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10588Y1 - 계수형 훌라후프 - Google Patents

계수형 훌라후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588Y1
KR960010588Y1 KR2019930020133U KR930020133U KR960010588Y1 KR 960010588 Y1 KR960010588 Y1 KR 960010588Y1 KR 2019930020133 U KR2019930020133 U KR 2019930020133U KR 930020133 U KR930020133 U KR 930020133U KR 960010588 Y1 KR960010588 Y1 KR 9600105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a hoop
signal
bellows
uni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01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202U (ko
Inventor
석상욱
Original Assignee
석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상욱 filed Critical 석상욱
Priority to KR20199300201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588Y1/ko
Publication of KR9500082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2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5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5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9/00Hoop exercising apparatus
    • A63B19/02Freely-movable rolling hoops, e.g. gyrowheels or spheres or cylinders, carrying the user ins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계수형 훌라후프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로서,
(a)는 벨로우즈가 부설된 에어 발성 계수형이고,
(b)는 누름스위칭 의한 전자 발광, 발성형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리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벨로우즈에 의한 에어 발성부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이 다른 실시예인 전자식 계수형으로서,
(a)는 내부 구성상태 요부단면도이고,
(b)는 회로 구성도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훌라후프 101 : 연결관
111 : 벨로우즈 112 : 누름스위치
113 : 슬라이드스위치 120 : 신호장치부
121 : 소리발생기 122 : 전원
123 : 제어부 124 : 발광표시부
125 : 발광램프 126 : 음향신호 발생부
127 : 증폭기 128 : 스피커
본 고안은 유희용 운동기구인 훌라후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측부에 구비된 작동부에 의하여 회전횟수를 계수하기 용이하도록 한 계수형 훌라후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간단한 운동기구로서 허리의 유연성을 길러주고, 특히 어린이들의 신체적 발육성장에 많은 효과를 주는 것으로 훌라후프가 널리 애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훌라후프는 별도의 장치가 없고 단순히 파이프를 원형으로 형성하여 준 것에 불과 하므로 어린이들에게 별다른 호기심을 주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훌라후프의 일측 연결부에 별도의 신호 발생 작동부를 부설하여 매 회전시 마다 소리나 발광신호를 발생하도록 하여 회전 횟수를 시각이나 청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계수형 훌라후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회전하는 훌라후프의 자체 질량에 의하여 발생되는 원심력으로 일측부에 구비된 작동부를 작동시켜 음성신호나 발광신호를 발하게 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별도의 에너지원을 필요치 않고 훌라후프 자체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벨로우즈관이 압축되어 발생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공기압축식 음성신호 발생기를 사용 하거나, 또는 별도의 전원장치부를 구비하고 작동부에는 누름스위치를 설치하여 작동시켜 줌으로서 발광신호나 음성메모리 칩에 의하여 여러가지 다양한 음향효과를 발생시켜 주도록 한 전자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통상의 원형 훌라후프(100)의 일측 연결관(101)의 안쪽 부분에 돌출된 작동부(110)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101)의 내부에는 신호장치부(120)를 설치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작동부(110)는 벨로우즈(111)를 설치하고 이에 의하여 발생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신호를 발생하도록 한 소리발생기(121)가 구비된다.
첨부도면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전자식 계수형으로서 작동부(110)에 누름스위치(112)를 구비하고, 연결관(101)의 내부에는 전원(122)과 제어부(123)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한 발광표시부(124)와 음향신호 발생부(1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123)는 발광표시부(124)와 음향신호 발생부(126)를 조정하는 부분으로서 순차적으로 발광램프(125)를 점등시키거나 음향신호 발생부(126)를 작동시켜 여러가지 다양한 음성신호를 스피커(128)에 인가한다.
또한 훌라후프(100)의 외부에 별도의 슬라이드스위치(113)를 부설하여 음성신호의 불필요시 이를 차단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 보면 통상의 방법과 동일하게 훌라후프(100)를 허리에 끼우고 허리운동을 하면 본 고안은 작동된다.
즉 훌라후프(100)의 일측부에 설치된 작동부(110)가 회전시 자체의 질량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하여 작동되면서 매 회전시 마다 신호를 발생하게 하는 것이다.
먼저 공기압축식은 훌라후프(100)의 회전시 허리부분에 작동부(110)가 밀착되면 벨로우즈(111)가 압착되면서 내부의 공기가 압축되어 소기발생기(121)를 작동시킨다.
상기의 공기압축시 계수형은 별도의 에너지원이 필요 없으므로 영구적이며 고장이 없는 장점이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전자식 계수형은 작동부(110)에 누름스위치(112)를 부설하여 작동되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의 공기압축식과 동일하게 훌라후프(100)의 자체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매 회전시 마다 누름스위치(112)가 작동되도록 한 것이다.
누름스위치(112)에 의하여 제어부(123)에 전원이 인가되면 발광표시부(124)의 발광램프(125)를 순차적으로 발광시키도록 한다.
동시에 음향신호 발생부(126)에 신호를 주어 자체내에 입력된 여러가지 다양한 음향신호를 증폭기(127)에 의하여 증폭하여 스피커(128)를 통하여 나타내게 된다.
사용중 음성신호를 차단하고자 하면 훌라후프(100)의 외측에 설치된 슬라이드위치(113)를 끊어 줌으로서 소리신호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도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종래의 단순한 훌라후프에 별도의 계수형 신호발생장치를 부설함으로서 운동시 매 회전시마다 회전수를 정확히 계수할 수 있고 특히 어린이들에게 흥미를 줌으로써 훌라후프의 활성화로 어린이들의 체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운형 훌라후프에 있어서, 훌라후프(100)의 일측 연결관(101)의 안쪽 부분에 돌출설치되어 원심력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부(110)와, 상기한 연결관(10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한 작동부(110)의 작동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장치부(120)가 부설되되, 상기한 작동부(110)는 원심력에 의해 인체와의 접촉에 따라 공기를 압축시키는 벨로우즈(111)로 구성되고, 상기한 신호장치부(120)는 상기한 벨로우즈(111)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한 벨로우즈(111)에 의해 압축된 공기에 의하여 음향신호를 발생하는 소기발생기912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형 훌라후프.
KR2019930020133U 1993-09-28 1993-09-28 계수형 훌라후프 KR9600105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133U KR960010588Y1 (ko) 1993-09-28 1993-09-28 계수형 훌라후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133U KR960010588Y1 (ko) 1993-09-28 1993-09-28 계수형 훌라후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202U KR950008202U (ko) 1995-04-15
KR960010588Y1 true KR960010588Y1 (ko) 1996-12-20

Family

ID=19364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0133U KR960010588Y1 (ko) 1993-09-28 1993-09-28 계수형 훌라후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58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659A (ko) * 1999-07-22 1999-11-05 오화준 다기능 훌라후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202U (ko) 199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2131A (en) Electronic paddle game
US5236383A (en) Illuminated toy ball
US4909117A (en) Portable drum sound simulator
US20070155277A1 (en) Mobile/portable and personal pre-recorded sound effects electronic amplifier device/gadget
ATE291473T1 (de) Spielzeug mit veränderlicher leistung
US4169335A (en) Musical amusement device
US5289355A (en) Portable lighted microphone
US5259807A (en) Mascot cheer simulator
GB2272169A (en) Simulation toy.
KR960010588Y1 (ko) 계수형 훌라후프
US4346640A (en) Decorative light flashing apparatus and acousto-electric transducer therefor
US5181775A (en) Non-polluting firecracker device
US6623326B2 (en) Sound-effects generating device with bipolar magnetic switching for activity devices
JPH0515996U (ja) マリオネツト
US20060135320A1 (en) Illuminated trampoline
US4691360A (en) Voice simulator
KR200239364Y1 (ko) 외부기기와 연결 사용되는 전자드럼
DE69117755D1 (de) Bewegungen und Geräusche erzeugende Puppe
CN202102699U (zh) 一种激光水晶三角钢琴
US3315407A (en) Electric motor driven noise simulator
KR200188704Y1 (ko) 램프가 점멸되는 호루라기
KR860000047Y1 (ko) 메아리 발음체가 내장된 멜로디온
KR200300130Y1 (ko) 충격스위치가 내장된 음성/멜로디 완구
RU95101469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тания "тапкомет"
KR200246181Y1 (ko) 무전지 점멸기능을 갖는 망치 장난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3092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3092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60711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12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3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03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7031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6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2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