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9598Y1 - 자동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598Y1
KR960009598Y1 KR2019940028533U KR19940028533U KR960009598Y1 KR 960009598 Y1 KR960009598 Y1 KR 960009598Y1 KR 2019940028533 U KR2019940028533 U KR 2019940028533U KR 19940028533 U KR19940028533 U KR 19940028533U KR 960009598 Y1 KR960009598 Y1 KR 9600095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valve
vacuum
vehicle
electro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85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4197U (ko
Inventor
최은석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28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598Y1/ko
Publication of KR9600141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1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5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5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3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pneumatic system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8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electro-magnetic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6Hill holder; Start aid systems on inclined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2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vehicle inclination or change of direction, e.g. negotiating bends
    • B60T8/245Longitudinal vehicle incl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108Braking
    • B60Y2300/18116Hill h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제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제동장치의 개략블록도.
제2도는 일반적인 브레이크부스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3도(a)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제동장치에서 브레이크부스터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3도(b)는 제3도(a)에 도시된 주요부중 제어밸브에 접촉되는 작동판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브레이크 페달 20 : 브레이크부스터
30 : 마스터실린더 40 : 휠실린더
50 : 휠브레이크 60 : 밸브제어부
70 : 전자제어부 80 : 속도감지부
21 : 푸시로드 22 : 동력피스톤
24 : 진공실 26 : 변압실
27 : 리액션플레이트 28 : 리액션레버
29A : 공기밸브 29B : 진공밸브
29C : 제어밸브 90 : 작동판
90a : 자성체 91 : 하우징
91a : 전자석
본 고안은 자동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이 경사로에 정지한 후 재출발시에 브레이크페달의 작동이 헤제되어도 자동적으로 제동상태가 유지되도록하여 차량의 밀림을 방지하도록 된 자동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차량이 점차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에 부응하여 디스크유압식 브레이크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을 증대시킬 필요성이 제거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작은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도 강력한 제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유압브레이크에 제동배력장치로서 브레이크부스터를 더 설치하여 병용해 사용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브레이크부스터와 같은 제동배력장치가 부가된 브레이크시스템에 있어서는 차량의 주행상태에서 제동을 위해 브레이크페달이 작동되면, 공기밸브가 열리면서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되어 진공통로를 통해 변압실로 유입되는 동시에 흡기매니폴드에서 발생되는 진공에 의해 진공실이 진공상태로 되면서 변압실내의 공기가 유입되어 동력피스톤을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리액션레버가 눌려지면서 푸시로드가 리액션플레이트를 통하여 동력피스톤에 의해 밀려서 배력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푸시로드를 통한 배력된 제동력에 의해 마스트실린더내의 피스톤이 작동되는 한편, 휠실린더에서는 마스터실린더로부터의 유압을 인가받아 휠브레이크를 브레이크드럼에 접촉시켜 제동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브레이크부스터가 채용된 브레이크시스템에서는 차량이 경사로에서 정차해 있다가 재출발하기 위해 브레이크패달을 떼게 되면 진공실내의 진공상태가 풀리게 되고 그 브레이크부스터내의 다이어프램의 작동이 해제되어 마스터실린더로부터의 유압이 공급이 차단되면서 브레이크의 작동이 해제됨에 따라 차량이 그 경사로의 경사각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는 한편, 그 밀림상태에 의해 후방의 차량과 충돌하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일어날 염려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사정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차량이 경사로나 기타의 곳에서 정지하기 위해 브레이크페달을 밟은 후 정지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떼어도 자동적으로 제동상태가 계속적으로 유지되도록하여 후방으로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제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제동장치에 따르면, 차량의 제동을 위해 브레이크페달(10)을 밟게 되면 흡기매니폴드로부터 진공펌프를 매개로 연장되는 진공호스를 통해 브레이크부스터(20)의 진공실내의 존재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진공실이 진공상태로 됨과 더불어 상기 브레이크부스터(20)내의 동력피스톤(22)이 당겨지면서 마스터실린더(30)의 유압피스톤이 작동되어 휠실린더(40)가 작용함에 따라 휠브레이크(50)를 통해 제동이 걸리도록 된 차량의 제동장치에 있어서, 그 한쪽면의 소정부위가 복수개의 자성체(90a)가 설치되고 다른 소정부위가 제어밸브(29C)에 접촉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쪽은 공기밸브(29A)에 접촉되어 있는 작동판(90)과, 이 작동판(90)의 자성체(90a)가 설치된 부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우징(91) 내벽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전자석(91a)으로 이루어진 밸브제어부(60)와 ; 차량이 정지하고 있는 경우 속도감지부(80)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전자석(91a)으로 소정치의 전원을 갖는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전자제어부(7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이 경사로 주행중 전방상황의 변동에 따라 정지해야 할 경우에 있어서 브레이크페달을 밟아 정지한 후에 브레이크페달을 떼어도 전자제어부가 속도감지부로부터의 정지 상태를 인식하여 밸브제어부의 전자석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판을 밀어 진공밸브는 닫아주고 공기밸브를 열어준 후 일정압력이상이 되면 리턴스프링이 리액션레버를 밀어서 공기밸브마저 닫아줌으로써 차량이 자동적으로 제동상태가 유지되게 되고, 이후 운전자가 차량을 출발시키기 위해 가속패달을 밟게 되면 속도감지부로부터의 속도신호가 전자제어부로 인가되어 전자제어부는 밸브제어부의 전자석으로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전자석에 의해 밀려서 진공밸브를 닫고 있던 작동판이 복귀되게 되어 진공밸브는 열리고 공기밸브의 닫힌 상태는 계속적으로 유지됨으로써 차량에 가해지던 제동이 해제되게 된다.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제동장치의 개략블록도로, 동 도면중 참조부호 10은 운전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브레이크페달이고, 20은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제동배력장치로서 이용되는 브레이크 부스터이다.
제2도는 상기 브레이크부스터(20)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 이와 같이 구성된 브레이크부스터의 동작을 설명해보면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10)을 밟아서 제동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푸시로드가 전진되면 제어밸브(29C)에 의해 변압실(26)의 정압상태를 차단하고 공기밸브(29A)가 열리면서 진공밸브(29B)가 닫히게 되고 진공통로(25A)가 차단됨에 따라 외기압이 진공통로(25B)를 통해 변압실내(26)로 유입되는 한편, 도시되지 않은 흡기매니폴드가 흡기동작을 진행하여 상기 진공실(24)이 진공상태가 높아짐과 동시에 외기압이 인가되는 변압실(26)에서는 큰 압력이 발생되어 동력피스톤(22)을 강하게 밀게 됨으로써 실린더푸시로드(23)가 배력된 제동력을 마스터실린더(30)에 전달해 주게 된다.
제3도(A)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제동장치에서 브레이크부스터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제3도(B)는 제3도(A)에 도시된 주요부중 제어밸브에 접촉되는 작동판의 단면도이다.
상기 제3도의 장치가 제2도의 장치와 다른 것은, 상기 제어밸브(29C)의 접촉형성되어 상기 제어밸브(29C)내의 스프링에 의해 밀리는 그 한쪽면의 소정부위에 복수개의 자성체(90a)가 설치되고 다른 소정부위가 상기 제어밸브(29C)에 접촉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쪽은 공기밸브(29A) 및 진공밸브(29B)에 접촉되게 되는 작동판(90)과, 이 작동판(90)의 자성체(90a)가 설치된 부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우징(91)내벽의 소정의 위치에 전자석(91a)이 설치되어서 상기 전자석(91a)이 차량의 속도가 제로인 경우에 전자제어부(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전자석(91a)과 극성이 반대힌 작동판(90)을 밀어서 진공밸브(29B)를 닫음과 동시에 공기밸브(29A)를 열도록 되어 있는 점이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차량이 경사로 주행하다가 전방에서 발생하는 위급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차량을 정지시키려고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10)을 밟으면 브레이크부스터(20)내의 푸시로드(21)가 밀리고, 이에 연동하여 제어밸브(29C)가 그와 접촉되어 있는 작동판(90)을 밀어서 진공밸브(29B)를 닫음으로써 변압실(26)내의 정압상태가 해제됨과 더불어 공기밸브(29A)가 열리게 되어 외기압이 도시되지 않은 공기청정기 및 진공통로(25B)를 거쳐 상기 변압실(26)로 유입되므로 이러한 압력차이에 따라 동력피스톤(22)이 리액션레버(28)의 끝을 누르게 되어 푸시로드(21)는 리액션플레이트(27)를 통해 동력피스톤(22)에 의해 밀려서 배력작용을 하게 된다.
여기서, 동력피스톤(22)이 푸시로드(21)를 미는 힘은 동력피스톤(22)이 리액션레버(28)를 미는 힘과 마스터실린더(30)의 푸시로드(21)가 공기밸브(29A)를 미는 힘을 합한 것이 된다.
한편, 브레이크페달(10)에 가해지는 힘이 증가하지 않으면 동력피스톤(22)은 리액션레버(28)를, 리액션플레이트(27)의 가장자리를 지지점으로하여 움직여서 공기밸브(29A)를 되미는 작용을 하므로, 상기 공기밸브(29A)는 제어밸브(29C)의 작동판(90)과 접촉되어 외기가 변압실(26)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브레이크페달(10)을 밟는 힘에 따른 배력작용을 유지 한다. 또한, 이때 브레이크페달(10)을 완전히 밟으면 리액션레버(28)의 균형이 잡히지 않아서 공기밸브(29A)가 재차 열리게 되어 상기 변압실(26)내부가 대기압이 될 때까지 공기가 유입되므로 배력작용은 최대로 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10)을 놓아서 제어밸브(29C)가 리턴스프링작용에 의해 소정의 위치만을 후퇴하더라도 전자제어부(70)로부터 하우징(91)내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전자석(91a)에 전원을 인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어밸브(29C)와 공기밸브(29A) 사이에 설치되어서 상기 전자석(91a)에 의해 밀리도록 되어 있는 작동판(90)에 의해 공기밸브(29A) 및 제어밸브(29C)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브레이크가 계속적으로 걸려있는 상태가 되어 차량은 밀리지 않게 된다.
그 다음에, 운전자가 차량을 출발시키기 위하여 브레이크페달(10)을 놓으면서 액셀러레이터를 밟게 되면 이에 따라 속도감지부(80)로부터 전자제어부(70)로 속도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므로 전자제어부(70)가 전자석(91a)으로 인가하고 있던 전원을 차단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전자석(91a)에 의해 밀려 있는 제어밸브(29C)의 작동판(90)이 최초상태로 되게 되어, 공기밸브(29A)가 스프링에 의해 스프링 리테이너가 동력피스톤(22)에 닿을 때까지 완전히 밀리어 그 끝면으로 제어밸브(29C)의 작동판(90)을 눌러서 대기압이 동력실린더 내부로 유입되는 루트가 차단되는 상태가 계속적으로 유지되면서 상기 제어밸브(29C)의 작동판(90)이 시이트에서 떨어지게 되어 동력피스톤(22)의 통로에 의해 정압실이 서로 통하는 상태로 되게 된다. 이에 따라 동력피스톤(22)의 양쪽은 같은 압력으로 되기 때문에 제동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동작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이 경사로나 기타의 곳에서 주행하다가 제동을 걸기 위하여 브레이크페달을 밟고 나서 차량이 정지된 후 브레이크페달을 놓더라도 본 고안의 메카니즘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동상태가 유지되므로 차량이 후방으로 밀리지 않고, 또 이때 액셀러레이터를 밟으로 자동적으로 제동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운전자에서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차량에 제동을 걸기 위해 브레이크페달(10)을 밟게 되면 흡기매니폴드로부터 진공펌프를 매개로 연장되는 진공호스를 통해 브레이크부스터(20)의 진공실내에 존재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진공실이 진공상태로 됨과 더불어 상기 브레이크부스터(20)내의 동력피스톤(22)이 당겨지면서 마스터실린더(30)의 유압피스톤이 작동되어 휠실린더(40)가 작용함에 따라 휠브레이크(50)를 통해 제동이 걸리도록 된 차량의 제동장치에 있어서, 그 한쪽면의 소정부위에 복수개의 자성체(90a)가 설치되고 다른 소정부위가 제어밸브(29C)에 접촉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쪽은 공기밸브(29A)에 접촉되어 있는 작동판(90)과, 이 작동판(90)의 자성체(90a)가 설치된 부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우징(91)내벽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전자석(91a)으로 이루어진 밸브제어부(60)와 ; 차량이 정지하고 있는 경우 속도감지부(80)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전자석(91a)으로 소정치의 전원을 갖는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전자제어부(7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동장치.
KR2019940028533U 1994-10-31 1994-10-31 자동제동장치 KR9600095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8533U KR960009598Y1 (ko) 1994-10-31 1994-10-31 자동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8533U KR960009598Y1 (ko) 1994-10-31 1994-10-31 자동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197U KR960014197U (ko) 1996-05-17
KR960009598Y1 true KR960009598Y1 (ko) 1996-10-23

Family

ID=19396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8533U KR960009598Y1 (ko) 1994-10-31 1994-10-31 자동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59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197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1728B2 (en) Vehicle brake device
KR960009598Y1 (ko) 자동제동장치
JPH08506070A (ja) 空気圧式坂道後退防止装置
GB1067059A (en) Vehicle brake system
JPS631643Y2 (ko)
KR100204710B1 (ko) 자동 브레이크 시스템
KR19980019553U (ko) 브레이크 지속유지장치
JPS6259155A (ja) オ−トマチツクトランスミツシヨン車の停車ブレ−キ装置
KR0118016B1 (ko) 브레이크의 제동력 유지장치
JPS631644Y2 (ko)
JPH038305B2 (ko)
KR890007444Y1 (ko) 자동차의 파워 브레익의 자동 제어장치
KR100383951B1 (ko) 차량의 브레이크장치
KR100262610B1 (ko) 차량의 제동장치
JPH04118343A (ja) ブレーキ装置
JPS61238550A (ja) 車両のブレ−キ装置
KR19990042005U (ko) 자동차용 브레이크시스템의 파워부스터 비상작동장치.
JPS61247555A (ja) ブレ−キ操作装置
KR19980035780A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JPH0698922B2 (ja) エアオーバハイドロリックブレーキ用非常ブレーキ装置
JPH10273021A (ja) ブレーキ制御装置
KR100207193B1 (ko) A/t 차량용 제동상태 유지장치
KR19980035819A (ko) 자동차용 배력식 브레이크의 진공식 제동배력장치
KR100282188B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JPH0732302Y2 (ja) 制動補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4103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4103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93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01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7010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