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7516Y1 - 전화기의 송수화기 귀걸림장치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송수화기 귀걸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516Y1
KR960007516Y1 KR2019930027468U KR930027468U KR960007516Y1 KR 960007516 Y1 KR960007516 Y1 KR 960007516Y1 KR 2019930027468 U KR2019930027468 U KR 2019930027468U KR 930027468 U KR930027468 U KR 930027468U KR 960007516 Y1 KR960007516 Y1 KR 9600075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et
ear
holding
delete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74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1863U (ko
Inventor
김종희
Original Assignee
김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희 filed Critical 김종희
Priority to KR20199300274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516Y1/ko
Publication of KR9500218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18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5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5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전화기의 송수화기 귀걸림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송수화기의 배면을 나타낸 일부 절개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조립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예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사용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송수화기2 : 수화기
4 : 귀걸림장치5 : 귀
13 : 작동간설치공간15 : 걸림봉
41 : 삽입구42 : 걸림턱
43 : 홀딩부재431 : 홀딩편
432 : 더걸림홈433 : 작동간
434 : 힌지편436 : 걸림돌기
437 : 축핀438 : 탄지스프링
439, 440 : 탄성체
본 고안은 전화기의 송수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득이하게 통화를 하면서 양손을 사용할 때 송수화기를 사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안출한 전화기의 송수화기 귀걸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화기는 유선 및 무선전화기로 대별되며, 각 전화기는 수신 및 송신을 위하여 송수신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송수신기는 사용자가 한손으로 잡고 통화를 하도록 되어 있어 부득이하게 통화중 양손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의 머리와 어깨를 이용하여 송수화기를 고정하여 통화를 하면서 양손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으로, 이로 인해 사용자의 자세가 불란정한 상태에서 통화를 하면서 양손을 사용함에 따라 양손의 사용이 불안하여 정확하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황에 따라서 2대의 전화기를 동시에 통화가 고저 할 때에는 사용자의 양쪽 귀에 2대의 송수화기를 대고 통화를 하여야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더욱 더 사용자의 양쪽손을 사용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송수화기의 수화기측에 사용자의 귀가 걸리도록 걸림장치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손으로 잡지 않아도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자의 양쪽손을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가 있고, 또 상황에 따라서 2대의 전화기를 통화할 때에도 각각 사용자의 양쪽귀에 2대의 송수화기를 걸을 수가 있어 양쪽손을 사용하는데 전혀 지장이 없도록 하려는 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 내지 제6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송수화기(1)의 수화기(2)에 귀걸림장치(4)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귀(5)에 걸리도록 한 것이 본 고안의 기본적인 특징이다.
상기 귀걸림장치(4)는 귀(5)의 상부 주연이 삽입되어 걸리도록 수화기(2)의 상단에 하방이 개방된 삽입구(41)와 걸림턱(42)을 형성한 것이 본 고안의 부수적인 특징이다.
또, 삽입구(41)로 출몰되게 홀딩부재(43)를 설치하여 귀(5)를 잠아주도록 한 것이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이다..
상기 홀딩부재(43)는 삽입구(41)측으로 출몰되게 송수화기(1)의 몸체(11)와 뚜껑(12)에 설치되는 홀딩편(431)과, 뚜껑(12)의 배면에 형성된 작동간 설치공간(13)의 구멍(14)에, 대략 중간부에 돌출된 힌지편(434)의 구멍(435)과 일치시켜 측핀(437)으로 회동되게 한 뒤 탄지스프링(438)으로 탄력있게 지지하여 상단에 돌출된 걸림돌기(436)를 홀딩편(431)의 걸림홈(432)에 걸어서 홀딩편(431)을 전, 후슬라이딩되게 형성된 작동간(433)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수화기(2)의 하부에 위치되게 걸림봉(15)을 돌출시켜 귀(5)의 입구측에 지지 및 걸리도록 하여 송수화기(1)의 홀딩시 균형 및 지지되도록 한 것이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이다.
또, 상기 걸림턱(42)의 내면과 홀딩편(431)의 외면에 제5도와 같이 고무, 수폰지등의 탄성체(439)(440)를 접착하여 귀(5)의 홀딩시 통증이나 상처가 나지 않도록 한 것이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사용자가 통화중에 양손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송수화기(1)의 수화기(2)에 설치된 귀걸림장치(4)가 귀(5)에 걸리도록 한 뒤 자연스럽게 양손을 사용하면 된다.
이때, 기본적으로 삽입구(41)에 귀(5)를 삽입하여 걸림턱(42)에 걸리도록 하는 동시에 송화기(3)는 사용자의 입에 접촉되게 하므로서 송수화기(1)의 자중에 의하여 흘러내리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또, 걸림턱(42)만으로 송수화기(1)의 자중을 견디지 못할 경우 홀딩부재(43)를 사용하여 귀(5)를 잡아주므로서 더욱 견고하게 견디도록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즉, 제4도와 같이 작동간(433)의 하단을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 탄지스프링(438)은 압축되고 작동간(433)은 축핀(437)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단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되므로서 작동간(433)의 걸림돌기(436)가 홀딩편(431)의 걸림홈(432)을 외측으로 잡아당겨주게 되어 홀딩편(431)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홀딩편(431)의 좌측이동으로 걸림턱(42)과 홀딩편(431)사이에 간격이 벌어지게 되므로 그 사이에 귀(5)를 삽입한 뒤 누르고 있던 외력을 제거하면 탄지스프링(438)의 탄력에 의하여 원상복귀하게 되어 작동간(433)의 상단이 홀딩편(431)을 우측으로 밀어서 홀딩편(431)과 걸림턱(42) 사이에서 귀(5)를 확실하게 잡아주게 되므로 송수화기(1)의 자중에 의하여 귀(5)에서 이탈될 염려가 없는 것이다.
또, 수화기(2)측의 하부에 걸림봉(15)을 돌출시켜 귀(5)의 입구측에 지지 및 걸리도록 하여 주므로서 수화기(2)측은 사용자의 귀(5)에 확실하게 고정되어 부득이하게 양손을 사용하면서 통화를 한다고 하여도 자연스런 자세에서 통화를 할 수 가 있는 것이다.
또, 걸림턱(42)의 내면과 홀딩편(431)의 외면에 제5도와 같이 탄성체(439)(440)를 접착고정하여 귀(5)의 피부를 압박하지 않도록 하여 통증이나 상처가 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상황에 따라서 2대의 전화기를 동시에 통화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의 양쪽 귀(5)에 2대의 송수화기(1)를 대고 통화를 할 수가 있어 더욱 더 사용자의 양쪽손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송수화기의 수화기측에 사용자의 귀가 걸리도록 걸림장치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손으로 잡지 안하여도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자의 양쪽손을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가 있고, 또 상황에 따라서 2대의 전화기를 통화할 때에도 각각 상자의 양쪽귀에 2대의 송수화기를 걸을 수가 있어 양쪽손을 사용하는데 전혀 지장이 없도록 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삭제)
  2. (정정) 통화중에 송수롸기가 사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된 전화기의 송수화기에 있어서, 수화기(2)의 상부에 하방이 개방된 삽입구(41)와 걸림턱(42)을 형성하되 삽입구(41) 내에는 귀의 홀딩부재(43)가 설치되어 있으며 수화기(2)의 하부 부분에는 귀에 지지되는 걸림봉(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화기 귀걸림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정정)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재(42)는, 삽입구(41)측으로 출몰되게 송수화기(1)의 몸체(11)와 뚜껑(12)에 성치되는 홀딩편(431)과, 뚜껑(12)의 배면에 형성된 작동간 설치공간(13)의 구멍(14)에 대략 중간부에 돌출된 힌지편(434)의 구멍(435)과 일치시켜 축핀(437)으로 회동되게 한 뒤 탄지스프링(438)으로 탄력있게 지지하여 상단에 돌출된 걸림돌기(436)를 홀딩편(431)의 걸림홀(432)에 걸어서 홀딩편(431)을 전, 후 슬라이딩되게 형성된 작동간(43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송수화기 귀걸림장치.
  7. (삭제)
KR2019930027468U 1993-12-13 1993-12-13 전화기의 송수화기 귀걸림장치 KR9600075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7468U KR960007516Y1 (ko) 1993-12-13 1993-12-13 전화기의 송수화기 귀걸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7468U KR960007516Y1 (ko) 1993-12-13 1993-12-13 전화기의 송수화기 귀걸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863U KR950021863U (ko) 1995-07-28
KR960007516Y1 true KR960007516Y1 (ko) 1996-08-29

Family

ID=19370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7468U KR960007516Y1 (ko) 1993-12-13 1993-12-13 전화기의 송수화기 귀걸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5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863U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5862B1 (ko) 슬라이딩 타입 무선 단말기
AU655027B2 (en) Hinge apparatus for foldable radiotelephones
IL134214A (en) Radio telephone with a sliding acoustic unit
JPS59135960A (ja) 電話機等における折りたたみ型送受話器のフツクスイツチ切替装置
KR960007516Y1 (ko) 전화기의 송수화기 귀걸림장치
KR0122491B1 (ko) 벨트클립의 이중잠금장치
KR100229870B1 (ko)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장치
JPH0132438Y2 (ko)
KR101055370B1 (ko) 외장형 스피커 모듈의 스피커 음 누설 방지 장치
KR20100040544A (ko) 휴대 단말기의 커버 록킹장치
US20230119692A1 (en) Communications handset cradle attachment
KR200202255Y1 (ko) 휴대폰의 힌지장치
KR100549605B1 (ko) 이어폰잭 접속홀의 개폐장치
KR200378918Y1 (ko) 액세사리 교체가 용이한 이동통신 단말기
KR970005228Y1 (ko) 무선전화기의 덮개 플립플롭 장치
KR200235265Y1 (ko) 휴대폰 리셉터클 개폐장치
KR200266282Y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결합장치
KR101026233B1 (ko) 소음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통화 장치
KR100317627B1 (ko) 슬라이드식과 플립식으로 개폐되는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기
KR100239828B1 (ko) 핸드폰용 그립퍼
KR10057573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0165533Y1 (ko) 휴대폰의 돌출형 스피커
KR200184077Y1 (ko) 휴대폰의 힌지장치
KR0127210Y1 (ko) 송수신기의 이어폰 장치
KR200317089Y1 (ko) 귀걸이부재가 구비된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3121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3121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60523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80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11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