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10228B1 - 유압엘리베이터용 제어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유압엘리베이터용 제어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228B1
KR960010228B1 KR1019930022245A KR930022245A KR960010228B1 KR 960010228 B1 KR960010228 B1 KR 960010228B1 KR 1019930022245 A KR1019930022245 A KR 1019930022245A KR 930022245 A KR930022245 A KR 930022245A KR 960010228 B1 KR960010228 B1 KR 960010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heck valve
hydraulic
main check
pilot opera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2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304A (ko
Inventor
조양근
Original Assignee
이희종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종,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희종
Priority to KR1019930022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228B1/ko
Priority to US08/325,148 priority patent/US5522479A/en
Priority to JP25851794A priority patent/JP3727367B2/ja
Priority to TW086213992U priority patent/TW348774U/zh
Priority to CN94119645A priority patent/CN1038318C/zh
Publication of KR950011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22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유압엘리베이터용 제어밸브장치
제1도는 종래 유압 제어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압 제어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상세도로서, (가)는 평상시, (나)는 하강시, (다)는 상승시, (라)는 비상시의 작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제3도의 체크밸브 가동체를 발췌하여 보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4 : 유압 실린더
5 : 유압호스6 : 스톱 밸브
7 : 비상하강용 수동밸브8 : 최저압력설정 릴리프밸브
9 :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9a : 홈
10 : 메인 체크밸브 개방용 솔레노이드밸브
11 : 메인 체크밸브 폐쇄용 솔레노이드밸브
12 : 파이롯트 작동형 릴리프밸브13 : 언로딩 솔레노이드밸브
14 : 체크밸브15 : 오리피스
16 : 실린더측 압력검출기17 : 유압펌프축 압력검출기
18 : 속도 제어장치20 : 3상 유도전동기
21 : 정역회전 유압펌프22 : 메인 체크밸브측 배관라인
23 : 유압 탱크축 배관라인24 : 관로
26 : 메니홀드 블록27, 28 : 커버
29, 32 : 스프링30 : 우레탄 O-링
31 : 피스톤33 : 스토퍼 너트
35 : 파이롯트 관
본 발명은 유압엘리베이터용 제어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압펌프의 회전수 제어에 의해 유압 실린더로의 압유의 공급 또는 유압 실린더로부터 배출하는 유량을 제어하는 방식의 유압엘리베이터에 적합하도록 한 유압엘리베이터용 제어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압엘리베이터의 회로도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1은 승객을 실어나르는 카, 2는 메인로프로서 지면과 카(1)를 유압 실린더(4)의 램(ram) 끝에 결합된 풀리(3)를 지나서 카(1)와 연결되어 있다. 6은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로서, 이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6)는 유압호스(5)와 연결되어 있다. 10은 파이롯트관으로서 열림용 솔레노이드밸브(8) 및 닫힘용 솔레노이드밸브(9)와 연결되어 있다. 11은 스로틀이며 이는 파이롯트 작동형 언로드 릴리프밸브(12)의 배압을 교축한다. 13은 릴리프밸브이며 14는 언로드용 솔레노이드밸브이다. 15는 체크밸브, 16은 파이롯트 작동형 언로드 릴리프밸브(12)에서 환류되는 유압작동유를 유압 탱크(20)로 보내는 탱크축 배관이다. 18은 정역회전 유압펌프(17)로 보내는 유압작동유를 정화시키는 오일 필터이며, 19는 3상 유도전동기로서 이는 인버터(24)로부터 지령전원(25)을 받아서 작동한다. 21은 실린더측 압력검출기, 22는 유압펌프측 압력검출기이며, 22a는 유압펌프측 압력검출기(22)에서 검출한 압력 신호를 속도 제어장치(23)로 보내는 출력신호이며, 속도 제어장치(23)는 인버터(24)와 연결되어 있다.
이하 제1도를 참조하여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1)의 상승 운전 지령이 발생하면, 실린더측 압력검출기(21)의 압력신호 전달로(21a) 및 유압펌프측 압력검출기(22)의 압력신호 전달로(22a)에 의해 속도 제어장치(23)에서 전동기 속도 지령이 발생되어 인버터(24)에 가하여 진다. 인버터(24)에서는 전동시 속도 지령에 해당하는 가변 전압 가변주파수의 3상 교류를 발생시켜, 3상 유도전동기(19)를 구동시킨다. 이때 3상 유도전동기(19)와 연결된 정역회전 유압펌프(17)는 카(1)가 상승하도록 정회전을 하게 되어 실린더측 압력과 동등하게 되면 카 속도 지령이 발생하여 이에 따르는 3상 유도전동기(19)의 회전속도도 증가하므로 정역회전 유압펌프(17)의 토출유량도 증가하여, 토출된 압유는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6)의 체크밸브를 밀고 올라가서 유압호스(5)를 통하여 유압 실린더(4)로 전달되어 카(1)를 위로 상승시킨다. 카(1)가 정지층에 거의 다다르게 되면 3상 유도전동기(19)의 회전속도가 감소하여 이와 연동되는 정역회전 유압펌프(17)의 토출유량이 영으로 되면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체크밸브(6)는 일반적인 체크밸브 역할을 하게 되어 유압 실린더(4)로부터 압유가 나오지 못하게 하여 카(1)를 완전히 정지시킨다.
하강 운전지령이 발생하면 상승시와 동일하게 3상 유도전동기(19)을 정회전 구동시켜 정역회전 유압펌프(17)의 토출압력이 실린더측 압력과 동일하게 되면 열림용 솔레노이드밸브(8)를 온(ON)시킴과 동시에 닫힘용 솔레노이드밸브(9)도 온(ON)시킴으로써 카(1)의 자중에 의해 항상 생성되어 있는 유압 실린더(4)측의 압력이 파이롯트관(10)을 통하여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6)내의 파이롯트 조작배실(7)로 압유를 전달하여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6)를 강제로 연후 카 속도 지령에 따라 유압 실린더(4)에서 정역회전 유압펌프(17)로 압유가 흐르게 되고, 정역회전 유압펌프(17)의 회전속도를 3상 유도전동기(19)에 의해 회생제동시키면서 유압 실린더(4)로부터 토출되는 유량을 제어하여 카(1)를 하강 주행시키고, 정지층에 거의 도착할 무렵에 3상 유도전동기(19)의 회전속도를 감소시켜 유압 실린더(4)로부터의 토출유량을 줄여가다가 카(1)가 정지층에 도달하면 열림용 솔레노이드밸브(8)를 오프(OFF)시켜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6)의 파이롯트 조작배실(7)의 압유를 유압 탱크(20)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닫힘용 솔레노이드밸브(9)도 오프(OFF)시켜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6)가 완전히 체크밸브 기능으로 전환되도록 한후, 유압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정지시킨다.
한편 정역회전 유압펌프(17)의 토출압력이 파이롯트 작동형 언로드 릴리프밸브(12) 설정 압력보다 높게되면 정역회전 유압펌프(17)에서 토출되는 압유는 파이롯트 작동형 언로드 릴리프밸브(12)를 지나 탱크측 배관(16)측으로 흘러서 유압 탱크(20)를 배출하게 된다.
또한 유압 작동유의 온도가 정격 사용시의 온도 이하가 되면 언로드용 솔레노이드밸브(14)가 온(ON)되어 유압 작동유를 파이롯트 작동형 언로드 릴리프밸브(12) 지나게 하여 유온을 상승시키며, 체크밸브(15)는 카(1) 하강시 열림용 솔레노이드밸브(8)에 작동신호를 인가했으나 작동하지 않음으로 인가하여 정역회전 유압펌프(17)가 역회전할 때 부압 발생에 의한 캐비테이션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압 탱크(20)로부터 유압 작동유가 공급되도록 한다.
종래의 유압엘리베이터는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6)를 개방할 때 가하는 파이롯트 압력이 유압실린더(4)로부터 파이롯트관(10)을 통해서 공급되고 있어 만약 주행중에 열림용 솔레노이드밸브(8)가 오동작을 하여 계속해서 온(ON) 상태가 되면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6)가 강제 열림 상태가 되어 카(1)가 계속 하강할 위험이 있다. 또한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6)내의 체크밸브의 스풀(spool)은 유온이 높아져 유압작동유의 점도가 떨어지게 되면 완전한 체크밸브의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어 카(1)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내부 누설이 발생하여 카(1)가 하강하게 된다. 즉, 유압작동유의 점도 변화에 따라 체크밸브의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는 위험이 있다. 뿐만아니라 비상시 수동으로 카(1)를 하강하게 하는 밸브가 없어 굳이 수동으로 카(1)를 하강시키려면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6)를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위험이 요인이 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가 열림용 솔레노이드밸브의 오동작에 의해서 강제로 열리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유온 상승에 따라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의 내부 누설을 방지하며, 비상하강용 수동밸브와 최저압 설정 릴리프밸브를 부착하여 메인 로프가 유압 실린더의 풀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유압펌프의 이상 회전시의 캐비테이션을 방지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은 유압펌프측에서 발생되는 압력만으로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를 개방하기 위한 메인 체크밸브 개방용 솔레노이드밸브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카의 비상하강시 유압 실린더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하가 되면 비상하강용 수동밸브에 연하여 연결된 최저압력설정 릴리프밸브에서 비상 하강을 중지시키도록 구성되며,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중 메니홀드 블록과 접하는 부위에 온도에 따른 유압작동유의 점도 변화에 관계 없이 내부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우레탄 O-링이 설치되고,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의 체크밸브 가동체에 홈을 형성하여 개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어밸브장치는 카(1)를 승강시키는 유압 실린더(4)와, 유압 작동유를 펌핑하는 정역회전 유압펌프(21) 사이의 관로에 연결되는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9)를 개방시키는 메인 체크밸브 개방용 솔레노이드밸브(10)를 정역회전 유압펌프(21)에서 발생된 압력으로 파이롯트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메인 체크밸브측 배관라인(22)과, 유압 탱크측 배관라인(23) 간에 연결되는 관로(24)에 오리피스(15)와, 카(1)를 수동으로 비상 하강시키기 위한 비상하강용 수동밸브(7)와, 유압 실린더(4)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하가 되면 비상하강을 중지시키기 위한 최저압력설정 릴리프밸브(8)가 직렬 연결되어, 오리피스(15)를 통과하는 파이롯트 압력이 비상하강용 수동밸브(7)와 최저압력설정 릴리프밸브(8)를 지나 유압 탱크측 배관라인(23)로 흐르도록 구성된다.
상기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9)는 블록(26')의 내부에 체크밸브 가동체(9')와, 체크밸브 가동체(9')를 파이롯트 배압에 의해 미는 피스톤(31)이 좌우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각각 삽입되어 스프링(29), (32)으로 탄지되고, 블록(26')의 양단부에 메니홀드 블록 커버(27), (28)가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31)의 단부에는 스토퍼 너트(33)가 나사 결합되고, 일측 메니홀드 블록 커버(28)에는 상기 피스톤(31)의 스토퍼 너트(33)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고정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유압 회로도는 메인 체크밸브측 배관라인(22)에 스톱 밸브(6)와, 메인 체크밸브 개방용 솔레노이드밸브(10) 및 메인 체크밸브 폐쇄용 솔레노이드밸브(11)에 의해 개폐 조작되는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9)와, 정역회전 유압펌프(21)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스톱 밸브(6)에 유압 실린더(4)가 연결되며, 상기 배관라인(23)(37) 일단부는 유압 탱크(37)에 연결되고, 상기 양측 배관라인(22)(37)의 타단부측을 연결하는 관로(24)에 오리피스(15), 비상하강용 수동밸브(7) 및 최저압력설정 릴리프밸브(8)가 연결됨과 아울러, 양측 배관라인(22)(23) 간에 정역회전 유압펌프(21)측으로 체크밸브(14)와 파이롯트 작동형 릴리프밸브(12)가 병렬 연결되고, 파이롯트 작동형 릴리프밸브(12)가 유압 탱크측 배관라인(23)가 유압 탱크측 배관라인(23) 간에 언로딩 솔레노이드밸브(13)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9)의 파이롯트 배관(35)에 메인 체크밸브 개방용 솔레노이드밸브(10)와 메인 체크밸브 폐쇄용 솔레노이드밸브(11)이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양측 배관라인(22)(23)에 각각 연결되며, 메인 체크밸브 개방용 솔레노이드밸브(10)와 메인 체크밸브측 배관라인(22) 사이에 오리피스(15)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을 일실시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카(1)가 유압 실린더(4)의 램 상부의 풀리(3)를 지나 지면과 연결된 메인 로프(2)에 연결되어 있고, 유압 실린더(4)는 메니홀드 블록(26)에 연결된 스톱 밸브(6)에 유압호스(5)로 연결되어 있다.
메니홀드 블록(26) 내에서 15는 오리피스이고, 이곳을 통과하는 파이롯트 압력은 비상하강용 수동밸브(7)와 최저압력설정 릴리프밸브(8)를 지나 유압 탱크측 배관라인(23)으로 흐르게 되어 있다.
9는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이고,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9)의 배관(35)은 메인 체크밸브 개방용 솔레노이드밸브(10)와 메인 체크밸브 폐쇄용 솔레노이드밸브(11)에 연결되어 있고, 메인 체크밸브 개방용 솔레노이드밸브(10)로 전달되는 압유는 오리피스(15)를 통과하게 되어 있다.
12는 파이롯트 작동형 릴리프밸브이고, 13은 파이롯트 작동형 릴리프밸브(12)를 언로드 밸브로서 작동을 하게 할 때 사용되는 언로딩 솔레노이드밸브이며, 14는 체크밸브(14)로서 배관(23)으로부터 정역회전 유압펌프(21)로 압유를 공급할때 사용된다.
36은 정역회전 유압펌프(21)로 공급되는 유압작동유를 정화시키는 오일 필터이며, 37는 유압작동유를 저장하는 유압 탱크이다.
25는 압력계이며, 압력계(25)와 연결된 스톱 밸브(6)는 압력계(25)로 압력을 전달 또는 차단시킬 수 있다.
16은 실린더측 압력검출기, 17은 유압펌프측 압력검출기이며, 16a는 실린더측 압력검출기 출력신호 전달로, 17a는 유압펌프측 압력검출 출력신호 전달로이다.
18은 속도 제어장치로서, 상기 실린더측 압력검출기 출력신호 전달로(16a)와 유압펌프측 압력검출 출력신호 전달로(17a)는 속도 제어장치(18)와 연결되어 있으며, 속도 제어장치(18)는 인버터(19)와 연결되어 있다.
20은 3상 유도전동기로서 정역회전 유압펌프(21)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인버터(19)는 3상 유도전동기(20)에 연결되어 있다.
제3도(나) 내지 (라)는 메니홀드 블록 전체 구성중에서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의 일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블록(26')의 내부에 체크밸브 가동체(9')와, 체크밸브 가동체(9')를 파이롯트 배압에 의해 미는 피스톤(31)이 좌우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각각 삽입되어 스프링(29), (32)으로 탄지되고, 블록(26')의 양단부에 메니홀드 블록 커버(27), (28)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31)의 단부에는 스토퍼 너트(33)가 나사 결합되고, 일측 메니홀드 블록 커버(28)에는 상기 피스톤(31)의 스토퍼 너트(33)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크밸브 가동체(9')에는 내부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우레탄 O-링(2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29)은 체크밸브 가동체(9')를 닫히는 측으로 탄지하고, 상기 스프링(32)은 피스톤(31)을 항상 복귀시키도록 탄지하며, 상기 스토퍼 너트(33)는 파이롯트 배압에 의해 전진하는 피스톤(31)에 스트로크를 한정하여 체크밸브 가동체(9')의 개도를 결정하게 한다. 제3도에서 10은 메인 체크밸브 개방용 솔레노이드밸브, 11은 메인 체크밸브 폐쇄용 솔레노이드밸브, 15는 오리피스를 각각 보인 것이며, 9b는 유압 실린더(4)측 유동구, 9c는 정역회전 유압펌프(21)측 유동구를 각각 보인 것이다.
제4도 및 제5도는 상기 체크밸브 가동체(9')의 단면도 및 사시도를 보인 것으로, 상기 체크밸브 가동체(9')는 단부에 수개(도면에서 4개)의 홈(9a)이 형성되어 있어 이 홈(9a) 사이로 유압작동유가 지나가도록 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 유압엘리베이터용 제어밸브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카(1) 상승운전 지령이 발생하면 실린더측 압력검출기(16)의 실린더측 압력검출기 출력신호 전달로(16a) 및 유압펌프측 압력검출기(17)의 유압펌프측 압력검출 출력신호 전달로(17a)에 의해 속도 제어장치(18)에서 전동기 속도 지령을 발생시켜 인버터(19)에 가해진다. 인버터(19)에서는 전동기 속도 지령에 해당하는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의 3상 교류를 발생시켜 3상 유도전동기(20)를 구동시킨다. 이때 3상 유도전동기(20)와 연결된 정역회전 유압펌프(21)는 카(1)가 상승하도록 정회전을 하게 되면 압력이 상승하게 되어 카(1)의 자중에 의해 항상 발생되어 있는 유압 실린더(4)측 압력과 정역회전 유압펌프(21) 압력이 동등하게 될 때 카 속도 지령이 발생하여 이에 따르는 3상 유도전동기(20)의 회전 속도도 증가하므로 정역회전 유압펌프(21)의 토출유량도 증가하여 제3도(다)와 같이, 토출된 압유는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9)의 체크밸브를 밀고 올라가서 유압호스(5)를 통하여 유압 실린더(4)로 전달되어 카(1)를 상승시킨다. 카(1)가 정지층에 거의 다다르게 되면 3상 유도전동기(20)의 회전속도가 감소하여 이와 연동되는 정역회전 유압펌프(21)의 토출유량이 영으로 되면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9)는 일반적인 체크밸브 역할을 하게 되어 유압 실린더(4)로부터 압유가 나오지 못하게 하여 카(1)를 완전히 정지시키며,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9)는 제3도(가)와 같이 유지된다.
하강 운전 지령이 발생되면 상승시와 동일하게 3상 유도전동기(20)의 전회전으로 구동시켜 정역회전 유압펌프(21)의 토출압력이 유압 실린더측 압력과 동일하게 되면 메인 체크밸브 개방용 솔레노이드밸브(10)를 온(ON)시킴과 동시에 메인 체크밸브 폐쇄용 솔레노이드밸브(11)도 온(ON)시키면, 정역회전 유압펌프(21)측의 압력이 오리피스(15)와 파이롯트관을 통하여 제3도(나)와 같이, 피스톤(31)이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9)를 강제로 연다. 이때 피스톤(31)에는 피스톤 스토퍼 너트(33)가 있어 피스톤(31)이 최대로 움직일 수 있는 스트로크를 제한하므로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9)의 개도구멍도 제한을 받음으로 카(11)의 최대 하강속도가 제한을 받게 된다. 여기서 하강시에 유압 실린더(4)의 압력과 정역회전 유압펌프(21)측 압력을 동등하게 하여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9)를 개방시키려는 이유는 하강시 기동 쇼크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9)가 열려진 상태에서 카 속도 지령에 따라 유압 실린더(4)에서 정역회전 유압펌프(21)로 압유가 흐르며 정역회전 유압펌프(21)의 회전속도를 3상 유도전동기(20)에 의해 회생제동시키면서 유압 실린더(4)로부터 토출되는 유량을 제어하여 카(1)를 하강시키고, 정지층에 거의 도착할 무렵에 정역회전 유압펌프(21)의 회전속도를 감소시켜, 유압 실린더(4)로부터 토출되는 유량을 줄어 가다가 카(1)가 정지층에 도달하면 메인 체크밸브 개방용 솔레노이드밸브(10)를 오프(OFF)시킴과 동시에 메인 체크밸브 폐쇄용 솔레노이드밸브(11)도 오프(OFF)시킴으로써 피스톤(31)을 계속해서 밀고 있는 유압 탱크(37)로 배출시킴으로써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9)를 완전히 체크밸브 기능으로 전환시킨후 유압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정지시킨다.
카(1)를 정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3도(라)와 같이, 메인 체크밸브 개방용 솔레노이드밸브(10)가 온(ON)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메인 체크밸브 폐쇄용 솔레노이드밸브(11)만을 오프(OFF)시켜도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9)는 닫혀지므로 항상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또 메인 체크밸브 개방용 솔레노이드밸브(10)에 의도하지 않은 전원이 온(ON)되더라도 정역회전 유압펌프(21)에서 압력이 생기지 않으면 파이롯트 압력도 생기지 않으므로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9)가 절대 열리지 않게 되므로 카(1)가 낙하하는 일이 없다.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9)는 제4도와 같이, 우레탄 O-링(30)이 결합되어 있어 제3도(가)와 같이 평상시에 유온이 높아 유압작동유의 점도가 낮아져도 유압 실린더(4)의 유압작동유가 내부 누설에 의해 정역회전 유압펌프(21)로 흘러들어가서 카(1)가 하강하게 되는 것을 우레탄 O-링(30)의 밀봉 역할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제2도에서 비상하강용 수동밸브(7)는 정전시나 비상시에 카(1)를 가장 가까운 아래층으로 하강시킬 때 사용되는 밸브이며, 비상하강용 수동밸브(7)와 계속해서 연결되어 있는 최저압력설정 릴리프밸브(8)는 만약 카(1)가 승강로내에서 어떤 이유로 상하 방향 어디로든 움직일 수 없을 때 비상하강용 수동밸브(7)를 작동시키면 비상하강용 수동밸브(7)을 통과할 때의 압력은 카(1) 무게를 제외한 나머지 무게가 작용하게 되어 제2도의 메인 로프(2)가 풀리(3)에서 이탈할 위험이 있으므로 비상하강용 수동밸브(7)는 카(1)의 무게까지 포함한 무게의 자중에 의한 압력에서만 작동되도록 설정하여 메인 로프(2)가 리(3)에서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정역회전 유압펌프(21)의 토출 압력이 파이롯트 작동형 릴리프밸브(12) 설정 압력 보다 높게 되면 정역회전 유압펌프(21)에서 토출되는 압유는 파이롯트 작동형 릴리프밸브(12)를 지나 유압 탱크측 배관라인(23)으로 흘러서 유압 탱크(37)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유압작동유의 온도가 정격 사용온도 이하가 되면 무부하용 언로딩 솔레노이드밸브(13)가 온(ON)되어 유압작동유를 파이롯트 작동형 릴리프밸브(12)를 지나가게 하여 유온을 상승시켜 정격 사용온도가 되도록 하며, 체크밸브(14)는 카(1)가 하가시 메인 체크밸브 개방용 솔레노이드밸브(10)에 작동신호를 인가했으나 작동하지 않으므로 인하여 정역회전 유압펌프(21)이 역회전할 때에 부압 발생에 의한 캐비테이션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압 탱크(37)로부터 유압작동유가 공급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은 종래의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의 파이롯트 압력을 실린더측 압력을 이용하는 것과는 달리 파이롯트 압력을 유압펌프에서 토출되는 압유를 이용하기 때문에 메인 체크밸브 주위의 솔레노이드밸브가 오동작을 하여도 카가 낙하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메인 체크밸브와 메니홀드 블록이 접촉하는 부위에 연성의 우레탄 O-링을 설치하여 일반적인 체크밸브의 금속 접촉으로 인한 유압작동유의 내부 누설을 방지하였기 때문에 유온이 높은 상태에서 카가 정지하고 있어도 우레탄 O-링은 메인 체크밸브와 메니홀드 블록에 완전한 실링 역할을 하므로 카의 하강은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비상 하강용 수동조작밸브와 최저압 릴리프밸브를 설치하여 전원이 오프(OFF)되어 카내의 승객을 구출하려고 할때 비상 하강용 수동조작밸브를 누르면서 카를 하강시키는데 만약 승강로 내에서 카가 움직일 수 없는 상태일 경우 비상 하강용 수동조작 밸브를 누르면, 카 무게를 제외한 나머지 무게가 유압 실린더에 가하여 지게되어 이때의 압력이 최저압 설정 릴리프밸브 설정 압력 보다 이하가 될 때에는 더 이상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게 함과 아울러 메인 로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카(1)를 승강시키는 유압 실린더(4)와, 유압작동유를 펌핑하는 정역회전 유압펌프(21) 사이의 관로에 연결되는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9)를 개방시키는 메인 체크밸브 개방용 솔레노이드밸브(10)를 정역회전 유압펌프(21)에서 발생된 압력으로 파이롯트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엘리베이터용 제어밸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메인 체크밸브측 배관라인(22)과, 유압 탱크측 배관라인(23) 간에 연결되는 관로(24)에 오리피스(15)와, 카(1)를 수동으로 비상하강시키기 위한 비상하강용 수동밸브(7)와, 유압 실린더(4)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하가 되면 비상하강을 중지시키기 위한 최저압력설정 릴리프밸브(8)가 직렬 연결되어, 오리피스(15)를 통과하는 파이롯트 압력이 비상하강용 수동밸브(7)와 최저압력설정 릴리프밸브(8)를 지나 유압 탱크측 배관라인(23)로 흐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엘리베이터용 제어밸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9)는 블록(26')의 내부에 체크밸브 가동체(9')와, 체크밸브 가동체(9')를 파이롯트 배압에 의해 미는 피스톤(31)이 좌우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각각 삽입되어 스프링(29), (32)으로 탄지되고, 블록(26')의 양단부에 메니홀드 블록 커버(27), (28)가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31)의 단부에는 스토퍼 너트(33)가 나사 결합되고, 일측 메니홀드 블록 커버(28)에는 상기 피스톤(31)의 스토퍼 너트(33)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고정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엘리베이터용 제어밸브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인 체크밸브측 배관라인(22)에 스톱 밸브(6)와, 메인 체크밸브 개방용 솔레노이드밸브(10) 및 메인 체크밸브 폐쇄용 솔레노이드밸브(11)에 의해 개폐 조작되는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9)와, 정역회전 유압펌프(21)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스톱 밸브(6)에 유압 실린더(4)가 연결되며, 상기 배관라인(22)(23) 일단부는 유압 탱크(37)에 연결되고, 상기 양측 배관라인(22)(23)의 타단부측을 연결하는 관로(24)에 오리피스(15), 비상하강용 수동밸브(7) 및 최저압력설정 릴리프밸브(8)가 연결됨과 아울러, 양측 배관라인(22)(23) 간에 정역회전 유압펌프(21)측으로 체크밸브(14)와 파이롯트 작동형 릴리프밸브(12)가 병렬 연결되고, 파이롯트 작동형 릴리프밸브(12)와 유압 탱크측 배관라인(23) 간에 언로딩 솔레노이드밸브(13)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엘리베이터용 제어밸브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9)의 체크밸브 가동체(9') 외주면에 메니홀드 블록(26)과의 실링을 위하여 우레탄 O-링(30)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엘리베이터용 제어밸브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9)의 체크밸브 가동체(9')의 단부에 수개의 홈(9a)이 형성되어 이 홈(9a) 사이로 유압작동유가 흐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엘리베이터용 제어밸브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9)의 피스톤(31)에 스트로크를 한정하여 체크밸브 가동체(9')의 개도를 결정하는 스토퍼 너트(33)가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엘리베이터용 제어밸브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9)의 파이롯트 배관(35)에 메인 체크밸브 개방용 솔레노이드밸브(10)와 메인 체크밸브 폐쇄용 솔레노이드밸브(11)이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양측 배관라인(22)(23)에 각각 연결되며, 메인 체크밸브 개방용 솔레노이드밸브(10)와 메인 체크밸브측 배관라인(22) 사이에 오리피스(15)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엘리베이터용 제어밸브장치.
KR1019930022245A 1993-10-25 1993-10-25 유압엘리베이터용 제어밸브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60010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2245A KR960010228B1 (ko) 1993-10-25 1993-10-25 유압엘리베이터용 제어밸브장치
US08/325,148 US5522479A (en) 1993-10-25 1994-10-20 Control valve device for hydraulic elevator
JP25851794A JP3727367B2 (ja) 1993-10-25 1994-10-24 油圧エレベーター用制御バルブ装置
TW086213992U TW348774U (en) 1993-10-25 1994-10-24 Control valve device for hydraulic elevator
CN94119645A CN1038318C (zh) 1993-10-25 1994-10-25 液压电梯的阀控制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2245A KR960010228B1 (ko) 1993-10-25 1993-10-25 유압엘리베이터용 제어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304A KR950011304A (ko) 1995-05-15
KR960010228B1 true KR960010228B1 (ko) 1996-07-26

Family

ID=19366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2245A Expired - Fee Related KR960010228B1 (ko) 1993-10-25 1993-10-25 유압엘리베이터용 제어밸브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22479A (ko)
JP (1) JP3727367B2 (ko)
KR (1) KR960010228B1 (ko)
CN (1) CN1038318C (ko)
TW (1) TW34877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46145A1 (de) * 1994-12-23 1996-06-27 Bosch Gmbh Robert Hydraulische Steuerung in Monoblockbauweise zum Heben und Senken einer Last mit mindestens zwei elektromagnetisch betätigbaren Proportionalwegeventilelementen
CN1050337C (zh) * 1996-04-15 2000-03-15 浙江大学 液压电梯速度电反馈电液比例流量阀
US5992573A (en) * 1997-09-24 1999-11-30 Blain; Roy W. Elevator up start
EP1156977B1 (de) * 1999-02-05 2004-08-18 Wittu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hydraulischen aufzugs
US6742629B2 (en) * 2000-07-03 2004-06-01 Wittur Ag Valve control unit for a hydraulic elevator
DE20208577U1 (de) * 2002-06-03 2003-12-11 Hawe Hydraulik Gmbh & Co. Kg Elektrohydraulische Hubsteuervorrichtung für Flurförerfahrzeuge
US7342371B2 (en) * 2004-04-28 2008-03-11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motor run condition
EP1910207A1 (de) * 2005-07-19 2008-04-16 Bucher Hydraulics AG Maschinenraumloser hydraulischer aufzug
US7621123B2 (en) * 2006-01-20 2009-11-24 Jacobs Michael H Actua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JP2009022651A (ja) * 2007-07-23 2009-02-05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昇降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撮影装置
ES2665246T3 (es) * 2012-02-21 2018-04-25 Yaskawa Europe Gmbh Dispositivo y método para controlar un sistema hidráulico, especialmente de un elevador
CA2908798A1 (en) * 2013-04-30 2014-11-06 Inventio Ag Hydraulic brake system
CN105022334A (zh) * 2015-06-24 2015-11-04 南通理工学院 一种升降机电气监控装置
US10611600B2 (en) * 2017-06-26 2020-04-07 Otis Elevator Company Hydraulic elevator system with position or speed based valve control
WO2021242995A1 (en) * 2020-05-27 2021-12-02 Danfoss Power Solutions Inc. Control system for actuating lifting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3978B2 (ja) * 1991-02-28 1999-05-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流体圧エレベータ及びその制御方法
US5374794A (en) * 1993-12-09 1994-12-20 United States Elevator Corp. Elevator control valv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318C (zh) 1998-05-13
TW348774U (en) 1998-12-21
JP3727367B2 (ja) 2005-12-14
CN1107799A (zh) 1995-09-06
US5522479A (en) 1996-06-04
KR950011304A (ko) 1995-05-15
JPH07267523A (ja) 1995-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0228B1 (ko) 유압엘리베이터용 제어밸브장치
KR930002505B1 (ko) 유압식 승강장치
CN108136707B (zh) 电液式驱动单元
US6971481B2 (en) Hydraulic elevator with motor controlled hydraulic driv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hydraulic elevator
JPH04189273A (ja) 油圧エレベータ駆動制御装置
KR20000039494A (ko) 유압엘리베이터장치
CZ280875B6 (cs) Regulační systém hydraulického výtahu
KR960011572B1 (ko) 유압 엘리베이터용 제어밸브장치
CN109534166B (zh) 控制油路和工程机械
US2749708A (en) Hydraulic drive for elevators and the like
KR100335985B1 (ko)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유압제어회로
JP3496126B2 (ja) 荷物吊上げ設備のための安全装置
KR100335984B1 (ko)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안전운전방법
CN220264827U (zh) 提升救援装置
RU2280796C1 (ru) Гидрообъемная трансмиссия с управляемой фрикционной муфтой привода насосной станции
US4345507A (en) Elevator fluid flow control valve
KR100351284B1 (ko) 유압 엘리베이터의 운전속도 제어방법
KR100351285B1 (ko)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단계적 부하보상방법
KR960013087B1 (ko) 유압엘리베이터의 안전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2791851B2 (ja) 省エネルギ型油圧エレベータ
KR100351282B1 (ko) 유압 엘리베이터의 유온 제어방법
KR100335983B1 (ko)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캐비테이션 방지방법
KR100351286B1 (ko)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부하보상 제어방법
KR100336355B1 (ko) 유압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 방법 및 장치
JPH02567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907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072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