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5839Y1 - 가스공급유량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가스공급유량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839Y1
KR960005839Y1 KR2019930003832U KR930003832U KR960005839Y1 KR 960005839 Y1 KR960005839 Y1 KR 960005839Y1 KR 2019930003832 U KR2019930003832 U KR 2019930003832U KR 930003832 U KR930003832 U KR 930003832U KR 960005839 Y1 KR960005839 Y1 KR 9600058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otentiometer
flow rate
measuring rod
press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38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3193U (ko
Inventor
최용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공영종합시스템
최용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공영종합시스템, 최용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공영종합시스템
Priority to KR20199300038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839Y1/ko
Publication of KR9400231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31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8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83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3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 G01F1/3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the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being created by the use of flow constriction
    • G01F1/3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the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being created by the use of flow constriction the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being measured by means of a movable element, e.g. diaphragm, piston, Bourdon tube or flexible capsule
    • G01F1/383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the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being created by the use of flow constriction the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being measured by means of a movable element, e.g. diaphragm, piston, Bourdon tube or flexible capsule with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02Indicating measured values giving both analog and numerical indic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가스공급유량 측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정압기의 전체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 요부의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측정장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압기본체 2 : 유입구
3 : 유출구 2' : 유입관
3' : 유출관 4 : 밸브
5 : 스프링 6 : 유동축
7 : 밸브 개폐함 7' : 가압실
7'' : 배압실 8 : 다이아프램
9 : 측정봉 10 : 측정캡
11 : 지지대 12 : 포텐시오미터
13 : 회전축 14 : 코일스프링
15 : 철선 16 : 권취드럼
18 : 디지탈계기
이 고안은 아파트건물, 공장, 사업장등지에 현재 공급되고 있는 가스의 공급유량을 정압실에서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한 유량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하는 정압기(整壓器)의 선단에 간단히 설치하여 정압기를 통과한 가스의 유출량을 디지탈 계기에서 숫자로 환산하여 표시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유입구(2)와 유출구(3)가 형성된 정압기몸체(1)의 내부에 피스톤식 밸브(4)를 스프링(5)으로 눌리도록 설치하고, 피스톤식 밸브(4)의 중앙 하부에는 유동축(6)을 착설하여 상기 유동축(6)의 하단은 밸브개폐함(7)의 내부에 설치된 다이아프램(8)과 연결하므로서, 다이아프램(8)의 신축에 따른 유동축(6)의 승강에 따라 피스톤식 밸브(4)를 개폐시켜 배출압력을 조정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피스톤식 밸브(4)의 상부에는 측정봉(9)을 고정하여 정압기본체(1) 상부로 연장 돌출시키고, 그 외부에 투명한 측정캡(10)을 덮어씌운것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같이된 종래의 측정장치는 유입관(2')에 유입되는 가스의 일부가 밸브개폐함(7)의 가압실(7')에 유입되어 다이아프램(8)의 저면을 가압함으로써 유동축(6)의 상단에 고정된 피스톤식 밸브(4)가 상승하여 측정봉(9)의 위치가 상승하고, 유출관(3')에 연결된 각종의 가스기구의 사용으로 유출관(3')측의 압력이 저하되면 피스톤식밸브(4)를 탄지하고 있던 스프링(5)의 탄발력으로 유출관(3')내의 압력이 저하된만큼 상기 피스톤식밸브(4)가 상승하며, 피스톤식 밸브(4)의 상승에 따라 정압기본체(1)의 외부로 돌출되어진 측정봉(9)이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승강하는 측정봉(9)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한 후 연산식에 의하여 가스의 유출량을 산출하도록 된 것이었다.
이와같이 시각적으로 측정봉(9)의 변동위치를 파악하여 산출식에 의거 유출량을 측정하는 것은 정확한 유출량을 환산할 수 없을뿐만 아니라, 자동화 시스템으로 변환되고있는 현시대에는 적절하게 사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
이 고안은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압기를 통과하는 가스의 유입구(2)측과 유출구(3)측의 차압(差壓)에 의하여 발생되는 피스톤식 밸브(4)의 미세한 승강변위를 포텐시오미터(Potentiometer)(12)가 감지하고, 디지탈계기(18)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입력된 연산식에 의거 계기판에 유출량이 숫자로 표시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입관(2')의 가스압력과 유출관(3')의 가스압력 사이의 압력차에 의하여 밸브개폐함(7)에 설치된 다이아프램(8)이 작용하면서 다이아프램(8)과 유동축(6)으로 연결된 피스톤식 밸브(4)가 개폐되어 가스의 유출량을 조절하도록 된 통상의 정압기에 있어서,
정압기 본체(1)의 상부로 연장돌출된 측정봉(9)의 상단에 고정간(17)을 고정하며, 정압기본체(1)의 상부에 고정대(11)를 설치하여 포텐시오미터(12)를 고정하고, 이 포텐시오미터(12)의 회전축(13)에 코일스프링(14)과 철선(15)이 권회된 권취드럼(16)을 착설하되, 코일스프링(14)의 양끝은 각각 포텐시오미터(12)의 케이싱과 권취드럼(l6)의 측벽에 고정하였으며, 포텐시오미터(12)는 유출량 연산식이 입력된 디지탈 계기(18)와 회로결선하고, 권취드럼(16)에 권회된 철선(15)의 말단부를 측정봉(9)에 고정된 고정간(17)에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미 설명부호 19는 개폐밸브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이 고안은, 정압실에서 개폐밸브(19)를 작동시켜 가스를 유출시키면, 유입관(2')에 연결된 밸브개폐함(7)의 가압식(7')로 가스가 유입되어 다이아프램(8)의 저면을 가압하면서 유동측(6)을 상승시켜 피스톤식 밸브(4)를 개방하고, 유입구(2)로 유입된 가스를 유출구(3')로 유출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유동축(6)이 상승함에 따라 측정봉(9)이 상승하게 되며, 측정봉(9)이 상승하면 , 고정간(17)에 고정된철선(15)이 권취드럼(16)에서 풀리면서 권취드럼(16)이 회전하여 포텐시오미터(12)의 회전축(13)을 회전시킨다.
유출관(3')에 연결된 가스기구의 사용으로 유출관(3')측의 가스압력이 저하되면 밸브개폐함(7)의 가압실(7')과 배압실(7'')측의 압력차에 따라 유동축(6)이 상승하면서 피스톤식밸브(4)를 열게되는 것이며, 유출관(3')측의 압력이 낮을수록 즉, 가스사용량이 많을수록 유동축(6)이 더욱 상승하여 피스톤식밸브(4)를 크게 열게되는것이며, 가스사용량이 없는 경우에는 밸브개폐함(7)의 가압실(7')과 배압실(7'') 사이의 압력차가 없어져 유동축(6)이 하강하고 피스톤식밸브(4)가 닫이게 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피스톤식밸브(4)의 개폐에 따른 측정봉(9)의 미세한 승강작용은 철선(15)에 의하여 포텐시오미터(12)의 회전축(13)을 회전시키게되고, 포텐시오미터(12)는 회전축(13)의 회전변위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탈 계기(18)에 송출함으로써 디지탈 계기(18)에 입력된 연산식에 의해 연산된 후 가스유량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이 고안은 유입관(2')과 유출관(3')의 가스압력에 따른 피스톤식 밸브(4)의 승강에 의한 변화를 포텐시오미터(12)에 전달하여 분당 유출량 또는 시간당 유출량을 디지탈 계기(18)에 숫자상으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가스의 유출량을 정확하게 알 수 있을뿐만 아니라, 종래의 정압기본체 상단에 간단한 장치의 추가설치로서 정압실에서 현재 공급되는 공급유량을 숫자상으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정압실에 설치된 중앙컴퓨터와 디지탈 계기(18)를 연결하면 편리하고 경제적으로 가스사용량을 확인 및 검사할 수 있는작용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1)

  1. 정압기 본체(1) 내부의 가스압력에 의하여 피스톤식밸브(4)가 승강하면서 개폐작용을 하며, 피스톤식밸브(4)에 측정봉(9)이 고정되어 정압기 외부로 돌출된 통상의 정압기에 있어서, 정압기본체(1) 상부에 포텐시오미터(12)를 설치하여 이 포텐시오미터(12)의 회전축(13)에 철선(15)이 권회된 권취드럼(16)을 고정하고, 철선(15)의 끝부분을 측정봉(9)의 상단부에 고정된 고정간(17)에 연결하여 측정봉(9)의 승강에 따라 회전하는 포텐시오미터(12)의 회전축(13)의 회전변위를 전기적신호로 변환시켜 포텐시오미터(12)에 연결된 디지탈계기(18)에 의하여 가스유량을 표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가스공급유량 측정장치,
KR2019930003832U 1993-03-16 1993-03-16 가스공급유량 측정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600058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3832U KR960005839Y1 (ko) 1993-03-16 1993-03-16 가스공급유량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3832U KR960005839Y1 (ko) 1993-03-16 1993-03-16 가스공급유량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193U KR940023193U (ko) 1994-10-22
KR960005839Y1 true KR960005839Y1 (ko) 1996-07-16

Family

ID=19352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3832U Expired - Fee Related KR960005839Y1 (ko) 1993-03-16 1993-03-16 가스공급유량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83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2009A (ko) * 1995-12-29 1997-07-29 김광호 경광등이 부착된 n_2 레벨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193U (ko) 199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79213B2 (ja) 流体機器
KR960005839Y1 (ko) 가스공급유량 측정장치
US4945771A (en) Integrated flow meter and vacuum gauge and use
US5154079A (en) Remote indicator attachment kit
US2032245A (en) Flow meter
US1822735A (en) Combined liquid level and pressure indicating mechanism
US3377856A (en) Flow meter for liquefied petroleum gas
US2873606A (en) Flowmeters particularly for gases
US4122863A (en) Differential pressure overflow valve
US2633022A (en) Liquid level measuring apparatus
US3212333A (en) Liquid quantity measuring apparatus having magnetic indicating mechanism
US2056177A (en) Flow meter
US1975710A (en) Flow indicator
US2350042A (en) Tank gauge
US1855682A (en) Alarm device for fluid pressure regulators
JPH0519658Y2 (ko)
JPS583083Y2 (ja) 差圧表示装置
US1771646A (en) Pressure-controlled liquid-level gauge
CN218381391U (zh) 一种耐高温耐腐蚀型双法兰差压变送器
CN219589769U (zh) 一种带控制液位功能的液位计
JPS6115030Y2 (ko)
CN211452704U (zh) 一种防断线型差压变送器
JP4472677B2 (ja) マスフローメータ
JPH0442629Y2 (ko)
KR200439501Y1 (ko) 미소차압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3031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3031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60402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62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10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10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6102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714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7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