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7824Y1 - 트랙터용 쟁기의 바퀴방향 전환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쟁기의 바퀴방향 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824Y1
KR960007824Y1 KR2019940019821U KR19940019821U KR960007824Y1 KR 960007824 Y1 KR960007824 Y1 KR 960007824Y1 KR 2019940019821 U KR2019940019821 U KR 2019940019821U KR 19940019821 U KR19940019821 U KR 19940019821U KR 960007824 Y1 KR960007824 Y1 KR 9600078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fixed
plow
support piece
tra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98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6711U (ko
Inventor
오용기
Original Assignee
오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용기 filed Critical 오용기
Priority to KR20199400198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824Y1/ko
Publication of KR9600067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7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8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82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00Ploughs with fixed plough-shares
    • A01B3/24Tractor-drawn ploughs
    • A01B3/28Alternating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14Fram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트랙터용 쟁기의 바퀴방향 전환장치
제1도는 본고안의 사용상태도.
제1도는 본고안의 사시도.
제3도는 본고안의 바퀴가 90도 회전하여 수평을 유지한 상태도.
제4도는 본고안의 바퀴가 90도를 넘어 일측고정축이 벗어난 상태도.
제5도는 본고안의 바퀴가 아래를 향하는 상태도.
제6도는 본고안의 바퀴가 다른 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정지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브라켓트5, 5a : 돌출부
6, 6a : 래칫홈7, 7a : 고정축
10 : 지지편21 : 바퀴고정대
22, 22a : 걸림턱30 : 오물제거편
본고안은 트랙터용 쟁기의 바퀴방향 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 하쟁기의 회전시에도 항상 아래를 향하여 바퀴가 자동적으로 고정되도록 상, 하에 고정축과 캠방식의 고정부를 이용하여 자중에 의해 간편하게 고정 또는 이탈되게 움직이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트랙터에 장착되는 트렉터용 쟁기는 트랙터의 후미에 결합하여 경작지를 갈도록 되어 있는바 여러개의 쟁기가 상,하 대칭으로 배열되게 고정시키고 후단부에 상, 하 쟁기방향으로 바퀴를 용접에 의해 고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것은 쟁기를 트랙터로 견인 하면서 트랙터의 주행방향에 따라 윗쪽쟁기와 아래쪽 쟁기를 번갈아 지면에 닿도록 전환시켜 사용하기 편리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쟁기 후단부에 두개의 바퀴설치로 인해 중량이 무거울 뿐 아니라 제작상에도 불편한 점이 많이 있다.
또 다른 것에 있어서는 하나의 바퀴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있으나 윗쪽쟁기와 아래쪽쟁기를 전환시킨후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바꾸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항상 작업공구를 준비해야 되는 불편한 점과 이로 인해 작업시간이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쟁기를 180°회전할 경우에는 상, 하의 고정축과 캠방식의 고정부에 의해 간편하게 고정 또는 이탈되게 움직여 바퀴가 자동적으로 하향 고정되어 짐을 그 목적으로 한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고안은 상,하 삽날(2)(2a)을 결합한 쟁기틀(1)을 다소의 간격으로 주프레임(3)상에 고정하여된 쟁기(A)에 있어서, 주프레임(3) 후단부에 브라켓트(4)를 설치한다.
브라켓트(4)일측면에는 돌출부(5)(5a)와 래칫홈(6)(6a)이 있는 지지편(10)을 고정하여 지지편(10)전방에는 바퀴(20)를 고정한 바퀴고정대(21)를 설치한다.
지지편(10)의 돌출부(5)(5a)에는 각각 고정축(7)(7a)을 힌지 결합한다.
바퀴고정대(21)는 캠형걸림턱(22)(22a)을 만들어 각각 래칫홈(6)(6a)과 고정축(7)(7a)에 걸려지도록 하였다.
또 바퀴고정대(21)일측에는 오물제거변(30)을 바퀴(20) 외주연에 가까이에 위치되게 고정한 것이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은 통상적으로 쟁기(A)의 상, 하 삽날(2)(2a)중 어느한쪽이 지면에 닿게하여 사용된다.
쟁기(A)의 삽날(2)(2a)이 상, 하의 위치로 정지될때 주프레임(3)후미에 고정된 바퀴(20)는 자체 무게에 의한 자중으로 바퀴(20)가 아래로 내려가 고정된다.
이때 바퀴고정대(21)의 일측캠형 걸림턱(22)이 지지편(10) 하단에 위치한 래칫홈(6)에 걸려 고정된다.
이와동시에 지지편(6) 상단 돌출부(5a)에 고정되어 있던 고정축(7a)은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옴으로서 바퀴고정대(21)의 걸림턱(22a)에 놓여지게 된다.
이와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이랑 작업을 하게 되면 지면이 고르지 않아 쟁기(A)가상,하 요동하여도 곧바로 후단의 바퀴(20)부분이 지면에 닿게 되어 최소한으로 상,하 흔들림을 잡아 준다.
이때 바퀴(20)가 지면에 닿게 될때 바퀴고정대(21)의 일측 걸림턱(22a)에 고정축(7a)이 받쳐주고 있어 바퀴(20)가 위로 튀어오르지 않고 고정된다.
이와아울러 바퀴(20)가 지면에서 들어지게될 경우 에는 바퀴고정대(21)의 타측 걸림턱(22)이 지지편(10)하단에 위치되는 래칫홈(6)에 걸려 더 이상 아래로 내려가지 않게 된다.
이상태에서 쟁기(A)의 상, 하 삽날(2)(2a)의 위치를 바꿔야 할 경우 트랙터에서 주프레임(3)을 회전시켜 위치를 바꾸게 된다.
상, 하 삽날(2)(2a)의 위치가 바꿔지는 과정에서 제3도와 같이 상, 하 삽날(2)(2a)이 수평을 이루는 시점에서 바퀴(20)가 고정된 후단부의 브라켓트(4)부분에 힘의 공동 현상이 생겨 바퀴고정대(21)의 걸림턱(22a)을 누르고 있던 고정축(7a)도 힘이 공백이 생기게 된다.
이시점에서 제4,5도와 같이 상측에 위치하던 삽날(2)이 아래부분으로 기울어지고 하측에 있던 삽날(2a)은 위를 방향세워 지는 시점에서 지지편(10)의 돌출부(5)에 고정된 고정축(7)이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옴과 동시에 타측의 고정축(7a)은 걸림턱(22a)을 벗어나 아래로 내려가기 시작한다.
이와동시에 제6도와 같이 바퀴(20)는 전자와는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져 아래를 향하게 되는데 이때 바퀴고정대(21)의 타측 걸림턱(22a)이 지지편(10)의 타측 래칫홈(6a)에 걸려 고정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경작지에 이랑을 만들때의 모든 사용은 전자의 사용과 같으나 상측에서 아래로 반전된 삽날(2)에서 헤쳐지는 이랑은 전자의 이랑방향과는 다른반대방하으로 파헤져준다.
이렇게 사용되는 쟁기(A)는 바퀴(20)에 있어 바퀴고정대(21)일측에 고정한 오물제거편(30)은 경작지의 이랑 작업시 흙을 제거하여 주어 바퀴(20)부분에 흙이 붙어 발생하게 되는 하중을 최소한으로 줄여 줄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같이 본고안은 상,하 쟁기의 회전시 바퀴가 자중에 의해 움직여 별다른 조작 없이도 자동적으로 아래를 향하게 이동후 고정되어져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상,하 삽날(2)(2a)을 결합한 쟁기틀(1)을 다소의 간격으로 주프레임(3)상에 고정하여된 쟁기(A)에 있어서, 주프레임(3)후단부에 고정한 브라켓트(4) 일측면에 래칫홈(6)(6a)이 있는 지지편(10)을 고정하며, 지지편(10)의 돌출부(5)(5a)에는 각각 고정축(7)(7a)을 힌지결합하며, 지지편(10)의 전방에 캠형 걸림턱(22)(22a)을 만들고 바퀴(20)를 고정한 고정대(21)를 결합하여서된 트랙터용 쟁기의 바퀴방향 전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바퀴고정대(21)일측에 오물제거편(30)을 바퀴(20)외주연에 가까이에 고정하여서된 트랙터용 쟁기의 바퀴방향 전환장치.
KR2019940019821U 1994-08-05 1994-08-05 트랙터용 쟁기의 바퀴방향 전환장치 Expired - Lifetime KR9600078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9821U KR960007824Y1 (ko) 1994-08-05 1994-08-05 트랙터용 쟁기의 바퀴방향 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9821U KR960007824Y1 (ko) 1994-08-05 1994-08-05 트랙터용 쟁기의 바퀴방향 전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711U KR960006711U (ko) 1996-03-13
KR960007824Y1 true KR960007824Y1 (ko) 1996-09-18

Family

ID=19390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9821U Expired - Lifetime KR960007824Y1 (ko) 1994-08-05 1994-08-05 트랙터용 쟁기의 바퀴방향 전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8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711U (ko) 199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7824Y1 (ko) 트랙터용 쟁기의 바퀴방향 전환장치
KR101436155B1 (ko) 파손방지수단이 구비된 트랙터용 써레
JP5761261B2 (ja) 耕耘機
KR200171851Y1 (ko) 제설기 완충장치
US3104123A (en) Adjustable securing means
JPS6238488Y2 (ko)
KR940001924Y1 (ko) 흙운반 비료 살포장치
JP2855579B2 (ja) 幅可変の排土ブレード構造
CN217679127U (zh) 一种道路基坑用安全防护装置
JP4015987B2 (ja) 整地機
JP3018725U (ja) 除雪機
JP2542030Y2 (ja) ロータリ作業機のエプロン枢着部カバー装置
JPH09135601A (ja) ロータリ作業機のリヤカバーロック装置
JPS6014323Y2 (ja) ロ−タリのメインカバ−取付装置
RU2261567C1 (ru)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ее орудие
JPH0729773Y2 (ja) トラクタ用作業機の保持スタンド
JPH0132481Y2 (ko)
KR940000119Y1 (ko) 경지 정지장치
JP2001269057A (ja) 生垣剪定機
JPS599521Y2 (ja) 耕耘ロ−タリの支持装置
JPH0440406Y2 (ko)
JPH039641Y2 (ko)
JPH1071973A (ja) トラクターにおけるバランス制御装置
JPS63167701A (ja) ロ−タリ装置の整地板取付装置
JPS62285701A (ja) 正逆転ロータリ耕耘機のレー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4080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4080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82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11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