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7952Y1 - 바닥재등에 사용되는 히이터장치와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 - Google Patents

바닥재등에 사용되는 히이터장치와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952Y1
KR960007952Y1 KR2019890010011U KR890010011U KR960007952Y1 KR 960007952 Y1 KR960007952 Y1 KR 960007952Y1 KR 2019890010011 U KR2019890010011 U KR 2019890010011U KR 890010011 U KR890010011 U KR 890010011U KR 960007952 Y1 KR960007952 Y1 KR 9600079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resin
layer
belt
resin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00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3056U (ko
Inventor
요시노리 니시노
쥬지로오 기시가미
Original Assignee
엔비이에르 가부시기가이샤
요시노리 니시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비이에르 가부시기가이샤, 요시노리 니시노 filed Critical 엔비이에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30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0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9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95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바닥재등에 사용되는 히이터장치와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
제1도는 부분적으로 접어올려진 상태하의 히이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종단면도
제3(A)도 내지 제3(D)도는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부분적으로 접어올려진 상태하에서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5도는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6도는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Ⅶ-Ⅶ선에 따른 나타내는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비교를 위한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의 Ⅸ-Ⅸ선에 따른 단면도
제10도는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종단정면도
제11도와 제12도는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
제13도는 부분적으로 접어올려진 상태하의 종래 바닥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히이터장치2 : 절연시이트
3,4,5,6 : 벨트형상전극7 : 플라스틱 복사체층
8 : 절연층16 : 대판
25,26 : 홈27,28 : 벨트형상전극
36 : 복사체층36A : 직경이 큰 탄소
36B : 직경이 작은 탄소36C : 수지
41 : 절연수지층42 : 장식용 시이트
51 : 원적외선 반사판
본 고안은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실내 바닥재에 사용되는 히이터장치(heater device)와 실내에 사용되는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같이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종래의 바닥재는 예를들어 경량의 시멘트(cement) 층이 그 위에 형성된 합판과 전기한 경량의 시멘트층위에 구불구불하게 배치된 히이터선(wire)과 전기한 합판위에 얇게 씌워진 금속판 및 전기한 금속판위에 적층된 장식용시이트(dressed sheet)와 전극에 연결되는 전기한 히이터선의 양 끝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이와같은 바닥재는 하나의 바닥재 끝부분에 형성된 볼록한 부분을 다른 바닥재의 끝부분에 형성된 오목한 부분에 삽입하여서 일렬로 되고, 못등에 의해 지지목(support wood)에 고정부착된 바닥 조인트(floor joint)위에 배치된다.
그러한 종래구조를 보유하는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는 합판과 장식용 시이트등이 합쳐지므로 장식용 시이트 전체 두께의 변화 면적등의 변화에 따라 여러 종류의 바닥재가 준비되어야 하는 조건하에서 공급된다.
이것은 경제적으로 분리하여 단일한 종류의 대량생산에 대한 주문을 충족시킬 수 없다.
더우기, 상기한 종래구조에 있어서는, 구불구불하게 배치된 히이터선 주위만 가열되는 문제점 즉 국부가열(local heating)에 의해 저온열상9()이 발생된다. 또한 가열작동은 단지 히이터선의 한곳이 파손되어도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그러한 바닥재는 실내의 크기에 맞춰 절단되면 난방을 위해 사용될 수 없다.
더우기, 충분한 단열온도(heat insulating temperature)를 얻기 위해서는 상응하는 고전류가 필요하다.
즉, 히이터선과 같은 가열부에 약한 부분이 있으면 가열부가 파손되어 단락(short-circuit)에 의해 아아크(arc)를 발생시키므로 화재가 발생한다.
더우기, 상기한 종래의 구조에서 히이터가 그 내부에 내장된 바닥재는 히이터선을 통전시켜서 가열되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합판이 건조하여 수축되므로 합판과 바닥재 사이의 간격 또는 볼록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 상이의 간격을 형성한다. 그 결과 사람이 바닥재 위를 걸어갈때 삐걱거리는 소리가 발생된다.
더우기 장식용시이트의 끝부분이 수축에 의해 접어올려져 그 부분에 사람의 발이 걸려 부상할 가능성이 있게 된다.
본 고안은 히이터부 만을 구비할 수 있고 그 내부에 내장된 히이터와 주문에 따라 대판(bed plate) 및 장식용 시이트를 접합하는 등에 의해 바닥재를 성형할 수 있는 히이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그 표면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으며 그것이 절단되더라도 히이터부를 파손하지 않을 수 있는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를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전류가 항상 원활하고 확실하게 그것을 통해 흐를 수 있고 저 전류에 의해서도 충분한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는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대판을 건조시키지 않고 장시간 수분(agueous ingredient)을 유지할 수 있는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열가능을 보유하는 의자 및 책상 식기를 건조하고 식료품을 저장하기 위한 가정용 히이팅박스(heating box) 사우나 세탁물등의 건조기로서 사용되는 가열장치와 전기한 가열장치의 사용에 의해 테이블 등의 위에서 식료품을 단열할 수 있는 테이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히이터장치는, 절연시이트와, 간격을 두고 전기한 절연시이트위에 나란히 배치된 다수의 벨트형상 전극과 절연시이트와 전기한 벨트형상 전극위에 형성된 플라스틱 복사체층(radiant boaly layer)과 전기한 복사체층위에 형성된 절연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그러한 구조에 의해 예를들어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에 대한 주문이 있으며 주문에 따라 절연시이트를 거쳐 대판에 히이터장치를 접착하고 주문에 따라 히이터장치의 절연층에 장식용시이트를 접착하여 바닥재가 수송될 수 있다.
더우기 주문에 따라서 히이터장치가 벨트형상 전극사이를 절단하고 또 벨트형상전극의 길이 방향으로 직각으로 만나는 방향으로 절단될 수 있다.
다음에 본 고안에 의해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는, 대판과 전기한 대한 위에 형성된 제1수지층과 그들사이에 간격을 두고 전기한 수지층에 설치된 한쌍의 벨트형상전극과 전기한 제2수지층과 벨트형상전극위에 형성된 복사체층과 전기한 복사체층위에 형성된 제2수지층과 전기한 제1수지층위에 설치된 장식용 시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그러한 구조에 의해, 전압이 벨트형상 전극사이에 공급되면, 바닥재의 표면 전체를 균일하게 가열하기 위해 전류가 복사체층의 전영역에 걸쳐 흐른다.
더우기, 단지 한곳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더라도 나머지 영역의 대부분은 열을 발생하도록 통전된다.
또, 본 고안의 다른 구조에 의해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는 다수의 단일목판(wooden single plate)을 전기한 단일목판사이에 삽입된 원적외선반사판부분을 통해 씌워서 형성된 대판과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고 전기한 대판위에 배치되며 복사체층을 보유하는 플레이트형 히이터장치와 전기한 히이터장치위에 설치된 장식용 시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그러한 구조에 의해 히이터장치에 전압이 공급되면 히이터장치의 전체영역에 걸쳐 열을 발생하도록 통전되므로 바닥재의 표면 전체가 균일하게 가열된다.
더우기, 히이터장치는 전기한 열에너지에 부가하여 원적외선 에너지를 방사한다.
상부표면쪽에서 방사된 원적외선은 장식용시이트(이후에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바와같이 원적외선을 방사하기위한 수지층이 설치된 경우에는 장식용시이트와 수지층)를 통해 전달되어 실내로 방사된다.
또, 하부표면쪽으로 부터 방사된 원적외선은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어, 장식용시이트, 수지층등(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수지층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의 촉진을 투과라 칭함)을 통해 전달되어 실내로 방사된다.
이와같이 히이터장치로부터 원적외선의 대부분이 실내로 방사된다.
더우기, 플레이트형 히이터장치를 보유하는 바닥재에서는 예를들어 어떤 위치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더라도, 나머지 영역의 대부분은 통전되어 열을 발생한다.
또한, 소망하는 크기로 절단될때에도, 어떠한 장애없이 열이 발생된다.
상기한 목적과 구조이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과 구조는 첨부도면과 아래에 설명하는 실시예로 명백하게 된다.
우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종래예의 바닥재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로서 제13도에 표시된 구조를 보유하는 히이터를 내장한 바닥재가 준비되었다.
즉 합판(56)위에 경량의 시멘트층(57)을 성형하고, 전기한 경량의 시멘트층(57)위에 히이터선(58)을 구불구불하게 설치하고, 합판(60) 위에 금속판(59)을 적층하고, 그 다음에 전기한 금속판(59)위에 장식용판(61)을 적층하여 내부에 히이터를 내장한 바닥재(62)가 제조되었다.
내부에 히이터를 내장한 그 바닥재(62)는 하나의 바닥재의 끝부분에 형성된 볼록한 부분(64)을 다른 바닥재의 끝부분에 형성된 오목한 부분(63)에 끼워서 일렬로 되어 못(66)등에 의해 지지목(65)위에 고정장착된 바닥 조인트(67)위에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구조에서는 상기한 바와같이 여러가지 종류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12도를 참고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제1도와 제2도를 참조하면, 부호(1)은 수지함침지(resinimpregnater paper) 프라스틱 필름등으로 형성된 절연시이트(2)와 전기한 절연시이트(2) 위에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된 다수(실시예에서는 4개)의 벨트형상전극(3)(4)(5)(6)과 전기한 벨트형상전극(3)(4)(5)(6) 및 절연시이트(2)의 상부표면위에 형성된 플라스틱복사체층(7)과 전기한 복사체층(7) 위에 형성된 절연층(8)으로 구성된 히이터장치를 나타낸다.
전기한 벨트형상전극(3)(4)(5)(6)은 구리로 성형되고 그것의 끝부분에 형성된 구멍(3a)(4a)(5a)(6a)은 리이드선이 연결될 때 형성될 수도 있다(이후에 설명한다).
전기한 플라스틱 복사체층(7)은 예를들어 입상(granular) 및 분말탄소, 입상 및 분말의 전기전도성 광석, 입상 및 분말의 반도전성 세라믹과 수지등으로 구성된 혼합물로 제조된 필름등으로 성형된다.
또, 전기한 절연시이트(8)는 예를들어 에폭시수지와 같은 일경화성수지로 제조된다.
그리고, 복사체층(7)과 절연층(8)은 예를들어 로울러에 의한 코오팅에 의해 적층된다.
상기한 구조를 보유하는 히이터장치(1)에서, 소망하는 쌍의 벨트형상전극(3)(4)(5)(6)사이에 소요전압이 공급되면 한쌍의 전극사이에 전류가 흘러 복사체층(7)이 발열한다.
즉 제3(A)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벨트형상전극(3)(4)(5)(6)에 각각 연결된 리이드선(9)(10)(11)(12)의 양쪽 리이드선(9)(12)은 스위치(13)를 통해 전원에 연결가능하고, 내측의 리이드선(10)(11)은 스위치(14)(15)를 통해 양쪽에 리이드선(9)(12)에 연결가능하다.
상기한 조건하에서 제3(B)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스위치(13)만이 접속되면, 양쪽의 벨트형상 전극(3)(6) 사이에 전류가 흘러 히이터장치(1)가 그것의 전체 폭(W1)에 걸쳐 발열한다.
또, 제3(C)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스위치(13)와 절환스위치(15)가 접속되면, 한쪽 측부(side portion)에 가까운 한쌍의 벨트형상전극(5)(6) 사이에 전류가 흘러 히이터장치는 그것의 한쪽 측부에 가까운 폭(W2)에만 발열한다.
그리고, 스위치(13)와 다른 절환스위치(14)가 접속되면 히이터장치(1)의 다른쪽 측부에 가까운 한쌍의 벨트형상전극(3)(4) 사이에 전류가 흘러서 히이터장치(1)는 다른쪽 측부에 가까운 폭(W3)에만 발열한다.
또한 스위치(13)과 양쪽 절환스위치(14)(15)가 접속되면 내측의 벨트형상전극(4)(5) 사이에 전류가 흘러서 히이터장치(1)는 그것의 중심부폭(W4)에만 발열한다.
상기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작동되는 다수의 히이터장치(1)는 주문에 따라 대판 및 장식용시이트와 함께 공급 수송된다.
그후 규격화된 히이터장치(1)는 그것이 설치될 실내의 형상 및 면적에 따라 사용될 수 없는 곳이 있는데 그러나 이 경우에 제3(A)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길이방향에 있어서 벨트형상전극(4)(5) 사이에 절단(E)과 폭 방향에 있어서 벨트형상전극(3)-(6)을 가로지르는 절단(F)또는 양쪽절단(E)(F)을 조합하여서 이러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대판과 장식용시이트도 동일한 방법으로 절단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4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면, 부호(17)은 단판(single plate)의 나뭇결이 서로 엇갈리게 직각으로 접속하도록 다수의 단판을 씌워서 형성된 코어를 나타낸다.
그리고, 굽힘을 방지하기 위한 배면합판(18)은 전기한 코어(17)의 뒷쪽에 점착된다.
또한, 동종의 중간합판(19)은 에폭시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및 우레탄수지등과 같은 수지(20)를 통해 코어(1)의 우측에 점착된다. 친수성이 아니라 방수성이고 내열성 방충성인 수지가 수지(20)로서 사용된다.
그리고, 유기수은 주석, 구리등이 화학살충제로서 부가되며 수지(20)는 물의 영향을 제거하도록 표준온도에서 배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또, 수지(20)는 함침벽두께가 0.1-0.5mm 되도록 삽입되어 상기한 방수외피 및 접착제로서의 역할을 한다.
전기한 대판(16)은 한쌍의 끝부분중 한쪽에는 오목한 홈(21)을 형성하고 다른쪽에는 볼록한 부재(22)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적층하여 형성하였다.
그리고, 대판(16)에는 길이방향으로 그것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상부표면쪽에 폭방향으로의 양끝부근에 형성된 홈(25)(26)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전기한 홈(25)(26)에는 그 중심부에 형성된 소경부(23a)와 그것의 양쪽 끝부분에 형성된 대경부(23b)(23c)로 구성된 단붙이 관통구멍(23)이 설치되어 있다.
이 대판(16)에는 예를 들어 그 표면에 형성된 에폭시수지로 이루어진 열경화성수지층(2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세로방향 벨트형성 전극(27)(28)이 예를들어 대판(16)의 폭방향으로 전기한 홈(25)(26)내에 배치된다.
이때, 벨트형상 전극(27)(28)은 표면합판(19)의 나뭇결방향(A)에 직각으로 만나는 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되어, 에폭시프리프레그(prepreg)와 용융시이트등의 접착제에 의해 고정장착된다.
이러한 벨트형상 전극(27)(28)은 두께가 15-20 미크론이며, 전기등(electrolytic coper)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표면이 활성화되어 접착력이 강화된다.
그리고 벨트형상 전극(27)(28)은 연결금속피팅(fitting)(30)을 통해 리이드선(31)(32)의 원형단자(31a)(32a)에 연결된다.
전기한 연결금속피팅(30)은 우측면으로부터 전기한 단붙이 관통구멍(23)내로 삽입된 고정부재(33)와, 우측면으로부터 전기한 고정부재(33)로 끼울 수 있는 핀(34)과 배면쪽으로부터 전기한 핀(34)에 조여진 바이스(35)로 구성된다.
즉, 전기한 고정부재(33)는 전기한 소경부(23a)내에 끼워진 원통부(33a)와 우측면의 전기한 대경부(23b)내에 끼워진 칼라부(collar portion)(33b)로 구성되며 전기한 원통부(33a)에는 그 내면에 형성된 고리형상의 오목한 부분(33c)이 설치되어 있고, 전기한 칼라부(33b)에는 바깥쪽으로 개구된 경사진 오목한 부분(33d)이 설치되어 있다.
전기한 핀(34)은 전기한 원통부(33a)내에 삽입할 수 있는 내부 원통부(34a)와 전기한 경사진 오목한 부분(33d)에 삽입할 수 있는 헤드(34d)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기한 내부원통부(34a)에는 그것의 외면에 형성된 전기한 고리형상의 오목한 부분(33c)에 삽입할 수 있는 고리형상의 볼록한 부분(34c)이 설치되어 있고 그것의 중심부에 형성된 외면쪽에 암나사구멍(34d) 개구부가 설치되 있다.
벨트형상 전극(27)(28)은 핀(34)의 원통부(34a)를 벨트형상 전극(27)(28)의 끝부분에 형성된 구멍(27a)(28a)에 삽입하고 그것을 고정부재(33)에 때려박아서 헤드(34b)와 칼라부(33b) 사이에 유지된다.
아래로부터 전기한 원형단자(31a)(32a)에 삽입된 바이스(35)는 전기한 암나사구멍(34d)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부(35a)와 고정부재(33)와 핀(34)의 뒷면사이에 원형단자(31a)(32a)를 유지하기 위한 조작헤드(35b)로 구성되어 있다.
복사체층(36)은 열경화성수지층(24)과 기층(基層)으로서 중간합판(19)을 보유하는 벨트형상 전극(27)(28)의 상부표면 위에 형성되고 전기한 복사체층(36)은 예를들어, 입상 및 분말탄소, 입상 및 분말의 전기전도성광석 입상 및 분말의 반도전성 세라믹 수지, 산화금속, 산화지르콘등으로 구성된 혼합물로 제조된 필름으로 성형된다.
이때, 복사체층(36)을 양쪽의 벨트형상 전극(27)(28) 사이에 밸트형상 전극(27)(28)의 길이방향으로 여러위치에 공동(void)(37)이 존재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전기한 입상 및 분말의 탄소, 산화금속 및 산화지르콘은 원적외선을 방사 및 반사한다.
이러한 것들은 모두 첨가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첨가된다.
이러한 벨트형상 전극(27)(28), 복사체층(36)등이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히이터장치(38)를 형성한다.
그리고 예를들어 히이터장치(38)의 표면을 피복하기 위해 양지 나무목으로 형성된 표면합판(39)은 열경화성수지층(40)을 경유하여 복사체층(36) 위에 적층된다.
이때, 열경화성수지층(24)은 공동(37)을 통해 열경화성수지층(40)에 결합되어 적층강도를 강화시킨다.
장식용시이트(42)는 절연수지층(41)을 경유하여 전기한 표면합판(39)위에 적층된다.
전기한 장식용시이트(42)는 예를들어 천연나무(natural historic tree)의 박판(thin plate) 수지 종이등으로 제조된 박판으로 형성된다.
전기한 수지(20)과 동일한 종류의 수지에 산화지르콘과 산화금속등과 같은 원적외선방사물질을 첨가하여 얻어진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외피층(43)은 전기한 대판(16) 장식용시이트등의 노출표면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이와같이 하여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가 성형된다.
그와같이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의 제조에 있어서 우선 배면합판(18)은 다수의 단일목판을 적층하여 형성된 코어(17)의 뒷쪽에 적층되고, 중간합판(19)은 대판(16)을 형성하기 위해 수지(20)를 경유하여 코어(17)의 우측에 적층된다.
그 다음, 홈(25)(26)과 단붙이 관통구멍(23)이 중간합판(19)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열경화성수지층(24)은 예를들어 로울러를 사용하는 코오팅 또는 분무(spraying)에 의해 적층된다.
이때, 열경화성수지층(24)은 중간합판(19)의 나뭇결(19a) 위에 형성되지만 나뭇결(19a)의 홈이 완전히 메워지지않고 나뭇결(19a)과 유사한 것이 잔존한다.
그후, 고정부재(33)가 단붙이 관통구멍(23)에 삽입되어 접착제와 같은 전기한 열경화성수지층(24)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벨트형상 전극(27)(28)이 홈(25)(26)에 배치되어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므로 구멍(27a)(28a)이 고정부재(33)의 관통부와 일치하고 그것의 길이방향은 나뭇결의 방향(A)에 직각으로 만나는 방향(B)로 향한다.
다음에, 핀(34)의 내부원통부(34a)는 구멍(27a)(28a)으로부터 원통부(33a)를 통과하도록 때려박힌다.
이와같이, 고리형상의 볼록한 부분(34c)이 고리형상의 오목한 부분(33c)에 삽입되어, 양쪽 부분(33)(34)에 함께 견고하게 접합되고, 벨트형상 전극(27)(28)은 경사진 오목한부분(33d)와 헤드(34b) 사이에 견고하게 유지된다.
또, 복사체층(36)은 코오팅과 분무에 의해 적층된다.
이때, 전기한 공동(37)이 형성된다.
표면합판(39)은 열가화성수지층(40)을 경유하여 복사체층(36)위에 적층되고, 절연수지층(41)은 코오팅과 분무에 의해 표면합판(39)위에 적층되며, 그 다음 장식용시이트(42)가 코오팅 분무에 의해 외피층(43)을 형성된 후에 구성된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구성된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제(46)는 오목한 부분(21)내에 볼록한 부재(22)를 삽입하여 바닥조인트(47)위에 일렬로 설치된다.
그리고, 배면쪽의 대경부(23c)에 배치된 원형단자(31a)(32a)는 나사부(35a)를 암나사구멍(34d)으로 조여서 바디스(35)의 조작헤드(35b)에 의해 단단하게 체결된다.
부호(48)는 지지폭을 나타내고 부호(49)는 못을 나타낸다.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46)의 사용에 있어서, 소요전압이 제어장치에 의해 벨트형상 전극(27)(28)사이로 공급된다. 그러면, 전류가 복사체층(36)의 전영역에 걸쳐 나뭇결의 방향(A)으로 흘러서 복사체층(36)의 전표면에 걸쳐 발열한다. 발생된 열은 표면합판(39) 절연수지층(41) 장식용시이트(42) 및 외피층(43)에 전달되어 전표면에 걸쳐서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를 균일하게 가열한다.
이때 대판(16)도 가열되지만, 외피층(43)에 의해 방수시일이 수행되므로 수분이 배출되지 않는다.
그러한 사용조건하에서 히이터장치(38)는 열에너지에 부가하여 원적외선 에너지를 방사한다.
즉 히이터장치(38)의 상부표면쪽으로 부터 방사된 원적외선(X)은 표면합판(39), 절연수지층(41), 장식용시이트(42) 및 외피층(43)을 통해 전달되어 원적외선이 수분에 작용하는 실내로 방사되므로, 다량의 수분에 적셔진 사람이 실내에 들어오면 신체가 전기한 반응에 의해 가열된다. 따라서 신체는 히이터장치(38)로 부터의 열에너지에 의해 온동상승을 억제하면서 충분하게 가열될 수 있다.
즉, 신체는 실내에서 어느정도 추위를 느끼더라도 충분하게 가열될 수 있다. 더우기 각 단일목판 그 자체의 에너지가 우레탄을 사용하는 장식용시이트(42)의 표면에 산화지르콘(미세분말)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방출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중간합판(19)위에 홈(25)(26)이 형성되고 벨트형상 전극(27)(28)이 홈(25)(26)내에 배치되고 복사체층(36)이 공동(37)을 형성하여 적층되면, 복사체층(36)의 약한부분에서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8도와 제9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벨트형상 전극(27)(28)이 중간합판(19)이 상부표면쪽에 돌출설치되고 합판(19)과 벨트형상 전극(27)(28)의 표면전체에 걸쳐 방사체층(36)이 적층되는 경우에, 벨트형상 전극(27)(28)과 복사체층(36)의 접합부는 사용시간의 경과에 따라 균열이 발생되는 약한부분(P)으로 된다.
따라서 약한부분(P)이 파손되어 단락하여 아아크를 발생하므로 합판(19)(39)이 검게 그울린다.
이에 반해 제6도와 제7도에 표시된 바와같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공동(37)이 존재하는 복사체층(36)의 면적(s)이 접합부의 접합면적(S)보다 작으므로 사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공동이 존재하는 부분에서 균열이 발생된다.
이 균열에 의한 파손은 동일한 재료이므로 단락등을 발생하지 않고, 파손된 부분에서 열이 발생되지 않더라도 발열효과는 전체적으로 그다지 감소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대판(16)을 구성하기 위해 코오(17)위에 배면합판(18) 및 중간합판(19)을 적층함에 의해 대판(16)은 굽힘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46)를 보호하며 바닥재(46)의 사용수명을 개선한다.
즉, 예를들어 코어(17)만으로는 온도상승중에 각 단체(single body)의 열변형에 이해 접합부에서 파손이 발생된다.
그리고 이 파손부분에 전단열응력(shearing thermal stress)이 강화되어 복사체층(36)에 균열이 발생한다.
이에 반해 굽힘을 발생하지 않는 상기한 바와같이 사용되는 대판(16)의 경우에, 전단열응력이 대판(16)의 표면전체에 걸쳐 거의 균일하므로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양쪽의 합판(18)(19)은 섬유강화수지판(fiber-reinforced resin plate)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내열성이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복사체층(36)은, 코오팅과 부분에 의해 적층된다.
그러나 이 경우 대판(16)의 표면은 나뭇결에 의해 고르지 않으므로, 긁힌부분(scratchy portion)이 나뭇결방향에 직각으로 만나는 방향으로 생성되어 전류가 이들 긁힌부분을 흐르는 것이 저지되고, 연속적인 전류의 흐름은 나뭇결방향의 오목한홈에 의해 유지된다.
그리고 벨트형상 전극사이에 전압이 공급되면 전류는 항상 이 나뭇결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확실하게 흐른다.
본 고안에 의하여, 다수의 단판을 적층함에 의한 코어의 성형에서 단판사이에 수지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수지는, 중간합판(19)과 코어(17)사이에 삽입되는 전기한 수지(20)와 종류 및 특성이 동일하며, 동일한 목적을 위해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그러한 구조로, 전기한 외피층(43)의 존재와 더불어 단판 및 절단면의 내부로부터 수분이 전달되거나 증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단판 즉 대판에 포함된 수분은 제조된 조건하에서 유지될 수 있어 수축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며 간격의 형성에 의한 삐걱거리는 소리가 발생되는 것이 방비될 뿐만 아니라 장식용시이트의 끝부분이 접어올려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표면강도 뿐만 아니라 노출표면의 전체에 걸쳐 수지를 덮어서 적층강도가 강화될 수 있다.
더욱이 본 고안에 의해 히이터장치(38)의 상하로 적층된 표면합판(39)과 중간합판(19)는 단지 하나의 시이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단판등은 나란하게 옆쪽에 배치된 다수의 좁은 단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46)의 사용수명과 보호가 개선될 수 있다.
즉, 표면합판(39)이 단지 하나의 시이트로 형성되지 않고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단판으로 형성되면, 운동상승중에 각 단체의 열변형에 의해 접합부에서 파손이 발생된다.
그리고 이 파손부분에서 전단열응력이 강화되어 복사체층(36)에 균열이 발생한다.
이에 반해 표면합판(39)과 중간합판(19)이 단지 하나의 시이트로 형성되면 전단열응력은 균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전표면에 걸쳐 거의 균일하게 될 수 있다.
제10도는 원적외선 반사판(51)이 설치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다.
즉, 원적외선반사판(51)은 필림형상으로 알루미늄등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코어(17)와 중간합판(19)사이에 삽입된다.
그것들이 적층될때, 절연수지층(52),(53)이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 의해, 상부표면으로 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X)은 상기한 바와 동일한 거동을 나타내어 상부표면쪽으로부터 방사된 원적외선(X)은 중간합판(19)을 통해 전달되어 원적외선반사판(51)에 충돌하고 그 반사판(51)에 의해 반사되며, 그후 중간합판(19) 히이터장치(38) 표면합판(39)등을 통해 전달되어 실내로 방사된다.
따라서, 원적외선에 의한 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반사판(51)으로 부터 접지(54)를 뽑아내어 절연에 효과적이다.
제11도와 제1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복사체층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복사체층(36)은 필름형상으로, 흑연등으로 이루어진 직경이 큰 탄소(36A)와 직경이 작은 탄소(36B) 및 수지(36C)로 구성되는 혼합물로 형성되며, 수지(36C)의 열팽창보다 더 큰 열팽창을나타내는 팽창재(expanding material)가 수지(36)에 첨가된다. 복사체층(36)의 두께가 T이면, 직경이 큰 탄소(36A)의 입경(粒徑)은 1/2 T - 1/10 T 이고, 직경이 작은 탄소(36B)의 입경은 1/3 T - 1/20 T 이다.
그리고, 직경이 작은 탄소(36B)에 대한 직경이 큰 탄소(36A)와 혼합비는 다음과 같다.
36A : 36B = 10 - 40% : 90 - 60%
폴리에스테르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우레탄수지 등에 전기한 수지(36C)로서 사용된다.
아크릴수지 스티렌수지 등은 전기한 수지(36C)의 열팽창계수보다 큰 열팽창계수를 보유하는 수지로 형성된 팽창재로서 사용된다.
그리고, 팽창재에 대한 수지(36C)의 혼합비는 다음과 같다.
수지 : 팽창재 = 90 - 60% : 10 - 40%
전기한 탄소(36A)(36B)는 원적외선을 방사 및 반사한다.
그러한 복사체층(36)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한 바와같이 벨트형상 전극(27)(28) 사이에 소요전압이 공급되기 전에 복사체층(36)에서 각 탄소(36A)(36B)가 제11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서로 접촉하므로, 탄소(36A),(36B) 사이에 전류가 흘러서 발열하여 원적외선을 방사한다.
그리고 히이터장치(38)의 온도가 사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승되면, 탄소(36A), (36B)는 그것의 특성에 의해 점차적으로 수축되어, 역으로 제12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접합부가 분리되어 마지막으로 전류가 흐름이 중지되어 자동적으로 차단된다.
전류를 차단함에 의해 히이터장치(38)의 온도가 저하되어 탄소(36A)(36B)가 점차적으로 팽창되므로, 히이터장치(38)는 접합부의 증가에 의해 자동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탄소(36A)(36B)의 그룹을 위한 결합체(binder)로서의 역할을 하는 수지(36C)는 온도상승중에 쉽사리 팽창되며, 전기한 수지(36C)의 팽창은 첨가된 팽창재의 열팽창에 의해 촉진된다.
이와같이, 탄소(36A)(36B)는 원활하게 팽창수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히이터장치(38)는 과열되었을때 자동적으로 차단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개선된다.
본 고안에 의한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에 있어서 사용시에 어떤 사정이나 문제에 의해 어느 위치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더라도 나머지 영역의 대부분에서 전류가 흘러 발열하여 전기한 어느 위치도 보상된다.
그 결과, 바닥재는 어떤 문제점 없이 그 표면전체에 걸쳐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실내에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를 설치하는데 있어서 그 크기를 실내에 맞추어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는 양쪽 연결금속피팅(30)이 남겨진 상태하에 길이방향으로 소요크기로 절단된다.
이때, 전기한 외피층(43)은 코오팅에 의해 절단면 위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히이터장치(38)가 설치되면, 히이터장치(38)의 상부표면 쪽으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X)은 장식용 시이트(42) 등을 통해 전달되어 실내로 방사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에 있는 사람들은 원적외선(X)의 작용에 의해 가열된다.
즉 히이터장치(38)로 부터의 열에너지에 의한 온도상승이 억제되어 경제적인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고 충분한 가열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또, 하부표면으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Y)은 반사판(51)에 의해 반사되고, 그후 반사판(51)의 설치에 의해 실내로 방사되므로, 히이터장치(38)로 부터의 대부분의 원적외선이 실내로 방사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히이터장치는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용도에도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가열기능을 보유하는 의자 및 책상의 제조에 있어서 본 고안에 의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히이터장치 또는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는 목적에 따라 책상밑에 부착된 발판, 시이트 및 의자 등받이에 설치된다.
더우기, 식기를 건조하고 식료품을 저장하기 위한 가정용 히이팅박스, 사우나, 세탁물등을 위한 건조기로서 사용되는 가열장치의 제조에 있어서, 본 고안에 의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히이터장치 또는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는 가열장치의 한쪽 벽부분에 설치되고, 다른쪽 벽부분에는 원적외선 반사판이 설치된다.
또는, 테이블 위의 식료품을 단열할 수 있는 테이블 장치의 제조가 있어서 본 고안에 의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히이터장치 또는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는 테이블의 상부표면에 설치되며 히이터장치 또는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에 대향하는 원적외선 반사판은 테이블의 위에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히이터장치와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는 널리 사용될 수 있다.

Claims (7)

  1. 대판(16)과
    상기한 대판(16) 위에 형성된 제1수지층과
    상기한 제1수지층 위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쌍의 벨트형상 전극(27)(28)과
    상기한 제1수지층 및 상기한 벨트형상 전극(27)(28) 위에 형성된 복사체층(36)과
    상기한 복사체층 위에 형성된 제2수지층과
    상기한 제2수지층 위에 설치되는 장식용시이트(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
  2. 제1항에있어서, 상기한 대판(16)은 단일목판(wooden single plate) 사이에 삽입된 수지와 함께 적층된 다수의 단판(single plate)으로 형성되고, 제3수지층은 대판(16)의 노출된 표면과 장식용시이트(42) 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대판(16)이 적층된 단일목판으로 형성되어 상기한 단일목판의 나뭇결이 서로 교대로 직각으로 만나며 상기한 제1수지층과 제2수지층이 열경화성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한 벨트형상 전극(27)(28)이 제1수지층과 만나도록 단판의 나뭇결방향과 직각으로 만나는 방향으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대판(16)에는 벨트형상 전극(27)(28)을 설치하기 위하여 그 상부 표면에 홈(26)(26)이 형성되고 벨트형상 전극은 상기한 홈의 내부에 설치되며, 복사체층(36)에는 양쪽 벨트형상 전극사이에서 벨트형상 전극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공동(空洞)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
  5. 그 내부에 삽입되는 원적외선 반사판(51)을 개재하여 다수의 단일목판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대판(16)과
    상기한 대판(16) 위에 배치되며, 복사체층(36)이 있고, 원적외선 방사기능이 있는 플레이트형 히이터장치와
    상기한 히이터장치 위에 설치되는 장식용시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장식용시이트(42) 위에 형성되며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수지층(1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히이터 내장된 바닥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복사체층(36)은 직경이 큰 탄소(36A)와 직경이 작은 탄소(36B)와 수지(36C)로 구성되는 혼합물로 형성되며, 열팽창계수가 상기한 수지의 열팽창계수보다 큰 팽창재가 수지에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
KR2019890010011U 1988-07-08 1989-07-08 바닥재등에 사용되는 히이터장치와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 Expired - Fee Related KR96000795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8090665U JPH0211939U (ko) 1988-07-08 1988-07-08
JP63-90665 1988-07-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056U KR900003056U (ko) 1990-02-07
KR960007952Y1 true KR960007952Y1 (ko) 1996-09-19

Family

ID=31315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0011U Expired - Fee Related KR960007952Y1 (ko) 1988-07-08 1989-07-08 바닥재등에 사용되는 히이터장치와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211939U (ko)
KR (1) KR960007952Y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8314Y2 (ko) * 1976-10-12 1980-09-08
JPS61261567A (ja) * 1985-05-15 1986-11-19 松下電工株式会社 床暖房パネル
JPS63127039A (ja) * 1986-11-17 1988-05-30 Aica Kogyo Co Ltd 暖房床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056U (ko) 1990-02-07
JPH0211939U (ko) 199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4895A (en) Heater device used for floor material etc. and floor material with heater contained therein
US3417229A (en) Electrical resistance heating articles
US2715668A (en) Electrically conductive film panel heaters
US5904874A (en) Resistance heating device for flat objects such as mirrors
US5408069A (en) Self-defogging mirror
WO2009055959A1 (fr) Panneau chauffant électrique, procédé de fabrication et utilisation de celui-ci
US20080056694A1 (en) Radiant heater
CN207228555U (zh) 一种石墨烯自发热地板及低电压自发热地板系统
KR960007952Y1 (ko) 바닥재등에 사용되는 히이터장치와 그 내부에 히이터가 내장된 바닥재
US3453413A (en) Rough surface radiant heater
CN207228554U (zh) 一种温度可调的石墨烯导热地板
KR101823143B1 (ko)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
KR100360175B1 (ko) 전열장판지
KR101174671B1 (ko) 세라믹 종이 발열판을 갖는 전열 보드
JPH0623646Y2 (ja) ヒータ入りフロア材
JPH0493530A (ja) 遠赤外線輻射パネルヒータ
WO2003017721A2 (en) Electrical heating device
JPS6245432Y2 (ko)
CN217519932U (zh) 一种石墨烯墙面供暖系统
JPS6245433Y2 (ko)
CN214148114U (zh) 一种石墨烯电暖器
KR101944945B1 (ko)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 및 이를 포함한 면상발열장치
JPH0311586A (ja) ヒータ入りフロア材
JP3028960B1 (ja) パネルヒ―タ
JPH0731052Y2 (ja) 床暖房用パネルヒ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90708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2070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0708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60620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82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01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701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