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7472Y1 - 낚시용 중통찌 - Google Patents

낚시용 중통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472Y1
KR960007472Y1 KR2019940001631U KR19940001631U KR960007472Y1 KR 960007472 Y1 KR960007472 Y1 KR 960007472Y1 KR 2019940001631 U KR2019940001631 U KR 2019940001631U KR 19940001631 U KR19940001631 U KR 19940001631U KR 960007472 Y1 KR960007472 Y1 KR 9600074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hole
insertion piece
main body
bobb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16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2421U (ko
Inventor
에이이치 다나까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츠리겡
다나카 에이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츠리겡, 다나카 에이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츠리겡
Priority to KR20199400016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472Y1/ko
Publication of KR9500224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4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4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47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낚시용 중통찌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인 중통찌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 설명도
제2도는 동일한 그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중통찌의 사용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
제4도는 동일한 중통찌의 요철부(凹凸部)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통찌11 : 세로홈
12 : 찌본체13 : 삽입편
14,15,16 : 연결공17 : 연결핀
18,20 : 낚시줄 수납부19,20 : 봉돌
22 : 낚시줄 관통공23 : 낚시줄
25 : 중통찌26 : 세로홈
27 : 찌본체28 : 삽입편
30 : 낚시줄 수납부30a : 낚시줄 수납부
31,32 : 봉돌33 : 관통공
34 : 볼36 : 요부
37 : 낚시줄
본 고안은 낚시에 사용되는 조립식의 중통찌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중통찌에 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현재까지 사용되어 온 통상의 낚시찌는 막대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상단부에는 낚시인이 입질을 인식할 수 있는 시각적인 표시(예를 들면 각각 다른 색의 띠를 형성하는 등)를 하고, 하단부에는 낚시줄에 끼워진 찌고무 등과 연결되는 부분(소위 날라리)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한 찌는 단면이 타원형상의 대체로 둥근 모양을 하고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찌 전체의 중앙 부분에 낚시줄을 통과시키는 구멍이 있다. 이러한 찌는 낚시줄을 그 속으로 통과시킨 후에 낚시줄의 상부에 찌 멈춤 수단(고무 또는 면사 매듭)으로 찌밑의 수심을 정하는 것으로, 통상 바다낚시의 찌로서 사용되며, 이하에서 이렇게 중앙부분에 낚시줄 통과공이 성형된 찌를 중통찌라고 칭하기로 한다.
종래에 낚시에 사용되는 중통찌를 낚시줄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낚시바늘의 채비를 부착하기 전에 낚시줄(상기 14페이지 원본 없음)
상기 낚시줄 수납부(18)는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여 단면이 반원 향상으로 형성되고, 봉돌(19)는 납을 사용하여 원통을 중앙에서 절단한 형상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연결공(14,15)는, 세로홈(11)을 사이에 둔 양측에 각각 천설된다.
그리고 연결핀(17)은, 예를 들면 소재로서 대나무를 사용하여, 연결공(14,15)과 같은 지름의 봉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핀(17)의 양단은 연결공(14,15)에 끼워질 때 찌본체(12)의 표면에 요철이 생기지 않도록 경사로 되어 있다.
상기 삽입편(13)은, 찌본체(12)의 세로홈(11)과 동일한 형상으로 되고, 그 소재로서는 찌본체(12)와 같은 소재의 경량 목재가 사용된다. 그리고 세로홈(11)에 삽입되어 저부로 되는 측면에는 찌본체(12)에 설치된 낚시줄 수납부(18) 및 봉돌(19)와 거의 같은 형상이고 동시에 같은 소재를 사용한 낚시줄 수납부(20) 및 봉돌(21)이 고정되고, 중간에는 상기 연결공(14,15)에 대응하는 연결공(16)이 천설된다.
그리고 대향하는 낚시줄 수납부(20) 및 낚시줄 수납부(18)은 세로홈에 삽입편(13)를 밀착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그들의 측벽이 중합하여 낚시줄 관통공(22)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23은 낚시줄을 표시한다.
다음에는 중통찌(10)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미리 찌본체(12)의 연결공(14,16,15)에 끼워져 있는 연결핀(17)의 단부를 다른 방향으로 밀어서 연결공(15)의 외측에 돌출시키고, 돌출한 연결핀(17)의 단부를 집어서, 삽입편(13)의 연결공(16)내에 연결핀(17)이 남지 않도록 뽑아낸다. 그리고 삽입편(13)을 하방 또는 상방으로 밀어서, 찌본체(12)의 세로홈(11)에서 뽑는다. 그리고 찌본체(12)의 낚시줄 수납부(18)에, 낚시줄(23)의 바늘등의 채비를 묶은, 혹은 취부하는 측을 상방으로 하여 끼운다. 이 때 봉돌(19)은 상기 채비가 취부된 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다음에, 봉돌(19,21)의 위치가 서로 맞도록 봉돌(21)을 하방으로 위치시킨 상태로 삽입편(13)을 세로홈(11)에 삽입하고, 최종으로 연결핀(17)을 연결공(15,16,17)내로 밀어넣고 찌본체(12)와 삽입편을 고정한다.
이상과 같이, 중통찌(10)는 낚시줄(23)에 채비등이 부착되어 있어도, 이들을 떼어내는 것 없이 간단하게 낚시줄(23)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곤란하게도 종래의 찌에 있어서도 필히 채비등을 낚시줄에 부착하기 전에 상기 찌를 낚시줄에 부착하지 않으면 안되고, 낚시줄에 장착되는 찌의 교환은, 낚시줄을 절단한 후에 행하지 않으면 불가하였다.
다음에는 제3도 및 제4도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중통찌(25)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통찌(25)는, 세로홈(26)이 성형된 찌본체와, 세로홈(26)에 삽입되는 삽입편(28)을 구비한다.
상기 찌본체(27)의 세로홈(26)의 홈저부는 폭이 넓게 되고, 그 중앙에 세로로 나누어진 낚시줄 관통공(29)이 형성되는 낚시줄 수납부(30)이 준비되고, 세로홈(26)은 하방측에서 상방측으로 테이퍼 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편(28)은, 외측은 구면상으로 되고, 내측은 세로홈(26)과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세로홈(26)에 밀착 삽입되고, 더욱이 상기 낚시줄 관통공(29)의 반을 형성하는 세로로 나누어진 낚시줄 수납부(30a)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찌본체(27) 및 삽입편(28)의 하부에는 각각 둘로 나누어진 원통상의 봉돌(31,32)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편(28)의 측부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구형의 홈(33)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고무제의 볼(34)가 그 일부를 합한면(35)에서 돌출하여 철부(凸部)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찌본체(27)의 양측부에는 상기 돌출한 볼(34)가 삽입되는 요부(요凹部)(36)이 형성되어 있다. 철부를 찌본체(27)에, 요부를 삽입부(28)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중통찌(25)에 있어서는, 삽입편(28)을 찌본체(27)의 세로홈(26)에 완전하게 장착하면, 상기 철부가 요부(36)에 삽입되어 계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낚시줄(37)을 절단하지 않고 중통찌(25)의 장착교환이 행해진다.
여기서 상기의 출입하는 요부로서, 탄성에 의하여 출입하는 플라스틱 혹은 금속류를 사용하는 것은 자유이고, 스프링등에 의하여 외부로 탄성을 받은 돌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찌본체(12,27), 삽입편(13,28)은 목제로 하지만, ABS수지등의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여 형성하여도 좋고, 또는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중공을 형성하여 부력을 증가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봉돌(19,21,31,32)의 소재로서 납을 사용하였지만, 철등의 다른 부재를 사용하는 것은 물론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중통찌에 있어서는, 낚시줄 관통공을 포함하는 세로홈이 형성된 찌본체와, 상기 세로홈에 밀착, 삽입하는 세로로 나누어진 낚시줄 관통공을 구비한 삽입편이 자유롭게 분리 가능하고, 더욱이 이들의 조립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서, 종래의 중통찌와 같이, 찌본체에 설치된 낚시줄 관통공에 일단을 절단한 낚시줄을 통과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중통찌의 교환이 용이하다.

Claims (2)

  1. 홈의 저부가 광폭으로 되고, 그 중앙에 세로로 나누어진 낚시줄 관통공(22)이 설치된 세로홈(11)이 형성된 찌본체(12)와 ; 상기 찌본체(12)의 세로홈(11)에 밀착 삽입되어 상기 낚시줄 관통공(22)과 대칭을 이루는 세로로 나누어진 낚시줄 관통공(22)을 구비한 삽입편(13)과, 상기 찌본체(12)와 상기 삽입편(13)에 형성된 연결공(14,15,16)에 가로 방향으로 끼워져서 이들을 고정하는 연결핀(1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통찌.
  2. 홈의 저부가 광폭으로 되고, 그 중앙에 세로로 나누어진 낚시줄 관통공(29)이 설치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테이퍼 형상으로 된 세로홈(26)이 형성된 찌본체(27)와 ; 상기 찌본체(27)의 세로홈(26)에 밀착삽입하여 상기 낚시줄 관통공(29)과 대칭을 이루는 세로로 나누어진 낚시줄 관통공(29)을 구비한 삽입편(28)을 구비하고 ; 그리고 상기 찌본체(27) 및 삽입편(28)에는 요부(36)와, 상기 요부(36)에 계합하여 출입 가능한 철부를 각각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통찌.
KR2019940001631U 1994-01-28 1994-01-28 낚시용 중통찌 Expired - Fee Related KR9600074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1631U KR960007472Y1 (ko) 1994-01-28 1994-01-28 낚시용 중통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1631U KR960007472Y1 (ko) 1994-01-28 1994-01-28 낚시용 중통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421U KR950022421U (ko) 1995-08-18
KR960007472Y1 true KR960007472Y1 (ko) 1996-08-29

Family

ID=19376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1631U Expired - Fee Related KR960007472Y1 (ko) 1994-01-28 1994-01-28 낚시용 중통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4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421U (ko) 199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81552A (en) Fishing bobber
US4964236A (en) Fishing line slip sinker with quick attachment/detachment means
US2758410A (en) Float
KR960007472Y1 (ko) 낚시용 중통찌
US5241776A (en) Fishing line slip sinker with quick attachment/detachment means
US2772504A (en) Fishing float
JP2504432Y2 (ja) 中通しうき
KR200361634Y1 (ko) 낚시찌의 중량부재 및 이를 포함한 낚시찌
JPH0660373U (ja) 浮子の糸通しパイプ構造
JP2002272335A (ja) 浮 子
KR200344506Y1 (ko) 낚시찌용 찌보기
US4750670A (en) Riding crops
KR20190002921U (ko) 찌 쿠션
JPH0453259Y2 (ko)
KR200282105Y1 (ko) 낚시용 찌
KR102470881B1 (ko) 루어낚시용 던질찌
JPH10286050A (ja) 浮 子
KR200154264Y1 (ko) 낚시용 구멍찌와 수중찌 및 봉돌
JPS6432070U (ko)
KR960009662Y1 (ko) 부력 조정이 가능한 낚시찌
JPH06292493A (ja) 固定浮子及び浮子止ゴムの構造
KR200354324Y1 (ko) 낚시줄용 고정구
KR200372338Y1 (ko) 스냅단추를 구비한 구멍찌
JPH08140530A (ja) 釣り針
JPS6422284A (en) Bobbin case engag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4012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4012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60725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80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11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02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7020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7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27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6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