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5533B1 - 입출고용 전차 이용의 자동창고 - Google Patents

입출고용 전차 이용의 자동창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533B1
KR960005533B1 KR1019920007804A KR920007804A KR960005533B1 KR 960005533 B1 KR960005533 B1 KR 960005533B1 KR 1019920007804 A KR1019920007804 A KR 1019920007804A KR 920007804 A KR920007804 A KR 920007804A KR 960005533 B1 KR960005533 B1 KR 960005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tank
control signal
guide rails
shelv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7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410A (ko
Inventor
히데이찌 다니사와
슈우조오 니시노
다까시 오까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다이후꾸
하마구찌 히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48021A external-priority patent/JP274362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4801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345412A/ja
Priority claimed from JP314801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347504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다이후꾸, 하마구찌 히데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다이후꾸
Publication of KR920021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53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9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cars adapted to travel in storage ais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Non-Mechanical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입출고용 전차 이용의 자동창고
제 1 도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동창고의 요부를 도시한 정면도,
제 2 도는 일출고용 전차의 요부를 도시한 개략평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요부의 상세를 도시한 확대정면도,
제 4 도는 가이드레일 요부의 측면도,
제 5 도는 리니어모우터의 지지구조를 도시한 요부의 일부종단측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요부의 확대 횡단 평면도,
제 7 도는 화물 옮겨 싣는 수단을 도시한 평면도,
제 8 도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동창고의 요부를 도시한 정면도,
제 9 도는 동 자동창고의 바로 앞쪽의 선반을 생략한 측면도.
(발명의 배경 및 목적)
본 발명은 선반사이에 상하 복수단으로 입출고용 전차의 주행경로를 설치한 자동창고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자동창고에서는 각 단의 입출고용 전차의 주행경로는 선반의 간 단의 화물수납부마다 대응하여 설치되므로, 각 단의 전차 주행경로의 상하 간격이 취급하는 화물의 높이와 비교하여 너무 크게되면, 선반의 수납효율이 저하하게 된다.
한편, 각 단의 전차 주행경로에는 입출고용 전차에 대한 복수개의 급전 및 제어용 신호선을 병설하지 않으면 안되나, 바닥면상에 주행경로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수많은 급전 및 제어용 신호선을 바닥면상에 수평방향으로 병렬시켜 부설할 수 있지만, 상기와 같은 자동창고에 있어서, 각 단의 전차 주행경로마다 바닥재를 양쪽의 선반 사이에 가설하지 않는 경우에는 각 단의 전차 주행경로의 옆쪽에 급전 및 제어용 신호선을 수직방향으로 병렬시켜 배설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의 목적은 수많은 급전 및 제어용 신호선을 수직방향으로 병렬시켜 배설하는데 필요한 수직방향공간을 좁힘으로써, 각 단의 전차 주행경로의 상하 간격을 될 수 있는대로 좁혀, 선반의 수납효율을 높이는데 있다.
또, 선반쪽의 각 단의 화물수납 구획마다 상기와 같은 입출고용 전차를 주행시키도록 구성하면, 특히 각 전차가 구동방식등의 관계로 높이가 큰 경우, 설비(선반) 전체의 높이내에 차지하는 각 전차의 주행경로분이 커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선반의 수납 효율이 저하하게 될뿐만 아니라, 자동창고 전체로서의 설비비용이 매우 많이 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의 목적은 선반전체에 있어서의 화물수납 구획의 단수보다도 전차의 대수를 대폭 감소시키는데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상기의 제 1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입출고용 전차이용의 자동창고의 특징은 선반사이에 상하 복수단으로 입출고용 전차의 주행경로를 설치한 자동창고에 있어서, 각 단의 입출고용 전차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급전 및 제어용 신호선을 각 주행경로마다 가설된 좌우 1쌍의 전차안내용 가이드레일의 선반쪽과는 반대쪽의 각 안쪽면에 나누어 각각 상하 복수단으로 부설하고, 각 입출고용 전차의 좌우양쪽에 양 가이드레일 안쪽면의 상기 급전 및 제어용 신호선군에 미끄럼 접촉하는 집전유니트를 배설한 점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자동창고에 의하면, 각 단의 입출고용 전차에 대응하는 급전 및 제어용 신호선을 상기전차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의 측면에 상하 복수단으로 부설하는 것이면서, 그 복수개의 급전 및 제어용 신호선을 좌우 1쌍의 전차안내용 가이드레일의 각 안쪽면에 나누어 부설하는 것이므로, 상기 급전 및 제어용 신호선의 개수가 많더라도 한쪽의 가이드레일의 안쪽면에 모든 급전 및 제어용 신호선을 부설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그 가이드레일의 높이를 반정도로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단의 전차 주행경로간의 상하 간격을 상기 가이드레일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는 분만큼 좁힐 수 있고, 특히 상기 전차 주행경로의 단수가 많은 대형의 자동창고인 경우, 선반의 수납효율을 현저히 높여서 경제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급전선과 제어용 신호선, 및 이들에 미끄럼 접촉하는 급전계의 집진유니트와 신호계의 집전유니트를 전차의 좌우양쪽에 나누어 배설하면, 지상쪽 및 전차쪽의 배선등에 편리할 뿐만 아니라, 급전계와 신호계가 서로 간섭하여 나쁜 영향이 생길 염려가 없어진다.
상기 제 2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자동창고는 선반의 1단에 있는 화물수납 구획마다 상기 출고용 전차의 주행경로를 설치하여, 이 전차위에 대응하는 레벨의 화물수납 구획에 대한 화물 옮겨 싣는 수단을 탑재함과 동시에, 1단 아래의 레벨의 화물수납 구획에 대응하는 화물 옮겨 싣는 수단은 상기 전차로부터 매달기용 지주를 통하여 매단 점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자동창고에 의하면, 상하 2단의 화물수납 구획을 1대의 전차로 받아 지지할 수 있으므로, 화물수납 구획의 각 단마다 화물 옮겨 싣는 수단을 탑재한 전차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주행구동수단이나 급전 및 제어용 신호선의 부설과 집전유니트가 필요한 전차의 대수가 반감하므로, 대폭적인 코스트다운을 꾀할 수 있다.
또, 전차로부터 매달린 화물 옮겨 싣는 수단이 화물 옮겨 싣는 수단을 탑재한 전차와 비교하여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설비전체의 높이중에서 전차등의 주행경로가 차지하는 수직방향의 총공간이 작아져서 선반의 수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몇가지 특징과 작용효과는 다음에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는 본 발명의 알맞는 실시예에서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첨부한 제 1 도 내지 제 7 도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제 1 도에 있어서 1은 리니어모우터구동의 입출고용 전차로서, 병설된 선반(2,3)의 각 단의 화물수납 구획(6)에 대응하여 양 선반(2,3)의 안쪽에 상하 복수단으로 가설된 각각 좌우 1쌍의 리니어모우터용 2차 도체겸용의 가이드레일(4,5)에 선반(2,3)을 따라 주행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선반(2,3)의 각 화물수납 구획(6)과의 사이에서 화물(7)을 옮겨 싣는 장치를 탑재하고 있다.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입출고용 전차(1)에는 가이드레일(4,5)위를 전동하는 4개의 지지용 휠(8)과, 한쪽의 가이드레일(4)을 전후 2개소에서 좌우양쪽으로부터 끼우는 위치결정용 가이드로울러(9)가 축지지되고, 전후의 지지용 휠(8) 사이에서 좌우 1쌍의 리니어모우터본체(10a,10b)가 배설되어 있다.
제 2 도 내지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가이드레일(4,5)중 한쪽의 가이드레일(4)의 선반(2)쪽과는 반대쪽의 안쪽면(5a)에는 상하 방향으로 병렬하는 복수개의 급전선(11)을 갖춘 급전선유니트(12)가 부착되고, 다른쪽의 가이드레일(5)의 선반(3)쪽과는 반대쪽의 안쪽면(5a)에는 상하 방향으로 병렬하는 복수개의 신호선(13)을 갖춘 신호선유니트(14)가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입출고용 전차(1)에는 상기 급전선유니트(12)의 각 급전선(11)과 미끄럼 접촉하는 전후 2개의 집전유니트(15a, 15b)와, 상기 신호선유니트(14)의 각 신호선(13)과 미끄럼 접촉하는 집전유니트(16)가 좌우양쪽에 나누어져 부착되고 있다.
그리고,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각 가이드레일(4,5)은 선반(2,3)의 전차 주행경로쪽의 지주(17,18)에 부착된 브라켓(19,20)의 선단부윗쪽에 상기 선반지주(17,18)로부터 적당거리 떨어진 상태에서 얹어놓아 고정되어 있다. 또, 제 4 도에 있어서 21은 상하 복수개의 급전선(11) 또는 신호선(13)의 간격을 유지하여 가이드레일 안쪽면(4a,5a)에 부착하는 부착용 브라켓이다.
상기 리니어모우터본체(10a,10b)의 지지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 2 도, 제 5 도 및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리니어모우터본체(10a,10b)의 주행방향 한끝 바깥쪽에는 그 리니어모우터본체(10a,10b)의 한끝윗쪽에 고착된 브라켓(22)과 수평지지축(23)을 통하여 지지용 로울러(24)가 축지지되며, 리니어모우터본체(10a,10b)의 주행방향 다른끝 바깥쪽에는 그 리니어모우터본체(10a,10b)의 한끝윗쪽에 고착된 브라켓(25)과 수평 지지축(26)을 통하여 보조로울러(27)가 축지지되며, 이 보조로울러(27)를 지지하는 상기 수평지지축(26)에는 측면형상이 도립 L자형의 지지부재(28)가 그 수평지지축(26)의 둘레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입출고용 전차(1)의 좌우양쪽에는 지지용 브라켓(29)이 고착돌출 설치되고, 이 지지용 브라켓(29)의 상하 양측판(30a,30b) 사이에 지지된 좌우 1쌍의 수직승강 가이드로드(31)에 상기 지지부재(28)가 상기 지지용 브라켓(29)의 상하 양측판(30a,31b) 사이에서 승강가능하게 끼워맞추어, 중력에 의하여 지지부재(28)가 상기 지지용 브라켓(29)의 하측판(30b)위에 얹어놓여있다. 그리하여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리니어 모우터본체(10a,10b)의 지지용 로울러(27)는 리니어모우터용 2차 도체겸용의 가이드레일(4,5)위에 올라타나, 상기 보조로울러(27)는 미소간극(d)으로써 상기 가이드 레일(4,5) 위로부터 떠오르고 있다. 즉, 상기 리니어모우터본체(10a,10b)는 한끝쪽은 지지용 로울러(24)를 통하여 가이드레일(2차 도체)(4,5)에 의하여 지지되고, 다른끝쪽은 수평지지축(26) 및 지지부재(28)를 통하여 입출고용 전차(1)쪽의 지지용 브라켓(29)에 있어서의 하측판(30b)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고, 이 결과, 리니어모우터본체(10a,10b)는 상기 리니어모우터용 2차 도체겸용의 가이드레일(4,5)에 대하여 소요간극(D)을 두고 대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로울러(27)와 가이드레일(4,5)과의 사이의 미소간극(d)은 상기 리니어모우터본체(10a,10b)와 가이드레일(4,5)과의 사이의 소요간극(D)보다도 작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창고에 있어서는, 상기 급전선유니트(12)의 각 급전선(11)으로부터 집전유니트(15a,15b)를 통하여 각 단 주행경로의 입출고용 전차(1)에 있어서의 리니어모우터본체(10a,10b)에 급전함으로써, 그 리니어모우터본체(10a,10b)와 2차 도체(가이드레일(4,5)와의 사이의 주지의 자기작용에 의하여 입출고용 전차(1)에 소정방향의 추진력을 작용시켜, 각 입출고용 전차(1)를 가이드레일(4,5)을 따라 스스로 주행하게 할 수 있다. 또, 그 입출고용 전차(1)과 탑재하고 있는 화물 옮겨 싣는 수단에의 급전도, 상기 급전선유니트(12)의 각 급전선(11)으로부터 집전유니트(15a,15b)를 통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고용 전차(1)의 발진·변속·정지의 주행제어 또는 상기 화물 옮겨 싣는 수단의 기동·정지등의 제어는 신호선유니트(14)의 각 신호선(13)을 통하여 지상쪽의 제어장치로부터 입출고용 전차(1)쪽의 콘트롤러와의 사이에서 주고 받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종래 주지된 바와같이 자동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이 입출고용 전차(1)를 주행시키고 있을때, 수평지지축(26)의 둘레에서 상하 요동이 자유로운 리니어모우터본체(10a,10b)는 그 헐거운 끝쪽의 지지용 로울러(24)가 가이드레일(4,5)상에 맞닿아 전동하므로, 2차 도체(가이드레일 4,5)와의 사이에는 소요간극(D)이 확보된다.
만약, 입출고용 전차(1)의 지지용 휠(8)이 마모되어 직경이 작아져서, 가이드레일(4,5)에 대한 입출고용 전차(1)의 차높이가 상기 보조로울러(27)와 가이드레일(4,5)과의 사이의 미소간극(d) 보다도 크게 저하한 경우에는, 그 보조로울러(27)가 가이드레일(4,5)위에 맞닿아서, 승강가이드로드(31)에 대한 지지부재(28)의 윗방향 이동을 따라, 리니어모우터본체(10a,10b)의 보조로울러(27)쪽의 끝부분이 상대적으로 밀어올려진다.
따라서, 리니어모우터본체(10a,10b)의 보조로울러(27)쪽의 끝부분과 가이드레일(2차 도체)(4,5)과의 사이의 간극은 소요간극(D)으로부터 (D-d)로 축소되나, 리니어모우터본체(10a,10b)가 가이드레일(4,5)에 접촉하는 것은 면한다.
물론, 리니어모우터본체(10a,10b)의 지지용 로울러(24)쪽의 끝부분과 가이드레일(2차 도체)(4,5)와의 사이의 간극은 소요간극(D)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가이드레일(2차 도체)(4,5)에 대하여 리니어모우터본체(10a,10b)가 약간 기울게 되나, 그 기울기는 미소하므로 리니어모우터작용에 실질적인 변화는 생기지 않는다.
상기 작용은 단차가 있는 가이드레일(4,5)의 접속개소를 입출고용 전차(1)가 통과할 때에도 똑같이 행하여져서, 리니어모우터본체(10a,10b)가 가이드레일(4,5)의 단차부분에 충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입출고용 전차(1)에 탑재되는 화물 옮겨 싣는 수단으로서는, 선반(2,3)의 화물수납 구획(6)내에 출퇴가 자유롭고 또한 화물을 끌어올리고 내리기 위한 승강이 가능한 런닝 포오크형식의 것등, 종래 주지의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1예를 제 7 도에 의거하여 간단히 셜명하면, 제 7 도에 도시한 입출고용 전차(1)에 탑재된 화물 옮겨 싣는 수단(32)은 화물 옮겨 싣는 방향(전차(1)의 주행방향과는 직교하는 좌우 가로방향)으로 화물(7)을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1쌍의 프리로울러레일(33)을 갖춘 화물지지대(34)와, 좌우 1쌍의 화물 끼워 지지이송용 콘베이어(35a,35b)로 구성되며, 그 양 콘베이어(35a,35b)는 서로 접근 이간 이동가능함과 동시에, 화물 옮겨 싣는 방향으로 출퇴 이동가능하다. 또, 선반(2,3)의 각 화물수납 구획(6)에는 상기 화물 지지대(34)쪽의 프리로울러레일(33)과 접속하는 1쌍의 프리로울러레일(36)이 가설되어 있다.
상기 화물 옮겨 싣는 수단(32)에 의한 화물 옮겨 싣는 작용을 설명하면, 화물수납 구획(6)에 수납되어 있는 화물(7)을 출고하여 옮겨 실을 때에는, 화물 옮겨 싣는 수단(32)의 좌우 1쌍의 화물 끼워 지지이송용 콘베이어(35a,35b)를 제 7 도에 도시한 홈포지션(화물지지대(3,4)롭터 화물 옮겨 싣는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는 위치)으로부터 출고대상의 화물수납 구획(6)내로 향하여 진출 이동시킨다.
그리고, 양쪽의 화물 끼워 지지이송용 콘베이어(35a,35b)의 선단부가 화물수납 구획(6)내의 소정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화물(7)의 전단부 좌우양쪽에 위치하였으면, 양쪽의 화물 끼워 지지이송용 콘베이어(35a,35b)를 서로 접근이동시켜, 상기 화물(7)의 전단부 양쪽면을 그 화물 끼워 지지이송용 콘베이어(35a,35b)의 선단부사이에서 끼워 지지시킨다. 그후, 양쪽의 화물 끼워 지지이송용 콘베이어(35a,35b)를 화물 끌어넣는 방향으로 구동함과 동시에, 양쪽의 화물 끼워 지지이송용 콘베이어(35a,35b)를 홈포지션가지 후퇴 이동시킨다. 이 결과, 화물수납 구획(6)내의 화물(7)은 그 화물수납 구획(6)의 프리로울러레일(36)위와 전차(1)쪽의 화물지지대(34)의 프리로울러레일(33)위를 미끄러져 움직여, 그 화물지지대(34)위의 중앙위치까지 끌어 넣어진다. 반대로 화물지지대(34)의 위로부터 화물수납 구획(6)내에 화물(7)을 입고하기 위하여 옮겨 실을 때에는 상기 출고하기 위하여 옮겨실을 때와는 반대수순으로 화물 끼워 지지이송용 콘베이어(35a,35b)를 사용하면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제 8 도 및 제 9 도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화물 옮겨 싣는 수단(32)이 탑재된 입출고용 전차(1)는 선반(2,3)의 1단 건너의 화물수납 구획(6)에 대응하는 레벨(6A)에만 좌우 1쌍의 가이드레일(4,5)에 의하여 주행가능하게 지지되며, 이 입출고용 전차(1)의 주행경로에 대응하지 않는 1단 건너의 레벨(6B)에 있는 화물수납 구획(6)에 대한 화물 옮겨 싣는 장치(37)는 상기 입출고용 전차(1)로부터 매달기용 지주(38)를 통하여 매달려 있다. 이 전차(1)로부터 매달려 있는 화물 옮겨 싣는 장치(37)는 상기 전차(1)에 탑재되어 있는 화물 옮겨 싣는 수단(32)과 동일한 화물 옮겨 싣는 수단(32)을 탑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창고에서는 상단측레벨(6A)에 있는 화물수단 구획(6)에 대하여, 화물(7)의 입출고작업을 행할때와, 하단측레벨(6B)에 있는 화물수납 구획(6)에 대하여 화물(7)의 입출고작업을 행할때의 어느쪽이라도 입출고용 전차(1)를 가이드레일(4,5)을 따라 주행시켜, 전차(1)위의 화물 옮겨 싣는 수단(32)을 상단측레벨(6A)에 있는 입출고대상의 화물수납 구획(6)에 대응시켜 정지시키거나, 또는 그 전차(1)로부터 매달려 있는 화물 옮겨 싣는 장치(37)의 화물 옮겨 싣는 수단(32)을 하단레벨측(6B)에 있는 입출고대상의 화물수납 구획(6)에 대응시켜 정지시킨다. 그리고, 입출고대상의 화물수납 구획(6)에 대응하는 전차(1)위의 화물 옮겨 싣는 수단(32) 또는 매달려 있는 화물 옮겨 싣는 장치(37)의 화물 옮겨 싣는 수단(32)을 가동시켜, 입출고대상의 화물수납 구획(6)과의 사이에서 화물(7)을 주고 받는다.
물론, 상단측의 레벨(6A)에 있어서의 입출고대상의 화물수납 구획의 하단측의 레벨(6B)에 있어서의 입출고대상의 화물수납 구획(6)이 상하에 인접하고 있을 때에는, 전차(1)위의 화물 옮겨 싣는 수단(32)과 매달려 있는 화물 옮겨 싣는 장치(37)의 화물 옮겨 싣는 수단(32)을 동시에 작동시켜, 상하 양쪽의 화물수납구획(6)에 대한 화물 옮겨 싣는 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입출고용 전차의 주행용 구동수단으로서는, 가이드레일(4,5)위를 전동하는 주행구동용 휠을 모우터로 회전구동하는 형식의 것이라도 좋으나, 리니어모우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입출고용 전차(1)에 설치되는 리니어모우터본체(10a,10b)의 주행방향 한끝쪽에 상기 전차의 주행경로쪽에 부설된 2차 도체(상기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레일(4,5)이 겸용되고 있다)위를 전동하는 지지용 로울러(24)를 축지지하고, 상기 리니어모우터본체의 주행방향 다른끝쪽은 수직의 승강가이드로드(31)를 통하여 일정범위내에서 승강가능하게 상기 전차(1)에 지지시킨 지지부재(28)에 수평지지축(26)으로 상하 요동이 자유롭게 축지지하며, 상기 리니어모우터본체(10a,10b)가 상기 2차 도체(가이드레일 4,5)에 대하여 소요간극(D)을 두고 대면할때에, 그 2차 도체(가이드레일 4,5)로부터 상기 소요간극(D)보다 작은 미소간극(d)으로서 떠오르는 보조로울러(27)를 상기 수평지지축(26)과 동심상으로 설치해둘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같이 리니어모우터본체가 2차 도체(상기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레일 4,5)에 불측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니어모우터본체의 주행방향 양단에 로울러(지지용 로울러(24)와 보조로울러(27)가 필요하나, 그 리니어모우터본체의 전체를 평행승강 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평행 링크를 리니어모우터본체의 주행방향 양단에 배설하여야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리니어모우터본체의 지지기구전체의 구조가 단순하게 되어 염가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리니어모우터본체의 전체를 평행승강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평행링크를 리니어모우터본체의 주행방향 양단에 배설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리니어모우터본체와 그 지지기구를 포함한 리니어모우터본체 설치 점유공간의 주행방향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입출고용 전차 전체의 소형화를 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Claims (3)

  1. 입체적으로 구획된 다수의 화물수납 구획을 갖춘 좌우 1쌍의 선반, 양 선반 사이에 형성된 상하 복수단의 전자 주행경로, 당해 각 단의 전차 주행경로마다에 배치된 입출고용 전차를 구비하고, 각 단의 전자주행경로에는 상기 입출고용 전차를 지지 안내하는 좌우 1쌍의 가이드레일과, 복수개의 급전 및 제어용 신호선을 배설하고, 입출고용 전차에는 좌우의 선반과의 사이에서 화물을 주고 받는 화물 옮겨 싣는 수단과, 상기 복수개의 급전 및 제어용 신호선에 미끄럼 접촉하여 전력 및 제어용 신호의 접수를 행하는 집전유니트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자동창고로서, 상기 복수개의 급전 및 제어용 신호선이 좌우 1쌍의 상기 각 가이드레일마다에 분배되어 당해 각 가이드레일의 선반측과는 반대쪽의 안쪽면 각각에 상하 복수단으로 부설되고, 상기 집전유니트가 좌우로 분배된 상기 급전 및 제어용 신호선에 대응하도록 좌우 2개조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고용 전차이용의 자동창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급전 및 제어용 신호선중에서 급전선은 한쪽의 가이드레일의 안쪽면에 부설되고, 제어용 신호선은 다른쪽의 가이드레일의 안쪽면에 부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고용 전차 이용의 자동창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사이의 전차 주행경로가 선반의 1단 건너의 화물수납 구획마다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고, 입출고용 전차의 화물 옮겨 싣는 수단이 당해 입출고용 전차와 동일 레벨에 있는 화물수납 구획과의 사이에서 화물의 주고 받는 것을 행하는 상단 화물 옮겨 싣는 수단과, 당해 화물수납 구획보다도 1단 아래의 레벨에 있는 화물수납 구획과의 사이에서 화물의 주고 받는 것을 행하는 하단 화물 옮겨 싣는 수단을 가지고, 하단의 화물 옮겨 싣는 수단은 입출고용 전차로부터 매달기용 지주를 통해서 매달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고용 전차 이용의 자동창고.
KR1019920007804A 1991-05-22 1992-05-08 입출고용 전차 이용의 자동창고 Expired - Fee Related KR9600055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148018 1991-05-22
JP3148021A JP2743623B2 (ja) 1991-05-22 1991-05-22 自動倉庫
JP3148018A JPH04345412A (ja) 1991-05-22 1991-05-22 入出庫用電車利用の自動倉庫
JP91-148021 1991-05-22
JP91-148017 1991-05-22
JP3148017A JPH04347504A (ja) 1991-05-22 1991-05-22 リニアモーター駆動の搬送用電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410A KR920021410A (ko) 1992-12-18
KR960005533B1 true KR960005533B1 (ko) 1996-04-26

Family

ID=27319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7804A Expired - Fee Related KR960005533B1 (ko) 1991-05-22 1992-05-08 입출고용 전차 이용의 자동창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333982A (ko)
KR (1) KR960005533B1 (ko)
CA (1) CA2069016C (ko)
DE (1) DE4217084C2 (ko)
FR (1) FR2676716B1 (ko)
GB (1) GB2258228B (ko)
IT (1) IT12550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90864T1 (ko) * 1986-12-25 1988-12-08
DE19534291C2 (de) * 1995-09-15 2002-02-21 Mannesmann Ag Regalanlage mit an Schienen geführtem Regalbediengerät
US6042321A (en) * 1996-07-30 2000-03-28 Westafalia Technologies, Inc.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for palletless dairy cases
DE19805420C2 (de) * 1998-02-11 2000-02-17 Heinz Rathmer Präsentationseinrichtung
DE10021694A1 (de) * 2000-05-04 2001-11-15 Johann W Grond Verfahren zum Ein- und Auslagern von Lasten und Transportvorrichtung zum Einsatz in einem Regallager
KR100350719B1 (ko) * 2000-11-30 2002-08-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에 사용되는 이송 장치
US6751048B2 (en) 2001-06-29 2004-06-15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Power rail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for an automated robotic device in a data storage system
US6760644B2 (en) 2001-06-29 2004-07-06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mmunication signals to an automated robotic device in a data storage system
US6791788B2 (en) 2001-06-29 2004-09-14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Segmented power strip for an automated robotic device and method for joining same
US6668991B2 (en) 2001-06-29 2003-12-30 Sebastian Canaday Redundant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an automated robotic device in a data storage system
US6798612B2 (en) 2001-06-29 2004-09-28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Power strip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for an automated robotic device in a data storage system
US6751040B2 (en) 2001-06-29 2004-06-15 Storage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for exchanging tape cartridges between automated tape cartridge libraries
US6690994B1 (en) 2002-04-22 2004-02-10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an automated robotic device in a data storage library
US6810306B1 (en) 2002-10-07 2004-10-26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Data storage library status monitoring
US6885911B1 (en) 2002-10-07 2005-04-26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Track anomaly detection in an automated data storage library
US6840360B1 (en) 2002-10-07 2005-01-11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Automated storage library power strip fault detection
US7184238B1 (en) 2002-10-07 2007-02-27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Track impedance anomaly detection in an automated data storage library
US6741182B1 (en) 2002-10-07 2004-05-25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Automated storage library brush failure detection
US6698359B1 (en) 2002-10-07 2004-03-02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Data storage library rail anomaly recovery
AT500228B1 (de) * 2003-05-20 2007-07-15 Tgw Transportgeraete Gmbh Teleskopschubarm, insbesondere für eine lastaufnahmevorrichtung
CN1302969C (zh) * 2003-08-04 2007-03-07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自动化物料搬运系统及其仓储柜
WO2005037689A1 (en) * 2003-10-15 2005-04-28 Gordon Brothers Industries Pty Ltd Accumulating refrigeration apparatus
IT1396062B1 (it) * 2009-03-30 2012-11-09 Tecnilab S P A Unita' di movimentazione di contenitori di articoli
US9321591B2 (en) 2009-04-10 2016-04-26 Symbotic, LLC Autonomous transports for storage and retrieval systems
TWI680928B (zh) * 2009-04-10 2020-01-01 美商辛波提克有限責任公司 垂直升降系統及在多層儲存結構往返運送空的貨箱單元之方法
DE102009030030B4 (de) * 2009-06-23 2020-09-24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Regalanordnung
US11078017B2 (en) 2010-12-15 2021-08-03 Symbotic Llc Automated bot with transfer arm
US9499338B2 (en) 2010-12-15 2016-11-22 Symbotic, LLC Automated bot transfer arm drive system
US8696010B2 (en) 2010-12-15 2014-04-15 Symbotic, LLC Suspension system for autonomous transports
US8965619B2 (en) 2010-12-15 2015-02-24 Symbotic, LLC Bot having high speed stability
US10822168B2 (en) 2010-12-15 2020-11-03 Symbotic Llc Warehousing scalable storage structure
US9561905B2 (en) 2010-12-15 2017-02-07 Symbotic, LLC Autonomous transport vehicle
US9187244B2 (en) 2010-12-15 2015-11-17 Symbotic, LLC BOT payload alignment and sensing
CN102092306A (zh) * 2011-01-19 2011-06-15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学技术大学 用于磁悬浮列车的防吸死装置
AT511623B1 (de) * 2011-07-08 2016-01-15 Tgw Mechanics Gmbh Regallagersystem
ITTO20130452A1 (it) * 2013-06-03 2014-12-04 Icam S R L Navetta di un magazzino automatizzato
AT514710B1 (de) 2013-08-27 2015-06-15 Tgw Logistics Group Gmbh Automatisches Regallagersystem mit unabhängig voneinander verfahrbaren Förderfahrzeugen, sowie Verfahren hierzu
CN105705441B (zh) 2013-09-13 2018-04-10 西姆伯蒂克有限责任公司 自主运输车、存储和取回系统及在该系统内传递拣选面的方法
US9884719B2 (en) 2014-12-12 2018-02-06 Symbotic, LL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9856083B2 (en) 2015-01-16 2018-01-02 Symbotic, LL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10214355B2 (en) 2015-01-16 2019-02-26 Symbotic, LL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11893533B2 (en) 2015-01-16 2024-02-06 Symbotic Ll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10521767B2 (en) 2015-01-16 2019-12-31 Symbotic, LL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11254502B2 (en) 2015-01-16 2022-02-22 Symbotic Ll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12280953B2 (en) 2015-01-16 2025-04-22 Symbotic Ll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9850079B2 (en) 2015-01-23 2017-12-26 Symbotic, LL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transport vehicle
DE102016106725A1 (de) * 2016-04-12 2017-10-12 Dematic Systems Gmbh Schienengeführtes Fahrzeug zum Ein- und Auslagern von Waren in oder aus einem Lagerregal mit gedämpften Führungsrollen
CN108706340A (zh) * 2018-06-19 2018-10-26 广西师范学院 一种新型物流运输系统
US11724878B2 (en) 2021-07-06 2023-08-15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Modular vertical lif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2836A (en) * 1964-11-23 1968-09-24 Conco Inc Control system for an automatic warehouse apparatus
GB1155601A (en) * 1965-10-22 1969-06-18 Gough Equip Ltd B A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ransporting and Storage Systems
US3554390A (en) * 1968-12-16 1971-01-12 Triax Co Warehouse system with automatic means to selectively transfer a single or plurality of articles
DE1938473A1 (de) * 1969-07-29 1971-04-22 Svanstroem Holger Dipl Ing Automatisches Hochleistungs-Lagersystem
GB1285004A (en) * 1970-03-23 1972-08-09 Morris Ltd Herbert Improvements in racks for live storage and transfer purposes
DE2113202B2 (de) * 1971-03-18 1976-09-02 Hoffmann geb. Chvala, Maria, 5000Köln Warenlager
DE2156861A1 (de) * 1971-11-16 1973-05-24 Norbert Dipl Ing Stadler Vollmechanisiertes regallager mit regalblock fuer rollpaletten
DE2206203A1 (de) * 1972-02-10 1973-08-16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zur uebertragung von elektrischen signalen
US4252217A (en) * 1978-02-28 1981-02-24 Litton Systems, Inc. Semi-automated warehousing system
DE3143913C2 (de) * 1981-11-05 1984-05-17 Maschinenfabrik Lauffer GmbH & Co KG, 7240 Horb Pressenanlage mit Etagenpressen
GB2162137B (en) * 1984-06-18 1988-07-20 Daifuku Kk Conveying system
JP2609588B2 (ja) * 1986-05-14 1997-05-14 株式会社東芝 浮上式搬送装置
DE3641671A1 (de) * 1986-12-05 1988-06-09 Geroh Mechanische Systeme Lagersystem mit hochregallager und foerdereinrichtungen
DE3790864T1 (ko) * 1986-12-25 1988-12-08
JPH01166606U (ko) * 1988-05-17 1989-11-22
US4970962A (en) * 1988-06-27 1990-11-20 Aeg Westinghouse Transportation Systems, Inc. Double turnout rotary guideway switch
DE3822535C1 (ko) * 1988-07-04 1990-01-1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8000 Muenchen, 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676716A1 (fr) 1992-11-27
IT1255099B (it) 1995-10-19
GB9210816D0 (en) 1992-07-08
CA2069016A1 (en) 1992-11-23
KR920021410A (ko) 1992-12-18
DE4217084A1 (de) 1992-11-26
FR2676716B1 (fr) 1994-09-16
GB2258228B (en) 1994-09-07
ITMI921262A1 (it) 1993-11-22
CA2069016C (en) 1996-10-08
ITMI921262A0 (it) 1992-05-22
DE4217084C2 (de) 2003-06-26
US5333982A (en) 1994-08-02
GB2258228A (en) 1993-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5533B1 (ko) 입출고용 전차 이용의 자동창고
US4773807A (en) High-speed automati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6929440B1 (en) Method and storage loading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loads in storage
KR101717447B1 (ko) 이송셔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창고 시스템
KR101664238B1 (ko) 반송 시스템 및 반송 시스템에서의 물품의 일시 보관 방법
US5147176A (en) Method of handling goods, and more particularly rod, rail or plate goods in box pallets, and goods handling system
KR100679938B1 (ko) 천정 주행차 시스템
US4971508A (en) Storage and conveyance of heavy articles
CN105438707A (zh) 一种密集型仓库自动存取货物的方法及装置
US4229135A (en) Storage system including movable pallet racks
KR102824925B1 (ko) 자동 창고 시스템
CN210028818U (zh) 一种智能高效的仓储系统
JPS6040304A (ja) 格納設備
US3472175A (en) Material handling system and method
JPH0581328B2 (ko)
US3432046A (en) Transfer means for a load carrier in a storage system
US3655074A (en) Warehouse apparatus with an airbearing supported stacker
JPH0632409A (ja) 自動倉庫設備
JPH06156630A (ja) 自動倉庫
EP4265542A1 (en) Storage system, truck for storage system and rack construction
CN222757241U (zh) 仓储物流系统
CN222817364U (zh) 一种分拣系统
JP2000264406A (ja) 横渡し機能付き自動倉庫
JP3678322B2 (ja) 平面往復方式駐車装置
JP2985621B2 (ja) 入出庫用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0504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50427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