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5288B1 - 다권종 지폐 출납기의 권종확장구조 - Google Patents

다권종 지폐 출납기의 권종확장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288B1
KR960005288B1 KR1019930012287A KR930012287A KR960005288B1 KR 960005288 B1 KR960005288 B1 KR 960005288B1 KR 1019930012287 A KR1019930012287 A KR 1019930012287A KR 930012287 A KR930012287 A KR 930012287A KR 960005288 B1 KR960005288 B1 KR 960005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
chassis
transfer
bills
bankn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2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4066A (ko
Inventor
함현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2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288B1/ko
Publication of KR950004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2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04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pulleys

Landscapes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권종 지폐 출납기의 권종확장구조
제1도는 종래 다권종 지폐 출납기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2도는 종래 다권종 지폐 출납기의 작동을 설명하는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권종확장구조를 나타내는 전체 개략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지폐박스와 수납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지폐박스와 지폐분리장치를 나타내는 상세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지출구어셈블리에 대한 상세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섀시 20 : 지출구어셈블리
30 : 구동모터 40 : 운반구
50 : 지폐박스 51 : 지폐분리장치
52 : 권종확인구멍 60 : 이송부
61 : 스텝모터 70 : 지폐감지장치
80 : 중복이송감지장치 90 : 전환장치
본 발명은 지폐 출납기에 관한 것으로서, 지폐의 지급되는 속도를 빠르게 하고, 지폐 추적기능을 통해 지폐의 위치를 확인하며, 권종확장이 가능하고 전후면의 호환성이 있도록 하는 다권종 지폐 출납기의 권종확장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권종 지폐 출납기는 제1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1) 하부에 다단으로 되어 지폐들이 정입된 카세트(2)들이 형성되고, 각 카세트(2) 후면쪽에 취출기구(3)가 장치되며, 취출기구(3) 후면쪽에 이송부(4)가 장치되고, 상부의 카세트(2) 전면부에 반환지폐수납부(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1) 상부에는 이송부(4)에 연결되어 연동되는 이송기(4a)가 설치되고, 이송기(4a) 전면쪽에 일시보관부(5)가 형성되며, 일시보관부(5) 전면에 이송벨트(4b)가 장치되고, 이송벨트(4b) 전면 끝에 지출구(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송벨트(4b) 중간에는 전환부재(7)가 취부되고, 전환부재(7) 하부에 반환통로(7a)가 상부 카세트(2)의 반환지폐수납부(2a)에 연계되게 형성되며, 각 카세트(2) 전면에 지폐의 통과를 감지하는 센서(8)가 취부되어 있다.
또한, 제2도의 블록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송상태검지센서(Aa)와 지출검지센서(Ab)와 발취검지센서(Ac)로 되는 지출제어판별부(A)와, 상단, 중단 및 하단에서 각기 카세트(2)의 지폐를 판별하는 권종판 별부(B)와, 이송벨트(4b)에 구동되어 이송펄스를 출력하는 이송펄스발생부(C)와, 지출검지센서(Ab)가 지폐들을 검지하면서 이송펄스의 계수를 표시하는 표시부(D)와, 카세트(2)에 수납되어 있는 지폐의 권종마다 이송방향 길이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지출되어야 하는 지폐들의 이송기준치를 기억하는 지출이송기억부(E)와, 콘트롤판넬(CNS)이 상기 표시부(D)의 표시치가 이송기준이 이상으로 된 경우에 지폐들이 이송을 정지시키는 제어부(CPU)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다권종 지폐 출납기는 사용자가 콘트롤판넬(CNS)에서 명령을 조작하면, 권종이 판별되고 이송부(4)와 취출기구(3)가 작동되어 카세트(2)로부터 원하는 매수의 지폐가 투출되고, 투출된 지폐가 이송기(4a)에 의해 일시보관부(5)에 이송되어 일시보관되며, 카세트(2)로부터의 투출이 완료되면 일시보관부(5)에 적재된 지폐가 이송벨트(4b)에 의해 지출구(6)로 이송된다. 이때, 지출검지센서(Ab)가 이송벨트(4b)에 의하여 일시보관부(5)로부터 지출구(6)로 이송되는 지폐들을 검지하여 제어부(CPU)로 신호를 보내고, 이송벨트(4b)의 구동에 의해 이송펄스발생부(C)에서 이송펄스가 출력되며, 지출검지센서(Ab)가 지폐들을 검지하면서 표시부(D)가 이송펄스의 계수를 표시하고, 표시부(D)의 계수치가 이송기준치 이상으로 된 경우에 제어부(CPU)가 지폐들의 이송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종래 다권종 지폐 출납기는 일체로 되는 본체에 카세트가 장착되기 때문에, 설정된 것 이외의 다른 권종의 카세트를 부가시켜 사용하기가 어려우며, 일시보관부에 지폐를 보관한 후 이송된 후 지출검지가 되기 때문에 지급되는 속도가 비교적 느리며, 지출구가 한쪽에 형성되기 때문에 기계를 설치할 때, 장소 선정의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착탈 가능하게 다단으로 섀시를 형성하여 권종확장이 용이토록 하고, 지폐이송중에 이상여부를 판단한 후 전환기를 통해 불량지폐와 양호한 지폐를 분리하여 양쪽으로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시간당 지폐 인출속도를 빠르게 함과 동시에 지급의 정확성을 높이도록 하는 다권종 지폐 출납기의 권종확장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제3도 내지 제6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분리 및 확장이 가능하게 섀시(10)를 다단으로 설치하고, 상기 섀시(10) 상부 전면부와 후면부 양측으로는 각기 지출구어셈블리(20)가 설치되어 불량지폐와 양호한 지폐를 분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섀시(10) 상부 중간에는 지폐이송을 위한 동력원인 구동모터(30)와 지폐이송 수단인 운반부(40)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30)의 후단에는 이와 연동하는 아이들풀리(31)가 섀시(10) 측면에 지지되어 운반부(40)와 지출구어셈블리(20)에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출구어셈블리(20)는 피드롤러(24)와 아이들롤러(2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드롤러(24)의 축(26)에는 지폐걸림을 방지하기 위한 피드롤러 날개(25)가 설치되어 있고, 아이들롤러(28) 일측에 지폐배출 안내가이드(22)가 고정브라켓(21)에 고정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아이들롤러축(27) 상에는 아이들롤러지지판(23)이 권취되어 고정브라켓(21)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한편, 다단으로 분리가 가능한 각각의 섀시(10) 하부에는 아이들풀리(31)에 의해 연동되는 이송부(60)와, 워엄기어가 축설된 스텝모터(61)가 장치되고, 섀시(10) 내부에는 다른 권종의 지폐가 장입되는 지폐박스(50)가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며, 각 지폐박스(50) 후면부에는 지폐분리장치(51)와 권종확인구멍(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폐분리장치(51)는 지폐박스(50)가 수납될 경우 스텝모터(61)에 축설된 워엄기어에 의해 구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섀시(10)는 연결부 사이에 몰딩물(미도시)이 삽입되어, 흔들림이 없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지폐박스(50) 후면쪽 이송라인에는 지폐와 두께, 광량, 경사, 길이 및 간격을 감지하여 불량지폐를 판변하는 지폐감지장치(70)가 설치되고, 상기 지폐감지장치(70) 상부에는 지폐가 겹쳐진 상태로 이송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하는 중복이송감지장치(80)가 부착되며, 중복이송감지장치(80) 상부에는 전면이나 후면쪽 지출구어셈블리(20)로 불량지폐와 양호한 지폐를 분리하기 위해 이송경로를 선정하도록 하는 전환장치(90)가 운반부(40) 사이에 장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전원이 인가되고 사용자가 카드를 인입하면, 구동모터(30)가 회전함과 동시에 아이들풀리(31)를 통해 운반부(40)와 이송부(60)에 동력을 전달하여 지폐인출 대기상태가 된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권종 및 액수에 대한 키입력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CPU)에서는 권종별 지폐박스(50)를 선정함과 동시에 키입력된 신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지폐박스(50) 후면에 설치된 스텝모터(61)를 구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지폐박스(50) 후면의 지폐분리장치(51)가 구동되면서 상기 지폐박스(50)에 장입된 지폐를 인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출되는 지폐는 지폐이송라인에 설치된 지폐감지장치(70)를 통과하면서 지폐의 두께, 광량, 경사, 길이 및 간격이 감지되어 제어부(CPU)에 입력된 지폐기준에 의해 불량지폐가 체크되고, 중복이송감지장치(80)를 통과하면서 겹쳐진채 이송되는 지폐가 검지된다.
상기 지폐감지장치(70) 및 중복이송감지장치(80)에 의해 불량지폐나 겹쳐진 상태로 이송된 지폐가 감지되면 제어부(CPU)는 전환장치(90)를 전.후로 작동시켜 양호한 지폐와 불량지폐의 이송 경로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지급의 정확성 및 지폐 인출속도를 높이게 된다.
양호한 지폐로 판별되어 인출되는 지폐는 지출구어셈블리(20)의 피드롤러(24)와 아이들롤러(28) 사이로 이송되며 피드롤러(24) 축상에 설치된 피드롤러날개(25)는 출구에서 지폐걸림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원심력을 이용, 쳐주는 역활을 하게 된다.
한편, 지폐박스(50)는 섀시(10)에 수납될 때, 전면의 권종확인구멍(52)에 섀시(10)에 취부된 검지부(미도시)가 삽입되도록 하며 권종을 확인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전환장치(90)가 불량지폐와 양호한 지폐를 각기 다른 방향으로 안내하기 때문에, 구동모터(30)가 한쪽 방향으로만 구동되어도 되므로, 이송되는 지폐의 속도가 빠르게 되어 시간당 인출할 수 있는 지폐수량이 많게 되며, 전면부와 후면부 양쪽에 지출구어셈블리(20)가 장치되어 전환장치(90)의 조작선택에 따라 지폐수납 위치를 바꾸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섀시(10)가 다단계로 착탈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분리된 섀시(10)에 지폐박스(50)와 이송부(60)가 각기 독립적으로 구성되며, 이송부(60)가 각기 구동모터(30)에 연동되게 연결되므로, 다른 지폐의 권종확장이 용이하다. 또한, 섀시(10)의 연결부에 몰딩물(미도시)이 삽입되어, 흔들림이나 충격이 흡수되므로 견고한 체결력이 유지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간당 인출할 수 있는 지폐수량이 많고, 전면부와 후면부 양쪽으로 지출이 가능하며, 다른 지폐의 권종확장이 용이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5)

  1. 착탈 가능하게 다단으로 형성되며 상단부의 양쪽에 각기 지출구어셈블리(20)가 형성되고 구동모터(30)와 아이들풀리(31)가 서로 연동되게 장치되는 섀시(10)와, 상기 섀시(10)의 상단부에서 아이들풀리(31)에 연동되고, 상기 지출구어셈블리(20)로 지폐 운반이 가능하게 장치되는 운반부(40)와, 상기 섀시(10)의 중단과 하단부에 장착되어 각기 상기 아이들풀리(31)에 의해 연동되게 연결되며 일측에 스텝모터(61)가 장착되는 이송부(60)와, 상기 하단부 섀시에 장착되며 각기 자동으로 상기 스텝모터(61)에 의해 구동 가능하게 지폐분리장치(51)가 연결되어 이송부(60)로 지폐이송이 가능하게 장치되는 지폐박스(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권종 지폐 출납기의 권종확장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섀시(10)는 연결부 사이에 몰딩물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권종 지폐 출납기의 권종확장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섀시(10)는 지폐 이송라인에 지폐감지장치(7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권종 지폐 출납기의 권종확장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섀시(10)는 지폐 이송라인에 중복이송감지장치(8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권종 지폐 출납기의 권종확장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섀시(10)는 운반부(40)에 지폐의 이송경로를 선정하는 전환장치(90)가 장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권종 지폐 출납기의 권종확장구조.
KR1019930012287A 1993-07-01 1993-07-01 다권종 지폐 출납기의 권종확장구조 KR960005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2287A KR960005288B1 (ko) 1993-07-01 1993-07-01 다권종 지폐 출납기의 권종확장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2287A KR960005288B1 (ko) 1993-07-01 1993-07-01 다권종 지폐 출납기의 권종확장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066A KR950004066A (ko) 1995-02-17
KR960005288B1 true KR960005288B1 (ko) 1996-04-23

Family

ID=19358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2287A KR960005288B1 (ko) 1993-07-01 1993-07-01 다권종 지폐 출납기의 권종확장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2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047B1 (ko) * 2000-11-01 2002-08-03 엘지전자주식회사 매체자동지급기의 제어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066A (ko) 199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4369A (en) Voucher issuing device and a method of automatically loading continuous voucher forms
JPH0215169Y2 (ko)
US6474549B2 (en) Bill deposit/withdrawal machine
EP2259236B1 (en) Bill deposit/withdrawal machine for depositing/withdrawing bills
EP0616963B1 (en) Sheet handling apparatus
JP3499411B2 (ja) 紙幣入出金機
US5238143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flat articles
US5271613A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picking sheets
KR20000028967A (ko) 지폐 입출금 장치
JPH0223912B2 (ko)
US5062598A (en) Delivery system for under the counter currency dispenser
KR960005288B1 (ko) 다권종 지폐 출납기의 권종확장구조
EP0543559B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flat articles
KR20010044111A (ko) 지폐 방출장치
JP3174093B2 (ja) レジ別釣銭作成システム
JP3495849B2 (ja) 紙幣処理装置
JPH0319017Y2 (ko)
KR100277997B1 (ko) 현금자동 지급기의 인자장치
JPH05155467A (ja) 紙葉類検出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用いた紙葉類取扱装置
JPH0581507A (ja) 紙幣自動支払い装置
JP2763260B2 (ja) 有価証券収納庫における搬送方向切り換え方法
JPH082758Y2 (ja) 双方向硬貨払い出し機
JPS6236590B2 (ko)
JP3418290B2 (ja) 硬貨収納投出装置
JPH08194859A (ja) 現金自動取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07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307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5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6032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06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07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607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3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1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1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1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10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