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5547B1 - 급제동 및 추돌/충돌시 비상등자동구동방법 - Google Patents

급제동 및 추돌/충돌시 비상등자동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547B1
KR960005547B1 KR1019940006739A KR19940006739A KR960005547B1 KR 960005547 B1 KR960005547 B1 KR 960005547B1 KR 1019940006739 A KR1019940006739 A KR 1019940006739A KR 19940006739 A KR19940006739 A KR 19940006739A KR 960005547 B1 KR960005547 B1 KR 960005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eleration
collision
emergency light
data
bra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6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6735A (ko
Inventor
곽기태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06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547B1/ko
Publication of KR950026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6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54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 B60Q1/53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to prevent rear-end collisions, e.g. by indicating safety distance at the rear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60Q1/4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with indication of the braking strength or speed changes, e.g. by changing shape or intensity of the in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giving flashing caution signals during drive, other than signalling change of direction, e.g. flashing the headlights or hazard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급제동 및 추돌/충돌시 비상등자동구동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제동 및 추돌/충돌시 비상등자동구동방법을 구현하는 장치의 블럭구성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따른 실시예에 따른 급제동 및 추돌/충돌시 비상등자동구동방법을 구현하는 장치의 블럭구성도,
제 3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급제동 및 추돌/충돌시 비상등자동구동장치에 의한 비상등자동구동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제 4 도는 제 2 도에 도시된 급제동 및 추돌/충돌시 비상등자동구동장치에 의한 비상등자동구동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동키 20 : 방향지시등작동스위치
30 : 비상등작동스위치 40 : 제동수단
50 : 가속수단 60 : 가속도센서
65 : 엔진 전자제어유니트 70 : 기준감속도데이터기억부
75 : 기준데이터기억부 80 : 제어수단
90 : 방향지시등구동부 100 : 방향지시등
110 : 비상등구동부 120 : 비상등
본 발명은 급제동 및 추돌/충돌시 비상등자동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주행중 안전사고 또는 비상상태가 발생되어 차량을 급제동하거나 추돌 또는 충돌사고가 초래되면 자동으로 비상등이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급제동 및 추돌/충돌시 비상등자동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차량의 전단과 후단에는 방향표시등과 제동등과 같은 다수의 램프가 설치되어 있는 바, 그중 방향표시등은 차량의 진행방향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전면제어패널 또는 핸들주변에 부착된 비상등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점멸되어 후속 차량의 운전자에게 해당하는 차량의 이상 또는 안전운전에 대한 비상사태 등의 발생을 알려주는 작용을 하게 되고, 제동등은 운전자의 브레이크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점등되어 후속 차량의 운전자에게 현재 해당하는 차량의 제동상태를 알리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국도나 고속도로상에서 고속주행중에 급제동이 이루어지게 되면 제동등이 자동으로 점등되어 후속 차량에게 해당하는 차량이 제동중임을 알려주게 된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차량의 운전자는 거의 전방 및 측방차선을 주행하는 차량의 상태에 대해서는 주의를 하게 되지만, 후속량의 주행상태에 대해서는 그다지 관심을 갖지 않게 되고, 그 때문에 해당 차량의 전방에 돌발사고가 발생하여 급제동하게 되면 해당하는 차량의 후단에 설치된 제동등은 점등되지만, 후속차량이 안전거리를 확보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해당하는 차량과 후속차량이 추돌사고를 일으키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그 추돌사고로 인하여 차량이 주행차선을 벗어나서 연쇄적으로 추돌사고 또는 마주오는 차량과의 충돌사고를 일으키게 되는 2차적인 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특히, 야간에 고속으로 주행하는 도중에 돌발상태로 인한 급제동이 이루어지게 되면 차폭등이 점등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동등이 점등되는 관계로 제동등의 점등여부를 쉽게 식별할 수 없게 되고, 그 때문에 통상적으로 운전자가 인위적으로 비상등을 점멸시켜 후속차량에게 비상사태의 발생을 알려주게 되지만 순간적인 돌발사태가 발생되면 그 짧은 시간에 비상등을 점멸시키기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급제동이 이루어지게 되면 차량은 소위 슬립(Slip)현상, 즉 타이어와 노면사이의 마찰저항이 저하되어 미끄러짐현상이 발생되는 바, 이는 타이어의 회전을 차단하는 힘으로 작용하는 제동력이 타이어와 노면사이의 마찰저항보다 크게 되어 타이어가 고정(Lock)되어 타이어가 노면에서 미끄러지기 때문이며, 이경우 타이어가 심각하게 부분마모되고 제동거리가 길어짐으로 인하여 급제동을 하여도 그 미끄러짐에 의해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가 증가되게 된다.
또한, 차량의 미끄러짐 또는 전방충돌, 후방추돌사고시 운전자는 비상등을 점멸할 시간적 여유도 없이 그 충돌 또는 추돌로 인한 충격을 받게 되고, 그 경우에 후속차량은 전방의 비상사태를 즉시 판단할 수 없게되어 연쇄적인 안전사고로 이어지기 쉽다.
특히, 경사진 노면을 주행하는 경우에 비상사태 또는 돌발사태가 발생되어 급제동을 행하게 되면 그 급제동에 따른 미끄러짐현상이 발생되므로 세심한 주위가 요구된다.
그래서, 최근에는 이러한 급제동에 따른 제동거리의 단축 및 타이어의 미끄러짐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ABS(Anti-Lock Brake System)방식 또는 TCS(Traction Control System)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여기서, ABS방식은 구동중인 차륜의 회전상태를 스피드센서에서 감지하여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통보한 후 그 ECU에서 회전상태에 따라 예컨대 급제동시 1초에 십수회정도 4바퀴의 브레이크를 동시에 펌핑 작동시켜 제동거리를 단축시키도록 통상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장치로서, 차량의 브레이크 작동시에 브레이크의 로크(Lock)를 방지하여 직선제동시와 코너링제동시에 성능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TCS방식은 미끄러지기 쉬운 노면에서 가속성과 선회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미끄러짐제어기능과 일반도로에서 선회가속할 때 차량의 횡가속도가 커져서 나타나는 언더스티어링 또는 오버스티어링을 제거하여 조향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 장치로서, 차량의 움직임과 회전토크(Torque)를 제어하여 차량의 출발이나 가속시에 과다한 힘이 노면에 전달되어 노면에 대한 미끄러짐(Slip)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ABS방식 또는 TCS방식은 제동거리를 단축시킬 수는 있지만, 후속차량이 상기 ABS방식 또는 TCS방식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 상기 ABS방식 또는 TCS방식이 채용된 선행차량에 비해 제동거리가 상대적으로 차이가 나기 때문에 추돌하는 사고가 유발되고, 그로 인해 상기한 비상등을 정상적으로 점멸시키지 못하게 되면 후속차량에 비상사태를 알리지 못하게 되어 연쇄적인 안전사고의 유발가능성이 증대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의 소정위치에 별도의 가속도센서 또는 에어백용으로 사용되는 가속도센서를 설치하여 소정치이상의 감속도가 검출되는 급제동 또는 추돌이나 충돌사고 직후의 현격한 감속도가 검출되는 경우 자동으로 비상등이 점멸되어 후속사고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급제동 및 추돌/충돌시 비상등자동구동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제동 및 추돌/충돌시 비상등자동구동방법은, 시동키가 온 또는 스타트위치에 고정되어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가속도센서를 작동시켜 주행중인 차량의 감속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되는 감속도가 기준감속도데이터기억부에 기억된 기준감속도데이터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기준감속도데이터 이하로 판단되는 경우 인위적인 방향지시동작동신호 또는 비상동작동신호의 입력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결과에 따라 방향지시등 또는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반면 상기 기준감속도데이터 이상일 경우 자동으로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비상등의 자동점멸은 상기 감속도레벨이 상기 기준감속도데이터 이상의 소정의 기준감속레벨을 기초로 급제동에 해당하는 경우이면 급제동기간과 급제동이 끝난시점에서 소정시간동안 점멸되는 반면 상기 감속도레벨이 상기 기준감속도데이터에 기초하여 추돌 또는 충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계속하여 점멸되도록된 기술적인 수단이 채용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제동 및 추돌/충돌시 비상등자동구동방법은, 시동키가 온 또는 스타트위치에 고정되어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감속도센서를 작동시켜 주행중인 차량의 감속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되는 감속도가 상기 기준데이터기억부에 기억된 기준감속도데이터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검출된 감속도가 기준감속도데이터 이하이면 인위적인 방향지시등작동신호 또는 비상등작동신호의 입력여부를 판단하여 그 인위적인 입력에 따라 방향지시등 또는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반면 상기 검출된 감속도가 기준감속도에이터 이하인 경우 자동으로 상기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단계, 상기 검출된 감속도레벨이 기준감속도데이터 이하인 경우 그 감속도레벨이 급제동 또는 추돌/충돌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감속레벨이 상기 기준감속도데이터 이상의 소정의 기준감속도레벨을 기초로 급제동이상의 추돌 또는 충돌에 해당하는 경우 계속하여 상기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반면 급제동에 해당하는 경우 엔진전자제어유니트에서 검출되는 스로틀밸브개도율이 기준스로틀밸브개도율 이상이면 상기 비상등을 소등시키고 상기 기준스로틀밸브개도율 이하이면 상기 비상등을 계속 점멸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기술적 수단이 채용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주행중에 돌발적인 비상사태가 발생하여 급제동을 하거나 추돌사고 또는 충돌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자동으로 비상등이 점멸하게 되어 후속차량의 운전자는 비상사태가 발생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제동 및 추돌/충돌시 비상등자동구동방법을 실현하는 장치의 블럭구성도로서, 참조부호 10은 차량의 시동을 걸어주기 위한 시동키이고, 20은 예컨대 차량의 전면제어패널 또는 핸들주변에 부착되어 차량의 진행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방향지시등작동스위치이며, 30은 예컨대 차량의 전면제어패널 또는 핸들주변에 부착되어 후속 차량의 운전자에게 해당 차량의 비상사태 또는 안전운전에 대해 경보하기 위한 비상등작동스위치이다.
동 도면에서, 40은 주행중인 차량의 속도에 제동을 하기 위한 제동수단으로서, 통상의 브레이크(brake)로 구성된다.
50은 정지중인 차량을 출발시키거나 주행중인 차량의 속도를 가속시키기 위한 가속수단으로서, 통상의 액셀레이터(accelerator)로 구성된다.
60은 차량의 소정위치에 별도로 설치되거나 에어백(Airbag ; 도시생략)의 작동을 위해 설치되는 가속도계(acceleration gauge)를 통해 구해지는 현재 주행중인 차량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센서이다.
70은 상기 가속도센서(60)에서 감지되어 제어수단(80)에서 검출되는 감속도를 비교할 수 있는 기준감속도데이터가 미리 저장된 기준감속도데이터기억부로서, 예컨대 EEPROM으로 구성된다.
80은 장치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운전자가 인위적으로 상기 방향지시등작동스위치(20) 또는 비상등작동스위치(30)를 조작하는 경우 그에 대한 작동제어신호를 출력시키면서, 상기 가속도센서(60)에서 감지되는 현재의 가속도를 선행의 가속도와 비교하여 감속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되는 감속도가 상기 기준 감속도데이터기억부(70)에 기억된 기준감속도데이터 이상일 경우 자동비상동작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으로서, 예컨대 마이컴으로 구성된다.
90은 운전자가 차량을 예컨대 좌측방향으로 주행시키기 위해 상기 방향지시등작동스위치(20)를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수단(80)으로부터의 작동제어신호, 즉 방향지시등작동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의 전단과 후단의 좌·우측에 설치되어 진행방향을 가리키는 방향지시등(100)중 좌측의 방향지시등(100)이 점멸되도록 하는 방향지시등구동부이다.
110은 운전자가 예컨대 전방에 발생된 비상사태를 인식하여 상기 비상등 작동스위치(30)를 조작한 경우 상기 제어수단(80)으로부터의 작동제어신호 즉, 비상등작동제어신호에 따라 비상사태발생을 알리는 비상등(120)이 점멸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동수단(40)에 의한 급제동 및 추돌 또는 충돌에 의한 사고로 인해 운전자가 상기 비상등작동스위치(30)를 조작할 수 없을 경우에 발생되는 상기 제어수단(80)으로부터의 자동비상등작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비상등(120)이 점멸되도록 하는 비상등구동부이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제동 및 추돌/충돌시 비상등자동구동방법을 실현하는 장치의 블럭구성도로서, 제 1 도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도에서 참조부호 65는 예컨대 스로틀밸브위치센서(Throttle Valve Position Sensor)가 채용된 차량의 스로틀밸브의 개도치를 검출하는 엔진 전자 제어유니트이다.
75는 상기 엔진 전자제어유니트(65)에서 검출되는 스로틀밸브의 개도율과 비교되는 기준스로틀밸브개도율 및 상기 가속도센서(60)에서 감지되어 제어수단(80)에서 검출되는 감속도를 비교할 수 있는 기준감속도데이터가 미리 저장된 기준데이터기억부로서, 예컨대 EEPROM으로 구성된다.
80은 장치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운전자가 인위적으로 상기 방향지시등작동스위치(20) 또는 비상등작동스위치(30)를 조작하는 경우 그에 대한 작동제어신호를 출력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가속도센서(60)에서 감지되는 현재의 감속도를 선행의 가속도와 비교하여 감속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되는 감속도가 상기 기준데이터기억부(75)에거 기억된 기준감속도데이터이상일 경우 자동비상등작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수단(80)은 예컨대 마이컴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동수단(40)에 의한 급제동후 재출발을 위하여 운전자가 가속수단(50)의 액셀레이터를 밟을 경우 상기 엔진 전자제어유니트(65)에서 검출되는 스로틀밸브개도율에 따라 상기 비상등(120)의 점멸상태해제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바, 예컨대 상기 엔진 전자제어유니트(65)에서 검출되는 스로틀밸브개도율이 상기 기준데이터기억부(75)에 기억된 기준스로틀밸브개도율 이상일 경우에는 정상주행상태를 판단하게 되어 상기 비상등(120)의 점멸동작을 해제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어, 상기 제 1 도에 도시된 급제동 및 추돌/충돌시 비상등자동구동장치에 의한 비상등자동구동방법을 제 3 도의 플로우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일단, 단계 300 및 단계 310에서 운전자가 차량을 이용하여 소망하는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해 시동키(10)를 온 또는 스타트위치에 고정시키게 되면 차량주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 단계 320에서 가속도센서(60)가 작동됨에 따라 단계 330에서 제어수단(80)은 그 가속도센서(60)에서 감지되는 차량의 가속도에 기준하여 현재의 차량감속도를 검출하게 된다.
그리하여, 단계 340에서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검출되는 감속도를 기준감속도데이터기억부(70)에 기억된 기준감속도데이터와 비교하게 된다. 그 비교 결과, 상기 검출되는 감속도가 상기 기준감속도데이터 이하인 경우 정상주행이 이루어지는 상태로 판단하게 되고, 그에 따라 단계 350에서 상기 제어수단(80)은 운전자에 의해 인위적인 방향지시등작동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 그 방향지시동작동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계 330의 감속도검출 단계로 복귀하도록 하는 반면 인위적인 방향지시등작동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단계 360에서 인위적인 비상등작동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그 판단 결과, 비상등작동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단계 370에서 제어수단(80)은 방향지시등작동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그에 따라 방향지시등구동부(90)에 의해 방향지시등(100)이 점멸되는 반면 비상등작동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단계 380에서 상기 제어수단(80)은 비상등작동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그 비상등작동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비상등구동부(110)에 의해 비상등(120)이 점멸된다.
한편, 상기한 단계 340의 검출감속도와 기준감속도데이터와의 비교동작결과 상기 검출되는 감속도가 상기 기준감속데이터 이상일 경우에는 단계 390에서 제어수단(80)은 제동수단(40)에 의한 급제동 또는 충돌/추돌로 인한 사고로 판단하여 자동비상등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비상등(120)이 자동으로 점멸된다. 이어, 단계 400에서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검출된 감속도레벨이 급제동에 해당하는지를 상기 기준감속도데이터기억부(70)에 기억된 소정의 기준감속도레벨을 기준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 판단 결과, 상기 검출된 감속도레벨이 예컨대 0.4g(g=9.80665m/sec2)이상이 되어 급제동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계 410에서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가속수단(50)에 의해 정상주행이 이루어질 때까지만 (즉 급제동기간과, 급제동이 끝난 후의 소정시간동안만)상기 비상등(120)이 점멸되도록 하는 반면, 상기 검출된 감속도레벨이 예컨대 5g정도가 되어 추돌 또는 충돌에 의한 사고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계 420에서 상기 비상등(120)은 계속하여 점멸되고 그 후, 단계 430에서 사고처리가 종결되어 운전자 또는 그이외의 사람이 인위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리세트버튼(Reset Button)을 누르거나 시동키(10)를 오프시키기 전까지는 상기 비상등(120)을 계속하여 점멸시키게 된다.
또한, 제 2 도에 도시된 급제동 및 추돌 또는 충돌시 비상등자동구동장치에 의한 비상등자동구동방법을 제 4 도의 플로우차트를 기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단계 500 및 단계 510에서 운전자가 차량을 이용하여 소망하는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해 시동키(10)를 온 또는 스타트위치에 고정시키게 되면 차량주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 단계 520에서 가속도센서(60)가 작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어수단(80)은 그 가속도센서(60)에서 감지되는 차량의 가속도로서 현재의 차량감속도를 검출하게 된다.
그 후, 단계 540에서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검출된 감속도가 상기 기준데이터기억부(75)에 기억된 기준감속도데이터 이상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그 판단 결과, 상기 기준감속도데이터 이하인 경우 단계 550에서 상기 제어수단(80)은 운전자에 의한 인위적인 방향지시등작동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 그 방향지시등작동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 530으로 복귀되도록 하는 반면, 상기 방향지시등작동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단계 560에서 상기 제어수단(80)은 인위적인 비상등작동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그 판단 결과 그 비상등작동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단계 570에서 상기 제어수단(80)으로부터의 방향지시등작동제어신호에 따라 방향지시등구동부(90)에 의해 방향지시등(100)이 점멸되는 반면, 상기 비상등작동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단계 580에서 상기 제어수단(80)으로부터의 비상등작동제어신호에 따라 비상등구동부(110)에 의해 비상등(120)이 점멸된다.
한편, 상기한 단계 540의 검출된 감속도가 기준감속도데이터이상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동작결과 상기 검출된 감속도가 상기 기준감속도데이터이상인 경우 단계 590에서 상기 제어수단(80)은 제동수단(40)에 의한 급제동 또는 충돌/추돌로 인한 사고로 판단하여 자동비상등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됨에 따라 상기 비상등(120)이 자동으로 점멸된다.
이어, 단계 600에서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검출된 감속도레벨이 급제동에 해당하는지를 상기 기준데이터기억부(75)에 기억된 상기 기준감속도데이터이상의 소정의 기준감속도레벨을 기초로 하여 판단하게 된다.
그 판단 결과, 상기 검출된 감속도레벨이 예컨대 0.4g이상이 되어 급제동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계 610에서 스로틀밸브개도율을 측정하게 된다.
그 후, 단계 620에서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스로틀밸브개도율이 기준데이터기억부(75)에 기억된 기준 스로틀밸브개도율 이상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그 판단 결과, 상기 기준스로틀밸브개도율이하일 경우 상기 비상등(120)이 계속 점등되도록 하는 반면, 상기 기준스로틀밸브개도율이상인 경우 예컨대 10%이상일 경우 단계 630에서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비상등(120)이 소등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한 단계 610에서 상기 검출된 감속도레벨이 예컨대 5g이상이 되어 추돌 또는 충돌에 의한 사고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계 640에서 상기 비상등(120)은 계속하여 점멸상태를 유지하고 단계 650에서 상기 제어수단(80)은 사고처리가 종결되어 인위적으로 운전자 또는 그 이외의 사람이 도시되지 않은 리세트버튼을 눌렸거나 시동키(10)를 오프시켰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리세트버튼이 눌리어지거나 상기 시동키(10)가 오프되었을 경우 상기 비상등(120)을 소등시키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을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에어백(Air Bag)이 설치된 차량의 경우 급제동 및 추돌/충돌로 인해 차량에 설치된 충격센서 또는 가속도센서에서 예를 들어 6.5g이상의 감속도를 감지하였을 경우 에어백이 전개(展開)되도록 하고 그 전재된 에어백으로 인하여 운전자는 비상등을 작동시킬 수 없게 되므로 에어백이 전개됨과 동시에 비상등이 자동점멸되도록 하여 후속사고의 위험성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제동 및 추돌/충돌시 비상등자동구동방법에 의하면, 국도나 고속도로주행중에 불의의 돌발적인 비상사태가 발생함에 따른 급제동 및 그 급제동에도 불구하고 추돌사고 또는 충돌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자동으로 비상등이 작동되어 점멸하게 되므로 후속차량의 운전자는 비상사태가 발생되었음을 알고 감속주행을 하게 되어 후속사고의 발생율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시동키(10)가 온 또는 스타트위치에 고정되어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는 상태에서 가속도센서(60)를 작동시켜 주행중인 차량의 감속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되는 감속도가 기준감속도데이터기억부(70)에 기억된 기준감속도데이터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기준감속데이터 이하로 판단되는 경우 인위적인 방향지시등작동신호 또는 비상등작동신호의 입력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결과에 따라 방향지시등(100) 또는 비상등(120)을 점멸시키는 반면 상기 기준감속도데이터 이상일 경우 자동으로 상기 비상등(120)을 점멸시키는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비상등(120)의 자동 점멸은 상기 감속도레벨이 상기 기준감속도데이터 이상의 소정의 기준감속도레벨을 기초로 급제동에 해당하는 경우이면 급제동기간과 급제동이 끝난시점에서 소정시간동안 점멸되는 반면 상기 감속도레벨이 상기 기준감속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돌 또는 충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계속하여 점멸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제동 및 추돌/충돌시 비상등자동구동방법.
  2. 시동키(10)가 온 또는 스타트위치에 고정되어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가속도센서(60)를 작동시켜 주행중인 차량의 감속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되는 감속도가 상기 기준데이터기억부(75)에 기억된 기준감속도데이터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검출된 감속도가 기준감속도데이터 이하이면 인위적인 방향지시동작동신호 또는 비상등작동신호의 입력여부를 판단하여 그 인위적인 입력에 따라 방향지시등(100) 또는 비상등(120)을 점멸시키는 반면 상기 검출된 감속도가 기준감속도데이터 이하인 경우 자동으로 상기 비상등(120)을 점멸시키는 단계, 상기 검출된 감속도레벨이 기준감속도데이터 이하인 경우 그 감속도레벨의 급제동 또는 추돌/충돌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감속도레벨이 상기 기준감속도데이터 이상의 소정의 기준감속도레벨을 기초로 급제동이상의 추돌 또는 충돌에 해당하는 경우 계속하여 상기 비상등(120)을 점멸시키는 반면 급제동에 해당하는 경우 엔진전자제어유니트(65)에서 검출되는 스로틀밸브개도율이 기준스로틀밸브개도율이상이면 상기 비상등(120)을 소등시키고 상기 기준스로틀밸브개도율이하이면 상기 비상등(120)을 계속 점멸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제동 및 추돌/충돌시 비상등자동구동방법.
KR1019940006739A 1994-03-31 1994-03-31 급제동 및 추돌/충돌시 비상등자동구동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960005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6739A KR960005547B1 (ko) 1994-03-31 1994-03-31 급제동 및 추돌/충돌시 비상등자동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6739A KR960005547B1 (ko) 1994-03-31 1994-03-31 급제동 및 추돌/충돌시 비상등자동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735A KR950026735A (ko) 1995-10-16
KR960005547B1 true KR960005547B1 (ko) 1996-04-26

Family

ID=19380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6739A Expired - Fee Related KR960005547B1 (ko) 1994-03-31 1994-03-31 급제동 및 추돌/충돌시 비상등자동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5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663B1 (ko) * 2011-05-19 2013-04-0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급제동 및 도어 열림 표시방법
WO2014009130A1 (de) * 2012-07-07 2014-01-1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ignalisierung eines nothalteverfahrens eines kraftfahrzeug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3095A (ko) * 1996-12-26 1998-09-25 박병재 차량의 급제동시 비상등 점등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663B1 (ko) * 2011-05-19 2013-04-0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급제동 및 도어 열림 표시방법
WO2014009130A1 (de) * 2012-07-07 2014-01-1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ignalisierung eines nothalteverfahrens eines kraftfahrze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735A (ko) 199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6477B1 (ko) 자동차의 정지등 제어 신호 발생 방법 및 장치
JP2002512148A (ja) 制動距離の短縮方法
US6946955B2 (en) Initial movement indicator system and method for a wheeled ground vehicle
US5642094A (en) Type-of-stop expectation warning
JPS6038238A (ja) 自動車の制動装置
KR960005547B1 (ko) 급제동 및 추돌/충돌시 비상등자동구동방법
JPH09142203A (ja) 自動車用追突警報装置
US20010039468A1 (en) Control device and process for activating an airbag
CN113525229A (zh) 一种汽车应急灯自启动控制方法
KR19990040173A (ko) 노면상태 경고장치
KR20000020486U (ko) 차량 운전상태 알림장치
JPH0521465Y2 (ko)
KR100198839B1 (ko) 자동차의 추돌 사고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0217087B1 (ko) 주행 차량의 타이어 펑크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49140B1 (ko) 후속차량 근접방지 경고방법
CN109808595A (zh) 车辆报警方法、装置、系统和车辆
KR0124074Y1 (ko) 자동차 비상점멸등의 자동점멸장치
KR20000023985A (ko) 자동차의 전후방 추돌방지 시스템
KR100381239B1 (ko) 차량의비상등제어장치및방법
JPH045158A (ja) アンチスキッド装置のブレーキランプによる作動表示点滅装置
JPH0664526A (ja) ブレーキスイッチの失陥検出方法
JPH0546612U (ja) 車両の安全装置
KR100559674B1 (ko)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점멸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28123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제어 장치의 고장 검출방법
JPH05270313A (ja) 車両用ブレーキ警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904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9042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