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949B1 - 영전압 스위칭 방식의 공진형 컨버터 - Google Patents
영전압 스위칭 방식의 공진형 컨버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60003949B1 KR960003949B1 KR1019930011624A KR930011624A KR960003949B1 KR 960003949 B1 KR960003949 B1 KR 960003949B1 KR 1019930011624 A KR1019930011624 A KR 1019930011624A KR 930011624 A KR930011624 A KR 930011624A KR 960003949 B1 KR960003949 B1 KR 9600039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it
- output
- voltage
- zero
- switch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1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Landscapes
- Dc-Dc Converter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7)
- 제 1 및 제 2 전원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직류전압에 따라서 제로 레벨 구간을 갖는 양, 부로 교번하는 스위칭 구동펄스를 생성하는 제어회로와 ; 상기 제어회로를 출력에 따라 교번하여 스위칭하는 스위칭 수단과 : 스위칭된 신호에 따라 부하에 고주파 스위칭 신호를 전달하는 인덕터와 ; 부하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와 ; 부하의 일단과 제 1 및 제 2 전원공급라인간에 각각 연결된 캐패시터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회로는, 인가된 직류신호에 따라 전압레벨이 증가하는 캐패시터를 갖는 동작초기 주파수 제어회로와, 상기 동작초기 주파수 제어회로의 출력에 따라 주파수가 결정되는 톱니파 발생회로와, 톱니파에 기초하여 두개의 다른폭을 갖는 구형파를 생성하는구형파 발생회로와, 상기 구형파 발생 회로의 출력을 받아 발생시점이 다른 동일폭의 구형파를 출력하는 구동회로와 상기 구동회로의 출력에 따라 제로 레벨을 갖는 구동펄스를 생성하는 제로 레벨 구동 펄스 생성회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전압 스위칭 방식의 공진형 컨버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 공급라인에 공급되는 전원은 교류전원을 대응하는 직류전원으로 변환되어 공급되는 전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전압 스위칭 방식의 공진형 컨버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인가되는 직류신호는 저항으로 구성된 전압 분배회로로부터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전압 스위칭 방식의 공진형 컨버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로 레벨 구동펄스 생성회로는 구동회로의 2개의 구형파에 따라 동작되는 푸쉬풀 구성의 프랜지스터 회로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전압 스위칭 방식의 공진형 컨버터.
- 제 1 항에 있어서, 스위칭 수단은 제 1 및 제 2 전원 공급라인 연이어 연결된 MOS트랜지스터(242), (282)로 구성되고, 이들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소오스는 다이오드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 공급라인간에는 캐패시터(246), (286)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전압 스위칭 방식의 공진형 컨버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 출력은 트랜스포머를 거쳐 스위칭 수단에 펄스신호를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전압 스위칭 방식의 공진형 컨버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초기 주파수 제어회로는 트랜지스터(472), (473)으로 구성된 제 1 전류미러 회로와, 상기 트랜지스터(473)의 에미터와 접지(G)간에 연결된 톱니파 주파수를 제어하는 상기한 캐패시터(477)와, 상기 제 1 전류미러 회로에 연결된 트래지스터(474), (47)으로 구성된 제 2 전류미러회로와, 상기 캐패시터와 상기 트랜지스터(476)의 콜렉터간에 연결된 다이오드(478)와, 상기 트랜지스터(472)와 (474)간 연결점과 상기 다이오드(478)간에 연결된 다이오드(479)와 상기 다이오드(478)의 캐소드와 톱니파회로간에 연결된 다이오드(47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접압 스위칭 방식의 공진형 컨버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파 회로는 톱니파 출력라인에 연결된 전하 충/방전을 위한 캐패시터(618)의 전압을 2개의 기준 전압으로 각각 비교하는 2개의 제 1, 제 2 비교기(626), (628)와 이들 비교기의 출력에 따라 셋, 리셋되는 래치를 구성하는 NAND게이트(632), (634)와 래치 출력에 따라 스위칭되고 그 출력은 상기 캐패시터에 인가되게 하는 MOS소자(638)를 가지며, 상기 캐패시터(618)에는 다수의 트랜지스터(608), (610), (612), (614)로 구성된 전류원이 연결되며, 상기 전류원은 주파수 제어회로(470)의 신호라인(c)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전압 스위칭 방식의 공진형 컨버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는 구형파 발생기(415)의 출력을 클럭신호로 받는 제1D플립플롭(680)과, 구형파 발생기(415)의 또 다른 출력을 클럭신호로 받는 제2D플립플롭(682)으로 구성되며, 제1D플립플롭(680)의 반전 출력(Q)은 제2D플립플롭(682)의 입력에 연결되고 제2D플립플롭(682)의 출력(1)은 제1D플립플롭(680)의 입력에 연결되며, 상기 제1D플립플롭(680)의 출력(Q)은 구동회로의 출력(O1)이 되고, 상기 제2D플립플롭(682)의 반전출력(Q)은 구동회로의 제 2 출력(O2)이 되도록 하고 이 구동회로의 제 1 출력(O1)과 이의 반전된 출력 및 구동회로의 제 2 출력(O2)과 이의 반전된 출력이 각각 영전압 구동펄스 생성회로(700)로 인가되도록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전압 스위칭 방식의 공진형 컨버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일정 입력 전력 유지 회로를 더욱 포함하며, 이 회로는 입력 직류 전압의 일부분을 트랜지스터(481)가 받아 전류미러 회로를 통해 대응하는 전류로 변환하여 톱니파 발생회로에 대한 전류원이 되어 변동되는 입력직류 전압에 대하여 입력 전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전압 스위칭 방식의 공진형 컨버터.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입력 전력 유지 회로의 출력(b)은 상기 톱니파 발생회로의 캐패시터(618)에 연결되어 톱니파 주파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전압 스위칭 방식의 공진형 컨버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파 발생회로는 상기 톱니파 발생회로의 출력을 정(+)입력단에 각각 받는 비교기로 구성되고, 상기 비교기의 부(-)입력단에는 제 1 기준전압과, 제 2 기준전압이 각각 인가되어 서로 다른 폭의 구형파신호를 발생하는 특징으로 하는 영전압 스위칭 방식의 공진형 컨버터.
- 제 1 및 제 2 전원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직류전압에 따라 제로 레벨구간을 갖는 양, 부로 교번하는 스위칭 구동펄스를 생성하는 제어회로와 ; 상기 제어회로 출력에 따라 교번하여 스위칭하는 스위칭 수단과 ; 스위칭된 신호에 따라 부하에 고주파 스위칭 신호를 전달하는 인덕터와 ; 부하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와 ; 부하의 일단과 제 1 및 제 2 전원공급라인간에 각각 연결된 캐패시터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회로는, 인가된 직류신호에 따라 전압레벨이 증가하는 캐패시터를 갖는 동작초기 주파수 제어회로와, 상기 동작초기 주파수 제어회로의 출력에 따라 주파수가 결정되는 톱니파 발생회로와, 톱니파에 기초하여 두개의 다른 폭을 갖는 구형파를 생성하는 구형파 발생회로와,상기 구형파 발생회로의 출력을 받아 발생시점이 다른 동일폭의 구형파를 출력하는 구동회로와, 상기 구동회로의 출력에 따라 제로 레벨을 갖는 구동펄스를 생성하는 제로 레벨 구동 펄스 생성회로와, 제어회로 출력 전압이 과도하게 상승할 경우 제어회로 내의 대응하는 2차 전류의 대응 전압과, 과전류 감지저항(496)에 의한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를 갖고 상기 구동회로를 동작/차단시키는 과전류 보호회로와, 상기 스위칭 수단의 방열판에 설치된 온도센싱 다이오드를 갖는 저항회로에 대한 검출 전압과 비교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를 가지며 이 비교기 출력은 상기 구동회로를 동작/차단시키도록 연결된 과열방지회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전압 스위칭 방식의 공진형 컨버터.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는 구형파 발생기(415)의 출력을 클럭신호로 받는 제1D플립플롭(680)과, 구형파 발생기(415)의 또 다른 출력을 클럭 신호로 받는 제2D플립플롭(682)으로 구성되며, 제1D플립플롭(680)의 반전 출력(Q)은 제2D플립플롭(682)의 입력에 연결되고 제2D플립플롭(682)의 출력(1)은 제1D플립플롭(680)의 입력에 연결되며, 상기 제1D플립플롭(680)의 출력(Q)은 구동회로의 출력(O1)이 되고, 상기 제2D플립플롭(682)의 반전출력(Q)은 구동회로의 제 2 출력(O2)이 되도록 하고 이 구동회로의 제 1출력(O1)과 이의 반전된 출력 그리고 구동회로의 제 2 출력(O2)과 이의 반전된 출력이 각각 영전압 구동펄스 생성회로(700)로 인가되도록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전압 스위칭 방식의 공진형 컨버터.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2D플립플롭의 셋, 리셋 단자에 과전류 보호회로 및 과열방지회로의 출력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전압 스위칭 방식의 공진형 컨버터.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일정 입력 전력 유지 회로를 더욱 포함하여, 이 회로는 입력 직류 전압의 일부분을 트랜지스터(481)가 받아 전류미러 회로를 통해 대응하는 전류로 변환하여 톱니파 발생회로에 대한 전류원이 되어 변동되는 입력직류 전압에 대하여 입력 전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전압 스위칭 방식의 공진형 컨버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입력 전력 유지 회로의 출력(b)은 상기 톱니파 발생회로에 연결되어 톱니파 주파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전압 스위칭 방식의 공진형 컨버터.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30011624A KR960003949B1 (ko) | 1993-06-24 | 1993-06-24 | 영전압 스위칭 방식의 공진형 컨버터 |
TW083105637A TW302591B (ko) | 1993-06-24 | 1994-06-21 | |
JP6140507A JPH0773983A (ja) | 1993-06-24 | 1994-06-22 | 蛍光灯用零電圧スイッチング方式の電子式バラスト |
NL9401035A NL193923C (nl) | 1993-06-24 | 1994-06-23 | Elektronische ballast van het nulspanning-schakeltype voor een fluorescentielamp. |
US08/265,847 US5500792A (en) | 1993-06-24 | 1994-06-24 | Zero-voltage switching type electronic ballast for fluorescent lam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30011624A KR960003949B1 (ko) | 1993-06-24 | 1993-06-24 | 영전압 스위칭 방식의 공진형 컨버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02539A KR950002539A (ko) | 1995-01-04 |
KR960003949B1 true KR960003949B1 (ko) | 1996-03-23 |
Family
ID=19357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30011624A Expired - Lifetime KR960003949B1 (ko) | 1993-06-24 | 1993-06-24 | 영전압 스위칭 방식의 공진형 컨버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60003949B1 (ko) |
-
1993
- 1993-06-24 KR KR1019930011624A patent/KR960003949B1/ko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02539A (ko) | 1995-0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15214A (en) | Dimmable high power factor high-efficiency electronic ballast controller integrated circuit with automatic ambient over-temperature shutdown | |
US5396155A (en) | Self-dimming electronic ballast | |
US5039921A (en) | Discharge lamp lighting apparatus for driving discharge lamp according to rating thereof | |
US5510974A (en) | High frequency push-pull converter with input power factor correction | |
US5977725A (en) | Resonance type power converter unit, lighting apparatus for illumination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 of the converter unit and lighting apparatus | |
EP0241279B1 (en) | Controller for gas discharge lamps | |
KR100697463B1 (ko) | 고강도 가스 방전 램프 안정기를 작동시키는 장치 및 방법 | |
US6724152B2 (en) | Lighting control system with variable arc control including start-up circuit for providing a bias voltage supply | |
HU210626B (en) | Regulator with light-controller matching circuit for fluorescent tubes | |
US5140224A (en) | Apparatus for operating discharge lamp | |
US5477112A (en) | Ballasting network with integral trap | |
JP3758305B2 (ja) | 照明用点灯装置 | |
KR960003949B1 (ko) | 영전압 스위칭 방식의 공진형 컨버터 | |
JP2001211658A (ja) | 相補形スイッチを有するハロゲン電力変換器 | |
KR940002674Y1 (ko) | 전자식 형광등용 안정기 회로 | |
US6492780B1 (en) | Lamp ballast system | |
KR880000509B1 (ko) | 정출력 특성의 전자식 방전등 점등 장치 | |
JPS644312Y2 (ko) | ||
KR870001309Y1 (ko) | 전자식 형광램프 점등장치 | |
JPH09260076A (ja) | 冷陰極蛍光灯の点灯調光回路 | |
KR200308322Y1 (ko) | 전자식 형광등용 안정기 | |
KR100221194B1 (ko) | 형광램프의 과부하 방지 장치 | |
JPH04292896A (ja) | 放電灯点灯回路 | |
JPS6359770A (ja) | 電源装置 | |
JPH04133672A (ja) | インバータ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06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306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60228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05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6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90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002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02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2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2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2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2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2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2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3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30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22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22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2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1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25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