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987Y1 - 캔버스(canvas) 인장장치 - Google Patents
캔버스(canvas) 인장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60006987Y1 KR960006987Y1 KR2019930011448U KR930011448U KR960006987Y1 KR 960006987 Y1 KR960006987 Y1 KR 960006987Y1 KR 2019930011448 U KR2019930011448 U KR 2019930011448U KR 930011448 U KR930011448 U KR 930011448U KR 960006987 Y1 KR960006987 Y1 KR 96000698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nvas
- rotating
- main frame
- block
-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18—Boards or sheets with surfaces prepared for painting or drawing pictures; Stretching frames for canvases
Landscapes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8)
- 고정틀에 캔버스를 팽팽히 인장시켜 고정시키기 위한 캔버스 인장장치에 있어서,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캔버스를 파지하는 적어도 한쌍의 파지구와,상기 각 파지구가 고정되는 주 프레임과,상기 파지구들 사이의 주 프레임의 중간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축과 상기 가이드 축에 슬립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틀에 지지되는 지지블럭과,상기 지지블럭에 대해 상기 주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을 구비하여,상기 이송수단에 의해서 상기 지지블럭에 대해 상기 주 프레임이 멀어지도록 이송될때 상기 캔버스가 인장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인장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주 프레임을 중심으로 고정블록의 반대쪽 가이드 축에 스프링을 결합하여서,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서 주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진 고정블럭이 그 스프링이 복원력에 의해서 주 프레임측으로 원위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인장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주 프레임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며 그 일단이 상기 지지블럭에 접촉되는 나사봉을 구비하여서,상기 나사봉의 일단이 지지블럭에 접촉된 상태에서 그 나사봉으로 조임으로 주 프레임이 이송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인장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파지구는 상기 주 프레임에 연결된 서브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그 고정 플레이트에 면 대응되어 회전가능하게 소정의 힌지수단에 의해서 힌지설치되는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회전 플레이트의 일단부가 맞물리도록 회전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으로 구성하여서,상기 회전수단에 의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회전 플레이트의 일단부가 맞물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인장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회전 플레이트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무밴드를 설치하여서, 캔버스를 파지할시 미끄럼이 방지 및 파지력이 강화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인장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축과 그 축에 결합되는 스프링을 구비하여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그 축에 너트로 결합하여 그 회전 플레이트가 상기 스프링에 지지된채 회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인장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일측에 편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블럭과, 그 회전블럭을 회전 조작하는 조작레버를 구비하여서,상기 회전블럭이 편심회전될때 그 회전블럭의 단부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마찰접촉되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그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회전 플레이트의 타단부가 고정 플레이트와 맞물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인장장치.
- 제7항에 있어서,상기 회전블럭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울러를 더 구비하여서, 상기 회전블럭이 편심회전될때 그 로울러와 구름접촉하여 회전블럭의 회전운동이 원활하게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인장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30011448U KR960006987Y1 (ko) | 1993-06-26 | 1993-06-26 | 캔버스(canvas) 인장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30011448U KR960006987Y1 (ko) | 1993-06-26 | 1993-06-26 | 캔버스(canvas) 인장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00859U KR950000859U (ko) | 1995-01-03 |
KR960006987Y1 true KR960006987Y1 (ko) | 1996-08-16 |
Family
ID=19357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30011448U Expired - Lifetime KR960006987Y1 (ko) | 1993-06-26 | 1993-06-26 | 캔버스(canvas) 인장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60006987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919324B (zh) * | 2022-05-30 | 2023-12-26 | 山西工程技术学院 | 一种油画布的安装结构 |
-
1993
- 1993-06-26 KR KR2019930011448U patent/KR960006987Y1/ko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00859U (ko) | 1995-0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93053896A (ru) | Захват транспорт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однолистовой и многолистовой печатной продукции | |
US5222535A (en) | Bag holding device | |
US6736743B2 (en) | Belt installation tool | |
US4471674A (en) | Spinning tool for pipe, rod and cylinder rotation | |
KR960006987Y1 (ko) | 캔버스(canvas) 인장장치 | |
AU2003205161A1 (en) | Belt installation tool | |
US4244559A (en) | Belt tightening tool | |
JPS61241032A (ja) | ベルト式ワ−クハンド装置 | |
JPH08281587A (ja) | ロボットのハンド | |
US7774960B2 (en) | Apparatus for applying canvas to frame | |
JP2780058B2 (ja) | ケーブル延線装置 | |
US4043083A (en) | Sanding tool | |
JPH07252078A (ja) | エスカレータの移動手摺案内ローラ調整治具 | |
CN220122469U (zh) | 一种电缆的拉紧器 | |
JP3404192B2 (ja) | 輪転印刷機の版クランプ装置 | |
JPS594979Y2 (ja) | ベルトコンベヤのリタ−ンロ−ラ支持装置 | |
JPH03115037A (ja) | 平坦薄板材の取扱い装置 | |
US5256111A (en) | Drive chain tensioner | |
JPH0615773Y2 (ja) | クローラ走行装置 | |
JPH10191518A (ja) | 電気ケーブル送り出し装置 | |
JPS6326385Y2 (ko) | ||
JP2527294Y2 (ja) | 締結具供給装置 | |
ATE191022T1 (de) | Spannvorrichtung zum spannen einer um die stoffwellen einer stickmaschine gelegten stoffbahn | |
JP2523486Y2 (ja) | 印刷機における版締め装置 | |
SU1250450A1 (ru) | Трубный клю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30626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1993062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G1604 | Publication of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723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199611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U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