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8046B1 -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046B1
KR960008046B1 KR1019930030966A KR930030966A KR960008046B1 KR 960008046 B1 KR960008046 B1 KR 960008046B1 KR 1019930030966 A KR1019930030966 A KR 1019930030966A KR 930030966 A KR930030966 A KR 930030966A KR 960008046 B1 KR960008046 B1 KR 960008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disc
lever
loading
mini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0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0909A (ko
Inventor
김광
서희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30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8046B1/ko
Priority to US08/356,463 priority patent/US5572497A/en
Priority to JP6337086A priority patent/JPH07262668A/ja
Publication of KR950020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0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04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3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434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with mechanism for subsequent vertical movement of the dis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3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438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with mechanism for subsequent vertical movement of the disc and opening mechanism of the cartridge shut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11B21/12Raising and lowering; Back-spacing or forward-spacing along track; Returning to starting position otherwise than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Moving Of Hea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의 구동장치
제1도는 종래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종래의 디스크로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4도는 종래의 디스크회전부 및 픽업구동부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a)는 디스크가 로딩되기 전의 초기상태도
(b)는 디스크가 로딩완료된 상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요부인 캠을 나타낸 저면사시도 및 평면도.
제7도는 캠의 회전에 따른 구간별 기능을 나타낸 그래프.
제8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로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9도는 디스크로딩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a)는 디스크가 로딩되기전 상태도
(b)는 디스크가 로딩완료된 상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자기헤드로딩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평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적용된 토글레버와 로테이션플레이트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a)는 토글레버의 초기상태도
(b)는 토글레버가 회동선 상태도
제12도는 로테이션플레이트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a)는 헤드로딩가이드바가 작동편과 어긋나게 위치된 상태도
(b)는 헤드로딩가이드바가 작동편에 얹혀진 상태도.
제13도는 로테이션플레이트의 사시도.
제14도는 자기헤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로서,
(a)는 자기헤드가 언로딩된 상태도
(b)는 자기헤드가 로딩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크 6 : 데크
12 : 텐테이블 16 : 픽업
17 : 자기헤드 18 : 헤드마운트
19 : 가이드바 22 : 모터
24 : 캠 26 : 캠홈
26a : 동심원부 27 : 제1디스크로딩레버
27a : 돌기 28 : 부분기어
29 : 제2디스크로딩레버 30 : 가이드브라켓
31 ; 무빙플레이트 32a, 32b : 동기레버
33 : 랙 34 : 작동레버
35, 39 : 돌출편 36 : 토글레버
38 : 로테이션플레이트 39a, 40a, 41a : 경사면
39b, 40b, 41b : 수직면 40, 41 : 판스프링
42 : 작동편
본 발명은 휴대용 미니디스크(Mini disc) 플레이어의 구동장치에 곤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1개의모터를 이용하여 동력을 절환시켜 디스크의 로딩 및 언로딩, 픽업의 구동, 그리고 자기헤드의 로딩 및 언로딩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미니디스크 플레이어는 초소형 콤팩트디스크를 로딩하여 회전시키면서 광픽업을 이용, 디스크에 내용을 기록하거나, 재생하는 기기로서, 휴대의 편리성을 위해 소형박형호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첨부도면 제1도는 종래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미니디스크 플레이어는 기록매체의 열자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내용을 기록하고 기록된 자계의방향에 따라 고아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재생한다.
상기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의 구성은 디스크를 로딩 및 언로딩하는 디스크로딩부, 턴테이블에 로딩된 디스크에 내용을 재생하는 픽업구동부, 디스크에 내용을 기록하는 자기헤드로딩부,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회전부 등으로 구성된다.
첨부도면 제2도는 종래 디스크로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디스크를 프론트로딩, 즉 본체의 전면에서 삽입하여 로딩시키기 위해 디스크(1)가 삽입되는 카트안내프라켓(2)의 양측에 한쌍의 돌기(3)를 형성하여 동력전달랙(4)의 경사슬리트(5)를 통해 상기 돌기가 데크(6)의 양측으로 고정된 가이드판(7)의 슬리트(8)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팩(4)의 일측으로 다수개의 기어트레인(Gear train)(9)을 상호 맞물리게 설치하고 그 중 어느 하나의 기어에는 로딩용모터(10)에 의해 회전되는 워엄기어(11)가 맞물리도록 한다.
따라서 제3의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안내브라켓(2)이 상승되어 데크(6)의입구측에 위치된 상태, 즉 가이드판(7)에 형성된 각 슬리트(8)의 전방에 돌기(3)가 우치된 상태에서 디스크(1)의 삽입을 리미스트 위치(도시는 생략함)가 감지하여 로딩용모터(10)를 구동시키면 상기 로딩용모터의 동력이 워엄기어(11)와 기어트레인(9)을 통해 동력전달랙(4)에 전달되므로 상기 동려전달랙(4)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카트안내브라켓(2)의 돌기(3)는 가이드판(7)에 형성된 슬리트(8)의 수평부위를 따라 점진적으로 이동하다가 턴테이블(12)의 중심과 디스크(1)의 중심이 일치된 지점에서 슬리트(8)의 수직하강부를 따라 하강되므로 결국 디스크(1)가 삽입된 카트안내브라켓(2)이 (나)와 같이 하강되어 디스크(1)의 로딩을 완료시키게 된다. 이때 돌기(3)는 동력전달랙(4)에 형성된 경사슬리트(5)와 가이드판(7)의 슬리트(8)에 안내되어 하강된다.
한편, 디스크(1)의 언로딩은 로딩용모터(10)의 역회전으로 동력전달랙(4)이 제3도(나)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동력전달랙의 경사슬리트(5)에 의해 돌기(3)가 상측으로 밀려 수직하강부를 따라 상승된 다음 슬리트(8)의 수평부위를 따라 이동되므로 카트안내브라켓(2)의 최초의 상태가 된다.
첨부도면 제4도는 종래의 디스크회전부 및 픽업구동부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디스크회전부는 디스크(1)가 로딩되어 안착되는 턴테이블(12)을 스핀들모터(13)에 의해 회전되도록 한다. 그리고 픽업구동붜는 스핀들모터(13)의 일측으로 픽업구동용모터(14)의 구동에 따라 호전되는 리드스크류(15)를 설치하고 상기 리드스크류에는 디스크(1)에 기록된 내용을 재생하는 픽업(16)을 나사끼우기로 결합한다. 이때 상기 픽업(16)은 초기 상태에서 반드시 디스크의 중심부, 즉 턴테이블(12)의 중심부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크(1)가 로딩완료된 상태에서 스핀들모터(13)에 의해 턴테이브(12)에 얹혀져 회전되는 상태에서 픽업구동용모터(14)가 동작을 하면 리드스크류(15)에 나사끼우기로 결합된 픽업(16)이 디스크(1)의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므로 디스크에 기록된 내용을 순차적으로 읽어내게 된다.
또한, 디스크(1)에 내용을 기록하는 자기헤드구동부는 제1도에서와 같이 선단에자기헤드(17)가 고정된 헤드마운트(18)를 가이드바(19)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바(19)에는 스프링(20)을 탄력 설치하여 디스크(1)에 내용을 기록하지 않을 때 헤드마운트(18)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디스크(1)를 로딩 및 언로딩하는 동력전달랙(4)의 끝단에는 가이드바(19)를 밀어주는 로딩바(21)를 일체로 형성한다.
따라서 로딩용모터(10)의 구동으로 디스크(1)가 로딩완료된 상태에서 디스크에 내용을 기록하기 위해 로딩용모터를 좀더 구동시키면 동력전달랙(4)에 고정된 로딩바(21)가 가이드바(19)를 밀어주게 되므로 스프링(20)으로 탄력설치된 가이드바(19)가 회동된다. 이에 따라 헤드마운트(18)가 디스크(1)측으로 회동되어 자기헤드(17)가 디스크에 밀착되므로 디스크(1)에 내용을 기록하게 된다.
그후 자기헤드(17)의 언로딩은 로딩용모터(10)의 역회전으로 동력전달랙(4)이 후퇴하여 로딩바(21)를 가이드바(19)로부터 이탈시키므로서 스프링(20)의 복원력으로 헤드마운트(18)가 최초의 상태가 되므로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장치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갖게 된다.
첫째, 디스크(1) 및 자기헤드(17)를 로딩하거나, 언로딩하는 로딩용모터(10)와, 픽업(16)을 이동시키기 위한 픽업고동용모터(14)를 각각 설치하게 되므로 생산원가가 상승되었다.
둘째, 동력전달랙(4)을 이동시키기 위해 기어트레인(9)을 사용하므로 인해 로딩용모터(10)의 용량(크기)이 커져야 되었다.
셋째, 상기 기어틀인(9)와 로딩용모터(10)를 가이드판(7)의 일측으로 설치하므로 인해 제품의 콤팩트(Compact)화 실현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넷째, 로딩용모터(10)와 픽업구동용모터(14)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회로가 추가되므로 장치가 복잡화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1개의 모터 및 캠을 이용하여 별도의 기어트레인을 사용하지 않고도 디스크를 도딩 및 언로딩시킴과 동시에 픽업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크의 로딩 및 언로딩, 픽업의 구동은 물론 자기헤드를 로딩 및 언로딩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데크에 고정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로 회전되는 캠과, 디스크의 삽입에 따른 캠의 초기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디스크를 로딩시키는 디스크로딩부와, 상기 캠과 연동되게설치도어 픽업을 구동시키는 픽업구동부로 구성되거나, 캠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자기헤드로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의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실시에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5도 내지 제14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5도는 본 발명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디스크를 로딩 및 언로딩하는 디스크로딩부, 로딩완료된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디스크회전부, 디스크가 로딩온료된 상태에서 디스크에 기록된 내용을 재생하는 픽업이송부, 디스크가 로딩된 상태에서 디스크에 내용을 기록하는 자기헤드로딩부의 4개 주요부로 구성된다. 이중 로딩완료된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디스크회전부는 종래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데크(6)에 모터(22)를 설치하여 모터의 구동에 따라 그 동력이 복수개의 종동기어(23)를 통해 전달도어 캠(24)이 회전하므로서 디스크로딩 및 픽어부동 그리고 자기헤드로딩동작이순차적으로수행도도록 한다.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캠(24)은 제6도와 같이 상부에 중심축(25)과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가변되게 캠홈(26)을 형성하여 상기 캠홈에 제1디스크로딩레버(27)의 돌기(27a)가 끼워지도록하고 캠홈(26)의 끝부분, 즉 디스크(1)의 로딩완료시점부터는 캠의 중심축(25)과 동심원을 이루는 동심원부(26a)을 형성한다. 그리고 캠(24)의 외주면으로 디스크(1)가 로딩완료된 시점에서 픽업(16)을 이송시키는 부분기어(28)를 형성한다.
첨부도면 제7도는 캠의 회전에 따라 구간별기능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모터(22)의 구동에 따라 캠(24)이 회전되어 130°까지 회전될 때, 즉 캠홈(26)구간을 회전할때에는 디스크(1)가 로딩되도록 하고 130°∼150°까지는 아무런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버퍼(buffer)구간을 설정한 다음 150°∼150°까지는 부분기어(28)에 의해 픽업(16)이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디스크로딩완료시점과 픽업구동개시시점에 버퍼구간을 설정한 이유는 동작이 확실히 구분되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첨부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로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캠(24)에 형성된 캠호(26)으로 돌기(27a)가 끼워지는 제1디스크로딩레버(27)의 의 일단에 중간부위가 힌지 결합되게 제2디스크로딩레버(29)를 설치하고 상기 제2디스크로딩레버(29)의 다른 일단은 데크(6)의 일측으로 형성된 통공(6a)을 통해 가이드브라켓(도시는 생략함)과 결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모터(22)의 구동으로 캠(24)이 회전됨에 따라 제1디스크로딩레버(27)는 디스크(1)의 삽입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고 제2디스크로딩레버(29)는 회동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브라켓의 상측에 위치되어 가이드브라켓과 연동되는 무빙플레이트(31)에 한쌍의 동기레버(32a)(32b)의 일단은 결합하고 다른 일단은 데크(6)에 힌지 결합한다.
상기 무빙플레이트(31)과 데크(6)에 결합도는 동기레버(32a)(32b)의 일단은 수평공(6b)(31a)을 따라 이동되게 결합한다. 이는 캠(24)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브라켓의 이동으로 디스크(1)가 로딩 및 언로딩될 때 가이드브라켓에 균일하게 힘이 작용되도록 하여 인상적으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첨부도면 제7도와 같이 디스크(1)가 로딩완료되고 스핀들모터(13)가 구동되어 디스크(1)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픽업(16)을 구동시키는 픽업구동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1)가 로딩왼료된 시점에서 픽업(16)을 구동시키는 부분기어(28)를 캠(24)의 외주면에 형성하고 픽업에는 상기 부분기어(28)와 맞물리는 랙(33)을 고정한다.
그리고 캠(24)의 캠홈(26)에는 캠의 초기회전(0°∼130°)으로 디스크(1)가 로딩완료된 상태에서 캠홈(26)에 끼워진 돌기(27a)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중심축(25)과의 동심원부(26a)를 형성한다.
따라서 캠(24)이 더욱 회전하면(150°이후)돌기(27a)가 동심원부(26a)내에 위치되어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캠(24)에 형성된 부분기어(28)가 랙(33)과 맞물려 회전되므로 디스크(1)의 반경부분에 위치되어 있던 픽업(16)이 원주방향측으로 움직이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미니디스크 플레이어는 디스크에 기록된 내용을 재생하는 재생기능만을 갖는 보급형(저가품)에 적용된다.
그러나 디스크에 기록된 내용을 재생하거나, 또는 새로운 내용을 기록하는 녹음기능을 갖는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자기헤드로딩부를 구비하여야 된다.
따라서 캠(24)의 회전으로 디스크로딩부, 픽업구동부, 자기헤드로딩부가 순차적으로 구동되도록 제10도와 같이 데크(6)의 하방에작동레버(34)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캠(24)에는 부분기어(28)가 랙(33)에서 완전히 벗어난후, 즉 픽어부동부가 구동완료된 상태에서 작동레버(34)를 회동시키는 돌출편(35)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34)를 직각방향인 데크(6)의 배면에 작동레버(34)의 회동에 따라 함게 회동되는 토글레버(Toggle lever)(36)를 스프링(37)으로 탄력 설치하고 상기 토글레버의 일측으로는 토글레버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로테이션플레이트(38)를 설치하여 로테이셔늘레이트의 일측으로 자기헤드(17)를 디스크(1)와 접속, 분리시키는 가이드바(19)가 접소되도록 한다. 상기 로테이션플레이트(38)는 토글레버(36)의 회동시 걸림부재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회전한다.
첨부도면 제11도는 토글레버와 로테이션플레이트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제12도는 로테이션플레이트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제13도는 로테이션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가이드바(19)와 접속되어 회전하면서 가이드바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로테이션플레이트(38)의 저면에 경사면(39a)과 수직면(39b)을 갖는 돌출편(39)을 90°간격으로 형성하고 토글레버(36)의 끝단과 데크(6)에는 상기 돌출편(39) 사이에 위치되게 경사면(40a)(41a)과 수직면(40b)(41b)을 갖는 판스프링(40)(41)으로 된 걸림부재를 고정한다.
이에 따라 토글레버(36)의 회동시 토글레버(36)에 고정된 판스프링(40)의 수직면(41b)과 로테이션플레이트(38)에 형성된 돌출편(39)의 수직면(39b)이 접속되므로 로테이션플레이트(38)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한편, 로테이션플레이트(38)의 상면, 즉 돌출편(39)이 형성된 반대편에는 제13도와 같이 경사면(42a)을 갖는 한쌍의 가이드바 작동편(42)을 형성하여 가이드바(19)가 작동편(42)에 얹혀지거나, 작동편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그리고 자기헤드(17)가 고정되며 스프링(20)으로 탄력 설치되어 초기 상태에서 제14도의 (가)와 같이 디스크(1)에서 분리되게 위치하는 헤드마운트(18) 하단에는 검출스위치(Detect switch)(43)를 설치하여 자기헤드(17)가 디스크(1)와 접속, 분리됨에 따라 콘트롤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도록 한다.
상기 토글레버(36)를 복원시키는 스프링(37)과 토글레버936)에 고정된 판스프링(40)의 탄성계수는 스프링(37)의 탄성계수가 더 크게 설정한다. 이는 스프링(37)의 복원력에 의해 토글레버(36)가 복원될 때 판스프링(40)이 변형되면서 로테이션플레이트(38)를 회전시키지 않으면서 돌출편(39)의 경사면(39a)을 타고 90°역회전되도록 하기 위함이나.
상기 픽업구동완료시점과 자기헤드로딩개시시점간에도 디스크로딩완료시점과 픽업구동시기와 마찬가지로 버터구간을 설정한다.
즉, 제7도와 같이 캠(24)이 250°회전될때까지 부분기어(28)과 랙(33)이 맞물려 회전하면서 디스크(1)에 기록된 내용을 재생하고 그후 272.5°까지는 아무런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버퍼구간을 설정한 다음 272.5°이후부터 돌출편(35)에 의해 작동레버(34)가 회전되는 구간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이 재생 및 녹음기능을 갖는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에 적용된 상태에서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크(1)가 로딩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가이드브라켓이 디스크 삽입측으로 인출되고, 픽업(16)은 턴테이블(12)의 반경부분측으로 이동된 상태이며 자기헤드(17)가 고정된 헤드마운트(18)는 제14도의 (가)와 같이 상승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디스크(1)를 가이드브라켓에 프론트로딩하면 센서(도시는 생략함)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22)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5도의 (가)와 같은 상태에서 모터(22)의 구동력이 종동기어(23)를 통해 전달되어 종동기어와 맞물린 캠(24)를 회전시킨다. 상기 캠(2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캠홈(26)에 끼워진 돌기(27a)가 캠홈(26)을 따라 중심축(25)방향으로 이동되므로 돌기(27a)가 형성된 제1디스크로딩레버(27)는 화살표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같이 제1디스크로딩레버(27)가 화살표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디스딩레버와 힌지 결합된 제2디스크로딩레버(29)는 통공(6a)에 안내되면서 회동운동을 하게 되므로 상기 제2디스크로딩레버와 힌지 결합된 가이드브라켓이 데크(6)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가이드브라켓이 데크(6)의 내측으로 이동되면 가이드브라켓의 양측으로 형성된 돌기가 무빙플레이트(31)의 경사슬리트(31b)에 끼워진 상태로 가이드판(7)의 슬리트(8)를 따라 이동되면서 수평적으로 이동하다가 디스크의 중심과 턴테이블(12)의 중심이 일치도는 부위에서 경사슬리트(31b)에 의해 슬리트(8)의 수직하강부를 따라 하강되므로 제5도의 (나)와 같이 디스크의 로딩이 완료된다.
이때 가이드브라켓의 이동을 보조하는 동기레버(31a)(32b)는 초기 상태에서 제9도의 (가)와 같이 간격이 근접되게 접혀 있다가 무빙플레이트(31)가 데크(6)의 내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9도의 (나)와 같이 상호 펼쳐지면서 제1, 2디스크로딩레버(27)(29)에 의해 편중되게 작용되는 힘을 균등하게 작용시키므로 디스크의 로딩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제9도의 (나)와 같이동기레버(32a)(32b)가 펼쳐져 디스크의 로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동기레버(32a)(32b)의 일단이 수평공(6b)(31a)을 따라 이동되므로 동기레버(32a)(32b)의 이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보상해 주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크가 로딩되는 캠(24)의 회전범위는 제1디스크로딩레버(27)에 형성된 돌기(27a)가 캠홈(26)의 끝단부에 도달할 때까지이다.
즉, 제7도에서와 같이 캠(24)이 초기상태인 0°에서 130°까지 회전되는 구간이다. 이와같이 캠(24)이 회전되어 디스크(1)를 로딩시킬 때에는 캠(24)에 형성된 부분기어(28)가 랙(33)과 맞물리지 않게 되므로 픽업(16)은 정지된 상태이다. 디스크의 로딩이 완료된 상태에서 캠(24)이 제7도와 같이 130°에서 150°까지 회전될 때에는 버퍼(buffer)이므로 캠(24)에 의해 어느 부분도 구동되지 않는다. 그후 캠(24)이 150°를 지나기 시작하면 캠924)에 형성된 부분기어(28)가 랙(33)과 맞물려 픽업(16)을 디스크(1)의 원주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픽업(16)이 디스크에 기록된 내용을 재생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픽업이 디스크에 기록된 내용을 재생할 때에는 모드(Mode)를 절환시켜 모터(22)의 회전수를 감속시키게 되며, 기록된 내용을 찾아 픽업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시크(Seek)기능시에는 모터(22)의 회전수를 디스크로딩시와 동일하게 하여 픽업(16)을 빠르게 이송시킨다.
이때 제1디스크로딩레버(27)에 형성된 돌기(27a)는 캠홈(26)과 연통된 동심원부(26a)에 위치되므로 제1디스크로딩레버(27)는 움직이지 않게 된다.
한편, 디스크를 로딩시킨 상태에서 디스크에 새로운 내용을 기록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시크기능시와 마찬가지로 픽업(16)을 빠르게 원주방향으로 이송시킨다.
그후 제7도와 같이 캠(24)이 더욱 더 회전하여 272.5°에 도달하면 제10도와 같이 캠(24)에 형성된 돌출편(35)이 작동레버(34)와 접속되므로 작동레버(3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돌출편(35)이 작동레버(34)를 회동시키기 직전인 250°에서 272.5°까지 캠(24)이 회전시에는 버퍼구간으로 캠(24)은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레버(3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 스프링(37)의 탄성력에 의해 제11도가 (가)와 같이 위치되어 있던 토글레버(36)는 상기 작동레버(34)에 의해 스프링(37)을 인장시키면서 캠(24)의 회전범위 만큼 제11도의 (나)와 같이 희동되고 캠(24)의 회전은 중단된다. 상기 캠(24)의 회전중단은 리미트스위치등 별도의 감지수단에 의해 실현 가능하게 되므로 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토글레버(36)가 회동되면 상기 토글레버(36)의 끝단에 고정된 판스프링(40)의 수직면(40b)이 돌출편(39)의 수직면(39b)과 접속되어 있으므로 로테이션플레이트(38)가 90°회전된다.
이때 돌출편(39) 사이에 위치되게 데크(6)에 고정된 또 다른 판스프링(41)의 경사면(41a)은 돌출편(39)의 경사면(39a)과 상호접속되므로 로테이션플레이트(38)회전시 상호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되며 로테이션플레이트가 90°회전된 후에는 돌출편(39)의 수직면(39b)이 데크(6)에 고정된 판스프링(41)의 수직면(41b)과 접속되므로 로테이션플레이트(38)가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로테이션플레이트(38)가 90°호전하면 제12도의 (가)와 같이 로테이션플레이트(38)의 상면에 형성된 작동편(42)과 어긋나 로테이션플레이트(38)의 상면에 얹혀져 있던 가이드바(19)가 (나)와 같이 작동편(42)의 경사면(42a)을 따라 올라가 얹히게 되므로 제14도의 (가)와 같이 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해 디스크(1)와 분리되어 있던 헤드마운트(18)가 (나)와 같이 스프링(20)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게 되므로 자기헤드(17)가 디스크(1)와 접속된다. 즉, 자기헤드(17)의 로딩이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헤드마운트(18)가 회동되면 헤드마운트(18)의 하단에 의해 검출스위치(43)가 동작되어 콘트롤부에 이를 알리게 되므로 사용자가 자기헤드(17)의 로딩상태를 식별하게 된다. 이때 제1디스크로딩레버(27)에 형성된 돌기(27a)는 캠호(26)과 연통된 동심원부(26a)의 끝단에 위치되므로, 제1, 2디스크로딩레버(27)(29)는 움직이지 않는다.
이와 같이 캠(24)의 호전으로자기헤드(17)를 로딩시킨 후 모터(22)의 역회전으로 캠(24)이 역회전하면 캠(24)에 형성된 돌출편(35)이 작동레버(34)에서 이탈되므로 작동레버(34)에 의해 스프링(37)을 인장시키면서 희동되었던 토글레버(36)가 제11도의 (가)와 같이 상태로 환원도지만 로테이션플레이트(38)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토글레버(36)의 끝단에 고정된 판스프링(40)이 복원될 때 데트(6)에 고정된 판스프링(41)의 수직면(41b)이 로테이션플레이트(38)에 형성된 돌출편(39)의 수직면(39b)과 접속되어 로테이션플레이트가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토글레버(36)에 고정된 판스프링(40)의 경사면(40a)은 또 다른 돌출편(39)의 경사면(39a)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90°회전되어 최초의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토글레버(36)는 초초의 상태로 환원되지만 로테이션플레이트(38)에 형성된 작동편(42)상면에는 가이드바(19)가 얹혀져 자기헤드(17)가 로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재생시와 동일하게 픽업구동부를 동작시켜 디스크에 기록을 녹음하게 된다.
상기 동작에 따라 녹음을 완료한 후 캠(24)에 형성된 돌출편(35)이 작동레버(34)를 다시 반시게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술한 바와 같이 토글레버(36)가 로테이션플레이트(38)를 90°회전시키게 되므로 작동편(42)에 얹혀져 있던 가이드바(19)가 이탈되어 로테이션플레이트(38)의 사면에 얹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20)을 압축시키면서 하강되어 있던 헤드마운트(18)가 제14도의 (가)와 같이 복원되므로 초기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게 된다.
첫째, 1개의 모터(22)를 이용하여 디스크로딩 및 언로딩, 픽업구동, 자기헤드로딩 및 언로딩을 하게 되므로 생산원가를 줄이게 된다.
둘째, 디스크로딩 및 언로딩을 위한 메타니즘을 데크의 내측에 위치시키도록 되어 있어 콤팩트화의 실현이 가능해지게 된다.
셋째, 별도의 픽업구동용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가 추가되지 않으므로 장치의 구성이 단순화된다.
넷째, 디스크로딩 및 언로딩, 픽업구동, 자기헤드로딩 및 언로딩 구간 사이에 버퍼구간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회로를 추가하지 않고도 확실한 구분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Claims (12)

  1. 데크(6)에 고정설치된 모터(22)로 구성된 구동부,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호전하며 상부에 중심축(25)과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가변되는 캠홈(26)이 형성된 캠(24)과, 상기 캠홈에 끼워지는 돌기(27a)가 형성되어 캠의 회전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제1디스크로딩레버(27)와, 상기 제1디스크로딩레버에 중간부위가 힌지 결합됨과 동시에 일단은 데크에 형성된 통공(6a)을 통해 가이드브라켓과 결합된 제2디스크로딩레버(29)로 구성된 디스크로딩부, 상기 캠과 연동되게 설치도어 픽업(16)을 구동시키는 픽업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트징으로 하는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의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브라켓의 상측에 위치되는 무빙플레이트(31)에 한쌍의 동기레버(32a) (32b)의 일단을 결합하고 상기 동기레버의 다른 일단은 데크(6)에 힌지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픽업고동부는 외주면에 부분기어(28)가 형성된 캠(24)과, 픽업(16)에 일단이 고정되며 디스크의 로딩완료 후 상기 부분기어가 맞물리는 랙(3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의 구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디스크로딩완료시점과 픽업구동개시시점에 버펴(buffer)구간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의 구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캠홈(36)에 중심축(25)과의 동심원부(26a)을 형성하여 제1디스크로딩레버(270의돌기(27a)가 동심원부(26a)를 지난 상태에서부분기어(28)가 랙(33)과 맞물리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의 구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캠(24)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자기헤드로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의 구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자기헤드로딩부는 데크(6)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작동레버(34)와, 상기 픽업구동부가 구동완료된 상태에서 작동레버를 회동시키는 돌출편(35)이 형성된 캠(24)과, 상기 작동레버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게 데크의 배면에 스프링(37)으로 탄력 설치된 토글레버(36)와, 상기 토글레버의 회동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가이드바(19)를 동작시키는 로테이션플레이트(38)와, 상기 로테이션플레이트를 일방향으로만 회전되게 구속하는 걸림부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의 구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로테이션플레이트(38)의 하면에 경사면(39a)과 수직면(39b)을 갖는 돌출편(39)을 90°간격으로 형성하고 토글레버(36)와 데크(6)에는 경사면(40a)(41a)과 수직면(40b) (41b)을 갖는 판스프링(40)(41)으로 구성된 걸리부재를 고정하여 상기 판스프링이 돌출편(39) 사이에 위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의 구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로테이션플레이트(38)의 상면에 경사면(42b)을 갖는 한상의가이드바 작동편(42)을 형성하여 로테이션플레이트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바(19)가 작동편에 벗어나거나, 작동편 상면에 얹혀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의 구동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토글레버(36)에 탄력 설치도는 스프링(37)의 탄성계수를 토글레버(36)의 끝단에 고정된 판스프링(40)의 탄성계수 보다 크게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의 구동장치.
  11. 제3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픽업구동완료시점과 자기헤드로딩개시시점에 버퍼구간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의 구동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캠(24)에 형성된 부분기어(28)가 랙(33)에서 완전히 벗어난 후 돌출편(35)이 작동레버(34)와 접속되게 돌출편(35)을 캠(24)에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의 구동장치.
KR1019930030966A 1993-12-29 1993-12-29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의 구동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60008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0966A KR960008046B1 (ko) 1993-12-29 1993-12-29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의 구동장치
US08/356,463 US5572497A (en) 1993-12-29 1994-12-15 Single motor driving device for a mini-disc player
JP6337086A JPH07262668A (ja) 1993-12-29 1994-12-27 ミニデイスクプレーヤーの駆動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0966A KR960008046B1 (ko) 1993-12-29 1993-12-29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909A KR950020909A (ko) 1995-07-26
KR960008046B1 true KR960008046B1 (ko) 1996-06-19

Family

ID=19373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0966A Expired - Fee Related KR960008046B1 (ko) 1993-12-29 1993-12-29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572497A (ko)
JP (1) JPH07262668A (ko)
KR (1) KR9600080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7207A (en) * 1995-11-17 2000-05-23 Sony Corpor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a slider with an inclined guide at a front end portion thereof
DE19623124A1 (de) * 1996-06-10 1997-12-11 Eastman Kodak Co Vorrichtung zur Entnahme eines Plattenhalters aus und/oder Rückgabe an ein auswechselbares Magazin
JP3394138B2 (ja) * 1996-09-27 2003-04-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記録媒体の駆動装置
JP3423159B2 (ja) * 1996-09-27 2003-07-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記録媒体の駆動装置
JP3045223B2 (ja) * 1996-10-04 2000-05-29 タナシン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US6301082B1 (en) * 1997-05-30 2001-10-09 Iomega Corporation Operating system for operating an eject system and a head retraction system of a disk drive
KR100258935B1 (ko) 1997-07-29 2000-06-15 윤종용 디스크트레이이송제어장치및방법
JP3425336B2 (ja) * 1997-09-29 2003-07-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3291231B2 (ja) * 1997-11-29 2002-06-10 タナシン電機株式会社 記録媒体搬送装置
GB2341264B (en) * 1998-09-01 2001-02-21 Ya Horng Electronic Co Ltd Anti-dust cover driving device for a CD player
JP3588713B2 (ja) * 1999-04-12 2004-11-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JP3512694B2 (ja) * 1999-12-27 2004-03-31 Necパーソナ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光ディスク媒体用ローディング装置
USD454859S1 (en) 2000-05-02 2002-03-26 Nidec Copal Corporation Motor with lead screw
JP4043256B2 (ja) * 2002-03-04 2008-02-06 シンワ株式会社 駆動装置
JP2003308641A (ja) * 2002-04-10 2003-10-31 Orion Denki Kk ディスク装置
JP3942937B2 (ja) * 2002-04-10 2007-07-11 オリオン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US6652346B1 (en) 2002-06-14 2003-11-25 Arnold, Iii Cleveland N. Musical bottle system
US7080962B1 (en) * 2005-05-31 2006-07-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ir conveyanc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2356U (ja) * 1983-01-18 1984-07-28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回転記録媒体再生装置
JPS6070547A (ja) * 1983-09-28 1985-04-22 Akai Electric Co Ltd フロントロ−ディング装置
JPS6170955A (ja) * 1984-09-17 1986-04-11 Jiro Saito ミ−ルプラントにおける廃熱利用装置
EP0351191A3 (en) * 1988-07-13 1991-10-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a cartridge loading device
JP2591099B2 (ja) * 1988-09-29 1997-03-19 旭硝子株式会社 レーザ共振型光ピックアップ
JPH03113772A (ja) * 1989-09-22 1991-05-15 Victor Co Of Japan Ltd 小型光磁気ディスク装置
JP2743525B2 (ja) * 1989-10-24 1998-04-22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用記録再生装置
JP3038754B2 (ja) * 1990-01-20 2000-05-08 ソニー株式会社 光磁気ディスクの記録装置
JPH03283047A (ja) * 1990-03-29 1991-12-13 Sony Corp ディスクドライブ
US5202863A (en) * 1990-09-11 1993-04-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agneto-optical disk unit compatible with different two types of magneto-optical disks and a magnetic-field generator suitable thereof
JP2979803B2 (ja) * 1991-12-11 1999-11-15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及び磁界変調ヘッド支持機構
JP3082428B2 (ja) * 1992-05-22 2000-08-2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ローディ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909A (ko) 1995-07-26
JPH07262668A (ja) 1995-10-13
US5572497A (en) 1996-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8046B1 (ko)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의 구동장치
US5737293A (en) Disc loading apparatus for loading optical discs in a cartridge or without
JP2512574B2 (ja) ツインディスクプレ―ヤ
US6388974B1 (en) Recording medium driving apparatus
US5006941A (en) Reversible drive mechanism for a tape recording apparatus
JPH0145149B2 (ko)
US5018032A (en) Audio reproduction device with head base moving mechanism
JP3562394B2 (ja) 情報記録媒体の駆動装置
JP3753559B2 (ja) 記録媒体駆動装置
KR0141056B1 (ko)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
US20070028252A1 (en) Optical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JP3742249B2 (ja) 記録媒体駆動装置
JP3046012B2 (ja) カートリッジのシャッター開放装置及び方法
US5682370A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selectively playing an optical disc and a cassette-encased tape
JP3739598B2 (ja) 記録媒体駆動装置
JP3753558B2 (ja) 記録媒体駆動装置
JP3433501B2 (ja) ディスク装置
JP3657815B2 (ja) 記録媒体駆動装置
KR0120297B1 (ko) 양면재생용 광디스크플레이어의 픽업구동장치
KR960005411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
KR960003702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
JPH0718040Y2 (ja) カセットテープレコーダ
WO2007077678A1 (ja) スロットイン型ディスク装置
JPS63167467A (ja) 両面演奏デイスクプレ−ヤ
US4862301A (en) Double cassette tape p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6062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6062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