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3542B1 - 트랜스퍼크레인의 자동운전용 대차장치 - Google Patents

트랜스퍼크레인의 자동운전용 대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542B1
KR960003542B1 KR1019930010016A KR930010016A KR960003542B1 KR 960003542 B1 KR960003542 B1 KR 960003542B1 KR 1019930010016 A KR1019930010016 A KR 1019930010016A KR 930010016 A KR930010016 A KR 930010016A KR 960003542 B1 KR960003542 B1 KR 960003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riving
transfer crane
cylinder
locking p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0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558A (ko
Inventor
나웅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주식회사
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주식회사, 최훈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0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542B1/ko
Publication of KR950000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54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7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66C13/44Electrical transmi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08Runners; Runn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4Trolley or crane travel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랜스퍼크레인의 자동운전용 대차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장치가 설치된 트랜스퍼크레인 하단의 주행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장치의 상승시의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장치의 하강시의 정면도.
제4도는 대차장치의 상하구동용 유압장치의 회로도.
제5도는 제4도의 B부분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대차장치 3 : 구동휠
4 : 벨트 5 : 엔코더
6 : 구동부 7 : 제1링크
8 : 제2링크 10 : 실린더
11 : 유압유닛 13 : 태그감지센서
18 : 록킹핀
본 발명은 콘테이너야적용 하역설비인 트랜스퍼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랜스프커레인의 주행장치에 부착되어 크레인의 주행위치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게 하므로서 트랜스퍼크레인의 자동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운전용 대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랜스퍼크레인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크레인의 좌우측 하단부에 설치되는 주행장치(A)에 주행 수단으로 타이머(T)를 장착하고 있어 크레인의 자체 하중조건이나 하역위치에 따라 타이어의 수축에 따라 처짐량이 달라지게 되므로 트랜스퍼크레인의 자동운전에 필요한 정확한 위치로의 이동이 불가능하여 트랜스퍼크레인의 자동운전은 불가능하다고 인식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트랜스퍼크레인의 문제점을 해결하므로서 트랜스퍼크레인의 이동거리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하여 트랜스퍼크레인의 자동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트랜스퍼크레인의 자동운전용 대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구동휠 및 구동휠의 구동거리를 적산하는 엔코더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승강운동을 보상 및 제한하는 링크와, 상기 링크에 연결되어 구동부를 승상구동하는 유압유닛을 포함하는 트랜스퍼크레인의 자동운전용 대차장치를 제공하므로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크레인의 자동운전용 대차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트랜스퍼크레인의 좌우측 하단부에 설치되는 일측의 주행장치(A)의 정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대차장치(1)는 주행장치(A)의 실빔(2)의 저면중간에서 하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대차장치(1)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주행노면(G)에 접해 구동하는 구동휠(3)이 하방에 설치되고 일측 구동휠(3)이 벨트(4)에 의해 거리적산용 엔코더(5)에 연결설치된 구동부(6)와, 상기 구동부(6)의 상단에 연결되며 주행노면 굴곡에 따른 구동부의 승강을 보상하는 제1링크(7)와, 상기 구동부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제2링크(8)와, 상기 제1링크(7)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6)를 승강구동하는 실린더(10)를 구비하는 유압유닛(11)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6)의 구동휠(3)은 주행중 주행노면(G)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우레탄고무를 외표면에 부착하였다.
주행노면(G)에 매설되어 트랜스퍼크레인의 위치표식기능을 수행하는 태그(12)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휠(3) 사이에는 태그감지센서(13)가 부착되어 트랜스퍼크레인 주행시 크레인의 정확한 위치파악을 가능하게 하였다.
상기 제1링크(7)는 일단이 구동부(6)에 힌지고정된 링크편(7a)과 일단이 실린더(10)에 힌지고정된 링크편(7b)로 이루어지고 상기 링크편(7a)(7b)의 타단은 서로 힌지고정되어있다.
상기 제2링크(8)는 일단이 구동부(6)에 힌지고정되며 타단은 고정프레임(14)에 힌지고정되고, 리미트스위치와 접하는 리미트단자(8a)(8b)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리미트단자(8a)는 하강용단이고, 상기 리미트단자(8b)는 상승용단자이다. 상기 고정프레임(14)에는 상기 제2링크(8)의 리미트단자(8a)(8b)에 접하는 리미트스위치(14a)(14b)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리미트스위치(14a)는 하강용이고, 리미트스위치(14b)는 상승용이다.
상기 유압유닛(11)은 제4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펌프(15)와, 솔레노이드벨브(16), 대차의 하강방지용 카운터 밸런스 벨브(17) 및 실린더(10)를 구비하며, 상기 실린더(10)는 록킹핀(18)에 의해 하강운동이 규제된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실린더(10)는 상승시, 상기 록킹핀(18)을 밀어낼 수 있도록 상단부에 경사면(19a)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아래에 록킹핀(18)이 수납되는 록킹핀 수납용 홈(19b)이 형성된 헤드(19)를 갖는다.
상기 록킹핀(18)은 실린더(10)의 상단에 설치되는 록킹핀 케이스(21)내에서 스프링(20)에 의해 실린더쪽으로 탄력지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록킹핀(18)은 실린더(10)의 운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헤드(19)의 홈(19b)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돌출부(18a)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8a)에는 유체가 통과하는 분사공(18b)이 형성된 구조이며, 록킹핀 케이스(21)의 (21a)는 솔레노이드밸브(16)을 통하여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공이다.
이와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크레인의 자동운전용 대차장치의 작동을 이하에 설명한다.
트랜스퍼크레인에서 콘테이너(도시안함)를 적재하고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트랜스퍼크레인의 주행장치(A)가 작동하게 되고, 제2도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대차장치(1)를 하강시켜 대차장치의 구동휠(3)이 주행노면에 접하게 된다. 이때, 대차장치(1)의 하강은 아래와 같은 작동에 의하여 수행된다. 유압유닛(11)의 펌프(15)가 작동되고 유체는 솔레노이드밸브(16)를 통해 제4도의 파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흘러 실린더(10)의 상단으로 유입된다. 이와같이 실린더의 상단으로 유입된 유체는 록킹핀 케이스(21)의 유입공(21a)을 통하여 록킹핀 케이스(21)내로 유입되어 록킹핀(18)을 외향으로 밀어낸다. 유체의 유압에 밀려 록킹핀(18)이 스프링(20)의 힘을 극복하고 후퇴하게 되어 록킹핀 돌출부(18a)의 분사공(18b)이 록킹핀 케이스(21)내와 통하게 되면 유체는 분사공(18b)을 통하여 헤드(19)의 홈(19b)으로 분사되므로 록킹핀(18)은 스프링(20) 힘을 극복하고 후퇴하여, 록킹핀의 돌출부(18a)가 헤드의 홈(19b)에 이탈되게 되고 유체가 계속 공급되어 실린더(10)가 하강하게 되고 리미트단자(8a)와 리미트스위치(14a)가 작동하여 펌프(15)의 작동을 종료시킴으로서 대차장치(1)의 하강이 종료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대차장치(1)가 하강하면, 구동휠(3)은 주행노면(G)에 접하게 되어 트랜스퍼크레인이 주행한 거리만큼 구동휠(3)이 회전구동하게 된다. 구동휠(3)의 회전과 함께 벨트(4)가 회동하며, 벨트(4)의 회동에 따라 트랜스퍼크레인의 정확한 주행거리가 거리적산용 엔코더(5)에 의해 정확히 계산된다. 실주행거리와 연산주행거리간의 미세한 오차는 주행노면에 일정간격으로 매설된 태그(12)와 태그감지센서(13)에 의해 수시로 보정된다.
트랜스퍼크레인이 굴곡이 심한 주행노면을 주행할 때 또는 타이어의 처짐량이 불규칙하게 변할 때 대차장치(1)는 이중링크 구조로 된 제1링크(7)의 접철 운동에 의해 자연스럽게 로면의 굴곡을 따라 승강하거나 타이어의 처짐량을 보상하면서 주행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주행조건에서도 문제없이 주행거리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게 하였다. 제1링크의 링크구조 대신에 스프링과 같은 완충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트랜스퍼크레인의 야적장간의 이동을 위해 주행노면에 직각방향으로 주행시, 자동운전용 대차장치(1)는 직각방향으로 주행할 수 없으므로 유압유닛(11)을 이용하여 대차장치(1)를,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들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차장치(1)의 상승 동작은 아래와 같이 수행한다. 솔레노이드밸브(16)를 절환하고 펌프(15)를 작동하면 유체는 제4도의 실선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실린더(10)의 헤드(19)를 밀어올리고 헤드(19)는 상승하고 상단의 경사면(19a)이 록킹핀(18)의 돌출부(18a)를 밀어올리면서 상승하고 경사면(18a)을 지나면 록킹핀(18)은 스프링(20)에 의해 전진하여 홈(19b)에 삽입되므로서 헤드(19)를 하강하지 못하도록 견고히 고정하게 되고 리미트단자(8b)와 리미트스위치(14b)가 작동하여 펌프(15)를 정지시키므로서 대차장치의 상승작동이 종료된다.
이와같이 실린더(10)가 상승하여 대차장치(1)를 들면 구동휠(3)이 주행노면(G)에서 떨어지므로 구동휠(3)은 작동하지 않게되고 따라서 주행거리가 적산되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크레인의 자동운전용 대차장치는 트랜스퍼크레인의 이동거리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하여 트랜스퍼크레인의 자동운전을 가능하게 한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주행노면(G)에 접해 구동하는 구동휠(3)이 하방에 설치되고 일측 구동휠(3)이 벨트(4)에 의해 거리적산용 엔코더(5)에 연결설치된 구동부(6)와, 상기 구동부(6)의 상단에 연결되며 주행노면 굴곡에 따른 구동부의 승강을 보상하는 제1링크(7)와, 상기 구동부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제2링크(8)와, 상기 제1링크(7)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6)를 승강구동하는 실린더(10)를 구비하는 유압유닛(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크레인인 자동운전용 대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3) 사이에는 태그감지센서(13)가 부착되어 트랜스퍼크레인의 주행시 크레인의 정확한 위치파악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크레인인 자동운전용 대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7)는 일단이 구동부(6)에 힌지고정된 링크편(7a)과 일단이 실린더(10)에 힌지고정된 링크편(7b)로 이루어지고 상기 링크편(7a)(7b)의 단은 서로 힌지고정된 2중 링크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크레인인 자동운전용 대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0)는 상단부에 경사면(19a)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아래에 록킹핀(18)이 수납되는 홈(19b)이 형성된 헤드(19)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핀(18)은 상기 홈(19b)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돌출부(18a)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8a)에는 분사공(18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장치.
KR1019930010016A 1993-06-04 1993-06-04 트랜스퍼크레인의 자동운전용 대차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60003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0016A KR960003542B1 (ko) 1993-06-04 1993-06-04 트랜스퍼크레인의 자동운전용 대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0016A KR960003542B1 (ko) 1993-06-04 1993-06-04 트랜스퍼크레인의 자동운전용 대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558A KR950000558A (ko) 1995-01-03
KR960003542B1 true KR960003542B1 (ko) 1996-03-15

Family

ID=19356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0016A Expired - Fee Related KR960003542B1 (ko) 1993-06-04 1993-06-04 트랜스퍼크레인의 자동운전용 대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5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606B1 (ko) * 2006-10-27 2008-01-14 김성식 고온 중량물용 대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589B1 (ko) * 1998-11-30 2006-03-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트랜스퍼 크레인의 주행장치
KR102388177B1 (ko) * 2022-02-15 2022-04-19 두텍 주식회사 태풍 대비 컨테이너 크레인용 자동화 안전 고박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606B1 (ko) * 2006-10-27 2008-01-14 김성식 고온 중량물용 대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558A (ko)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50288B (zh) 一种基于单升平台的rgv的控制方法
US7056077B2 (en) Truck restraint
KR960003542B1 (ko) 트랜스퍼크레인의 자동운전용 대차장치
CN218143962U (zh) 自动注料的rgv装置
JPH09278124A (ja) スライドラック装置
KR20110139656A (ko) 반송차 시스템
JP3727801B2 (ja) ガイド検知装置およびその高さ調整方法
CN210973486U (zh) 用于agv小车的升降设备的定位装置
KR20220154771A (ko) 적재하중 승강 장치 및 고정 장치를 구비한 무인 수송 차량
KR970002461Y1 (ko)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승강팔렛트 상하한정위치 정지장치
EP0581234B1 (en) Handling apparatus for automatic warehousing arrangement
KR19990038062U (ko) 무인 반송차
JPH0419127B2 (ko)
CN219469619U (zh) 一种agv无人叉车
JPH04242404A (ja) 無人車におけるマーク検出装置
KR100251414B1 (ko) 주차기용 리프트의 웨이트발란스
CN221419676U (zh) 一种横移摆渡车定位结构及混凝土预制件生产线
KR100829686B1 (ko) 리크레이머의 접근 감지장치
KR102355980B1 (ko) 화차 중량 측정용 복합장치
CN217229224U (zh) 一种设置有运载机构的agv小车
KR101085545B1 (ko)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이 가능한 화차
KR910001080B1 (ko) 수직 순환 다단식 주차 장치
CN109761167B (zh) 探测单元位置保持装置及智能叉车
KR100527507B1 (ko) 근접 감지 장치
RU1789398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фиксации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303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3031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