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5792Y1 - 천정판용 몰딩 지지구 - Google Patents

천정판용 몰딩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792Y1
KR960005792Y1 KR2019930012999U KR930012999U KR960005792Y1 KR 960005792 Y1 KR960005792 Y1 KR 960005792Y1 KR 2019930012999 U KR2019930012999 U KR 2019930012999U KR 930012999 U KR930012999 U KR 930012999U KR 960005792 Y1 KR960005792 Y1 KR 9600057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paper
piece
molding support
support
ceil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29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918U (ko
Inventor
이문조
Original Assignee
이문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조 filed Critical 이문조
Priority to KR20199300129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792Y1/ko
Publication of KR9500039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9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7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7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59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thod
    • E04F19/0472Plinths fixed by means of magnets, hook and loop-type or similar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천정판용 몰딩 지지구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 3 도 (a)(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결합단면도.
제 4 도 (a)(b)는 제 3 도의 A부분을 확대한 저면사시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제 6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 7 도는 제 6 도의 종단면도.
제 8 도는 종래의 일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21 : 몰딩 지지구 2, 22 : 삽지홈
3 : 협지편 4, 4' : 지지편
5 : 곡면편 6, 6', 6 : 요입단턱
본 고안은 일반 주택의 천정면에 천정판과 벽면에 직교되는 모서리에, 설치되는 몰딩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몰딩 지지구의 지지편 일측단과 곡면편의 일측단을 요입단턱을 형성하여, 천정판을 지지구의 삽지홈에 밀착되어 삽입하더라도, 요입단턱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에 벽지를 부착하고, 그 요입단턱의 공간부 사이로 벽지를 짚어 넣게 됨으로서, 몰딩 지지구의 외부의 미려함과 벽지의 마무리 작업이 깨끗함을 이룰수 있게한, 천정판용 몰딩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예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벽면(11)에 몰딩 지지구(21)를 부착하고, 그 삽입홈(22)에 천정판(9)을 끼운다음, 벽면(11)과 천정판(9)에 각각의 벽지(8)을 부착한뒤 벽지(8)의 그 끝부분을 몰딩지지구(21)의 끝단과 일치하게 절단하여 마무리를 하게된 것으로, 이는 벽지가 몰딩 지지구의 끝단에 일치되어 몰딩지지구의 형상 및 모양은 살아날 수는 있으나, 벽지를 부착하고 난뒤, 오랜시간이 지나거나 여름철 장마처럼 습기가 많은날을 격다 보며는 벽면과 천정판에 부착된 벽지의 끝단부가 자주 일어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울퉁불퉁한 상태가 되어 보기 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몰딩 지지구에 있어서, 몰딩 지지구의 지지편 일측단과 곡면편의 일측단을 요입단턱을 삭설하여 그 내측으로 벽지를 넣게함으로서 벽지를 부착한 뒤 오랜시간이 흘러도 벽지의 끝단부분이 벽면과 천정판에서 이탈되지 않기 위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몰딩지지구(1)의 상측에는 삽지홈(2)과 협지편(3) 및 지지편(4)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는 탄성을 갖는 곡면편(5)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지지편(4)과 곡면편(5)의 일측단에 각각의 요입단턱(6)(6')을 형성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7은 결착구멍, 8은 벽지, 9는 천정판, 10은 횡간 체결구, 11는 별면, 12, 12'는 부착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제 3 도 및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종단면도와 저면사시도에서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수직의 벽면(11)에 몰딩 지지구(1)의 부착면(12)을 밀착하고, 그 결착 구멍(7)에 못으로 타정하여 벽면(11)에 부착된 상태에서, 삽입홈(2)의 내측으로 천정판(9)을 삽입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지지편(4)은 하측으로 내려가면서 천정판(9)을 받아들임과 동시에 곡면편(5)은 벽면(11)으로 밀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다수의 횡간 체결구(10)에 천정판(9)을 못으로 타정하여 고착시키고, 벽면(11)과 천정판(9)에 벽지(8)를 도배한 뒤, 벽지(8) 끝부분을 요입단턱(6)(6')의 길이 만큼 절단하고 공간부가 형성된 요입단턱(6)(6')으로 벽지(8)를 짚어 넣으면 되는 것이다.
한편, 제 6 도 및 제 7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몰딩 지지구(1')의 지지편(4') 일측단을 요입단턱(6)으로 형성하여 상기 전술한 방법으로 벽지를 도배하여 요입단턱으로 벽지의 끝단을 짚어 넣으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지지편과 곡면편의 일측단을 요입단턱을 형성하여 천정판을 지지구의 삽지홈에 밀착되어 삽입하더라도, 요입단턱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에 벽지를 부착하고 그 요입단턱의 공간부 사이로 벽지를 짚어 넣게 됨으로서, 몰딩지지구의 외부의 미려함과 벽지의 마무리 작업이 깨끗함을 느낄수 있게한 것이다.

Claims (1)

  1. 몰딩 지지구(1)의 상측에는 삽지홈(2)과 협지편(3) 및 지지편(4)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는 탄성을 갖는 곡면편(5)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지지편(4)과 곡면편(5)이 일측단에 각각의 요입단턱(6)(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판용 몰딩 지지구.
KR2019930012999U 1993-07-15 1993-07-15 천정판용 몰딩 지지구 KR9600057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2999U KR960005792Y1 (ko) 1993-07-15 1993-07-15 천정판용 몰딩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2999U KR960005792Y1 (ko) 1993-07-15 1993-07-15 천정판용 몰딩 지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918U KR950003918U (ko) 1995-02-17
KR960005792Y1 true KR960005792Y1 (ko) 1996-07-15

Family

ID=19359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2999U KR960005792Y1 (ko) 1993-07-15 1993-07-15 천정판용 몰딩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79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918U (ko) 199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23690S (en) Panel connecting and finishing strip
ATE258655T1 (de) Verbindungsvorrichtung für holzleisten ohne sichtbare schraube
CA2466586A1 (en) Transition molding
KR960005792Y1 (ko) 천정판용 몰딩 지지구
US3228165A (en) Extruded snap-on molding strip
JPS6242164Y2 (ko)
JP3606845B2 (ja) 天井用の廻り縁およびこれを用いた天井構造
JPS621998Y2 (ko)
JP2524232Y2 (ja) 内外装部材の仮止め金具
KR200156896Y1 (ko) 실내장식용 판넬
JPH0215925Y2 (ko)
JPH038147Y2 (ko)
JPS584421Y2 (ja) フイルムハウスのフイルム取付用型材
JPH084270A (ja) 幅木の固定構造
JPH08420Y2 (ja) 壁 材
JPS6341446Y2 (ko)
JPS6322283Y2 (ko)
JP2919088B2 (ja) 内装材の施工方法
KR940004884Y1 (ko) 유리고정구
USD421501S (en) Panel connecting and finishing strip
USD423118S (en) Panel connecting and finishing strip
JPH0610173Y2 (ja) 連結釘のテープ
JPH0728293Y2 (ja) 装飾板取付金具
JPS5814729Y2 (ja) 枠材固定装置
JPS634949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3071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3071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62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10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