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10637B1 -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637B1
KR960010637B1 KR1019930008095A KR930008095A KR960010637B1 KR 960010637 B1 KR960010637 B1 KR 960010637B1 KR 1019930008095 A KR1019930008095 A KR 1019930008095A KR 930008095 A KR930008095 A KR 930008095A KR 960010637 B1 KR960010637 B1 KR 960010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indoor unit
signal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8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3659A (ko
Inventor
히까루 가쯔끼
마사유끼 시미즈
미노루 가또우
테쓰오 이노우에
마사가즈 호소야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23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3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6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1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 F24F11/42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of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6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compressors within refrigeration or heat pump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absorption or discharge of heat in outdoor units
    • F24F11/871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absorption or discharge of heat in outdoor units by controlling outdo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24F3/06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with a plurality of evaporators or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6Cooling being a secondary asp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기조화기의 개략도.
제2도는 제 1도에 나타낸 공기조화기의 냉도사이클을 나타내는 냉매회로도.
제3도는 실내유닛을 천정에 설치한 때의 요부 단연도.
제4도는 제3도에 나타낸 실내유닛에 사용되어지는 전기회로도.
제5도는 제3도에 나타낸 실내유닛에 사용되어지는 전기회로도.
제6도는 제3도에 나타낸 실내유닛에 사용되어지는 전기회로도.
제7도는 제3도에 나타낸 실내유닛에 사용되어지는 전기회로도.
제8도는 제3도에 나타낸 실내유닛에 사용되어지는 전기회로도.
제9도는 제1도에 나타낸 실외유닛에 사용되어지는 전기회로도.
제l0도는 제1도에 나타낸 실외유닛에 사용되어지는 전기회로도.
제11도는 실내유닛 A,실내유닛 B,실외유닛간의 신호흐름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l2도는 실내유닛 A의 주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제l3도는 제l2도에 나타낸 스텝 S8중에서 특히 냉방운전시의 동작일부를 나타내는 흐름도.
제14도는 제12도에 나타낸 스텝 S8중에서 특히 난방운전시의 동작일부를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압축기 15,17 : 실내측 열교환기
30,31 : 송풍팬 40 : 드레인펌프
47 : 주드레인팬 204 : 외기온도검출용서미스터
본 발명은 실내유닛과 실외유닛으로 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특히,냉방운전시에 외기온도가 저하한 때의 보호동작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로서는 일본국 실개평 3-77177효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공보에 기재된 제어장치는 외기온도가 20℃이상인 때는 실외유닛의 송풍팬을 하이(H)풍량으로 운전하고, 외기온도가 20℃보다 낮은 때는 실외유닛의 송풍팬을 로우(L)풍량으로 운전하여 냉동사이클중의 저압압력의 하강을 억제하고, 저압압력이 소정압력 이하로 되었을 때는 압축기, 실외유닛의 송풍팬을 정지시키는 것이었다.
이와같이 구성함에 따라, 외기온도가 낮은 때 냉동사이클중의 저압압력의 상승을 방지하는 것이었다.
또, 종래의 기술로서는 일본국 실개소 62-164531호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공보에 기재된 것은 난방운전시에 외기온도롤 검출하여 외기온도가 소정온도 이하로 되었을 때에 히트펌프사이틀에 의한 난방운전을 전기히이터를 사용한 난방운전을 전환하는 것이었다.
이와같이 외기온도의 저하시에 히트펌프사이클의 운전을 즉 압축기의 운전을 정지함에 따라 히이트펌프사이클의 운전효율이 나쁜 범위에서 운전을 정지하여 불필요한 에너지소비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 있다.
또, 외기온도가 특히 낮은 때에는 실외측 열교환기에서 냉매의 증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압축기가 압축액을 일어나게 하여 파손되는 일이 있었으나, 낮은 외기시에 압축기의 운전을 정지함에 따라 그때의 압축기의 파손을 방치한 것이었다.
또, 종래의 기술로서는 일본국 특채평 2-121598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 공보에 기재된 것은 단일의 실외유닛에 대하여 3대외 실내유닛이 접속된 것이었다.
이들 실내유닛에는 각각 리모트콘트롤러가 접속되어 있어 각각의 실내유닛의 운전은 각각 대응하는 리모트콘트롤러로 제어되는 것이었다.
종래의 제어장치에서는 압축기의 이상정지를 냉동사이클중의 저압압력의 상승시에 행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냉동사이클중의 저압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저압스위치가 필요하게 된 점, 저압압력이 정상적인 범위내에 있어, 외기온도가 특히 저하한 경우는 압축기의 운전이 정지되지 않고, 압축기에 액역류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실내측 열교환기가 증발기로서 작용하고 있을 때는 일반적으로 실내측 열교환기로부터 응축수(드레인수)가 방울져 떨어진다.
이 응축수 드레인팬으로 받아낸 후, 펌프실내유닛 밖으로 배출되도록 한 공기조화기에서는 압축기의 운전정지로부터 일정시간(실내측 열교환기의 온도가 실온에 가까워질 때까지의 시간)은 응축수가 생기므로 압축기의 운전정지와 함께 펌프의 운전을 정지하여, 드레인팬으로부터 응축수가 넘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에 대하여, 압축기에의 액역류와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한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이다.
또,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외기온도가 저하한 때에 히트펌프사이클에 의한 난방운전으로부터 전기히이터을 사용한 난방운전으로 전환하는 것이었다.
이 때문에 난방운전시의 능력은 전기히터의 발열량에 비례하는 것이었다.
즉,충분한 난방능력을 얻기 위해서는 발열량이 큰 전기히터(8겹 정도에 대하여 5KW 정도외 발열량)필요하다.
보통 일반 가정에서는 옥내배선의 전기용량이 안전성면에서 규제되어 있다.예컨데 허용전류가 30(A)의 옥내배선을 사용한 경우는 전류브레이커의 동작전류가 20(A)되므로, 전기히터는 최대 2KW까지 밖에 사용할 수 없어, 외기온도가 낮은 때에는 난방능력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5KW 정도의 전기히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기히터전용의 옥내배선을 따로 설치하고,또한 전기히터를 보호하기 위한 대형 케이싱이 팔요하게 되어 공기조화기 자체가 대형화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에 대하여 본 발명은 외기온도의 저하시에는 히트펌프사이클에 의한 난방운전을 정지하고, 신호를 출력하여 전기로(furnace)나 보일러등을 사용한 난방운전을 개시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어장치에서는 각각의 실내유닛마다 설정치를 설정할 필요가 있어,운전조작에 번거로움이 있다.
또 실내유닛마다 운전모드(냉방,난방,제습)가 다른 설정미스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실내유닛은 모든 실외유닛에 신호선을 통해 접속되며, 실외유닛이 각각의 실내유닛과 개별적으로 행할필요가 있어서, 실외유닛의 제어장치가 대형화 하고, 또한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에 대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실내유닛의 설정을 동시에 행함과 각각의 유닛간의 신호의송수신에 관계된 제어장치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실내의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는 실내측 열교환기를 갖는 실내측 유닛과 외기와 열교환을 행하는 실외측 열교환기를 갖는 실외유닛으로 구성됨과 동시에,실내측 열교환기,압축기,실외측 열교환기,감압장치를 사용하여 냉동사이클을 구성하여 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이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에는, 실온의 변화에 따라 압축기를 모든 능력운전 또는 정지로 제어하여 피조화실을 냉방운전하는 온도제어부와,외기온도가 소정온도 이하로 되었을 때에 압축기를 온도제어부의 동작에 관계없이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는 보호부와,이 보호부의 동작시에 이 보호부의 동작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것이다.
또 실내유닛은 실내축 열교환기로부터 방울져 떨어지는 물을 펌프로 고위치에 올린후,실내유닛밖으로 배출하는 구성을 갖는 동시에,제어장치는 부호부의 동작개시로부터 적어도 일정시간 동안 펌프를 운전하는 펌프제어부를 구비한 것이다.
또,실내유닛은 공기와 실내측 열교환기와 열교환을 촉진하는 송풍팬을 갖는 동시에,펌프제어부는 펌프를 운전하는 동안 송풍팬을 운전을 행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압축기,옹축기,감압장치,증발기를 사용하여 피조화실의 난방운전이 이루어 지도록 구성한 냉동사이클을 갖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이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에는 외기온도가 소정온도 이하로 되었을 때에 난방운전을 정지하고, 다른 난방기의 운전을 개시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압축기,실외측 열교환기를 갖는 단일의 실내유닛에 각각 실내측 열교환기를 갖는 복수의 실내유닛율 조합시켜, 각각의 실내유닛을 사용하여 공조운전을 가능하게 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이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는 실외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외측 제어부와,특정의 실내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내측 제어부A와, 다른 실내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내측 제어부 B로 구성됨과 동시에, 실외측 제어부와 실내측 제어부A를 연결해 실외측 제어부에 실외유닛의 동작을 제어시키기 위한 신호를 전송시키는 제 1신호성과,실내유닛 A와 실내유닛 B를 연결해 실내유닛 A로부터 실내유닛 B에는 실내유닛 A의 동작을 제어시키기 위해 설정된 신호를 전송시키고,설내유닛 B로부터 실내유닛 A에는 설내유닛 B에 생긴 이상율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시키는 제2신호과,상기 실내유닛 A의 동작을 제어시키기 위한 설정신호를 실내유닛A에 부여하는 리모트콘트롤러를 구비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에서는 냉동사이클중의 저압압력에 관계없이 외기온도가 저하한때에 압축기의 운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압축기의 운전정지로부터 일정시간은 드레인펌프를 운전하여 응축수를 배수시킬 수 있다.
또 이와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를 사용함에 따라 외기온도가 저하한 해에는 히트펌프사이클에 의한 난방운전을 다른 난방기에 의한 난방운전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따라서,외기온도가 높은 때는 공기조화기에 의한 개별운전을 행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외기온도가 낮은 때에는 전기로나 보일러등을 사용한 난방운전으로 필요한 난방능력을 얻을 수 있다.
또 이와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에서는 실내유닛 A에 설정된 신호가 실내유닛 B에 전송되기 때문에 실내유닛 A,B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정할 필요가 없다.
또 실내유닛 B에서는 이상을 나타내는 신호만이 선택되어서 전송되기 때문에 신호통신을 위한 기능이 간단해져 제어장치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공기조화기의 개략도이다.
(1)(2)는 실내유닛 A,B이며,각각 피조화실에 설치되어 있다.
(3)은 실외유닛이며,열원(예를들면 외기 또는 수열원등)으로부터 흡열 또는 방열을 행하는 것이다.
(4)는 전력선이며,교류잔력을 교류전력원으로부터 실외유닛에 공급한다.
(5)는 전력선이며,교류전력을 실외유닛(3)의 경유로 실내유닛 A(1)에 공급한다.
(6)은 전력선이며,교류전력을 실외유닛(3),실내유닛 A(1)의 경유로 실내유닛 B(2)에 공급한다.
(7)은 신호선이며,실내유닛 A(l)과 실외유닛(3)간의 제어신호의 송수를 행한다.
(8)은 신호선이며,실내유닛 A(1)과,실내유닛 B(2)간의 제어신호의 송수를 행한다.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공기조화기의 냉동사이클을 나타내는 냉매회로도이다.
(9)는 압축기이고,(10)은 냉매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사방향밸브(도시는 냉방모드시)이고, (11)은 실외측열교환기이고, (12)는 실외측 열교환기(11)의 하부에 설치된 동결방지용 열교환기이고,(13)은 리시버탱크(receiver tank)이고, (14),(l6)은 냉방모드용 감압장치(캐펄러리튜브)이고, (15),(17)은 실내측 열교환기이고, (18)은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이고, (19)(20)은 난방모드용 감압장치(캐펄러리튜브)이다. 냉방모드시는 압축기(9)로부터 도출된 냉매가 실선화살표방향으로 흘러 실외측 열교환기(11), 동결방지용열교환기(l2)가 응축기로서 작용하고, 실내측 열교환기(15)(17)는 증발기로서 작용한다.
감압장치(14)(16)는 실내측 열교환기(15)(17)로 적절한 증발온도가 얻어지도록 감압량이 설정되어 있다.
또, (2l)(22)(23)은 체크밸브이며, 실선화살표 또는 점선화살표 방향으로만 냉매가 흐른다.
사방향밸브(10)이 점선의 위치로 전환된 경우는 난방모드가 된다.
난방모드시는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점선화살표 방향으로 흘러 실내측 열교환기(15)(17)및 동결방지용 열교환기(12)가 응축기로서 작용하고, 실외측 열교환기(11)이 증발기로서 작용한다.
감압장치(l9)는 리시버탱크(13)으로부터 분류한 냉매의 감압량을 설정하고, 감압장치(20)는 동결방지용 열교환기(l2)를 지난후, 냉매의 감압량을 설정하고 있다.
(24)는 고압스위치이고, (25)(26)(27)은 스트레이너(strainer)이고, (28)은 드라이어이다.
또(29)는 실외팬이고, (30)(31)은 실내팬이며, 각각 실외측 열교환기(11)과 외기와의 열교환은 촉진하여 실내측 열교환기(15)(17)과 실내외 공기와의 열교환을 촉진한다.
제3도는 실내유닛(천정매업형의 실내유닛)을 천정에 설치했을때 요부단면도 이다.
천정(31)의 내부공간(32)에 천정법(beam)에 행거(hanger)로 미달아 설치된 본체(35)에는 흡입노즐(36)이 붙은 팬케이싱(37)에 수납된 시로코팬(sirocco fan)(31)과 열교환기(17)과 드레인펌프(40)이 내장되어있다.
한편, 장식패널(41)에는 에어필터(42)를 갖는 흡입구(43)과, 풍향변경판(44)를 갖는 취출구(45)와, 열교환기(17)에 부착한 결로수(46)을 받는 주드레인팬(47)과, 본체(35)의 외장판(48)의 외벽에 부착한 결로수(49)를 받는 외측보조 드레인팬(50)(51)과,외장판(48)외 단열재(52)애 부착한 결로수(53)를 받는 내측보조 드레인팬(54)(55)가 우레탄 발포단열제로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열교환기(39)로 냉각된 통풍로(56)내의 냉풍에 의해 천정(31)의 내부공간(32)내의 고온다습한 공기가 차가워져서, 외장판(48)의 한쪽외벽 및 단열재(52)에 부착한 결로수(49)(53)은 한쪽 보조드레인팬(50)(54)로 받아지는 동시에, 냉방된 실내공기에 의해,천정(31)의 내부공간(32)내의 고온다습한 공기가 차가워져셔 외장판(48)의 다른쪽 외벽 및 단열재(52)에 부착한 결로수(49)(53)은 다른쪽 보조드레인팬(51)(55)로 받아지며.이들 결로수(46)(49)(53)은 주드레인팬(47)로 인도된다.
그리고 열교환기(17)에 부착하여 주드레인팬(47)로 받아진 결로수(46)과 함께 드레인펌프(40)으로 퍼올려져 배수호스(57)을 통해 배수구(58)로부터 옥외로 배출된다.
이와같이 드레인펌프(40)을 사용하여 주드레인팬(47)에 관 결로수를 높은 위치로 올려서 배수함에 따라 주드레인팬(47)이 낮은 위치에 있어서도 결로수의 배수가 용이하게 행해지는 것이다.
제4도부터 제8도는 제3도에 나타낸 실내유닛(1)에 사용되어지는 전기회로도 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101)은 마이크로프로세서(테끼사스인스쓰루먼트사 제품 TMS73Cl6l-C76582)이며,내부의 ROM에 마리 격납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 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102)(103)온 인터페이스회로이며,인터페이스(102)는 실내유닛(2)와의 사이에서 또 인터페이스(103)는 실내유닛(3)과의 사이에서 각각 데이터의 송수를 행하며,각각 같은 회로구성이다.
인터페이스회로(102).인터페이스회로(103)의 전기회로도는 제7도에서 설명한다.
(104)는 전기회호이며, 단자(105)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전력(AC12V)로부터+12V,+5V외 전압과 마이크로프로세서(101)를 리셋하기 위한 릿셋신호를 생성한다.
(106)은 전파정류회로이며, 4개의 정류다이오드를 브리지상으로 접속해 있다.
(l07)은 평활용 콘덴서이고, (l08)은 노이즈흡수용 콘덴서이다.
이 전파전류회로(106)과 평활콘데서(107)를 사용하여+12V의 직류전력을 얻고 있다.
(109)는 정전압용 콘트롤용 IC(직접회로)이며,단자 VO에 인가되는 전압이+5V의 직류적압이 되도록 트랜지스터(114)를 ON/0FF 제어한다.
(l15)는+5V의 직류전압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평활콘덴서이다.
(111),(112)는 저항이며,+12V의 직류전압을 분할한다.(113)은 콘덴서이며,트랜지스터(114)에 공급되는 직류전력을 안정화시킨다.(ll8)은 트랜지스터(1l4)의 바이패스용 저항이다.
또 lS(109)의 단자 R호부터 리셋신호를 출력한다.
이 리셋신호는 단자 VS에 인가되는 전압이 소정치(+5V의 직류전압을 안정화시키는 것에 I필요한 전압)이상이 되서부터, 콘덴서(110)외 충전시간에 대응하는 일전시간후에 리셋신호를 출력한다.
이 리셋신호는 트랜지스터(116)(117)로 중폭된 후,마이크로프로세서(101)의 단자 R에 주어진다.
(119)-(124)는 트핸지스터(116)(117)의 바이패스용 저항이고,(125)(126)은 트랜지스터(116)(117)의 출력용 저항이다.
(127)(128)은 콘덴서이다.
(129)(130)(131)은 검지온도에 따라 저항치가 변화하는 서미스터이며,각각 실내유닛(2)의 토출공기온도,실내측 열교환기(17)의 온도,피조화실의 실온이 검출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130)-(141)은 각각의 서미스터(129)(130)(131)의 저항변화에 대응하는 전압변화를 직선화하기 위한 저항이며,이 직선화된 각각의 전압변화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1)의 단자 A7,A1,AO에 주어진다.
마이크로프로세서(101)는 이들 단자에 주어진 전압을 A/D(아날로그/디지탈)변환하여 온도데이터로서 내부의 RAM에 격납한다.(l42)-(144)는 노이즈흡수용 콘덴서이다.
(145)는 그 비트의 어드레스설정 스위치이며, 다이오드(146)(147)을 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01)의 단자 C6,C7에 접속되어 있다.
어드레스는 이 2비트의 조합에 의하여 4종류의 어드레스로부터 선택하여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와이어리스 리모트콘트롤러(도시생략)로부터 송신되는 와이어리스신호를 수신하여 행하기 때문에,어드레스의 설정은 와이어리스신호의 디스테네이션 어드레스(destina.tion addre$)와 일치시켜,다른 와이어리스 리모트콘트롤러로부터의 와이어리스신호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고 있다.
(148)은 플로트스위치(float switch)이며,제3도에 나타낸 주드레인팬(47)에 핀 결로수의 량이 소정량 이상으로 되면,접편이 닫히는 것이다.
이 플로트스위치(148)의 접편이 닫힘에 따라 포토커플러(149)의 트랜지스터가 ON으로 된다.
따라서 다이오드(150)이 단락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101)의 단자 H4에+5V가 인가된다.
(151)은 포토커플러(149)의 출력용 저항이다.
또, 플로트스위치(148)의 접편이 열려있을 때는 포토커플러(149)의 트랜지스터가 OFF하기 때문에 마이크로프로세서(101)의 단차 H4에는+5V보다 0.6-0.7V(다이오드 150의 순방향 전압)낮은 전압이 인가되어있다.
또 플로트스위치(148)의 접편의 개폐동작에는 소정의 다퍼렌셜(differential)이 설정되어서 접편의 채터링(chattering)을 방지하고 있다.
(152)은 코넥터이며,제8도에 나타내는 회로에 접속되어 코넥터(153)은 제4도에 나타내는 코넥터(157)에 서로 단자번호가 일치하도록 접속된다.
(154)(l56)은 다이오드이며,마이크로프로세서(101)로부터의 신호의 진입방향을 규제하고 있다.
(156)은 저항이다.
스위치(SW1)(SW2)는 난방시의 운전을 규정하기 위한 것이며,SW1=OFF,SW2=OFF는 히트펌프(히폰)만의 운전,SWl=ON,SW2=OFF는 보조히터이며,SW1=OFF,SW2=OFF는 보조히터 없이,히폰 운전정지를 규정한다.
제5도에 있어서,마이크로프로세서(101)은 단자 G4,G5는 코넥터(157)에 접속되어 있다.
(158)은 복수의 버퍼회로가 수납된 IC이며,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단자 FO, F1,F2,B2-B6의 출력을 전력중폭한다.
단자 FO의 출력으로 스피커(159)가 구동되어 경보음등을 발생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01)의 단자 F1,B2-B6로부터의 출력은 IC(158)에서 전력중폭된 후, 각각 제6도에 나타내는 O단자,B단자,C단자,D단자,E단자,A단자에 공급된다.
O단자는 보조히터(162)의 통전용 릴레이(163)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을 출력하고,B단자는 실내측 팬모터(16)외 속도조절용 릴레이(165)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고,C단자는 마찬가지로 속도조절용 릴레이(166)의 동작을 제어라고,신호를 출력하고,D단자는 마찬가지로 속도조절용 릴레이(167)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E단자는 드레인펌프(40)의 통전용 릴레이(168)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A단자는 루버모터(louver moter)(풍향변경판 44)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171)은 스위칭트랜지스터이며, 마이크로프로세서(101)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ON/OFF한다.
이 트랜지스터(171)이 ON함에 따라서 Q단자를 통하여 제 6도에 나타낸 릴레이(174)가 ON으로 된다.
(172)(173)은 트랜지스터(171)의 바이어스저항이다.
(175)는 스위칭트랜지스터이며,마이크로프로세서(101)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ON/0FF한다.
이 트랜지스터(171)이 ON함에 따라서 코넥터(176)에 접속된 보조열원용 전기히터(도시생략)의 통전을 제어한다.
또 전기히터는 보조릴레이를 통하여 통전이 제어된다.
(177)(178)은 트랜지스터(177)(178)의 바이어스용 저항이다.
제6도에 있어서,(179)는 강압트랜스이며,코넥터(180),코넥터(181)을 통하여 얻어진 교류전력을 감압하여 코넥터(105)을 통하여,제4도에 나타내는 전원회로(104)에 공급한다.
코넥터(105)의 단자 1,2간에는 실외유닛(2)로부터 교류전력이 공급된다.
릴레이(174)의 상개접편이 닫히는(제6도는 접편이 열린상태이며, 도시와 반대의 상태가 닫힌상태이다)것에 의하여,코넥터(181)의 단자 2,3에 교류전력의 공급이 행해진다.
이 단자 2,3간을 통해서 실내유닛(2)에 교류전력이 공급된다.
(182)는 전류휴즈이고,(183)은 바리스터이다.
릴레이(163)(168)(169)에 신호가 얻어짐에 따라 릴레이(163)의 상개접편이 닫히고,릴레이(169)의 상개접편이 닫힌다.
릴레이(165)(166)(167)의 상개접편의 개폐조합에 의해 실내측 팬모터(164)외 회천수는 이하와 같이 변화한다.
①릴레이(165):개(도시의 상태),릴레이(166):개(도시생략),릴레이(167):개(도시의 상태)인 때는 정지,
②릴레이(165):개,릴레이(166)개,릴레이(167):폐인때는 미약
③릴레이(165):개,릴레이(166):폐인때는 약,
④릴레이(165):폐,릴레이(166):개인때는 중,
⑤릴레이(165):폐,릴레이(166):폐인때는 강이다.
릴레이(165)(166)(167)의 개폐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1)로부터의 신호로 제어되기 때문에 실내측 팬모터(164)의 회전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1)로부터의 신호로 제어된다.
제7도는 제4도에 나타낸 인터페이스회로(102)의 전기회로도이다.
(184)-(187)온 스위칭트렌지스터이고,트랜지스터(184)의 베이스단자(마이크로프로세서 101의 단자 A4의 출력)가 저전위(거의 0V)(L)로 되었을 때에 트랜지스터(184)-(187)이 모두 ON(도통상태)으로 된다.
따라서,이때의 코넥터(188)외 단자1”에+12V의 전압이 인가되며,동시에 코넥터(88)의 단자“2”가GND(0V)로 된다.
트랜지스터(184)의 베이스단자가 고전위(거의 5V)(H)인 때는 트랜지스터(184)-(187)내 모두 OFF로 된다.
따라서 마이크로프로세서(101)의 단자 A4의 출력(H/L)에 응답하여 코넥터(188)의 단가“1”,“2”간에 인가되는+12V의 전압을 스위칭할 수 있다.
이 스위칭에 의하여 PWM변조된 전압신호는 코넥터(188)에 접속되는 신호선(8)을 통하여 실내유닛(2)에 송신한다.
(189)(192)는 바이어스저항이고,(193)(194)는 전류의 흐르는 방향을 규제하는 다이오드이다.
(195)는 양방향성 포토커플러,(196)(197)는 노이즈필터를 구성하는 저항 및 콘덴서이다.
포토커폴러(195)의 입력단은 이 노이즈필터를 통해 코넥터(188)에 접속되며, 이 코넥터(188)에 직류전압이 인가된 때에 출력트랜지스터가 ON으로 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101)의 단자 A3를 자전압(거의 OV)(L)호 된다.
따라서 마이크로프로세서(101)의 단자 A4의 출력이 H전압인 때에 코넥터(188)에 전압(실내유닛 2로부터송신된 전압신호)이 인가되면,마이크로프로세서(101)의 단자 A3를 L전위로 한다.
단자 A3의 전위는 코넥터(188)에 인가되는 신호전압에 응답하여 H/L로 변화하므로 마이크로프로세서(101)는 실내유닛(2)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l98)은 포토커폴리(195)의 출력저항이고,(199)는 노이즈흡수용 콘덴서이다.
인터페이스회로(103)은 제7도(인터페이스회로 102)와 같은 전기회로를 갖고,같은 동작을 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단,인터페이스회로(102)와의 차이는 트랜지스터(184)의 베이스단자가 마이크로프로세서(101)의 단자 A6에 접속되는 점과, 포토커플러(195)의 출력이 마이크로프로세서(101)의 단자 A5에 접속되는 점과 코넥터(188)이 신호선(7)을 통해 실내유닛(3)에 접속되는 점이다.
제8도는 제4도에 나타낸 전기회로에 접속되는 전기회로도이며,제4도의 코넥터(152)와 코넥터(200)이같은 단잔호끼리 접속된다.
코넥터(200)의 단자“1”-“3”에는 코넥터(201)를 통해 셀렉트스위치(202)가 접속되어 있다.
이 셀렉트스위치(202)는 ON(통상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OFF(운전을 불가능하게 하는 위치),TEST(시운전을 행하는 위치)를 갖고 있다.
이 스위치의 위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1)이 단자 A2와 단자 HO,H1으로 스캔하여 넣는다.
코넥터(200)의 단자4”-“6”에는 코넥터(203)를 통해 리모콘신호수신부(204)가 접속되어 있다.
리모콘신호수신부(204)는 리모트콘트롤러(도시생략)로부터 운전/정지신호,냉/난/드리이의 전화신호,실내팬의 송풍량설정신호 실온설정치를 나타내는 신호등이 와이어리스신호로 송신되어 오면,이 와이어러스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01)의 단자 A2로 출력된다.
(205)-(207)은 표시등이며,표시등(205)은 냉풍방지표(난방운전시에 냉풍의 취출을 방지하고 있을때 점등)이며,표시등(206)은 스탠바이표시(외기가 낮게 지나서,압축기의 운전을 정지하고 있을때에 점등),표시등(206)은 타이머표시(타이머운전을 행하고 있을때에 점등)이며,마이크로프로세서(l01)의 단자 G4,G5,DO,D3의 출력으로 다이나믹 점등된다.
실내유닛 B(2)는 실내유닛 A(l)과 같은 제어회로를 가지고 있으나,실내유닛(3)과의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를 행하는 인터페이스회로 및 와이어리스신호를 수신하는 복조회로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또 어드레스스위치(145)의 설정이“00”이며,실내유닛 B인 것을 마이크로프로세서(101)에 지정하고 있다.
제9도는 제1도에 나타낸 실외유닛(3)의 동작을 맡은 제어부의 전기회로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201)은 마이크로프로세서(테끼사스인스쓰투먼트사 제품 T MS 73C 45A-C78406)이며,내부의 ROM에 미리 격납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각 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202)-(204)는 온도검출용 서미스터이며,검출온도에 따라서 내부의 저항치가 변화한다.
(205)-(207)는 저항이며,각각켜 서미스터(202)-(204)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서미스터와 저헝과의 접속점의 전위는 서미스터의 검출온도에 따라서 변화한다.
이들 접속점은 마이크로프로세서(201)의 단자 A2,A1,AO에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201)에는 이들 단자 A2,A1,AO에 인가되는 전압을 A/D로 변환하여 넣은 온도데이터로서 내부의 RAM에 격납한다.
서미스터(202)는 압축기(9)의 온도를 검출하고, 서미스터(203)은 실외측 열교환기(11)의 온도를 검출하고,서미스터(204)는 외기온도를 검출한다.
(208)-(201)은 콘덴서이며, 각각의 서미스터의 검출한 온도에 대응하는 접속점의 전압을 안정화시킨다.
(211)-(216)은 원통상의 페리이트 비트(ferrite bead)이며,각각의 서미스터(202)-(204)와 전기회로와를 이어지게 배선으로 설치되어 있다(배선이 페라이트비드의 구멍을 통과하고 있음).
이들의 페라이트비드로 서미스터에 침입한 고주파 노이즈를 감쇄시키고 있다.
이들의 페라이트비드(211)-(216)와 콘덴서(208)-(210)으로 노이즈를 차단하고 있다.
(217)은 커런트트랜스(C.T.)이며,서치코일을 압축기(9)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에 설치하고, 압축기(9)에 공급되는 전력을 검출하고 있다.
(220)은 C.T.(217)의 출력저항,(218)(219)는 정류다이오드 및 평활콘데서이며,C.T.(217)의 출력을 정류평활하는 평활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221)(222)는 분압저항이며,평활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분압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201)의 단자 A3에 공급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01)은 단자 A3에 인가된 직류전압을 A/D 변환하여 압축기(7)에 흐르는 전류데이터로서 격납한다.
(223)은 보호용 다이오드이며 명활회로의 출력전압이+5V+0.6-0.7V(다이오드의 순방향 저항)이상으로 되었을 때의 바이패스회로이다.
저항(224)(225)는 C.T.(217)의 출력을 올리기 위한 저항이다.
(226)은 바이패스회로이며,마이크로프로세서(201)의 단자 B7,B6,B4,B3,D7로부터의 출력되는 신호를 전력증폭하고,제10도에 나타내는 각각의 릴레이(227)-(230)을 구동한다.
또한 D7의 출력은 외부출력단자이다.
(231)(232)는 각각 고압스위치,저압스위치이며,고압스위치는 압축기(9)의 토출압력이 제1의 압력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접편을 닫고,저압스위치는 압축기(9)의 흡입압력이 제2의 압력(제1의압략)이상에서 접편을 닫는다.
(233)(234)는 포토커플러이며, 각각 고압스위치(23l),저압스위치(232)의 동작시에 통전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201)의 단자 C7,C6에 신호를 출력한다.
(235)(236)은 포토커플러(233)(234)의 전류제한용 저항이다.
(237)은 전원회로이며, 제4도에 나타낸 전원회로(104)와 같은 전기회로이다.
(238)은 인터페이스회로이며, 제4도에 나타낸 인터페이스회로(102)(103)과 같은 전기회로이다.
이 인터페이스회로(238)은 신호선(7)를 통해 실내유닛(1)의 인터페이스회로(103)와 접속됨과 동시에,마이크로프로세서(201)의 단자 C1,CO와 접속되어서 실내유닛(1)과 실외유닛(3)과의 사이에서의 신호의 송수출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10도는 압축기(9),사방향밸브(10),실외팬(29)를 구동하는 전동기(239)의 제어회로이다.
코넥터(240)는 제9도에 나타내는 코넥터(243)에 접속되어, 강압트렌스(241)에는 코넥터(242)에 공급된 교류전력이 부여되어 있다.
(244)는 바리스터이고,(245)는 전류휴즈이다.
압축기(9)는 릴레이(229)의 상개접점(도시는 릴레이 229가 비통전의 상태),압축기(9)의 온도가 높게 되었을 때에 용단되는 온도휴즈(246),압축기(9)에 공급되는 전류가 소정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접편을 여는 과부스위치(247)를 통해 전력이 공급된다.
(248)은 압축기(9)의 운전콘덴서이다.
사방향밸브(10)은 릴레이(230)의 상개접편(도시는 릴레이 230이 비통전의 상태)을 통해 전력이 공급된다.
전동기(249)는 각각 전환접편을 갖는 릴레이(227), 릴레이(228)의 통전/비통전으로 회전수가 전환되는 것이다.
도시는 릴레이(227)(228)이 비통전의 상태이다.
릴레이(227)(228)이 비통전인 때는 전동기(249)는 정지하고, 릴레이(227)이 비통전, 릴레이(228)이 비통인때는 전동기(249)는, 종회전으로 회전하고, 릴레이(227)(228)이 통전인 때는 전동기(249)는 고회전으로 회전한다.
(250)은 전동기(249)의 운전콘덴서이다.
제11도는 실내유닛 A(1),실내유닛 B(2),실외유닛(3)간의 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각각의 유닛간의 신호는 각각의 인터페이스회로를 통해 행해진다.
(251)은 와이어리스리모콘트롤러이며, 실내유닛 A(l)의 복조회로(204)에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실내유닛 A(1)로부터 실내유닛 B(2)에는 A로 표시되는 신호가 송신되며,실내유닛 B(2)로부터 실내유닛A(1)에는 B로 표시되는 신호가 송신되며,실내유닛 A(1)로부터,실외유닛(3)에는 C로 표시되는 신호가 송신되며,실외유닛(3)으로부터 실내유닛 A(1)에는 D로 표시되는 신호가 송신된다.
A로 표시되는 신호는 실내유닛의 ON/0FF신호(이하,데이터로 치환가능),운전모드(COOL/HEAT/DRY)신호,실내송풍(H,M,L,AUTO)신호,오토루버의 제어신호,제상신호,실내설정온도신호,드레인펌프운전신호등의 운전데이터에 관련하는 신호이며,실내유닛 B(2)는 이들 신호에 의거하여 동작한다.
B로 표시되는 신호는 주드레인펌프(47)의 수위가 높게 되었을 때의 신호,실내편의 록신호(서미스터 129의 검출온도가 소정의 범위를 넘었을 때에 록으로 판단).
냉방운전시의 실내측 열교환기(15)의 동결신호(서미스터 130의 검출온도가-1℃이하로 실내측 열교환기l5의 동결을 판단).
난방운전의 고부하 운전신호(서미스터 l30의 검출온도가+59℃ 이상으로 고부하 운전을 판단)등의 보호동작을 필요로 하는 신호이다.
따라서,실내유닛 A(1),실내유닛 B(2)간에서는 실내유닛 B(2)는 실내유닛 A(1)로부터 송신되는 A의 신호에 의해서만 유닛의 운전을 행하고, 실내유닛 B에 보호동작을 필요로 하는 이상이 일어난 경우는 실내유닛 A(1)에 신호를 송신한다. C로 표현되는 신호는 압축기(9)의 ON/OFF신호,사방향밸브(10)의 ON/OFF신호,실내측 열교환기의 동결신호, 실내유닛의 고부하신호, 제상신호이다. D로 표현되는 신호는 외기온도를 나타내는 신호, 제상신호, 고압스위치의 신호, 저압스위치의 신호, 압축기(10)에 흐르는 전류신호이다.
또한 제상운전은 실내측 열교환기외 온도의 저하경향 또는 실외측 열교환기의 온도와 외기온도와의 관계로부터 개시된다.
제12도는 실내유닛 A(1)의 주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스텝 S1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101)에 전원회로로부터의 신호리셋이 행해지며, 또 이니셜라이즈 처리된후 운전이 개시된다.
스텝 S2에서는 와이어리스리모콘트롤러(251)로부터 와이어리스신호를 수신하고 있는가 아닌가의 판단을 행한다.
또한 와이어리스신호를 수신한 때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1)에 인터럽트가 걸리게 수신한 신호의 데이터가 소정의 RAM영역에 격납되어 있다.
와이어리스신호를 수신하고 있을 때는 스텝 S5로 진입한다.
스텝 S2에서 실내유닛 B(실내유닛의 대수는 신호선 8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하면,복수대 접속할 수 있다)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가 아닌가의 판단을 행한다.
또,실내유닛 B후부터의 신호를 수신한 때는 마이크로소프트(101)에 인터럽트가 걸리며,실내유닛 B로부터의 신호의 데이터는 소정의 RAM영역에 격납된다.
이 RAM영역에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을 때는 스텝 S6으로 진입한다.
스텝 S4에서 실외유닛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가 아닌가의 판단을 행한다.
또,실외유닛으로부터의 신호도 실내유닛으로부터의 신호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RAM영역에 격납된다.
이 RAM영역에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을 때는 스텝 S7로 진입한다.
상기한 각각의 수신데이터가 격납되는 소정의 RAM영역은 각각이 중폭되지 않는 것이다.
스텝 S5에서는 와이어리스리모콘트롤러(251)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의해 운전데이터의 변경을 행한다.
운전데이터는 풍기조화기의 정지/운전/절타이머운전/입타이머운전의 데이터,타이머의 동작시간데이터,냉방/난방/드라이/AUTO의 데이터,실온설정치의 데이터,실내팬의 H/M/L/AUTO의 데이터,오토루버의 제어데이터등이다.
스텝 S8에서는 이 운전데이터에 의하여 기기(전동기 164,루버모터 170,드레인펌프 Dp등)의 운전제어와,압축기(9)의 운전/정지/사방향밸브(10)의 통전/비통전등의 상태를 설정한다.
스텝 S6에서는 실내유닛 B로부터의 송신된 신호에 의하여 보호데이터의 설정을 행한다.
스텝 S8에서는 보호데이터에 의하여 기기의 운전 또는 운전상태의 설정을 변경한다.
또, 이 보호데이터는 실내유닛 A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설정된다.
예를들면, 주드레인팬(47)의 수위가 높게 되어진 데이터가 설정되었을 때는 주드레인팬(47)의 수위가 낮게 될때까지 드레인펌프(4O)을 구동하고 또한 압축기(9)를 정지로 설정한다.
스텝 S7에서는 실내유닛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의하여 보호데이터의 설정을 행한다.
또,이 보호데이터에는 실외유닛으로부터의 제상신호가 포함된다.
스텝 S8에서는 이 보호데이터에 의거하여 기기의 운전 또는 운전상태의 설정을 변경한다.
예컨대,제상신호가 설정된 경우는 전동기(164)를 미약(LL)회전으로 회전시켜서 냉풍의 취출을 방지한다.
또,제상운전시는 사방향밸브(10)이 냉방모드로 전환되어 있다.
스텝 S9에서는 스텝 S8에서 행해지고 있는 기기의 운전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제11도에서 나타내는 A의신호)를 실내유닛 B로 송신한다(송신데이터의 확인은 실내유닛 B로부터의 응답으로 행해진다).
또,이 신호의 송신은 4초마다 정기적으로 행해진다.
스텝 S1(에서는 스텝 S8에서 변경된 기기의 운전상태를 설정(압축기 9의 ON/OFF등)하는 신호를 실외유닛에 송신한다. 또,이 신호의 송신은 4초마다 정기적으로 행해짐과 동시에,이 정기신호에서는 실외유닛(3)으로부터 실내유닛 A에는 D로 표시되는 보호데이터가 반송된다.
이와같이 실내유닛 B(2)에는 실내유닛 A에 리모콘으로 설정된 운전상태(실온설정치,운전모드,실내팬설정치등)가 송신되므로 단일의 와이어리스리모콘으로 복수의 실내유닛의 운전을 동시에 설정할 수 있어 공기조화기의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또,실내유닛마다의 어드레스설정이나 각각의 실내유닛에 대응하는 리모콘의 선택등의 번거로움이 없게된다.
또한,각각의 실내유닛은 전동기(164)의 회전수가 AUTO에 설정되어 있을 때는 실온과 설정온도에 의하여 자동적 송풍량이 변경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에 프로그램되어 있으므로,실내유닛마다 쾌적한 송풍이 행해진다.
운전모도가 AUTO로 되었을 때는 실온설정치도 송풍량도 마찬가지로 각각 실내유닛마다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압축기(9)의 ON/0FF는 실내유닛 A의 설정에 따라 제어된다.
각각의 실내유닛으로부터는 제11도의 B로 표시되는 보호데이터에 관한 신호가 송신되므로 각각의 실내유닛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는 실내유닛 A가 실외유닛의 제어를 행하는 이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동작을 행한다.
제13도는 제12도에 나타낸 스텝 S8중에서 냉방운전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스텝 S21에서는 실내유닛,실외유닛이 냉방모드로 되도록 각각의 기기(사방향밸브(SV)(10)의 ON/0FF등)의 상태를 설정한다.
스텝 S22에서는 압축기(9)의 ON/0FF를 서미스터(131)의 검출한 실온이 설정온도보다 높은 때에 ON으로 설정된다.
또,압축기(9)는 ON을 적어도 3분은 계속하고 OFF를 적어도 3분 계속시켜서 냉방최저운전시간의 확보와 압축기(9)의 재기동시의 록을 방지하고 있다.또,송풍량은 서미스터(131)의 검출한 실온과 설정온도와의 차이에 의하여 설정된다.
또,송풍량은 각각의 실내유닛이 각각 검출한 실온에 의거하여 설정한다.
스텝 S23에서는 실내측 열교환기(17)(l5)가 동결해 있는가 아닌가(실내측 열교환기 17의 온도가-1℃이하를 되었는가,또는 실내측 열교환기 15의 온도가-1℃이하로 되어서 동결을 나타내는 보호데이터가 실내유닛 B2가 송신됨)의 판단과 실외유닛(3)의 서미스터(204)의 검출한 외기온도가 15℃이하로 되었는가의 판단을 행하고,이들 양판단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만족할 때는 스텝 S24로 진입한다.
스텝 S24에서는 플래그 F를 F=1로 세트하고,타이머의 계시를 개시기킨다.
스텝 S25에서는 실외유닛(3)의 서미스터(203)의 검출한 외기온도가 18℃ 이상으로 되었는가 아닌가의 판단과, 스텝 S24에서 계시를 개시한 타이머의 계시(12분간)가 종료해 있는가 아닌가의 판단을 행한다.
이들 양판단의 양방을 만족해 있을때에 스텝 S26으로 진입한다.
스텝 S26에서는 플래그 F를 F=O로 클리어하고 타이머의 계시를 정지시킨다.스텝 S27에서는 플래그 F가 F=1로 세트되어 있는가 아닌가의 판단을 행하여 플래그 F가 F1로 세트되어 있을때는 스텝 S28-스탭 S31에 나타내는 보호동작을 행한다.
스텝 S28에서는 발광소자(206)를 점멸동작시켜 스텝 S29에서는 압축기(9)를 OFF로 설정한다(보호부의동작).
스텝 S30(스텝 S25,S26와 맞춰서 펌프제어부의 동작)에서는 드레인펌프(40)를 ON으로 설정하고,스텝S31에서는 송풍팬(31)의 송풍량을 약(L)로 설정한다.
이와같은 최종적인 설정에 의거하여 드레인펌프(40)이나 송풍팬(31)등이 운전되어 압축기(9)의 ON/0FF나 사방향밸브(10)의 ON/0FF의 신호는 실외유닛에 송신된다.
예를들면,압축기(9)의 ON/OFF는 우선 스탭 S22에서 설정되며,이어서 스텝 S27의 F=1을 만족시키면 스텝 S29에서 OFF호 재설정된다.
드레인펌프(40)는 스텝 S22에서 압축기(9)의 ON/OFF로 연동하여 ON/0FF가 설정되지만 S27에서 F=1이 판단되면 스텝 S30에서 ON으로 된다.
플래그 F가 F=1→F=O로 변경되면 스텝 S22에서 설정되는 운전이 재개된다.따라서,드레인펌프(40)은 어느 실내유닛의 열교환기의 온도가 1℃이하로 되었을 때,또는 외기온도가 15℃이하로 되었을 때의 어느 조건을 만족했을 때(스텝 S23의 조건)로부터 타이머로 계시되는 12분간은 압축기(9)가 정지해 있어도 운전이 계속되는 것이다.
드레인펌프(40)의 운전이 계속됨에 따라 열교환기에 부착된 드레인수 또는 열교환기의 빙결이 녹은 제상수가 압축기(9)의 정지후에 주드레인팬(47)에 괴어서 이 드레인팬으로부터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드레인펌프의 ON,송풍량의 L 설정은 스탭 S9에서 실내유닛 B에 송신되며,실내유닛 B는 실내유닛 A와 같이 운전을 행한다.
제14도는 제12도에 나타낸 스텝 S8중에서 난방운전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스텝 S41에서는 실내유닛, 실외유닛에 난방모드가 되도록 각각의 기기와 상태를 설정한다.
스텝 S42에서는 압축기(9)의 ON/OFF를 서마스터(131)의 검출한 실온이 설정온도보다 낮은 때에 ON으로 설정한다.
또,압축기(9)는 ON을 적어도 3분은 계속하고 OFF를 적어도 3분 계속시켜서 난방최저운전시간의 확보와,압축기(9)의 재기동시의 록을 방지하고 있다.또,송풍량은 서미스터(131)의 검출한 온도와 설정온도와의 차이에 의하여 설정된다.
또,송풍량은 각각의 실내유닛이 각각 검출한 실온에 의하여 설정한다.
스텝 S43에서는 실외유닛(3)의 실외측 열교환기(11)의 착상으로 제상의 필요를 판단하고 있는가 아닌가의 판단을 행하고,제상을 필요로 하는 동안은 스텝 S54로 진입하여 제상운전을 행한다.
제상운전은 사방향밸브(10)을 OFF(제2도에 나타내는 상태)로 설정하고,실내팬(30)(31)을 LL(미약)또는 정지하고,실외팬(29)를 정지로 설정하고,압축기(9)를 ON으로 설정하여 실외측 열교환기(11)를 가열하여 실외측 열교환기(11)의 제상을 행한다.
또한, 스텝 S43에서는 제상운전을 개시해서부터 소정의 제상해제조건이 성립할때까지 「제상:요」를 유지한다.
제상해제조건은 실외측 열교환기(11)의 온도가 소정온도(예컨대 12℃정도)에 이르는가, 또는 제상운전을 소정시간(12분간)계속한 경우이다.
스텝 S44에서는 실외유닛(3)의 서미스터(204)가 검출한 외기온도가 11℃이하로 되었는가 아닌가의 판단을 행한다.
외기온도가-11℃이하로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 S45에 진입하여 플래그 F를 F=1로 세트한다.
스텝 S46에서는 실외유닛(3)의 서미스터(204)가 검출한 외기온도가-7℃이상의로 되었는가 아닌가의 판단을 행한다.
외기온도가-7℃이상으로 판단되었을 때는 스텝 S47에 진입하여 플래그 F를 F=O로 클리어한다.
스텝 S48에서는 플래그 F가 F=l인가 아닌가(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가 아닌가)의 판단을 행한다.
플래그 F가 세트되어 있을 때는 스텝 S49로 진입한다.
스텝 S49에서는 실내유닛(1)이 보조난방용 전기히터를 탑재하고 있는가 아닌가와 강제히트펌프운전이 설절되어 있는가 아닌가 즉,히터세트,히터없음,히폰의 어느쪽이 선택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
스텝 S49에서 히폰이 설절되어 있을 때는 그대로 스텝 S8을 실행하여 다음의 스텝 S9,S10에 진입한다.
즉,외기온도에 관계없이 히트펌프사이틀에 의한 난방운전을 계속한다.
스텝 S49에서 히터펌프가 설정되어 있을 때는 스텝 S50에 진입하여 전기히터(162)를 통전한다.
즉,마이크로프로세서(101)의 단자 B4의 출력을 L전위로 변경하여 버퍼(158)를 통해 릴레이(163)을 통전하여 전기히터(162)를 통전한다.
이어서,스텝 S53에 진입하여 압축기(9)를 OFF(정지)로 설정한다.
또,송풍팬(31)에 의한 송풍량은 스텝 S42에서 연산된 송풍량을 유지한다.
스텝 S49에서 히터없음이 설정되어 있을 때는 스텝 S51-스텝 S53에 진입하여 신호를 출력한 후 송풍팬(31)을 정지시키고,또,압축기(9)를 정지로 설정한다.
신호는 실외유닛(3)의 마이크로프로세서(201)의 단자 D7로부터 버퍼(226)을 통해 출력된다.
이 신호는 다른 난방기(예컨데 전기로나 보일러등)에의 운전신호로서 출력된다.
따라서,외기온도가-11℃이하로 저하한 경우는 히트펌프사이클에 의한 공조운전을 정지하고 다른 난방기의 운전을 개시하는 것이다.
다른 난방기에는 이 신호에 응답하여 난방기의 운전을 개시시키기 위한 제어회로가 조립되어 있어 이 신호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난방운전을 개시한다.
예컨데,HA(홈오토메이션)시스템을(가정내의 기기를 상호 유기적으로 연휴하는 시스템)에 정속된 난방기를 운전시키는 경우는 HA시스템을 구성하는 정보전송로를 통해 난방기에 운전신호를 부여한다.
스텝 S49에서 판단되는 설정은 보조난방에 사용되는 전기히터의 발열량의 대소 또는 공기조화기의 설치초건,설치장소에 의해서는 외기온도가-11℃이하로 되는 것이 드문가 아닌가에 맞춰서 히폰,히터세트,히터없음의 선택이 행해지도록 하고 있다.
제4도의 스위치 SW1=OFF,SW2=OFF로 히폰,SW1=ON,SW2=OFF로 히터세트,SWl=OFF,SW2=ON으로 히터없음,실내유닛(1)(2)에 탑재되는 전기히터의 발열량이 작은 경우(2KW정도)는 히트펌프사이클의 난방운전에 가해지는 보조열원으로서는 충분하지만 외기온도가-11℃이하로 되어서 히트펌프사이클의 난방능력이 얻어지지 않을 때는 전기히터만으로는 충분한 난방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전기히터의 발열량이 5KW 정도이면 충분한 난방능력이 얻어진다).
이와 같은 경우는 다른 난방기에 의한 난방을 행하는 것이 에너지효율면에서 바람직하므로 히터없음으로 설정한다.
이상과 같이 난방운전인 때는 외기온도가 저하해 히트펌프사이클에 의한 난방운전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을때는 공기조화기에 의한 난방운전을 정지하고, 신호를 출력해서 다른 난방기를 운전시키므로 난방운전에 있어서의 에너지효율을 좋게 할 수 있다.
또,전기히터의 발열량이 충분히 큰 때는 전기히터에 의한 난방운전이 행해진다.
또한,실내유닛 B(2)의 운전은 스텝 S9에서 실내유닛 A와 같게 설정치가 송신되므로 실내유닛 A와 실내유닛 B와는 거의 같게 운전을 행한다.
단,송풍량이 AUTO(자동)로 되어 있을때는 실내유닛마다 다르다.
본 발명의 제어장치는 공기조화기가 냉방운전을 행하고 있을때 보호부에서 외기온도가 소정온도 이하로 되었을때에 압축기를 온도제어부의 동작에 관계없이 강제적으로 정지시키고,표시부에서 보호부의 동작을 표시하므로 낮은 외기온도시에 실내측 열교환기에서 충분히 증발되지 않았던 액냉매가 압축으로 흡입되어 압축기가 액압축을 일으켜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펌프제어부에서 압축기의 정지로부터 소정시간은 드레인펌프를 강제적으로 운전시키므로,압축기의 운전정지후에 증발기(실내측 열교환기)로부터 방울져 떨어지는 드레인수를 연속해서 배수할 수 있고,드레인수가 드레인팬으로부터 넘쳐서 피조화실에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펌프제어부는 드레인펌프를 강제적으로 운전시킴과 동시에 송풍팬이 운전되어서 증발기에서의 물의 응축을 촉진시켜 소정시간내에 드레인수의 떨어짐이 종료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본 발명의 제어장치는 외기온도가 소정치 이하로 되었을 때에 히트펌프사이클에 의한 난방운전을 정지하고,다른 난방기를 운전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했으므로, 외기온도가 소정치 이하로 저하한 때는 전기로나 보일러에 의한 난방운전을 자동적으로 개시할 수 있고,낮은 외기온도시에도 충분한 난방능력이 얻어지는 것이다.
또,본 발명의 제어장치는 실내유닛 A로부터 실외유닛에 신호선을 통해 실외유닛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고 실내유닛 A로부터는 실내유닛 B에 신호선을 통해 실내유닛 A에 설정된 신호가 전송되므로 실내유닛 A에 운전신호를 부여하는 것만으로 전실내유닛의 설정이 용이하게 행해지는 것이다.
또,실내유닛 B로부터의 실내유닛 A로에 실내유닛 B의 이상을 표시하는 신호만을 선택해서 보내므로 실내유닛 A의 신호수신에 걸리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즉,실내유닛 A의 제어부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실내의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는 실내측 열교환기(15)(17)을 갖는 실내유닛(1)(2)와 외기와 열교환을 행하는 실외측 열교환기(11)을 갖는 실외유닛(3)으로 구성됨과 동시에,실내측 열교환기(15)(17),압축기(9),실외측 교환기(11),감압장치(14)(16)(19)(20)를 사용하여 냉동사이클을 구성하여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이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에는 실온의 변화에 의하여 압축기(9)를 모든 능력운전 또는 정지로 제어하여 피조화실을 냉방운전하는 온도제어부와, 외기온도가 소정온도 이하로 되었을 때에 압축기(9)를 온도제어부의 동작에 관계없이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는 보호부와, 이 보호부의 동작시에 이 보호부의 동작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것을 특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실내유닛(1)(2)는 실내측 열교환기(15)(17)로부터 방울져 떨어진 물을 펌프(40)로 고위치까지 올린 후 실내유닛밖으로 배수하는 구성을 갖는 동시에,제어장치는 보호부의 동작개시로부터 적어도 일정시간동안 펌프(40)를 운전하는 펌프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실내유닛(1)(2)는 공기와 실내측 열교환기(15)(17)과의 열교환을 촉진하는 송풍팬(30)(31)을 갖는 동시에,펌프제어부는 펌프(40)가 운전하는 동안 송풍팬(30)(31)의 운전이 행해지게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4. 압축기(9),응축기,감압장치(14)(16)(19)(20),증발기를 사용하여 피조화실의 난방운전이 행해지도록 구성한 냉동사이클을 갖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이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에는 외기온도가 소정온도 이하로되었을 때에 난방운전을 정지하고,다른 난방기의 운전을 개시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5. 압축기(9),실외측 열교환기(11)를 갖는 단일의 실외유닛(3)에 각각 실내측 열교환기(15)(17)를 갖는 복수의 실내유닛(1)(2)을 조합시키고, 각각의 실내유닛(1)(2)을 사용하여 공조운전을 가능케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이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는 실내유닛(1)(2)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외측 제어부와,특정한 실내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내측 제어부 A와 다른 실내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내측 제어부 B로 구성되는 동시에,실외측 제어부와 실내측 제어부 A와를 연결해 실외측 제어부에 실외유닛의 동작을 제어시키기 위한 신호를 전송시키는 제l신호선과,실내유닛 A와 실내유닛 B와를 연결해 실내유닛 A로부터 실내유닛 B에는 실내유닛 A의 동작을 제어시키기 위해 설정된 신호를 전송시키고,실내유닛 B로부터 실내유닛 A에는 실내유닛 B에 일어난 이상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시키는 제2신호선과,상기 실내유닛 A의 동작을 제어시키기 위한 설정신호를 실내유닛 A에 부여되는 리모트콘트롤러(25l)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KR1019930008095A 1992-05-11 1993-05-11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KR9600106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117435A JP3015587B2 (ja) 1992-05-11 1992-05-11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92-117435 1992-05-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659A KR930023659A (ko) 1993-12-21
KR960010637B1 true KR960010637B1 (ko) 1996-08-06

Family

ID=14711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8095A KR960010637B1 (ko) 1992-05-11 1993-05-11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379606A (ko)
EP (1) EP0570130B1 (ko)
JP (1) JP3015587B2 (ko)
KR (1) KR960010637B1 (ko)
CN (1) CN1061432C (ko)
BR (1) BR9301775A (ko)
CA (1) CA2095382C (ko)
DE (1) DE69311762T2 (ko)
MY (1) MY113887A (ko)
SG (1) SG50686A1 (ko)
TW (1) TW1980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91530B (ko) * 1994-06-15 1996-11-21 Sanyo Electric Co
US5735135A (en) * 1996-04-10 1998-04-07 Sanyo Electric Co., Ltd. Air conditioner
TW479122B (en) * 2000-03-15 2002-03-11 Hitachi Ltd Refrigerator
US6438973B1 (en) * 2000-05-01 2002-08-27 Hoshizaki America, Inc. Control board alarms
KR100499506B1 (ko) * 2003-01-13 2005-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공기조화기용 이물질 차단장치
US6826924B2 (en) * 2003-03-17 2004-12-07 Daikin Industries, Ltd. Heat pump apparatus
US7064511B2 (en) * 2004-01-16 2006-06-20 Standard Microsystems Corporation Autofan combination of zones
JP4425655B2 (ja) * 2004-02-04 2010-03-0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US7849698B2 (en) * 2005-03-02 2010-12-14 York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sense and establish operation mode for an HVAC control
EP2149019B1 (en) * 2007-05-09 2017-10-04 Carrier Corporation Adjustment of compressor operating limits
KR20090022119A (ko) * 2007-08-29 2009-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비스밸브 결합체를 구비한 분리형 멀티에어컨
US7863849B2 (en) 2008-02-29 2011-01-04 Standard Microsystems Corporation Delta-sigma modulator for a fan driver
JP4667496B2 (ja) * 2008-11-17 2011-04-1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US8241008B2 (en) 2009-02-26 2012-08-14 Standard Microsystems Corporation RPM controller using drive profiles
US8861148B2 (en) * 2010-07-29 2014-10-14 Lennox Industries Inc. Surge protector, an HVAC unit including the surge protector and a method of testing electrical equipment
JP5897994B2 (ja) * 2012-06-06 2016-04-06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2829529B (zh) * 2012-09-24 2015-06-10 宁波奥克斯空调有限公司 用于空调器辅助电加热的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US9388998B2 (en) 2013-03-15 2016-07-1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Battery holder for an electronic device
JP5692280B2 (ja) * 2013-04-30 2015-04-0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化粧パネルおよび室内ユニット
CN107429931B (zh) * 2015-04-07 2020-03-31 日立江森自控空调有限公司 空调机
CN104776504A (zh) * 2015-04-19 2015-07-15 北京德能恒信科技有限公司 一种三分体式机房节能空调系统
CN107192089B (zh) * 2017-05-08 2020-01-31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控制系统、空调器和计算机设备
US10465949B2 (en) 2017-07-05 2019-11-05 Lennox Industries Inc. HVAC systems and methods with multiple-path expansion device subsystems
JP7077753B2 (ja) * 2018-05-07 2022-05-31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機
CN114763949A (zh) * 2021-01-15 2022-07-19 开利公司 储液器、其连接方法、储液器组件和热泵系统
JP7135241B1 (ja) * 2022-01-21 2022-09-12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及び換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6763A (en) * 1978-10-24 1981-01-27 Honeywell Inc. Heat pump system compressor fault detector
US4211089A (en) * 1978-11-27 1980-07-08 Honeywell Inc. Heat pump wrong operational mode detector and control system
US4298056A (en) * 1980-01-21 1981-11-03 Honeywell Inc. Heat pump setback temperature control with cold weather override
JPS5946439A (ja) * 1982-09-08 1984-03-15 Toshiba Corp スプリツトエアコンの制御信号回路
JPS59131843A (ja) * 1983-01-17 1984-07-28 Toshiba Corp 空気調和装置
US4627483A (en) * 1984-01-09 1986-12-09 Visual Information Institute, Inc. Heat pump control system
JPS62175543A (ja) * 1986-01-30 1987-08-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ドレンポンプ制御装置
JPS62190344A (ja) * 1986-02-15 1987-08-20 Daikin Ind Ltd 分離形空気調和装置
JP2508860B2 (ja) * 1989-09-20 1996-06-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運転制御装置
JP2823297B2 (ja) * 1990-02-23 1998-11-11 東芝エー・ブイ・イー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909187B2 (ja) * 1990-10-26 1999-06-23 株式会社東芝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15587B2 (ja) 2000-03-06
CA2095382C (en) 2002-12-31
US5379606A (en) 1995-01-10
BR9301775A (pt) 1993-11-16
CN1061432C (zh) 2001-01-31
DE69311762D1 (de) 1997-07-31
SG50686A1 (en) 1998-07-20
EP0570130A2 (en) 1993-11-18
CN1079043A (zh) 1993-12-01
CA2095382A1 (en) 1993-11-12
MY113887A (en) 2002-06-29
EP0570130B1 (en) 1997-06-25
TW198093B (ko) 1993-01-11
EP0570130A3 (ko) 1994-08-03
KR930023659A (ko) 1993-12-21
DE69311762T2 (de) 1997-11-13
JPH05312380A (ja) 199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0637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JP3378724B2 (ja) 空気調和機の除霜制御方法
JPH0452441A (ja) 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の着霜検知方式
KR970001287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US3901308A (en) Electrical overload control for a combination apparatus
KR100407653B1 (ko) 공기조화기의제어장치
EP3176516B1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JPH09113014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KR20000057057A (ko) 공기조화기
JP2810588B2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3738091B2 (ja) 空気調和機
JP4201416B2 (ja) 空気調和機
JP4259696B2 (ja) 空気調和機の試運転判断方法
KR100347448B1 (ko) 공기조화기의제어장치
JPH05312379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H0674528A (ja) 空気調和機
JPS63273751A (ja) 空気調和機の除霜制御方法
JP4236347B2 (ja) 空気調和機
JP4136155B2 (ja) 空気調和機
JPH09318144A (ja) 空気調和機の風速制御方法
JP4242979B2 (ja) 空気調和機
JP3197748B2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H09152150A (ja) 空気調和機
JPH11257713A (ja) 空気調和機
JPH07286737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05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305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6071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10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1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61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7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7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8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