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12322B1 - 차량용 열펌프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열펌프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2322B1
KR960012322B1 KR1019880014213A KR880014213A KR960012322B1 KR 960012322 B1 KR960012322 B1 KR 960012322B1 KR 1019880014213 A KR1019880014213 A KR 1019880014213A KR 880014213 A KR880014213 A KR 880014213A KR 960012322 B1 KR960012322 B1 KR 960012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refrigerant
temperature
compressor
hea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4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7043A (ko
Inventor
아키이케 시게루
Original Assignee
산덴 가부시기가이샤
우시쿠보 도모아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27184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14680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4449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8013B2/ja
Application filed by 산덴 가부시기가이샤, 우시쿠보 도모아키 filed Critical 산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7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2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32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 F25B27/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using waste heat, e.g. from internal-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1Control means therefor for preventing the freezing of a heat excha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99Controlling the flow of liquid in a heat pump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13Control means therefor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in a vehicle heat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2001/009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comprising four way valves for controlling the fluid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2001/0096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comprising means for defrosting outside heat exc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55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emperature
    • B60H2001/3257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at a compress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6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 B60H2001/327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 compress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6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 B60H2001/3276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 condensing unit
    • B60H2001/3277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 condensing unit to control the air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열펌프 냉각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열펌프장치의 회로도.
제2(a)도는 제1도의 회로도의 냉각 사이클중의 상태도.
제2(b)도는 제1도의 회로도의 제상 사이클중의 상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열펌프 장치의 회로도.
제4(a)도는 제3도의 회로도의 냉각 사이클중의 상태도.
제4(b)도는 제3도의 회로도의 제상 사이클중의 상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열펌프 장치의 회로도.
제6도는 제5도의 제3실시예의 열교환기에 배치되는 도관과 드레인 팬의 개략도.
제7도는 제6도의 단면 Ⅶ에 따른 팬 보호판의 확대사시도.
제8도는 제6도의 단면 Ⅷ에 따른 드레인팬의 드레인 구멍의 확대 투시도.
제9(a)도는 제5도의 회로도의 냉각 사이클중의 상태도.
제9(b)도는 제5도의 회로도의 제상 사이클중의 상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열펌프장치의 회로도.
제11(a)도는 제10도의 회로도의 냉각 사이클중의 상태도.
제11(b)도는 제10도의 회로도의 제상 사이클중의 상태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열펌프장치의 회로도.
제13(a)도는 제12도의 회로도의 냉각 사이클중의 상태도.
제13(b)도는 제12도의 회로도의 제상 사이클중의 상태도.
제14도는 통상적인 열펌프장치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콤프레서 2 : 엔진
3 : 동력전달장치 4 : 사로 밸브
5 : 제1열교환기 6 : 제2열교환기
7 : 제1첵크 밸브 8 : 제1팽창 밸브
9 : 제2첵크 밸브 10 : 제2팽창 밸브
11 : 유출포트 12 : 유입포트
42 : 제1열결포트 43 : 제2연결포트
본 발명은 연속적인 변속엔진의 구동에 의해 내부의 냉매가 순환되는 콤프레서를 갖는 열펌프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콤프레서가 트럭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트럭과 같은 차량 내의 자동차 냉각 장치로 사용되는 열펌프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4도는 통상적인 건물용 열펌프 냉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열펌프 냉각 장치에는 V-벨트와 같은 동력 전달장치(3)를 통해서 엔진(2)에 의해 구동되는 냉매 콤프레서(1)가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엔진(2)은 일정속도 엔진이거나 또는 엔진에 연결되는 콤프레서의 용량을 조절하기 위해 몇개의 정해진 속도로 작동하는 다중속도(Multi-speed) 엔진이다. 열펌프 냉각 장치에는, 이 밖에도 사로(four-way) 밸브(4)와, 냉각실 밖에 위치하는 제1열교환기(5), 그리고, 냉각실 안에 위치하는 제2열교환기(6)가 포함된다. 콤프레서(1)의 유출 포트(Port)(11)는 사로 밸브(4)의 유입 포트(41)에 연결된다. 제14도에는 나타나있지 않지만, 냉각 싸이클중에 증발기로서 작용하는 제2열교환기(6)에 근접한 곳에 열센서를 장착하는 것이 보통이며, 그 열센서는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제2열교환기에 축적되는 서리의 양을 감지한다. 소정 온도 아래로 온도가 떨어지면, 열펌프 냉각장치는 제상(defrosting) 사이클로 전환된다. 이러한 것은, 열센서의 전압을 소정 전압과 비교하고 온도가 정해진 온도 이하로 떨어졌을 때 사로 밸브(4)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통상적인 전기회로(도시되지 않았음)에 의해 수생된다. 이 전기 회로는 또한, 제상 사이클 중에 팬(Fan)(14)를 끈다. 따라서, 사로 밸브(4)는 제14도에 도시하고 이하에 상세히 설명된 것처럼, 냉각 사이클과 제상 사이클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된다. 제14도에 있어서, 사로 밸브(4)의 제1연결 포트(42)는 제1열교환기(5)의 한쪽 단부에 연결된다. 제1열교환기(5)의 다른쪽 단부는, 제1첵크 밸브(7), 제1팽창 밸브(8), 제2첵크 밸브(9), 제2팽창 밸브(10)를 통해서 제2열교환기(6)의 한쪽 단부에 연결된다. 제2열교환기(6)의 다른쪽 단부는 사로 밸브(4)의 제2연결 포트(43)에 연결된다. 사로 밸브(4)의 제3연결 포트(44)는 콤프레서(1)의 유입 포트(12)에 연결된다.
냉각 사이클에서, 냉매는 제14도의 실선 화살표 방향을 따라 냉각 회로 내를 유동한다. 콤프레서(1)로 부터 방출된 냉매는 사로 밸브(4)의 제1연결 포트(42)를 통해서 제1열교환기(5)의 한쪽 단부로 유입된다. 제1열교환기(5)에서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는 응축되며, 그 냉매로부터 열이 제거된다. 냉매는 다시 제1열교환기(5)의 다른 쪽 단부로부터 제1책크 밸브(7)을 통해 제1팽창 밸브(8)로 유동한다. 냉매는 제1팽창 밸브(8)에서 팽창되어 제2열교환기(6)의 한쪽 단부로 흘러들어간다. 냉매는 제2열교환기(6)에서 기화되고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냉각실을 냉각시킨다. 그후에 냉매는 사로 밸브(4)의 제2 및 제3연결 포트(43, 44)를 통해 콤프레서(1)의 유입 포트(12)로 되돌아온다.
따라서, 냉각 사이클에서, 제1열교환기(5)는 응축기로서 사용되고, 제2열교환기(6)는 증발기로서 사용된다.
한편, 제상 사이클에서는, 냉매가 점선 화살표 방향을 따라 냉각회로내를 흐른다. 콤프레서(1)의 유출 포트(11)로 부터 방출된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 냉매는, 냉각 사이클에서의 유동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따라, 제2열교환기(6)로 유입된다. 냉매는 바로 밸브(4)의 제2연결 포트(43)를 지나 제2열교환기(6)로 흐른다. 제2열교환기(6)에서, 기체 상태의 냉매는 응축되고 열이 제거되어 고압의 액체 냉매로 변환한다. 이때, 냉각실내의 제2열교환기(6)의 외측면에 형성된 서리가 녹아서 드레인 팬(drain fan)(도시않됨)으로 들어간다. 드레인 팬 안에 모인 물을 드레인 호스(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해 제거된다. 고압의 액체 냉매는 제2열교환기(6)로 부터 제2체크 밸브(9)를 통해 제2팽창 밸브(10)로 유동하며, 그 제2팽창 밸브에서 압력이 낮춰진다. 액체 냉매는 다시 제1열교환기(5)로 흘러 들어가고 이곳에서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기체 상태로 변한다. 기체 상태의 냉매는 사로 밸브(4)의 제1 및 제3 연결 포트(42, 44)를 통해서 콤프레서(1)의 유입 포트(12)로 되돌아온다. 기체 상태의 냉매는 콤프레서(1)에 의해 다시 압축되고 방출된다. 상기 과정은 제2열교환기(6)에 형성된 서리가 제거될 때까지 반복된다. 따라서, 제상 사이클에서는 냉각 사이클과 달리 제1열교환기(5)가 증발기로서 이용되고 제2열교환기(6)는 응축기로서 이용된다. 종래의 열펌프 냉각장치의 결점중 하나는 외기 온도가 높을때 콤프레서(1)로부터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냉각 및 제상 사이클 모두에 있어 매우 높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다중 속도 열펌프 냉각 장치의 경우,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는 그 장치가 고속으로 작동하는 경우에 높아진다.
이외에도, 사로 밸브(4)에서 방출되고 흡입되는 냉매간의 열전달과 엔진(2)으로부터 콤프레서(1)로의 열전도에 의해서도 온도 상승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콤프레서(1)가 과열될 수 있고, 콤프레서(1) 또는 그 콤프레서(1)와 사로 밸브(4)를 연결하는 냉각호스가 손상될 수도 있다.
전술한 종래의 열펌프 냉각 장치의 또 하나의 결점은 제상 사이클중에 서리가 부분적으로만 제거된다는 것이다. 물이 드레인 팬 위로 떨어졌을때, 그 물이 냉각 사이클 동안 결빙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제상 사이클 동안에 제2열교환기(6)상의 서리뿐 아니라 드레인 팬 위의 서리도 녹여야 한다. 통상적인 장치에서는, 제상 사이클 동안 방출되는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제2열교환기(6)을 통과한 후 드레인 팬에 장착된 도관을 통과한다. 그러나, 냉매가 드레인 팬에 도달하면 온도가 떨어지고 제상 능력이 감소된다. 이때 물은 드레인 팬의 바닥 부분 및 드레인 팬에 형성된 물 배출구 주변에 결빙된다.
제14도에 도시된 통상적인 열펌프 냉각 장치의 또 다른 결점은, 콤프레서가 차량의 엔진에 의해 구동되게 되는 차량용 열펌프 냉각 장치로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비록 그러한 열펌프 냉각 장치가 대체로 더 효율적이고 우수한 제상 사이클을 갖지만, 차량의 엔진 속도가 연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 엔진에 의해 구동되게끔 사용되지는 않는다. 열펌프 냉각 장치의 콤프레서가 연속적으로 변속되는 엔진에 의해 구동된다면, 콤프레서의 속도도 연속적으로 변한다. 고속 엔진에 있어서는, 콤프레서의 속도도 높게되어, 그 콤프레서로 부터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상승하고, 그에 따라 냉각 장치의 제상 및 냉각 사이클 모두의 효율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 연속적으로 변속되는 엔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콤프레서를 갖춘 열펌프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럭과 같은 차량의 변속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콤프레서를 갖춘 차량용 열펌프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상의 차량용 냉각 장치보다 더 효율적인 차량용 열펌프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각 및 제상 사이클 모두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콤프레서로 부터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 상승을 보상하는 개선된 열펌프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냉각 및 제상 사이클 모두의 운전성을 개선하기 위해 냉각 및 제상 사이클 중에 콤프레서로부터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제어하여 과열을 방지하는 열펌프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냉각실에 장착된 열교환기에 근전합 드레인팬을 제상할 수 있으며 제상 능력이 향상된 열펌프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냉각 및 제상 사이클 중의 작동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콤프레서로 부터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 변화를 보상하는 열펌프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그 열펌프 냉각 장치에는 차량의 엔진과 같이 연속적으로 변속되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콤프레서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열펌프 냉각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엔진으로 구동되는 곳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엔진은 계속해서 속도가 변하고 그에 따라 콤프레서의 가동속도도 변화하므로, 본 발명의 열펌프 냉각 장치는,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바람직한 범위내로 유지하기 위해 냉각 및 제상 사이클 중에 냉각 회로의 배열을 바꾸어 콤프레서로 부터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변화를 보상한다.
본 발명에는 방출된 냉매의 온도에 감응하는 제1열센서와 냉각실안에 장착된 열교환기를 우회하는 제1바이패스 도관이 포함된다. 바이패스 도관에는, 냉각 사이클 중에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제1소정온도를 초과할 때, 우회 도관을 폐쇄하여 냉각실내의 열교환기의 회로를 단락시키며 열센서에 연결된 전자기밸브가 포함된다. 따라서, 콤프레서의 유입구로 공급되는 냉매의 온도가 낮아져서, 냉각 사이클동안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낮아지고 정해진 범위내에서 유지된다.
제상 사이클을 위해, 본 발명은 콤프레서로부터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에서 감응하는 제2열센서를 포함한다. 냉각실 밖에 장착된 열교환기를 우회하는 제2바이패스 도관을 마련한다. 이 제2바이패스 도관에는, 제상 사이클중에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제2소정 온도를 초과할 때, 제2바이패스 도관을 폐쇄하여 냉각실 밖에 장착된 열교환기의 회로를 단락시키며 제2열센서에 연결된 전자기 밸브가 포함된다. 제상 사이클중에 이 열교환기를 우회함으로써, 콤프레서의 유입구로 공급되는 냉매의 온도가 낮아지고, 따라서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낮춰 정해진 온도범위내에서 유지시킨다.
상기한 바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콤프레서로부터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바람직한 범위내로 유지하여 냉각 및 제상 사이클의 효율을 개선하는 기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여러가지 실시예를 첨부도면 및 다음의 바람직한 예를 통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및 특성들은 첨부도면과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열펌프 냉각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 열펌프 냉각 장치는 동력 전달장치(3)을 통해 연속적인 변속 엔진(2)에 의해 구동되는 콤프레서(1)를 포함한다. 이 열펌프 냉각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며, 엔진(2)은 차량 엔진인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을 간결히 하기위해, 제14도에 도시된 부품과 동일한 제1도의 나머지 요소들은 제14도에서 사용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 부호로 나타냈다. 제1도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제1바이패스 도관(26)은 제1열교환기(5)를 우회할 수 있도록 그 열교환기의 양쪽단부를 직접 연결한다. 제1전자기 제어 밸브(31)는 제1열교환기(5)와 병렬 연결된 제1바이패스 도관(26)내에 배치된 냉매의 양을 제어한다. 제2바이패스 도관(27)은 제2열교환기(6)을 우회할 수 있도록 그 열교환기의 양쪽 단부를 직접 연결한다. 제2전자기 제어 밸브(32)는 제2바이패스 도관(27)내에 배치되어 냉매의 양을 제어한다. 제1 및 제2열센서(21, 22)는 콤프레서(1)의 유출포트(11) 부근에 배치되어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감지한다.
제1도에 도시된 열펌프 냉각 장치의 전기 제어회로는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전기회로 요소 사이의 관계는 제1도에 점선으로 나타내었고, 전기 제어회로에 의해 제어되는 요소들의 상태도는 제2도에 나타내었다. 제14도에 도시된 종래의 냉각 장치에 관하여 전술한 것처럼, 대개 제상 센서가 냉각실내에 장착된 열교환기(이 경우에는 열교환기(6)) 부근에 설치되어 그 열교환기의 온도를 감지한다. 전기제어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상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정해진 수준 이하일 때, 4로 밸브를 작동시킴으로서 냉각 및 제상 사이클 사이에서 전기 제어회로가 자동적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를 그 제상 센서가 제공한다. 상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기 제어회로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아날로그 회로 또는 디지탈 회로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지탈 회로는 A/D 변화기를 통해 제상 센서로 부터 입력신호를 받아서 4개로 밸브의 위치를 냉각 사이클 위치로 부터 제상 사이클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바꾸도록 사로 밸브와 관련된 솔레노이드의 작동을 제어하는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할 것이다. 이 전자 제어 회로는 또한 팬(13, 14)의 작동도 제어한다.
본 발명에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탈 제어 회로가 사용될 수 있고, 후자의 경우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기본으로한 제어 회로가 될 것이다. 아날로그 및 디지탈 제어 회로의 배열 및 그러한 디지탈 제어 회로의 프로그래밍은 당업자가 제1도에 묘사된 전기회로 요소와 제2도의 상태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기 때문에, 제어회로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설명하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에, 열센서(21, 22)(제상 센서와 함께)가 A/D 커넥터를 통해 마이크로 컴퓨터에 입력신호를 제공하고, 그 마이크로 컴퓨터는 다시 이 입력신호에 반응하여 적절한 출력 피동 회로를 통해 전자기 밸브(31, 32), 사로 밸브(4)에 관련된 솔레노이드 및 팬(14)를 제어하는 출력신호를 발생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는 구성 요소와 상태도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 부터, 상기 모든 제어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 컴퓨터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을 것이다.
사로 밸브(4)의 위치에 감응하는 제1열센서(21)는 제1제어라인(36)을 통해 제1전자기 밸브(31)의 작동을 제어한다. 콤프레서(1)로부터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제1의 소정온도 이상이면, 제1열센서(21)는 제1전자기 밸브(31)로 제1개방제어(open-control) 신호를 보내고 제1전자기 밸브(31)을 작동시켜 제1도관(26)을 개방한다. 온도가 제1소정온도 보다 낮으면, 제1열센서는 제1전자기 밸브(31)로 제1폐쇄제어(close-control)신호를 보내고, 그에 따라 제1전자기 밸브(31)가 작동하여 제1도관(26)을 닫는다.
냉각 팬(14)과 관련되어 그 냉각 팬(14)이 켜지고 꺼짐에 따라 회로에 연결되거나 단락되는 제2열센서(22)는, 제2제어라인(37)을 통해 제2전자기 밸브(32)에 연결된다. 냉각 사이클중에 냉각 팬(14)이 켜지면, 센서(22)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가 회로로 전달된다.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제2의 소정 온도이상이면, 제2열센서(22)는 제2전자기 밸스(32)로 제2개방 제어신호를 보내고, 그에 따라 제2전자기 밸브(32)가 작동하여 제2도관(27)이 열린다. 방출된 냉매의 온도가 제2소정온도 미만이면, 제2열센서(22)는 제2전자기 밸스(32)로 제2폐쇄 제어신호를 보내고, 그에 따라 제2전자기밸브(32)가 작동하여 제2도관(27)이 폐쇄된다.
본 발명의 제1시시예에 따른 열펌프 냉각 장치의 작동을 제2도에 나타냈다.
냉각 사이클 중에, 냉각팬(14)이 작동되기 시작할 때 제2열센서(22)가 켜진다.
그러나, 이때, 사로 밸브(4)가 오프(off) 상태이기 때문에 제1열센서(21)는 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지 제2전자기 밸브(32)만이 작동하여 제2도관(27)을 열거나 닫는다. 냉각 사이클 중에, 냉매는 제1열 교환기(5)와 제1첵크 밸브(7)을 통과하고, 제1팽창 밸브(8)을 경유하여 제2열교환기(6)내로 유입된다.
그러나, 콤프레서(1)의 회전속도, 즉 엔진속도가 상승하거나 또는 외기온도가 상승하면, 콤프레서(1)로부터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는 제2소정온도 이상이되며, 그에 따라 제2열센서(22)는 제2전자기 밸브(32)로 제2개방 제어 신호를 보내 제2도관(27)을 개방한다. 따라서, 제1열교환기(5)로 부터 유출되는 저온의 기체 냉매는 콤프레서(1)의 유입 포트(12)로 직접 유입되고, 그에 따라 콤프레서(1)로 부터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점차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나서, 방촐된 냉매의 온도가 제2소정 온도 미만으로 떨어지면, 제2열센서(22)는 제2전자기 밸브(32)로 제2폐쇄 제어신호를 보내고 그 제2전자기 밸브를 작동시켜 제2도관(27)을 폐쇄한다. 그후, 기체 냉매의 온도는 제2열교환기(6)에서 열을 흡수함에 따라 상승한다. 사로밸브(4)를 통해 콤프레서(1)의 유입 포트(12)로 고온의 냉매가 유입됨에 따라, 콤프레서(1)로 부터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는 차츰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는 제2의 소정 온도에 가깝게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제상 사이클 중에, 냉각 팬(14)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제2열센서(22)는 오프(off) 상태가 된다. 반대로, 사로 밸브(4)는 온(on)상태가 되기 때문에, 제1열센서(21)가 제1전자기 밸브(31)를 제어한다. 제상 사이클중에, 제2열교환기(6)를 통과하는 냉매는 제1첵크 밸브(9)와 제2팽창 밸브(10)를 경유하여 제1열교환기(5)로 유입된다. 그러나, 콤프레서(1)의 회전속도 또는 외기 온도가 상승하면, 콤프레서(1)에서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는 제1소정온도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 높게 되고, 제1열센서(21)는 제1전자기 밸브(31)에 제1개방 조절신호를 보내 제1도관(26)을 개방한다. 따라서, 저온의 기체 냉매가 제2열교환기(6)로부터 콤프레서(1)의 유입포트(12)로 직접유동하고, 콤프레서(1)에서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는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그후, 방출되는 냉매 온도가 제1소정온도 미만으로 다시 떨어지는 경우, 제1열센서(21)는 제1전자기 밸브(31)로 제1폐쇄 제어 신호를 보내 제1도관(26)을 폐쇄시킨다. 그후, 기체 냉매의 온도는 제1열교환기(5)에서 열을 흡수함에 따라 다시 승상한다. 고온의 냉매가 사로 밸브(4)를 통해 콤프레서(1)의 유입포트(12)로 유입됨에 따라, 콤프레서(1)에서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는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그러므로,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는 제1소정 온도에 가깝게 제어될 수 있다.
제3도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열펌프 장치를 도시한다.
바이패스 도관(26a)은 제1열교환기(5), 제1첵크 밸브(7) 및 제2팽창 밸브(10)를 가로질러 접속된다. 제1모세관(33)은 제1열교환기(5)의 일단부와 제1전자기 밸브(31) 사이에서 제3도관(26a)을 따라 설치된다. 바이패스 도관(27a)은 제2열교환기(6), 제2첵크 밸브(9) 및 제1팽창 밸브(8)를 가로질러 연결된다. 제2모세관(34)은 제2열교환기(6)의 일단부와 제2전자기 밸브(32) 사이에서 도관(27a)을 따라 설치된다. 열센서(23)는 콤프레서(1)의 유출포트(11)에 근접 배치되어 그 유출 포트로 부터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검출한다.
엔진(2)으로부터 콤프레서(1)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자석 클러치(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 열센서(23)는 릴레이(50)에 접속된다. 사로 밸브(4) 또한 릴레이(50)에 접속된다. 릴레이(50)는 제1제어라인(36) 및 제2제어라인(37)을 통해 제1전자기 밸브(31) 및 제2전자기 밸브(32)에 각각 접속된다. 방출된 냉매의 온도가 소정온도와 같거나 그보다 높은 경우, 열센서(23)는 개방 제어신호를 릴레이(50)로 보낸다. 반대로, 방출된 냉매의 온도가 소정온도 미만인 경우, 열센서(23)는 폐쇄제어신호를 릴레이(50)로 보낸다. 사로 밸브(4)가 제상 싸이클에 있는지 또는 냉각사이클에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릴레이(50)는 개방 제어신호 또는 폐쇄 제어신호를 열센서(23)로 부터 전자기 밸브(31, 32)로 보낸다. 제1전자기 밸브(31)는 열센서(23)로부터의 개방 제어신호 또는 폐쇄 제어신호에 따라 바이패스 도관(26a)을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제2전자기 밸브(32)는 또한 열센서(23)로 부터의 개방제어 신호 또느 폐쇄제어 신호에 따라 바이패스 도관(27a)을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열펌프장치의 작동을 제4도에 도시한다.
열센서(20)는, 콤프레서(1)에 장착된 전자기 클러치가 온(on)상태가 될 때 작동되기 시작한다. 냉각 사이클 중에, 사로 밸브(4)는 오프(off) 상태이기 때문에, 릴레이(50)에는 전류가 공급되지 않고 열센서(23)가 제1전자기 밸브(31)와 접속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제2전자기 밸브(32)에 전류가 공급되고, 그 제2전자기 밸브가 작동하여 도관(27a)을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냉각 사이클중에 제1열교환기(5)를 통과하는 냉매는 제1첵크 밸브(7) 및 제1팽창 밸브(8)를 경유하여 제2열교환기(6)로 흐른다. 그러나, 콤프레서(1)의 회전속도 즉, 엔진속도가 높아지거나 또는 외기온도가 상승하면, 콤프레서(1)에서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는 소정온도와 같거나 또는 그 보다 높게 되고, 열센서(23)는 릴레이(50)를 통해 제2전자기 밸브(32)로 개방 제어 신호를 보내 도관(27a)을 개방한다.
따라서, 제1열교환기(5)로부터 배출되는 저온의 기체 냉매는 제1첵크 밸브(7)와 제2모세관(34)와 제2모세관(34)을 통해 콤프레서(1)의 유입포트(12)로 유동하며, 콤프레서(1)에서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는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그후,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다시 소정 온도 미만으로 내려가는 경우, 열센서(23)는 릴레이(50)를 통해 제2전자기 밸브(32)로 폐쇄 제어 신호를 보내어 도관(27a)을 폐쇄시킨다.
그후, 기체 냉매가 제2열교환기(6)에서 열을 흡수함에 따라 그 냉매의 온도는 다시 상승하기 시작한다. 고온의 냉매가 사로 밸브(4)를 통해 콤프레서(1)의 유입 포트(12)로 유동함에 따라, 콤프레서(1)에서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는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소정온도 근처에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상 사이클동안, 사로 밸브(4)는 온(on) 상태이기 때문에 릴레이(50)에는 전류가 공급되고, 그 릴레이는 열센서(23)와 제1전자기 밸브(31)가 접속하도록 작동한다. 제1전자기 밸브(31)는 제3도관(26a)을 개방하거나 폐괘하게끔 작동한다. 제상 사이클 중에, 냉매는 제2열교환기(6)를 통과하고 제2첵크밸브(9)와 제2팽창 밸브(10)를 경유하여 제1열교환기(5)로 유동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같이, 콤프레서(1)의 회전속도 또는 외기온도가 상승하면, 콤프레서(1)로부터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는 소정온도와 같거나 그보다 더 높게 되고, 열센서(23)는 개방제어 신호를 제1전자기 밸브(31)에 보내 도관(26a)을 개방한다. 따라서, 제2열교환기(6)로부터 방출되는 저온의 기체 냉매는 제2첵크 밸브(9)와 제2모세관(33)을 통과하고, 그후, 콤프레서(1)의 유입포트(12)로 유입되며, 콤프레서(1)로부터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는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그후,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소정온도 미만으로 다시 떨어지는 경우, 열센서(23)는 폐쇄제어 신호를 제1전자기 밸브(31)로 보내 도관(26a)을 폐쇄한다. 그후, 기체 냉매의 온도는 제1열교환기(5)에서 열을 흡수함으로서 다시 상승하기 시작한다. 고온의 냉매가 사로 밸브(4)를 통해 콤프레서(1)의 유입포트(12)로 유동함에 따라, 콤프레서(1)에서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는 점차적으로 상승된다. 따라서,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는 소정온도에 가깝게 제어될 수 있다.
제5도, 제6도, 제7도 및 제8도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다른 열펌프장치를 도시한다. 제1도에 도시된 열펌프 장치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제5도 내지 제8도에서도 동일한 부호로서 기재하였고, 이러한 요소에 관한 설명은 명세서 간략화를 하기 위해 생략하였다.
제5도 내지 제8도에 있어서, 열센서(22a)는 콤프레서(1)의 유출보트(11)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릴레이(50a)와 제2전자 밸브(32)에 접속된다.
릴레이(50a)는 콤프레서(1)에 장착된 전자기 클러치와 냉각 팬(14)에 접속된다.
냉각 사이클중에, 열센서(22a)는, 콤프레서(1)에서 방출된 냉매의 온도가 제2소정온도와 같거나 그 보다 높은 경우, 제2개방 제어신호를 제2전자기 밸브(32)로 보낸다. 방출된 냉매의 온도가 제2소정의 온도 미만인 경우, 열센서(22a)는 제2폐쇄제어 신호를 제2전자기 밸브(32)로 보낸다. 한편, 제상사이클중에 열센서(22a)는 방출된 냉매의 온도가 제2소정 온도와 같거나 또는 더 높은 경우, 제3폐쇄 제어 신호를 제2전자기 밸브(32)로 보낸다. 반대로, 방출 냉매의 온도가 제2소정 온도 미만인 경우, 열센서(22a)는 제3개방 제어 신호를 제2전자기 밸브(32)로 보낸다. 제2전자기 밸브(32)는 열센서(22a)로부터의 제3개방 제어 신호 또는 제3폐쇄 제어 신호에 따라 제2도관(27b)을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제상 파이프(61)를 내장한 드레인 팬(60)은, 제2열교환기(6) 아래에 설치되어 제상 사이클 중에 제2열교환기(6)의 외측면으로 부터 떨어지는 물을 수용한다. 드레인 팬(60)에 모인 물은, 드레인 팬(60)에 형성된 구멍(63)을 통해서 드레이 호스(62)로 배출된다. 제상 사이클동안, 제2열교환기(6) 통과한 냉매는 제2첵크 밸브(9)를 경유하여 제상 파이프(61)로 유입되는 드레인 팬(60)의 결빙을 막는다. 고온 냉매가 순환하는 제2도관(27b)이 드레인 팬(60)의 구멍(63)과 냉가 팬(14)의 보호판(14a) 주위에 설치되어, 보호판(14a)의 부분(A)과 구멍(63) 내측 부분(B)의 결빙을 막는다.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열펌프 장치의작동을 제9도에 도시하였다.
냉각 사이클 중에, 냉각 핀(14)이 작동하기 시작할때 릴레이(50a)는 온(on) 상태가 되고, 제2열센서(22a) 또한 온 상태가 된다. 그러나, 그와 동시에 사로 밸브(4)가 오프(off)되기 때문에, 제1열센서(21)는 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전자기 밸브(32)만이 작동하여 제2도관(27b)을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콤프레서(1)에서 방출된 냉매의 온도가 제2소정 온도보다 더 높은 경우, 제2열센서(22a)는 제2개방 제어신호를 제2전자기 밸브(32)로 보내 제2도관(27b)을 개방한다. 또한,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제2소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 제2열센서(22a)는 제2전자기 밸브로 제2폐쇄 제어 신호를 보내 제2도관(27b)을 폐쇄한다. 따라서,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제2소정 온도 가까이에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냉각 사이클에 관한 설명은 제1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생략하였다.
한편, 제상 사이클 중에, 릴레이(50a)는 냉각 팬(14)이 작동을 멈출때 오프된다.
따라서, 제2열센서(22a)는 , 콤프레서(1)에서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제2소정 온도와 같거나 그보다 더 높은 경우, 제2전자기 밸브(32)에 제2폐쇄 제어 신호를 보낸다. 방출된 냉매의 온도가 제2소정 온도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 제2열센서(22a)는 제2전자기 밸브(32)에 제3개방 제어 신호를 보낸다.
사로 밸브(4)가 온(on) 상태이기 때문에, 제1열센서(21)는 제1전자기 밸브(31)의 작동을 제어한다. 그러므로, 제상 사이클중에, 제1열센서(21)는 제1전자기 밸브(32)를 제어하여 제2도관(27b)을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제상 사이클중의 제2열센서(22a)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콤프레서(1)에서 방출된 냉매의 온도가 소정온도와 같거나 그보다 더 높은 경우, 제2열 센서(22a)는 제2전자기 밸브(32)로 제2폐쇄 제어 신호를 보낸다. 따라서, 콤프레서(1)에서 방출된 냉매는 사로 밸브(4)를 통해 제2열교환기(6)로 유입되어, 제2열교환기(6)의 외측면에 형성된 서리를 녹인다. 녹은 서리 또는 물은 드레인 팬(60)위에 떨어지고, 드레인 호스(62)를 통해서 배출된다. 이때, 방출 냉매의 온도가 제2소정 온도 미만인 경우, 제2열센서(22a)는 제2전자기 밸브(32)로 제3개방 제어 신호를 보내고, 제2전자기 밸브(32)는 제2도관(27b)을 개방한다. 방출된 냉매는 사로 밸브(4)를 통해 제2도관(27b)으로 흐른다. 제2도관(27b)이 구멍(63) 및 팬 보호판(14a) 둘레로 연장하기 때문에 그 구멍과 팬 보호판에 형성된 서리를 녹인다. 그후 냉매는 제2첵크 밸브(9)와 드레인 파이프(61)를 통해 유동한다. 상술한 구성은 고온의 냉매를 이용하여 제상 성능을 매우 향상하는 것으로 먼저 팬 보호판 위에 형성된 서리를 제거하여 그 서리가 팬을 정지하게 하는 것을 막고, 드레인 구멍에 형성된 서리를 제거하여 물을 빠지게 한다.
제10도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열펌프 냉각 장치를 도시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제10도에도 동일 부호로서 기재하였고, 그러한 구성 요소에 관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였다.
제10도에 있어서, 릴레이(50b)는 콤프레서(1)에 장착된 전자기 클러치와 사로 밸브(4)에 접속된다. 제2열센서(22b)는 릴레이(50c)와 전자기 클러치에 접속된다 릴레이(50c)는 제1전자기 밸브(31)에 접속된다. 냉각 사이클 중에, 콤프레서(1)에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제2소정 온도와 같거나 더 높은 경우, 제2열센서(22b)는 제2전자기 밸브(32)로 제2개방 제어 신호를 보낸다.
이것은 릴레이(50b, 50c)를 제어함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출된 냉매 온도가 제2소정 온도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 제2열센서(22b)는 제2전자기 밸브(32)로 제2폐쇄 제어 신호를 보낸다. 한편,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상 사이클 중에 제2열센서(22b)는 방출된 냉매의 온도가 제2소정 온도와 같거나 더 높은 경우 제2전자기 밸브(32)로 제3폐쇄 제어 신호를 보낸다. 방츨된 냉매의 온도가 제2소정 온도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 제2열센서는 제2전자기 밸브(32)로 제3개방 제어 신호를 보낸다. 제2전자기 밸브(32)는 제2 및 제3개방 제어 신호에 따라 제2도관(27b)을 개방하고, 제2 및 제3패쇄 제어 신호에 따라 제2도관(27b)을 폐쇄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열펌프 장치의 작동을 제11도에 도시한다.
냉각 사이클 중에, 전자기 클러치가 작동을 시작하는 경우, 제2열센서(22b)는 작동 상태에 있다. 그러나, 이때, 사로 밸브(4)가 오프(off) 상태이기 때문에, 제1열센서(21) 및 릴레이(50b)는 작동되지 않는다. 콤프레서(1)에서 방출된 냉매의 온도가 제2소정 온도보다 더 높은 경우, 릴레이(50c)는 그 릴레이의 접점을 폐쇄하도록 작동되고, 제2열센서(22b)는 제2전자기 밸브(32)로 제2개방 제어 신호를 보내 제2도관(27b)을 개방한다. 그후, 방출된 냉매 온도가 제2소정 온도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 제2열센서(22b)는 제2전자기 밸브(32)에 제2폐쇄 제어 신호를 보내 제2도관(27b)을 폐쇄한다. 따라서, 제2전자기 밸브(32)는 제2열센서(22b)에 의해 제어되어 제2도관(27b)을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냉각 사이클에 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제1실시예에 기재한 바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생략한다.
한편, 제상 사이클 중에, 전자기 클러치가 작동하기 시작하는 경우, 제2열센서(22b)는 작동 상태가 된다. 이때, 사로 밸브(4)가 온(on) 상태이기 때문에, 제1열센서(21)와 릴레이(50b)는 작동 상태에 있다. 즉, 제1열센서(21)는 제1전자기 밸브(31)를 개방하고, 릴레이(50b)의 접촉점은 폐쇄된다. 콤프레서(1)에서 방출된 냉매의 온도가 제2소정 온도보다 높은 경우, 릴레이(50c)는 작동되어 그 릴레이의 접촉점을 폐쇄하며, 제2열센서(22b)는 제2전자가 밸브(32)에 제3폐쇄 신호를 보내 제2도관(27b)을 폐쇄한다. 그 후에, 방출된 냉매의 온도가 제2소정 온도 미만으로 떨어졌을 때, 제2열센서(22b)는 제3개방 제어 신호를 제2전자기 밸브(32)로 보내 제2도관(27b)을 개방한다.
따라서, 제1전자기 밸브(31)는 제1열센서(21)에 의해 제어되어 제1도관(26)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며, 제2전자기 밸브(32)는 제2열센서(22b)에 의해 제어되어 제2도관(27b)을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제상 사이클 동안의 제1전자기 밸브(31)의 작동에 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제1실시예에 기재한 바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생략하였다. 또한, 제2전자기 밸브(32)에 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제3실시예에 기재한 바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생략하였다.
제12도에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열펌프 냉각 장치를 도시하였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제12도에도 동일 부호로 기재하였고, 이러한 구성 요소에 관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였다.
제12도에 있어서, 제2열센서(22)는 콤프레서(1)의 유출 포트(11)에 인접해서 설치되어 방출된 냉매의 온도를 검출한다. 이러한 센서는 냉각 사이클 중에 냉각 팬(14)이 온(on) 상태에 있을 때 작동되며, 제어라인(37)을 통해 전자기 밸브(32)를 제어한다. 제3체크 밸브(71) 및 모세관(72)은 제1도관(26)을 따라 설치된다. 방출된 냉매의 온도가 소정 온도와 같거나 그 보다 더 높은 경우, 열센서(22)는 개방 제어 신호를 전자기 밸브(32)로 보내고, 전자기 밸브(32)는 작동되어 제2도관(27)을 개방한다. 방출된 냉매의 온도가 소정 온도 미만인 경우, 열센서(22)는 전자기 밸브(32)로 폐쇄 제어 신호를 보내고, 전자기 밸브(32)는 제2도관(27)을 폐쇄하게끔 작동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열펌프 장치의 작동을 제13도에 도시한다.
냉각 사이클 중에, 열센서(22)는 냉각 팬(14)이 작동하기 시작할 때 작동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때 사로 밸브(4)는, 정상적인 냉각 사이클 위치에 있다면, 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자기 밸브(32)만이 제2도관(27)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작동한다. 열센서(22) 및 벨브(32)의 작동에 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제2실시예에 기재한 바와 같기 때문에 생략하였다.
한편, 제상 사이클 중에, 냉각 팬(14)이 오프(off)되어 있을 때, 열센서(22)는 작동 상태에 있지 않는다. 전자기 밸브(32)는 제2도관을 폐쇄하고, 사로 밸브(4)는 제상 사이클 위치로 작동된다. 제상 사이클중에, 제2열교환기(6)에서 방출되는 냉매는 제1첵크 밸브(9), 드레인 파이프(61) 및 제2팽창 밸브(10)를 통해 제1열교환기(5)로 유입된다. 냉매의 일부는 또한 제1열교환기(5)를 우회하고, 모세관(72)으로 유입된다. 제1열교환기(5)를 우회하는 냉매의 양은 엔진(2)의 회전 속도에 따라 변하는 제1열교환기의 단부들사이의 압력차에 따라 변하며, 주위 공기 온도에 따라 변한다. 따라서, 저온 기체 냉매의 일부분은 사로 밸브(4)를 통해 콤프레서(1)의 유입 포트(12)로 흐르고, 나머지 부분은 제1열교환기(5)를 경유하여 유입 포트(12)로 흐른다. 그러므로, 콤프레서(1)에서 방출된 냉매의 온도는 점차적으로 감소되고, 콤프레서(1)에서 방출된 냉매의 온도는 소정 온도에 가깝게 제어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그것은 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이 그러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도 본 발명을 용이하게 변형하고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7)

  1. 격실을 냉각하기 위한 열펌프 냉각 장치로서, 상기 격실 외부에 장착되는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1열교환기와 연결되고 상기 격실 내부에 장착되는 제2열교환기와, 콤프레서와, 상기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 사이에, 그리고 상기 콤프레서와 상기 제1 및 제2열교환기 사이에 연결되어 냉매를 전달하는 냉매도관과, 하나의 위치에서는 냉매가 일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열교환기로 흐르고, 다른 하나의 위치에서는 냉매가 반대방향으로 유동하는 두개의 위치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으며, 상기 콤프레서와 제1 및 제2열교환기 사이에 연결되는 밸브 메카니즘과, 상기 밸브 메카니즘에 연결되어, 냉매가 상기 제1열교환기로부터 제2열교환기로 유동하는 냉각 사이클과 냉매가 그와는 반대방향으로 유동하는 제상 사이클 사이에서 밸브 메카니즘의 위치를 전환시키는 사이클 제어 수단과, 상기 제2열교환기에 연결되어, 냉매의 적어도 일부가 제2열교환기를 우회하게끔 하는 제1바이패스 도관과, 냉각 사이클 중에 상기 콤프레서로 부터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수단과, 냉각 사이클 중에 그 방출된 냉매의 온도가 제1소정 온도보다 높다는 것을 상기 온도 측정 수단이 탐지한 경우 상기 제1바이패스도관을 적어도 부분적으로라도 개방시키기 위한 신호를 보내는 전기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온도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펌프 냉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기에 연결되어 냉매의 적어도 일부가 제1열교환기를 우회하게끔 하는 제2바이패스 도관을 구비하고, 상기 온도 제어 수단은 제상 사이클 중에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온도가 제2의 소정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2바이패스 도관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펌프 냉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정 온도와 제2소정 온도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펌프 냉각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바이패스 도관에 장착된 전자기 밸브들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온도 제어 수단은 방출 냉매의 측정된 온도에 반응하여 상기 전자기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펌프 냉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기에 연결되어, 냉매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열교환기를 우회하게끔 하는 제2바이패스 도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펌프 냉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이패스 도관은 첵크 밸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펌프 냉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이패스 도관은 모세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펌프 냉각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제상 사이클 중에,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제2소정 온도보다 높은 경우 모든 냉매는 상기 제2바이패스 도관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펌프 냉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냉각 사이클 중에, 방출 냉매의 온도가 제1소정 온도 보다 높은 경우 모든 냉매는 상기 제1바이패스 도관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펌프 냉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콤프레서에 연결되어 그 콤프레서를 구동하는 연속적인 가변속 엔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펌프 냉각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인 가변속 엔진은 자동차 엔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펌프 냉각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교환기에 인접한 드레이 팬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드레인 팬은 그 드레인 팬내에 모인 물을 배출하는 배출 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2열교환기의 유입구에 인접한 바이패스 도관 부분은 상기 배출 구멍과 근접 배치되어 그 배출 구멍에 형성된 서리를 녹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펌프 냉각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교환기에 근접 배치되어 상기 드레인 팬을 지지하고 둘러싸는 보호판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열교환기의 유입구에 인접한 상기 바이패스 도관 부분은 상기 보호판내에 위치하여 그 보호판내에 형성된 서리를 녹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펌프 냉각 장치.
  14. 격실을 냉각하기 위한 열펌프 냉각 장치로서, 상기 격실 외부에 장착되는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1열교환기와 연결되고 상기 격실 내부에 장착되는 제2열교환기와, 콤프레서와, 상기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 사이에, 그리고 상기 콤프레서와 상기 제1 및 제2열교환기 사이에 연결되어 냉매를 전달하는 냉매도관과, 하나의 위치에서는 냉매가 일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열교환기로 흐르고, 다른 하나의 위치에서는 냉매가 반대방향으로 유동하는 두개의 위치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으며, 상기 콤프레서와 제1 및 제2열교환기 사이에 연결되는 밸브 메카니즘과, 상기 밸브 메카니즘에 연결되어, 냉매가 상기 제1열교환기로부터 제2열교환기로 유동하는 제상 사이클과 냉매가 그와는 반대방향으로 유동하는 제상 사이클 사이에서 밸브 메카니즘의 위치를 전환시키는 사이클 제어수단과, 상기 제2열교환기에 연결되어, 냉매의 적어도 일부가 제2열교환기를 우회하게끔 하는 제1바이패스 도관과, 제상 사이클 중에 상기 콤프레서로 부터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수단과, 제상 사이클 중에 그 방출된 냉매의 온도가 제1소정 온도보다 높다는 것을 상기 온도 측정 수단이 탐지한 경우 상기 제1바이패스 도관을 적어도 부분적으로라도 개방시키기 위한 신호를 보내는 전기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온도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펌프 냉각 장치.
  15. 자동차에 장착되어 자동차의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격실 냉각용 냉각 장치로서,상기 격실 외측에 장착된 제1열교환기와, 상기 격실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열교환기에 연결되는 제2열교환기와, 자동차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콤프레서와 상기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 사이에, 그리고 상기 콤프레서와, 상기 제1 및 제2열교환기 사이에 연결되어 냉매를 전달하는 냉매 도관과, 하나의 위치에서는 냉매가 일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열교환기로 흐르고, 다른 하나의 위치에서는 냉매가 반대방향으로 유동하는 두개의 위치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으며, 상기 콤프레서와 제1 및 제2열교환기 사이에 연결되는 밸브 메카니즘과, 상기 밸브 메카니즘에 연결되어, 냉매가 상기 제1열교환기로 부터 제2열교환기로 유동하는 제상 사이클과 냉매가 그와는 반대방향으로 유동하는 제상 사이클 사이에서 밸브 메카니즘의 위치를 전환시키는 사이클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펌프 냉각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교환기에 연결되어, 냉매의 적어도 일부가 제2열교환기를 우회하게끔하는 제1바이패스 도관과, 냉각 사이클 중에 상기 콤프레서로 부터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 수단과, 냉각 사이클 중에 그 방출된 냉매의 온도가 제1소정 온도보다 높다는 것을 상기 온도 측정수단이 탐지한 경우 상기 제1바이패스 도관을 적어도 부분적으로라도 개방시키기 위한 신호를 보내는 전기제어회로를 포함하는 온도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펌프 냉각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기에 연결되어 냉매의 적어도 일부가 제1열교환기를 우회하게끔 하는 제2바이패스 도관을 구비하고, 상기 온도 제어 수단은 제상 사이클 중에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온도가 제2의 소정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2바이패스 도관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펌프 냉각 장치.
KR1019880014213A 1987-10-29 1988-10-29 차량용 열펌프 냉각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60012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71,849 1987-10-29
JP62-271849 1987-10-29
JP62271849A JPH01114680A (ja) 1987-10-29 1987-10-29 ヒートポンプ式冷却装置
JP63044498A JPH0638013B2 (ja) 1988-02-29 1988-02-29 ヒートポンプ式冷却装置
JP63-44,498 1988-0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043A KR890007043A (ko) 1989-06-17
KR960012322B1 true KR960012322B1 (ko) 1996-09-18

Family

ID=26384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4213A Expired - Fee Related KR960012322B1 (ko) 1987-10-29 1988-10-29 차량용 열펌프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052189A (ko)
KR (1) KR9600123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2684B2 (ja) * 1992-03-16 2002-09-09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US5526650A (en) * 1993-09-21 1996-06-18 Nippondenso Co., Ltd. Air-conditioning apparatus
DE69503822T2 (de) * 1994-04-21 1999-04-01 Denso Corp., Kariya, Aichi Klimaanlage
US6370903B1 (en) 2001-03-14 2002-04-16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Heat-pump type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system for fuel cell vehicles
JP2008514895A (ja) * 2004-10-01 2008-05-08 ハイドロクール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逆ペルチェ除霜システム
US8657207B2 (en) * 2008-08-26 2014-02-25 Lg Electronics Inc. Hot water circulation system associated with heat pump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6000750A1 (en) * 2014-06-30 2016-01-07 A.P. Møller A/S Method for reducing ice formation in a cooling unit
US10703174B2 (en) 2015-11-30 2020-07-07 Thermo King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ransport refrigeration unit
CN114734782B (zh) * 2022-04-25 2022-12-16 杭州绿能新能源汽车部件有限公司 热管理系统的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815A (en) 1887-03-22 Door-securer
US2363273A (en) * 1943-06-02 1944-11-21 Buensod Stacey Inc Refrigeration
US2779162A (en) * 1952-12-04 1957-01-29 Gen Motors Corp Automobile refrigerating apparatus
US2958209A (en) * 1958-11-03 1960-11-01 Basil G Egon Heat pump
US2963878A (en) * 1959-06-19 1960-12-13 United Aircraft Corp Compressor surge prevention and drive motor cooling system
US3074249A (en) * 1960-06-15 1963-01-22 Ray M Henderson Refrigeration system and apparatus having a heating cycle and a cooling cycle
US3006163A (en) * 1960-09-29 1961-10-31 Gen Electric Compressor motor cooling arrangement for reversible refrigeration system
US3006164A (en) * 1960-09-29 1961-10-31 Gen Electric Reversible refrigeration system
US3564865A (en) * 1969-08-06 1971-02-23 Gen Motors Corp Automotive air-conditioning system
JPS5223402B2 (ko) * 1973-10-12 1977-06-24
JPS5517017A (en) * 1978-07-20 1980-02-06 Tokyo Shibaura Electric Co Air balanc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043A (ko) 1989-06-17
US5052189A (en) 199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5119B2 (ja) 冷凍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JP3635120B2 (ja) 冷凍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US5904049A (en) Refrigeration expansion control
US4770000A (en) Defrosting of refrigerator system out-door heat exchanger
US5228301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refrigeration system
US5410889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refrigeration system
KR900003052B1 (ko) 냉동장치의 냉매유량 제어장치
JP3237187B2 (ja) 空調装置
KR900003353Y1 (ko) 공기 조화기
US5729985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ir conditioning
US4833893A (en) Refrigerating system incorporating a heat accumulat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4932221A (en) Air-cooled cooling apparatus
KR960012322B1 (ko) 차량용 열펌프 냉각 장치
KR950014470B1 (ko) 공기조화기
JPH0156355B2 (ko)
JP2789852B2 (ja) 製氷装置
JP3060444B2 (ja) 空調装置
JPS61159072A (ja) 冷凍装置
JPH0828913A (ja) 氷蓄熱式冷凍機ユニット
JPH086991B2 (ja) 冷凍装置
JPH05768Y2 (ko)
KR20030015050A (ko) 냉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06241583A (ja) 冷凍装置
JPS5829432Y2 (ja) 冷却装置
JPH0618098A (ja) 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9091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90919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