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11604B1 -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섬유 - Google Patents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1604B1
KR960011604B1 KR1019940009832A KR19940009832A KR960011604B1 KR 960011604 B1 KR960011604 B1 KR 960011604B1 KR 1019940009832 A KR1019940009832 A KR 1019940009832A KR 19940009832 A KR19940009832 A KR 19940009832A KR 960011604 B1 KR960011604 B1 KR 960011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iber
sodium sulfo
polyester resin
isophtha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9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2752A (ko
Inventor
한동수
정도영
황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경인더스트리
김준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경인더스트리, 김준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경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19940009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1604B1/ko
Publication of KR950032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2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1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60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섬유
본 발명은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섬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적 내후성과 가수분해성이 양호하며, 섬유화하였을때 섬유의 물리적 성질이 우수하고 특히 수지 및 섬유 제조공 정성이 우수한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섬유에 관한 것이다.
이용성/수용성 섬유는 종래부터 자수바닥 소재로 사용되거나 일반 직물 또는 편물에서 새로운 외관이나 촉감을 발현하기 위한 소재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면직물을 제조함에 있어 꼬임수를 줄임으로서 부드러운 촉감을 향상시키는 소재로 그 용도가 넓어지고 있다.
종래에는, 상기의 용도로 주로 수용성 폴리비닐알콜 섬유(이하, PVA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상기의 PVA 섬유는 개질된 폴리비닐알콜의 중합도가 1700~3500 정도인 수지를 용제에 녹여 건식방사 후 건열처리, 아세탈화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이 섬유는 고온다습한 조건에서 수분을 흡습하여 강도 및 신도 등 기본적인 기계적 물성이 약해지며 또한 수분에 의해 쉽게 팽윤되므로 직물의 형태 안정성이 불량해지는 등 상기 PVA 섬유로 제품을 제조하는데에는 적절한 온도 및 습도의 유지가 필히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PVA 섬유는 끓는 물 중에서도 완전 용해되는 등 용해성이 우수한 반면에, 용해시 PVA 섬유의 고분자 결합이 절단되지 않고 완전한 고분자 상태로 물에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폐수 처리시 환경오염의 측정기준이 되는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및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의 값이 상당히 높아 폐수처리에 소요되는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다. 이러한 PVA 섬유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용성/수용성 합성수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특히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하여 일본 특공소 63-159525 및 일본 특공소 63-165516에서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주성분으로 하여 5-나트륨설포이소프탈산, 이소프탈산, 분자량 400~6000의 폴리옥시알킬글리콜 및 선상 에스테르 형성성 디카르본산 등을 공중합시켜 수지를 합성하고 이를 섬유화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지는 30~40몰%의 공중합 물질이 첨가되어 있어서 수지의 제조 공정성은 물론 섬유화하기 위한 용융방사 및 연신하는 제사 공정성이 극히 불량하며 또한 제조된 섬유도 강도가 0.6~1.0g/데니어 수준으로 이를 이용하여 제직, 제편 등의 가공공정 등을 거치게 되면 사절이 심하게 발생되어 생산효율이 저하함은 물론 제품의 품질도 불량하여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가성소오다 1% 이하의 약알칼리 농도의 조건에서 용이하게 용해, 가수분해되며 강도, 내열성 등의 물리적 성질이 우수하고 열가소성으로서 상용의 설비로 용융방사가 가능한 섬유 고분자를 사용하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제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테레프탈산 또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의 에스테르 형성성 디에시드에 대하여 2~7몰%의 5-나트륨설포 이소프탈레이트 또는 5-나트륨설포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와 수평균 분자량이 2500~20000인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성분 5~15중량% 그리고 아래식(1)로 표현되는 화합물 0.5~5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단, n : 5~20 사이의 정수
X : -OSO3-, -SO3-, -COOH-, 또는 페닐
M :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에 속하는 무기금속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지 조성물을 용융, 방사, 연신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약 알칼리 수용액에서 용이하게 분해 및 용해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관한 것으로서, 수지 및 섬유제조 공정성이 우수하고 물리적인 특성이 우수한 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및 섬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5-나트륨설포 이소프탈레이트 또는 5-나트륨설포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치밀한 결정구조를 비결정구조로 변화시켜 용해성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며,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성분은 이 화합물 자체의 친수성과 높은 유동성으로 용해/분해성을 촉진하여 알칼리에 의한 가수분해 특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화합물(1)은 구조 중에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부분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어 소수성인 폴리에스테르와 친수성인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부분의 가교역할을 하여 알칼리 의한 가수분해 중의 용해/분해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수지 조성물 중에서 에스테르 형성성 디에시드에 대해 5-나트륨설포 이소프탈레이트 또는 5-나트륨설포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의 함량은 2~7몰%가 적당한 바, 2몰% 미만에서는 용해/분해성이 부족하여 이를 해결하려면 가성소오다의 투입량이 많아지게 되어 후공정에서 같이 사용되는 다른 섬유를 취화 또는 분해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7몰%를 초과할 때는 섬유형성성 수지의 제조 및 섬유화 제조공정성이 매우 불량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수평균 분자량 2,500~20,000인 수용성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성분의 함량은 5~15중량%가 적당한바, 5중량% 미만에서는 용해가공 공정시간이 길어져 경제성이 저하하며, 15중량%를 초과할때는 섬유 제조공정성이 불량하여지며 제조된 섬유의 강도가 낮아진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섬유를 완전히 분해/용해하는 가공조건은 가성소오다 0.3~1중량% 또는/및 음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음이온과 비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임계미셀농도(CMC)량으로 조성된 수용액에서 70~98℃로 20분 이내이다. 여기에서 이용성 섬유를 분해/용해함에 있어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것은 분해물들 중 일부 물에 용해되지 않는 것을 유화-분산시켜 기계장치 내에 침적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가수분해를 촉진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첨가하지 않아도 이용성 섬유의 용해/분해성이 저하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인장강도가 3.0g/데니어 이상으로 우수하고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도 물성의 변화가 없으며 또한 제조된 섬유를 분해/용해하는 공장기구도 1.0중량% 이하의 가성소오다 수용액에서 처리함으로서 섬유를 가수분해하여 저분자 상태로 분해/용해하거나 저중합체(Oligomer)를 유화 분산하는 방법이므로 비교적 간편한 잇점이 있다.
이와 같이 수지 조성물이 저분자 상태로 분해/용해되기 때문에 용해되어 고분자 상태로 있는 폴리비닐알콜에 비하여 폐수처리시 상대적으로 낮은 산소 요구량을 보이므로 환경 오염방지의 효과도 뛰어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수지는 용해형 극세사의 제조시 용해부분의 수지로 사용할 수 있고 단독으로 섬유화하여 자수바닥, 분리직편물 및 기타 제품구성 일부를 제거하여 차별화 또는 신규의 부가가치 제품을 제조할때 소재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섬유의 특성을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강 도 : 만능 인장시험기(UTM)에서 일정 속도로 섬유를 신장시키면서 섬유가 절단되는 시점의 강력을 섬유의 데니어로 나눈 수치.
* 잔류율 : 제조된 섬유를 양말짜기 제편기에서 편직한 후 건조하여 10g 수준을 정확히 칭량하여 0.5중량%의 85℃ 가성소오다 수용액에서 20분간 처리한 후 200메쉬의 거름망으로 거른 후 거름망에 모여진 비 분해/용해물의 건조중량으로부터 계산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는 바,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5]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1000부, 에틸렌글리콜 640부, 5-나트륨설포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를 소정량 및 교환반응 촉매로서 초산나트륨 2수염을 1.3부 첨가하여 3시간에 걸쳐 온도를 150℃에서 220℃까지 서서히 가열하여 승온하면서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메탄올을 계외로 유출하면서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행하였다. 이론적인 메탄올 유출량의 95% 이상이 유출되면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종료시키고 소정의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화합물(1)을 소정량 투입하고 안정제로서 트리메틸인산 0.46부, 중축합 반응촉매로서 삼산화안티몬 0.38부를 첨가한 후 20분간 교반하면서 내부온도를 240℃로 승온하였다. 얻어진 생성물을 미리 240℃로 가열된 중축합 반응조로 옮기고 상압의 질소 분위기 하에서 15분간 교반하여 내용물을 안정화시킨 후 60분간에 걸쳐 내부온도를 240℃에서 280℃로 승온하면서 반응계를 0.1mmHg까지 감압하고 이후에는 280℃, 0.1mmHg의 상태에서 원하는 수준의 용융점도에 도달할 때까지 반응을 지속하여 소정 물성의 수지를 얻어 칩화하였다. 얻어진 수지를 통상방법에 따라 건조하고 용융 압출형 방사기에서 방사온도 270℃, 방사속도 1200m/분으로 용융방사하여 미연신사를 제조하고 이를 공급로울러, 열처리 플레이트 및 연신로울러로 구성된 연신기에서 최종적인 연신사의 파단 신도가 30~40%인 40D/12F의 섬유를 제조하여 각각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를 제조하여 섬유를 제조하였으며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40D/12F 섬유를 사용하여 용해 특성을 조사하였다.
※ DMS : 5-나트륨설포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
※ PEG : 폴리에틸렌글리콜
※ SDBS : 소디움 도데실 벤젠 설포네이트

Claims (4)

  1. 테레프탈산 또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의 에스테르 형성성 디에시드에 대하여 2~7몰%의 5-나트륨설포 이소프탈레이트 또는 5-나트륨설포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와 수평균 분자량이 2500~20000인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성분 5~15중량% 그리고 아래식(1)로 표현되는 화합물 0.5~5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단, n : 5~20 사이의 정수
    X : -OSO3-, -SO3-, -COOH-, 또는 페닐
    M :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에 속하는 무기금속
  2. 테레프탈산 또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의 에스테르 형성성 디에시드에 대하여 2~7몰%의 5-나트륨설포 이소프탈레이트 또는 5-나트륨설포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와 수평균 분자량이 2500~20000인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성분 5~15중량% 그리고 아래식(1)로 표현되는 화합물 0.5~5중량%를 함유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용융, 방사, 연신하여 제조된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단, n : 5~20 사이의 정수
    X : -OSO3-, -SO3-, -COOH-, 또는 페닐
    M :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에 속하는 무기금속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강도가 3.0g/데니어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1.0중량% 이하의 가성소오다 수용액에서 완전 분해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
KR1019940009832A 1994-05-04 1994-05-04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섬유 Expired - Fee Related KR960011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9832A KR960011604B1 (ko) 1994-05-04 1994-05-04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섬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9832A KR960011604B1 (ko) 1994-05-04 1994-05-04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섬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752A KR950032752A (ko) 1995-12-22
KR960011604B1 true KR960011604B1 (ko) 1996-08-24

Family

ID=19382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9832A Expired - Fee Related KR960011604B1 (ko) 1994-05-04 1994-05-04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섬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16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211B1 (ko) * 2013-11-28 2014-07-10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C형 중공섬유를 이용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487941B1 (ko) * 2013-11-20 2015-02-06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복합섬유 제조용 알칼리 이용성 코폴리에스테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섬유
US10947644B2 (en) 2013-08-02 2021-03-16 Toray Advanced Materials Korea Inc. C-shaped composite fiber, C-shaped hollow fiber thereof, fabric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781B1 (ko) * 2019-08-29 2021-03-23 주식회사 휴비스 친환경 수용성 폴리에스테르계 해도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47644B2 (en) 2013-08-02 2021-03-16 Toray Advanced Materials Korea Inc. C-shaped composite fiber, C-shaped hollow fiber thereof, fabric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487941B1 (ko) * 2013-11-20 2015-02-06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복합섬유 제조용 알칼리 이용성 코폴리에스테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섬유
WO2015076540A1 (ko) * 2013-11-20 2015-05-28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복합섬유 제조용 알칼리 이용성 코폴리에스테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섬유
KR101414211B1 (ko) * 2013-11-28 2014-07-10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C형 중공섬유를 이용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752A (ko) 199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40915B2 (ja) ポリ乳酸樹脂および成形品
KR102410620B1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생분해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 방법
KR960011604B1 (ko)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섬유
KR102274288B1 (ko) 제직성이 우수한 알칼리 이용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JP3920254B2 (ja) 改質ポリエステル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08567B1 (ko)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한볼륨사(volume絲) 및 그의 섬유 제품 제조 방법
KR0123041B1 (ko)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JP2614889B2 (ja) バインダー繊維用組成物
KR930007831B1 (ko) 자수용 바닥소재
KR100295015B1 (ko) 생분해성지방족폴리에스테르섬유의제조방법
JP3702410B2 (ja) ポリ乳酸組成物
KR100466841B1 (ko) 흡수성이 뛰어난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KR0138174B1 (ko) 폴리에스터계 해도형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KR100466840B1 (ko) 흡수성이 뛰어난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JPH06316814A (ja) 抽出型複合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KR930011319B1 (ko) 해도형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KR890001839B1 (ko) 흡수성 폴리에스테르섬유의 제조방법
KR0129485B1 (ko) 이염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KR970007682B1 (ko)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용 유제조성물
KR100454497B1 (ko) 흡수성 및 제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KR880001642B1 (ko) 고 흡수성 폴리에스테르 중공섬유의 제조방법
KR970004931B1 (ko) 폴리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및 이들로 구성된 탄성사
JP2000170069A (ja) 不織布の製造方法及び不織布
JP3221634B2 (ja) 刺繍レ−ス用基布および刺繍レ−スの製造方法
KR20220105383A (ko) 열접착성 섬유,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칩,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9-X000 Request for party data change rejec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9-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608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6082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