상기 편심 테두리의 긴 반경부에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제1빗장체와 상기 편신 테두리의 짧은 반경부에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제2빗장체와 상기 1쌍의 결합 오목부의 어느쪽 한쪽과 대향된 상기 제1빗장체 및 제2빗장체의 어느쪽 한쪽을 대향하는 결합 오목부에 결합시키는 결합 변환 기구에 의해 결합 변환 수단을 구성하였다.
청구항 제4항의 발명에서는 상기 빗장체에는 회전자를 장착함과 함께 상기 연결 테두리에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를 설치하며 상기 1쌍의 결합 오목부의 어느쪽 한쪽에 결합된 빗장체상의 회전자가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상에서 회전운동 되도록 하였다.
작 용
상기 빗장체를 결합 해제 위치와 결합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환 배치 할 때에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 속도가 상기 변환 배치의 전후 사이에서 통상 회전 속도에서 감속하여 저속 또는 영으로 되도록 변속 구동 모터의 회전 속도가 제어된다. 구동축의 회전 속도가 저속 또는 영의 상태일 때에 상기 빗장체가 결합 오목부에 삽입 또는 결합 오목부에서 이탈된다. 구동축의 회전 속도가 저속 또는 영의 상태로 되는 기간에는 여유가 있으며 빗장체의 결합 오목부에 대한 삽입 및 결합 오목부에서의 이탈은 확실히 행하여진다.
청구항 제2항의 발명에서는 종광틀을 상부 개구, 하부 개구에 정지하는 기간(소위 날실(經絲)정지각)을 변경할 수 있다.
청구항 제3항의 발명에서는 직기의 1회전에 대하여 반회전 되는 구동축상의 결합 오목부가 결합 변환 기구에 의해 결합 위치와 결합 해제 위치에 변환 배치되는 빗장체의 변환 배치 위치에서 직기 1회전마다 교대로 교체된다. 긴 반경부의 제1빗장체가 결합 오목부에 결합되면 종광틀이 위로 움직임 및 아래로 움직임의 어느것 한쪽의 동작을 행하며 계속해서 짧은 반경부의 제2빗장체가 결합 오목부에 결합되면 종광틀이 다른쪽의 동작을 행한다. 1쌍의 빗장체의 채용에 의해 결합 변환기구가 간소화된다.
청구항 제4항의 발명에서는 구동축과 편심 테두리가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있을때에는 빗장체 상의 회전자가 원호형상의 가이드상을 이동하며 편심 테두리와 연결 테두리와의 사이의 상대 회전이 원활히 행해진다. 편심 테두리와 연결 테두리와의 사이의 원활한 상대 회전은 개구 패턴의 정확한 수행에 필요하다.
실시예
아래에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1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6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면부호 1은 구동축이며, 구동축(1)에는 편심 테두리(2)가 상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축(1)의 둘레면에는 1쌍의 결합 오목부(1a, 1b)가 반회전의 회전 대칭 위치에 형성 되어져 있다. 즉, 결합 오목부(1a, 1b)는 구동축(1)의 직경 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결합, 오목부(1a, 1b)의 개구부(1a, 1b)는 늘어나 열린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결합 오목부(1a, 1b)내에는 압축 스프링(3, 4)이 수용되어 있다. 압축 스프링(3, 4)의 길이는 결합 오목부(1a, 1b)의 깊이이하이며 압축스프링(3, 4)의 한끝이 구동축(1)의 둘레면에서 튀어나오는 일은 없다. 구동축(1)은 직기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와는 별도의 서보 모터(5)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편심 테두리(2)의 긴 반경부측 및 짧은 반경부 측에는 수용홈(2a, 2b)이 형성 되어 있다. 수용홈(2a, 2b)은 편심 테두리(2)의 직경선상에 위치 되어 있으며 각 수용홈(2a, 2b)내에는 빗장체(6, 7)의 단부에는 회전자(6a, 7a)가 장착되어져 있다. 빗장체(6, 7)가 걸링 오목부(1a, 1b)내에 들어가 있지 않을 때에는 회전자(6a, 7a)는 수용홈(2a, 2b)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며, 즉, 편심테두리(2)의 바깥둘레에서 돌출된다. 편심테두리(2)의 안둘레측의 빗장체(6, 7)의 단부는 결합오목부(1a, 1b)의 개구부(1a, 1b)의 넓게 벌어지 형상에 딱 맞게 끼워 맞추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하듯이 빗장체(6, 7)는 결합 오목부(1a, 1b)내에 들어갈 수 있다. 빗장체(6, 7)가 결합 오목부(1a, 1b)내에 들어가 있지 않을 경우에는 수용홈(2a, 2b)은 구동축(1)의 반회전의 회전을 거쳐서 1회의 분할로 결합오목부(1a, 1b)에 대향된다. 빗장체(6, 7)가 결합오목부(1a, 1b)내에 들어가 있을 때에는 압축 스프링(3, 4)의 스프링력이 빗장체(6, 7)에 작용하여 빗장체(6, 7)가 결합오목부(1a, 1b)에서 이탈되는 방향을 스프링 작용을 받는디.
편심 테두리(2)에는 연결 테두리(9)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 지지되어 있다. 연결 테두리(8)의 안둘레 가장자리에는 가이드(8a)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8a)는 연결 테두리(8)의 안둘레의 거의 반에 가까운 원호이다. 가이드(8a)의 한끝에는 유도경사면(8a1)이 연결테두리(8)의 안둘레원에 나란히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결 테두리(8)에는 밀어넣기 레버(9)가 지지축(10)을 거쳐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밀어 넣기 레버(9)는 제1도에 있어서 인장 스프링(11)에 의해 우측으로 회전하돌고 가압된다. 또한, 연결테두리(8)에는 전자 솔레노이드(12)가 장착되어져 있다. 밀어넣기 레버(9)는 끌어당김 스프링(11)의 스프링 작용에 의해 전자 솔레노이드(12)의 구동 로드(12a)가 맞닿는다. 제2도에서는 전자 솔레노이드(12)가 소자 상태에 있으며 제3도에서는 전자 솔레노이드(12)가 여자 상태로 있다. 제2도의 상태에서는 밀어넣기 레버(9)의 선단이 편심 테두리(2)의 둘레 가장자리에서 떨어져 있으며 제3도의 상태에서는 밀어넣기 레버(9)의 선단이 편심 테두리(2)의 둘레 가장자리에 극히 가깝게 접해 있다.
연결 테두리(8)에는 스윙 레버(13)가 연결되어 있다. 축(13a)을 중심으로 하는 스윙 레버(13)의 요동은 연결구(14), 연결링(15), 트레들 레버(16), 연결링(17), 콘넥팅 레버(18), 1쌍의 앵글 레버(19, 20) 및 1쌍의 콘넥팅 로드(21, 22)라는 구동력 전달계를 거쳐서 종광틀(23)의 상하 움직임에 변환된다. 종광틀(13)의 상하 움직임은 가이드 부재(24, 25)에 의해 안내된다.
변속 구동 모터인 서보 모터(5)는 제어 컴퓨터(10)의 작동 제어를 받는다. 제어 컴퓨터(10)는 직기의 회전각도 검출용의 로터리 엔코터(26)에서의 회전 각도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서보 모터(5)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또한, 서보모터(5)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변속 제어 수단으로 되는 제어컴퓨터(Co)는 직물 조직을 나타나는 개구 패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전자 솔레노이드(12)의 여자 및 소자를 제어한다.
제5도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곡선(D)의 서보 모터(5)의 회전 속도 변화를 나타난다. 횡축(θ)은 직기의 회전 각도를 나타내며 종축은 회전 속도를 나타낸다. 회전 속도 (V)는 통상 회전 속도이다. 곡선(E1)은 종광틀(23)의 상하 움직임 변화를 나타내며 곡선(E2)은 종광틀(13)과는 별도의 종광틀의 상하 움직임의 변화를 나타낸다. 서보 모터(5)는 직기 1회전마다 회전 속도 영으로 되며 이 회전 속도 영의 상태는 일정의 직기 회전각 범위(θ1, θ2)에 걸쳐진다. 즉, 서보모터(5)는 회전각(θ1)의 앞에서부터 통상 회전속도(V)에서 감속하여 회전 각도(θ1)에서 회전속도 영이된다. 회전 속도(θ)가 θ2)가 되면 서보모터(5)는 증속되어 통상 회전각도(V)로 이행된다.
직기의 회전 각도(θ)가 회전 각도 범위(θ1, θ2) 이외의 때에는 서보모터(5)는 회전되고 있다. 서보 모터(5)가 회전하고 있을 때의 구동축(1)과 편심축(2)이 제1도에 도시하는 위치관계에 있으며 빗장체(7)가 결합 오목부(1a)에 결합되는 결합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과 함께 빗장체(6)가 결합오목부(1b)에서 이탈된 결합 해제 위치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종광틀(13)은 아래 개구 위치로 이행되고 있다. 직기의 회전 각도(θ)가 θ1이 되면 서보 모터(5)의 회전도가 영으로 된다. 서브 모터(5)의 회전 속도가 영으로된 상태에서는 제2도에 도시하듯이 결합 오목부(1a, 1b)와 수용홈(2a, 2b)이 대향된다. 종광틀(13)의 개구 패턴이 곡선(E1)으로 도시하듯이 아래 개구 위치에서 윗 개구 위치로 이행하려면 제어컴퓨터(Co)는 서보 모터(5)의 회전 속도 영상태의 아래에 전자 솔레노이드(12)를 여자한다. 전자 솔레노이드(12)의 여자에 의해 밀어넣기 레버(9)가 끌어당김 스프링(11)의 스프링 작용에 저항하여 제2도의 위치에서 제3도의 위치로 회전 운동한다. 이 회전 운동에 의해 밀어넣기 레버(9)의 선단이 편심 테두리(2)의 외주에 극히 가깝게 접근되어 빗장체(6)의 회전자(6a)에 맞닿는다. 밀어넣기 레버(9)는 회전자(6a)에 맞닿으면서 빗장체(6)를 결합 오목부(1a)속으로 밀어 넣는다. 이 밀어넣기 작용에 의해 빗장체(6)가 결합 오목부(1a)의 개구부(1a1)에 끼워맞는 결합 위치에 배치됨과 함께 회전자(6a)가 연결 테두리(8)의 안둘레의 내측에 거의 들어간다. 빗장체(6)가 개구부(1a1)에 대하여 끼워져 있지 않은 결합 해제 위치에서 끼워진 결합 위치로 이행되는 동작은 서보 모터(5)의 회전 속도 영 상태의 사이로 행하여진다.
빗장체(6)가 결합 오목부(1a)의 개구부(1a1)에 끼워진 후 직기의 회전 각도(θ)가 θ2로 되면 제어컴퓨터(Co)는 서보 모터(5)를 회전시킨다. 빗장체(6)가 결합 오목부(1a)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편심 테두리(2)는 구동축(1)의 회전에 따른다. 회전자(6a)는 연결 테두리(8)의 안둘레원의 내측에 거의 들어가 있으며 편심 테두리(2)가 구동축(1)의 회전에 따르면 회전자(6a)가 가이드(8a)의 안둘레면을 회전 운동한다. 따라서, 구동축(1)과 편심축(2)이 일체적으로 원활하게 회전한다. 제2도의 상태에서 직기가 1회전하면 빗장체(6, 7)가 구동축(1)을 중심으로 하여 180°공전하며 회전자(6a)가 가이드(8a)로 부터 떨어진다. 그러면 빗장체(6)는 압축 스프링(3)의 스프링 작용에 의해 결합 오목부(1a)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빗장체(6)가 결합 오목부(1a)에 끼워진 결합 위치에서 결합 오목부(1a)에서 이탈된 결합 해제 위치로 이행된다. 이 이행에 의해 회전자(6a)가 편심 테두리(2)의 바깥둘레에서 돌출된다. 또한, 회전자(7a)는 편심 테두리(2)의 바깥둘레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가이드(8a)의 유도 경사면(8a1)에 접하게 된다. 즉, 구동축(1) 및 편심 테두리(2)가 일체적으로 되어 반회전하며 빗장체(6, 7)가 그의 상태에 서로 위치를 바꾸어 넣는다. 구동축(1)이 반회전 되는 사이에 제어 컴퓨터(Co)는 전자 솔레노이드(12)를 소자하며 밀어넣기 레버(9)가 끌어당김 스프링(11)의 스프링 작용에 의해 제3도의 상태에서 제2도의 상태로 복귀된다.
구동축(1) 및 편심 테두리(2)의 일체적인 반회전에 의해 연결 테두리(8)가 제2도의 위치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연결 테두리(8)의 오른쪽 방향으로의 이동은 스윙레버(13), 트레들 레버(16), 앵글 레버(19, 20)의 각 회동을 거쳐서 종광틀(23)의 윗운동에 변환되며 종광틀(13)이 아래 개구 위치에서 윗 개구 위치로 이동된다.
종광틀(13)의 다음의 개구 패터이 윗 개구에서 아래 개구 쪽으로 이행되는 경우에는 전자 솔레노이드(12)가 마찬가지로 여자되어 빗장체(7)가 결합 오목부(1b)에서 이탈된 결합 해제 위치에서 결합 오목부(1b)에 끼워지는 결합 위치에 배치된다. 이 배치에 의해 제4도에 도시하듯이 회전자(7a)가 가이드(8a)의 안 둘레를 회전운동 하면서 구동축(1) 및 편심 테두리(2)의 반회전에 의해 연결 테두리(8)가 제4도의 위치에서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며 종광틀(13)이 윗 개구에서 아래 개구로 이행된다. 그리고 종광틀(13)의 이행도중 즉 구동축(1)의 반 회전중에 전자 솔레노이드(12)가 소자된다.
종광틀(13)의 다음의 개구 패턴이 변경 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 컴퓨터(Co)는 전자 솔레노이드(12)를 소자 상태로 유지한다. 그 때문에 빗장체(6, 7)는 결합 해제 위치에 유지된 그대로 되며 편심 테두리(2)가 구동축(1)과 일체적으로 반회전 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연결 테두리(8)가 구동축(1)의 반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일은 없으며 종광틀(13)이 상하운동하는 일은 없다.
빗장체(6, 7)를 결합 해제 위치와 결합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환 배치 할 때에는 구동축(1)의 회전 속도가 변환 배치의 전후사이 즉, 직기 회전 각도(θ1, θ2)의 범위에서 영으로 되도록 제어 컴퓨터(Co)가 변속 구동 모터인 서보 모터(5)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따라서 구동축(1)의 회전 속도가 영의 상태일 때에 빗장체(6, 7)가 결합 오목부(1a, 1b)에 끼워 맞거나 또는 결합 오목부(1a, 1b)에서 이탈된다. 구동축(1)의 회전 속도 영의 상태의 기간 즉, 직기 회전 각도(θ1, θ2)의 범위는 순간이 아닌 여유가 있다. 그 때문에 빗장체(6, 7)의 결합 오목부(1a, 1b)에 대한 끼워 맞는 경우에는 결합 오목부(1a, 1b)와 빗장체(6, 7)가 정확하게 대향되며 빗장체(6, 7)가 결합 오목부(1a, 1b)에 확실하게 끼워 맞는다. 또한 빗장체(6, 7)의 결합 오목부(1a, 1b)로부터 이탈의 경우에는 구동축(1)의 회전 구동력이 빗장체(6, 7)에 작용되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수용홈(2a, 2b)안 및 끼워맞는 오목부(1a, 1b)안의 양쪽에 들어가 있는 빗장체(6, 7)가 구동축(1)과 편심 테두리(2)와의 사이에서 끼어 들어가는 일은 없으며, 빗장체(6, 7)가 결합 오목부(1a, 1b)로부터 확실히 이탈된다. 빗장체(6, 7)가 결합 오목부(1a, 1b)로부터 확실하게 이탈되기 때문에 구동축(1)과 편심 테두리(2)와의 일체적 반회전 및 구동축(1)만의 반회전이 개구 패턴에 따라서 확실하게 선택 수행된다. 그 결과 종광축의 상하운동이 개구 패턴에 확실히 따른다.
본 실시예에서는 빗장체(6, 7)가 결합 위치와 결합 해제 위치로 변환 배치되지만 이 변환 배치 위치는 전자 솔레노이드(12) 및 끌어당김 스프링(11)과 함께 결합 변환 기구를 구성하는 밀어넣기 레버(9)의 선단의 이동 궤도위라는 특정위치이다. 직기의 1회전에 대하여 반회전하는 구동축(1)위의 결합 오목부(1a, 1b)는 빗장체(6, 7)의 변환 배치 위치에서 직기 1회전마다 서로 바꾼다. 긴 반경부의 제1의 빗장체(6)가 결합 오목부(1a, 1b)에 결합되면 종광틀(13)이 위로 움직이며 계속하여 짧은 반경부의 제2빗장체(7)가 결합 오목부(1a, 1b)에 결합되면 종광틀(13)이 아래로 움직인다. 종래에서는 빗장체는 1개뿐이며 그 때문에 밀어넣기 레버(일본특허 공개 공보 소 제59-30930호 소 제 59-30931호에서는 밀어누름 레버라고 칭하고 있음)가 2개 필요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1쌍의 빗장체(6, 7)의 채용에 의해 밀어넣기 레버(9)는 1개로 마칠 수 있으며 결합 변환 기구가 감소된다.
편심 테두리(2)와 연결 테두리(8)와의 사이에 큰 회전저항이 있으면 연결 테두리(8)가 편심 테두리(2)의 회전에 끌려 종광틀(13)의 개폐구 타이밍이 부정확하게 된다. 종광틀(13)의 개폐구 타이밍이 부정확하게 되면 직물(Web)넣기 불량이 발생되기 쉽게 된다. 즉, 편심 테두리(2)와 연결테두리(8)와의 사이의 원활한 상대히전을 원하는 개구패턴의 정확한 수행에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축(1)과 편심테두리(2)가 일체적으로 회전되고 있을 때에는 빗장체(6, 7)위의 회전자(6a, 7a)가 원호 형상의 가이드(8a)위를 회전운동한다. 그 때문에 편심테두리(2)와 연결테두리(8)와의 사이의 상대 회전이 원활히 행하여지며 원하는 개구 패턴의 정확한 수행이 보장된다.
뿐만아니라 서보 모터(5)의 회전 속도 영의 기간을 순간으로 하거나 혹은 서보 모터(5)의 최저 회전 속도를 영이 아닌 저속도로 하여 결합 위치와 결합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빗장체(6, 7)를 전환 배치 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합 오목부(1a, 1b)는 넓게 열린 상태이며 결합 오목부(1a, 1b)에 결합하는 빗장체(6, 7)의 단부도 앞이 뾰족한 형상이기 때문에 결합 오목부(1a, 1b)가 저속으로 둘레 회전 이동 하고 있으면 빗장체(6, 7)와 결합 오목부(1a, 1b)와의 결합 이탈은 용이하다.
이어서, 제7도 및 제8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27)가 지지축(28)을 거쳐 연결 테두리(8)위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있다. 가이드(27)의 안둘레면은 연결 테두리(8)의 안둘레원의 반원호와 같은 형상이다. 가이드(27)는 끌어당김 스프링(11A)의 스프링 작용에 의해 전자 솔레노이드(12A)의 구동 로드(12a)에 맞닿아있다. 그밖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제7도에 도시하듯이 전자 솔레노이드(12A)가 소자상태일때에는 가이드(27)가 연결 테두리(8)의 안 둘레원에서 떨어져 있다. 제8도에 도시하듯이 전자 솔레노이드(12A)가 여자 상태 일때에는 가이드(27)의 안둘레면이 연결 테두리(8)의 안둘레원 위에 위치한다. 전자 솔레노이드(12A)의 여자는 구동축(1)이 회전하지 않는 기간내에 개시되며 구동축(1)의 여자는 구동축(1)이 회전하지 않는 기간내에 개시되며 구동축(1)의 반회전 종료직전에 소자된다.
제7도의 상태에서 (27)의 안둘레면이 연결 테두리(8)의 안둘레면 원 위에 배치되면 가이드(27)의 선단부가 회전자(6a)에 맞닿아서 빗장체(6)를 결합 오목부(1a)내에 밀어넣는다. 이 밀어 넣기에 위해 빗장체(6)가 결합 해제 위치에서 결합 위치로 변환 배치 된다. 구동축(1)이 반회전하면 회전자(6a)가 가이드(27)의 안둘레 면위를 회전운동 한뒤에 가이드(27)의 기단에서 떨어지며 빗장체(6)는 압축 스프링(3)의 스프링 작용에 의해 결합 위치에서 결합 해제 위치로 배치된다. 또한, 전자 솔레노이드(12A)는 소자되어 있으며 가이드(27)가 연결 테두리(8)의 안둘레 원에서 떨어진다. 따라서, 구동축(9)의 반회전 종료시에는 빗장체(7)의 회전자(7a)가 가이드(27)의 선단부에 맞닿는 일은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심 테두리(2)와 연결 테두리(8)와의 사이의 원활한 상대 회전을 일으키기 위한 가이드(27)가 밀어넣기 레버를 겸하고 있으며 회전자(6a, 7a)를 가이드 하는 기구 및 결합 변환 기구의 겸용화에 의한 결합 변환 수단의 간소화가 얻어진다.
이어서 제9도 및 제10도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호 현상의 가이드(27)가 지지축(28)을 거쳐서 연결 테두리(8)위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과 함께 원호 형상의 가이드(29)가 지지축(30)을 거쳐서 연결 테두리(8)위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이드(27, 29)는 같은 형상 같은 크기로서 반회전의 회전 대칭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27, 29)의 안둘레면은 연결 테두리(8)의 안둘레원의 반원호와 같은 형상이다. 가이드(27, 28)는 끌어당김 스프링(11A, 11B)의 스프링 작용에 의해 전자 솔레노이드(12A, 12B)의 구동 로드(12a)에 맞닿아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빗장체(6) 및 결합 오목부(1a)는 각각 1개뿐이며, 빗장체(6)가 결합 오목부(1a)에서 이탈된 결합 해제 위치와 결합 오목부(1a)에 결합된 결합위치로 변환 배치된다. 외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제9도에 도시하듯이 전자 솔레노이드(12A, 12B)가 소자 상태의 때에는 가이드(27, 29)가 연결 테두리(8)의 안둘레 원에서 떨어져 있다. 제10도에 도시하듯이 전자 솔레노이드(12A, 12B)가 여자 상태의 때에는 가이드(27, 29)의 안둘레면이 연결틀(8)의 안둘레원 위에 위치된다. 전자 솔레노이드(12A, 12B)의 여자는 구동축(1)이 회전하지 않는 기간내에 개시되며 구동축(1)의 회전 종료 직전에 소자된다.
제9도의 상태에서 가이드(27)의 안둘레면이 연결 테두리(8)의 안둘레원 위에 배치되면 가이드(27)의 선단부가 회전자(6a)에 맞닿아 빗장체(6)를 결합 오목부(1a)에 밀어 넣는다. 이 밀어 넣기에 의해 빗장체(6)가 결합해제 위치에서 결합 위치로 변환 배치된다. 구동축(1)이 반회전 하면 회전자(6a)가 가이드(27)의 안둘레면 위를 회전운동한 뒤에 가이드(27)의 기단에서 떨어지며 빗장체(6)는 압축 스프링(3)의 스프링 작용에 의해 결합 위치로부터 결합 해 제 위치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편심 테두리 (2)와 연결 테두리(8)와의 사이의 원활한 상대 회전을 일으키기 위한 가이드(27, 29)가 밀어넣기 레버를 겸하고 있다.
끼에다 본 발명의 변동 구동 모터를 이용한 개구 장치에 의하면 구동축(1)의 각속도 패턴을 매우 자유로이 변화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아래 개구 위치 혹은 휫 개구 위치에 종광틀을 유지하는 기간(소위 날실(經絲)정지각)의 변경 자유로이 상당히 높게 되며 양호한 직물(web)넣기, 직포의 휠링(felling)을 고려한 날실 정지각의 설정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세히 서술한 본 발명은 빗장체를 결합 해제 위치와 결합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환 배치 될때에는 구동축의 회전 속도를 상기 변환 장치의 전후 사이에서 통상 회전 속도로부터 감속하여 저속 또는 영으로 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빗장체의 결합 오목부에 대한 삽입 및 결합 오목부로 부터의 이탈이 확실하게 행하여져 구동축과 편심 테두리와의 결합 및 해제를 확실히 행하여 원하는 개구 패턴을 정확히 수행할 수 있다.
청구항 제2항의 발명에서는 변속 구동 모터의 회전 속도를 변속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날실 정지각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청구항 제3항의 발명에서는 1쌍의 결합 오목부의 어느 한쪽과 대향한 제1빗장체 및 제2빗장체의 어느 한쪽을 대향하는 결합 오목부에 결합시킨 변환 기구에 의해 결합 변환 수단을 구성하였기 때문에 결합 오목부에 대한 양 빗장체의 결합의 어느쪽도 단일의 결합 변환 기구에 의해 행할 수가 있으며 결합 변환 기구가 간소화된다.
청구항 제4항의 발명에서는 빗장체 위의 회전자가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서 가이드 위를 회전 운동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편심 테두리와 연결 테두리와의 사이의 상대 회전이 원활하게 행하여져 원하는 개구 패턴의 정확한 수행이 보장된다.

Claims (4)

  1. 구동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진 편심 테두리(偏心輸)와 구동축을 일체적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축위의 결합 오목부에 결합되는 결합 위치와 상기 구동축을 편심 테두리에 대하여 상대 회전시키도록 상기 결합 오목부로부터 이탈된 결합 해제 위치에 빗장체를 변한 배치하는 결합 변환 수단을 구비하여 종광틀()을 상하 움직이기 위한 구동력 전달계에 대해서 상기 편심 테두리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는 연결 테두리를 연결한 직기에 있어서의 개구장치에 의한 개구방법에 있어서, 상기 빗장체(錠上)를 결합 해제 위치와 결합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환 배치할 때에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 속도를 상기 변환배치의 전후의 사이에서 통상 회전 속도에서 감속하여 저속 또는 영으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Shedding)방법.
  2. 구동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어 맞춰진 편심 테두리와 구동축을 일체적으로 회전 시키도록 구동축상의 결합 오목부에 결합되는 결합 위치와 상기 구동축을 편심 테두리에 대해서 상대회전시키도록 상기 결합 오목부가 이탈된 결합 해체 위치에 빗장체를 변환 배치하는 결합 변환 수단을 구비하며 종광틀을 상하 움직이게 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계에 대하여 상기 편심 테두리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진 연결 테두리를 연결한 직기에 있어서의 개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변속 구동 모터와, 상기 변속 구동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변속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 있어서의 개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구동축의 둘레면의 반회전의 회전 대칭 위치에 형성된 1쌍의 결합 오목부와, 상기 편심 테두리의 긴 반경부에 반경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된 제1빗장체와, 상기 편심 테두리의 짧은 반경부에 반경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된 제2빗장체와, 상기 1쌍의 결합 오목부의 어느 한쪽과 대향한 상기 제1빗장체 및 제2빗장체의 어느 한쪽을 대향하는 결합오목부에 결합시키는 결합 변환 기구에 의해 결합 변환 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 있어서의 개구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빗장체에는 회전자를 장착함과 함께 상기 연결 테두리에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를 설치하며 상기 1쌍의 결합 오목부의 어느쪽 한쪽에 결합된 빗장체위의 회전자가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위를 회전 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 있어서의 개구 장치.
KR1019950006505A 1994-03-28 1995-03-27 직기에 있어서의 개구 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60012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80494A JPH07268742A (ja) 1994-03-28 1994-03-28 織機における開口方法及び装置
JP94-057804 1994-03-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834B1 true KR960012834B1 (ko) 1996-09-24

Family

ID=13066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6505A Expired - Fee Related KR960012834B1 (ko) 1994-03-28 1995-03-27 직기에 있어서의 개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675218A1 (ko)
JP (1) JPH07268742A (ko)
KR (1) KR960012834B1 (ko)
CN (1) CN112780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32066A1 (de) * 1996-02-28 1997-09-04 Ernst Kleiner Kupplungsvorrichtung für textilmaschinen und schaftmaschine mit kupplungsvorrichtung
BE1011281A3 (nl) * 1997-07-14 1999-07-06 Picanol Nv Aandrijfsysteem voor een weefkader van een weefmachine.
KR20020021447A (ko) * 2000-09-15 2002-03-21 서일부 도비직기의 개구운동장치
DE10318806A1 (de) * 2003-04-17 2004-11-11 Picanol N.V. Antrieb für Webschäfte einer Webmaschine
BE1015411A3 (nl) * 2003-03-12 2005-03-01 Picanol Nv Draagstructuur voor een weefmachine.
DE10318808A1 (de) * 2003-04-17 2004-11-04 Picanol N.V. Antrieb für Webschäfte einer Webmaschine
DE10318811A1 (de) * 2003-04-17 2004-11-04 Picanol N.V. Antrieb für Webschäfte einer Webmaschine
DE102005010807B3 (de) * 2005-03-07 2006-04-06 Groz-Beckert Kg Schaftantrieb für Webmaschinenschäfte
CN102912504A (zh) * 2012-10-22 2013-02-06 江苏万工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带移动副的平开口机构
CN104328565A (zh) * 2014-10-22 2015-02-04 杭州创兴织造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伺服电机的开口装置
EP3341509B1 (en) * 2015-08-26 2020-04-15 Picanol Drive mechanism with a sensor device for driving a heald frame of a weaving machine
CN108930083A (zh) * 2018-09-18 2018-12-04 山东日发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喷水织机的废边纱开口机构的动力传动装置
CN115478348A (zh) * 2022-09-13 2022-12-16 苏州汇川控制技术有限公司 织机控制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6856094A (zh) * 2023-06-17 2023-10-10 江苏友诚数控科技有限公司 一种由数控伺服电机驱动综框运动的开口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07899A (de) * 1964-01-21 1966-02-15 Staeubli Geb & Co Fachbildungs-Vorrichtung für Webstühle
DE3027402A1 (de) * 1980-07-19 1982-03-04 Johann Kai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Und Eisengiesserei, 8580 Bayreuth Getriebe, das aus einer gleichfoermigen antriebsbewegung eine ungleichfoermige abtriebsbewegung erzeugt
JPS5930931A (ja) * 1982-08-09 1984-02-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織機における開口装置
DE8710997U1 (de) * 1987-08-12 1987-11-26 Emil Jäger GmbH & Co KG, 4400 Münster Webmaschine mit einer mechanischen Schaftmaschine
IT1246701B (it) * 1990-07-11 1994-11-26 Nuovopignone Ind Meccaniche Ef Dispositivo di comando perfezionato per ratiere rotative ad altissima velocita'
JP3242123B2 (ja) * 1991-05-13 2001-12-25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の開口制御装置
JPH0657576A (ja) * 1992-08-07 1994-03-0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織機の開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7807A (zh) 1996-07-31
JPH07268742A (ja) 1995-10-17
EP0675218A1 (en) 1995-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2834B1 (ko) 직기에 있어서의 개구 방법 및 장치
EP1138546B1 (en) Transmission and clutch control
KR20130126731A (ko) 수동 기어박스의 자동 작동 장치
CN109882525A (zh) 一种双向可控式超越离合器及其控制方法
US5209270A (en) Key coupling device for high-speed rotary dobbies
JPH0327652B2 (ko)
US5918645A (en) Catch configurations for the pivot arms of a rotary dobby
KR101431647B1 (ko) 회전식 도비, 이러한 도비를 포함하는 직기, 및 이러한도비를 제어하는 방법
JPH0413458B2 (ko)
KR100385628B1 (ko) 경편기
SU1114345A3 (ru) Ротационна ремизоподъемна каретка ткацкого станка
JPH0347338B2 (ko)
SU1009280A3 (ru) Ротационна ремизоподъемна каретка дл ткацкого станка
EP1191137B1 (en) Coupling for rotationally connecting actuating shafts of weave machines and weaving looms
EP0768402B1 (en) Device for programming rotary dobbies in weaving machines
EP0485009B1 (en) Device for governing and controlling a rotary dobby of looms, having a profiled cam lever and associated cooperating opposition means
JPH0827642A (ja) 織機における開口装置
CN100564629C (zh) 用于执行织造机械中的旋转多臂机构的程序的装置
JP4412997B2 (ja) ドビーおよびドビーを備えた織機
SU1028252A3 (ru) Ремизоподъемна каретка дл ткацкого станка
KR100540023B1 (ko) 토션 레이스기
JP4248554B2 (ja) 織機のヘルドシャフトのためのシャフトドライブ
JP4482200B2 (ja) トーションレース機
EP1251194A1 (en) Improved programming device for rotary dobbies of weaving machines
KR100342265B1 (ko) 토션레이스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3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3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6082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7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