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9736Y1 - 탁주용기 뚜껑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탁주용기 뚜껑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736Y1
KR960009736Y1 KR2019930020877U KR930020877U KR960009736Y1 KR 960009736 Y1 KR960009736 Y1 KR 960009736Y1 KR 2019930020877 U KR2019930020877 U KR 2019930020877U KR 930020877 U KR930020877 U KR 930020877U KR 960009736 Y1 KR960009736 Y1 KR 9600097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takju
lid body
in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08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589U (ko
Inventor
박종욱
Original Assignee
오귀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귀남 filed Critical 오귀남
Priority to KR20199300208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736Y1/ko
Publication of KR9500115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5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7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73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2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 passage for the escape of gas between the closure and the lip of the container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탁주용기 뚜껑 결합구조
제1도는 본 고안 일실시예의 뚜껑 결합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일실시 뚜껑과 용기의 결합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일실시예 뚜껑의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뚜껑체 2 : 연장부
3 : 절단부 12 : 걸림턱
21 : 받침링 41 : 주입구상면
42 : 주연테 a : 미세공간
L : 간격
본 고안은 탁주용기 뚜껑 결합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리 고유의 주류인 탁주(막걸리)의 경우에는 그 특성상 포장후에도 후발효 가스가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점에 착안하여 이를 지속적으로 배기하여 주면서도 내용물(탁주)의 누출은 이를 억제하여줌과 동시에 탁주용기의 주입구를 씌워주는 뚜껑을 합성수지의 자체탄성을 이용하여 압압방식으로 덮어주게하여 뚜껑 삽입공정을 간소화하고 일단 씌어진 뚜껑체는 그 형상의 변형이 가하여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용기 주입구에서 이탈분리되지 않게 하여 내용물의 품질을 보증할 수 있게함에 고안의 목적을 둔 것이다.
종래에도 다기능으로서 여러 형태를 갖는 탁주용기의 뚜껑체가 개발되어 사용하여지고 있음은 잘알려진 사실로서, 현재에 신개발품으로 개발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는 탁주용기와 뚜껑체의 결합구성으로는 뚜껑체는 한 개 또는 두 개이상 복수개의 걸림턱을 주어 압압식에 의한 억지끼움 장식으로 뚜껑체를 용기의 주입구에 결합하는 구조의 것과, 나사식으로 뚜껑체를 돌려끼우는 방식의 탁주용기가 개발되어 이용되어지는 것이 현재까지의 실정이었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한 것중 억지끼움 장식을 채택한 전자의 경우에는 탁주용기 주입구의 주연턱에 뚜껑체 내면의 걸림턱이 계단식으로 긴밀하게 삽입되어지므로 안정성을 기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일단 삽입된 후에는 어떠한 수단방법으로도 형태변형이 가하여 지지않으면 이탈이나 분리가 되지 않는다는 결합성에 특징을 두고 있기는 하나 뚜껑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내용물(탁주)의 추출이 불가능하므로 이에 별도의 구성으로되는 개봉구조를 뚜껑체에 형성시켜 놓아 이를 개전하므로서 내용물의 추출이 가능하게되므로 제품의 품질 보증효과는 얻을 수 있다 하겠으나 뚜껑체에 별도의 개전용 개봉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뚜껑체의 형상에 변형을 많이 가하여 제조원자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후자의 나사 결합식은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 생산등에 원가를 절감할 수는 있으나 탁주용기의 주입구에 나사식 결합에 의하여 뚜껑체를 씌워주는 관계로 뚜껑를 씌워줄 때 결합시간이 약간더 걸리는 결점과 뚜껑체의 내면과 탁주용기의 주입구가 긴밀하게 밀접되어 운송에 의한 이동으로 내용물이 흔들리며 후발효가스가 발생하여 내부압을 팽대하게되므로 그중 약간 부위를 통하여 내용물등이 유출되어 미관상 보기도 흉할 뿐만 아니라냄새 또한 심한 악취를 풍기게되어 탁주의 저장이나 운송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특히, 상기한 것중 나사식 결합방식에서는 용기의 주입구에 결합된 뚜껑체가 취급부주의로 인하여 결합된 나사부분이 풀려 용기 주입구와 뚜껑체 사이에 형성된 간격(공간)으로 내용물(탁주)이 유출되고 이로 인하여 심한 악취가 발생한 염려가 있어 실용적이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내용으로 탁주용기의 주입구상면과 접촉하는 뚜껑체의 내면에 일정 높이의 미세공간을 유지할 수 있도록하는 걸림턱을 적어도 3개이상 뚜껑체와 일체로 구비하고 뚜껑체와 절단부로 연결된 연장부의 내면에 받침링을 일체로 구비시켜 탁주용기 주입구의 주연테에 걸려져 있게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 일실시에의 뚜껑 결합사시도로서, 손으로 잡고 돌리기 편리하도록 요철면(11)을 갖는 뚜껑체(1)의 아래쪽에 연장부(2)를 다수의 절단부(3)로 연결하였으며, 이를 용기(4)의 주입구에 삽입하여서 된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 일실시예의 결합단면도로서 뚜껑체(1)의 내면에 다수의 미세공간(a)을 형성하는 다수 걸림턱(12)을 등간격으로 구비시켜놓아 탁주용기(4)를 결합시 용기 주입구상면(41)이 뚜껑의 걸림턱에 받쳐져 수개의 걸림턱(12)사이에 형성된 미세공간(a)으로 탁주의 후발효가스는 배기되고 탁주는 누출되지 않게 한 것으로서 뚜껑체(1)의 연장부(2) 내주면에 돌설된 받침링(21)은 용기 주입구의 주연테(42)에 삽입후 걸려 용기 주입구의 주연테에서 절대로 빠져나가지 못하므로 뚜껑체(1)의 분리는 나사의 나해방식에 의하여서만 뚜껑체와 연장부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고 있는 절단부(3)가 절단되므로서 뚜껑체와 연장부가 분리 되어지게한 것이다.
제3도는 본 고안 일실시예의 뚜껑체 내면을 들여다본 저면도로서 통상적인 뚜껑체의 내면에 뚜껑체의 내면보다 약간의 높이(미세공간 형성간격) 만큼 돌출되어지는 걸림턱(12)과 걸림턱 사이에 일정간격(L)을 유지시켜주므로서 용기의 주입구 상면(가상선)이 접촉하는 걸림턱(12)과의 사이에 미세공간(a)이 형성되어 이 공간을 통하여 탁주에서 발생한 후 발효가스가 배기되어지도록 고안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할 수 있게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그 전체적인 조립상태가 표현된 제2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탁주용기(4)에는 주입구상면(41)과의 사이에 주연테(42)를 일체형으로 구비시켜 놓아 주연테에 의하여 뚜껑체(1)의 연장부(2)가 이탈분리되는 것을 방지시켜주므로서 뚜껑체를 나해하였을 때 연장부를 일체로하여 주고있던 절단부(3)가 절단되어지면서 뚜껑체와 연장부(2)가 분리되어지므로 결과적으로 뚜껑이 주입구로부터 이탈되어지게한 것이다.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뚜껑체와 일체형을 이루고 있던 연장부(2)가 절단부(3)에 의하여 분리되면서 밀봉이 해제되어 질 때 연장부(2)가 주입구를 따라 옮겨지지 않고 제자리에서 회전자재하는 것은 주입구의 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주연테(42)에 연장부(2)의 내면에 있는 받침링(21)이 걸려 빠져나가지 못하므로 뚜껑체와 일체이던 연장부는 제자리회전자재하고 주연의 나사면을 따라 상하 회전흡동되는 뚜껑체는 나사면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되어지므로 결과적으로는 제일 약하게 연결되어있는 절단부가 절단분리되는 것이다.
그리고, 탁주와 같은 우리고유의 주류는 대개가 후발효가스를 발생하게되고 이로 인하여 보관은 물론이려니와 운반시에도 계속적으로 가스를 발생시키는 점에 착안하여 본 고안에서는 뚜껑체와 주입구 사이에 가스는 배기되면서도 내용물의 누출은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미세공간(a)을 형성하여 주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제3도에서 표현된것과 같이 뚜껑체(1)의 내부 상면에 다수개로 구분되고 간격(L)만큼 띄워 미세공간(a)을 유지하는 걸림턱(12)을 다수 형성시켜놓아 뚜껑체(1)와 탁주용기(4)를 결합하였을 때 미세공간(a)이 만들어져 용기내의 내용물에서 발생한 후발효가스가 미세공간을 통하여 배기되면서 뚜껑체와 용기 주입구 사이를 통하여 배기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로 사용되어지는 본 고안은 탁주용기에 내용물을 공급한 다음 뚜껑체를 억지끼움장식에 의하여 강제로 압삽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의 특성상 그 자체 탄성에 의하여 강제 삽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결합방식에 의하여 사용되어지는 본 고안의 구용기는 뚜껑체의 결합시에는 합성수지의 탄성을 이용한 강제삽입방식을 채택하였고 일단 삽입된 뚜껑을 나사해탈에 의하여만 뚜껑체의 분리가 가능하나 뚜껑체의 연장부에 있는 받침링에 의하여 분리가 불가능하므로 이를 연결하고 있는 절단부가 절단되어야만 상호 분리가 되어지므로 탁주의 품질을 보존할 수 있고 밀주의 공급을 막을 수 있어 품질보증의 효과와 함께 후발효가스만의 원할한 배기로 탁주를 보관하거나 운반할 때 후발효가스의 팽대로 인하여 용기가 파손되는 결함을 없게한 매우 실용적이고도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정정)용기 주입구에 주연테(42)를 구비한 공지의 탁주용기 구성과, 상기 용기에 씌워지는 뚜껑체(1)의 절단부(3)와 일체형으로 연결된 연장부(2)의 받침링(21)에 의해 용기의 주연테에 걸려지게한 공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의 내면에 일정간격(L)을 유지하도록 상호 띄어져 형성된 다수의 걸림턱(12)에 의해 주입구와의 사이에 가스배기용 미세공간(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탁주용기 뚜껑결합구조.
KR2019930020877U 1993-10-12 1993-10-12 탁주용기 뚜껑 결합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9600097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877U KR960009736Y1 (ko) 1993-10-12 1993-10-12 탁주용기 뚜껑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877U KR960009736Y1 (ko) 1993-10-12 1993-10-12 탁주용기 뚜껑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589U KR950011589U (ko) 1995-05-16
KR960009736Y1 true KR960009736Y1 (ko) 1996-11-06

Family

ID=19365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0877U Expired - Fee Related KR960009736Y1 (ko) 1993-10-12 1993-10-12 탁주용기 뚜껑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73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589U (ko) 199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1213360B2 (en) Expansion bottle plug
KR960009736Y1 (ko) 탁주용기 뚜껑 결합구조
JP3917410B2 (ja) 貯蔵容器
KR0164651B1 (ko) 김치 진공포장용기 뚜껑
KR200291158Y1 (ko) 포장용기 뚜껑
KR200308962Y1 (ko) 가스의 배출구조를 갖는 용기 덮개
KR200262120Y1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KR200272506Y1 (ko) 밀폐형 음식물 보관 용기의 누름판의 구조
JPS64815Y2 (ko)
KR200311104Y1 (ko) 용기뚜껑의 결합구조
KR200239531Y1 (ko) 포장용기 뚜껑
KR102383267B1 (ko) 장 수납통 뚜껑 조립구조
KR200166539Y1 (ko) 탁주병의 발효가스를 배기할 수 있는 뚜껑
KR200291157Y1 (ko) 장류 용기
KR200199923Y1 (ko) 넘침방지용 뚜껑
KR200385831Y1 (ko) 실링지를 이용한 식품보관용 밀폐구조
KR200173346Y1 (ko) 탁주병뚜껑
KR100716060B1 (ko) 발효식품 저장용기의 뚜껑
KR200164405Y1 (ko) 포장용 병뚜껑
KR950003867Y1 (ko) 포장용기용 속마개의 가스배출구조
KR970005831Y1 (ko) 식품보관용기의 뚜껑
KR200213445Y1 (ko) 식품용기용 뚜껑
KR200329309Y1 (ko) 하부커버가 구비된 콩나물 저장용기
KR200164404Y1 (ko) 생맥주운반용기 밀봉캡
KR920008456Y1 (ko) 탁주병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31012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3121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1012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60529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01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20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10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71028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UJ0206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Patent event code: UJ02062R01D

Patent event date: 1999031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UJ02061E01I

Patent event date: 19971028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quest date: 19990313

Appeal identifier: 1999100000471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Decision date: 1999053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19990313

Effective date: 19990531

U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date: 19990603

Patent event code: UJ13011S01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identifier: 1999100000471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Decision date: 19990531

Request date: 1999031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3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0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0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3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