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2851Y1 - 파이프 연결 조인트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851Y1
KR960002851Y1 KR2019930020479U KR930020479U KR960002851Y1 KR 960002851 Y1 KR960002851 Y1 KR 960002851Y1 KR 2019930020479 U KR2019930020479 U KR 2019930020479U KR 930020479 U KR930020479 U KR 930020479U KR 960002851 Y1 KR960002851 Y1 KR 9600028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valve
nut
joint
coup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04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005U (ko
Inventor
김기덕
Original Assignee
영동금속 주식회사
김윤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동금속 주식회사, 김윤환 filed Critical 영동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04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851Y1/ko
Publication of KR9500120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0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8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85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1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 pressure ring being arranged between the clamping ring and the threaded member or the connect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이프 연결 조인트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 단면도
제3도 (a)와(b)는 제2도의 A부분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개폐밸브 2 : 연결조인트
3, 3' : 연결관 4 : 결합너트
4a, 4a' : 연결너트 5, 5' : 요홈
6, 6' : 0-링 7 : 밀착링
8 : 밀착와셔 9 : 파이프
10 : 나사부 11 : 단턱
본 고안은 가스배관이나 수도전 배관등을 할때 사용하는 파이프 연결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폐밸브등에 연결 설치되는 파이프와 길이가 정확히 재단되지 않고 약간 길거나 짧게 절단되어도 개폐밸브에 원활히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파이프의 연결 및 해체를 용이하도록 한 파이프 연결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일반 건물등에 가스관 또는 수도관을 설치할 때에는 파이프의 사이에 개폐밸브를 설치하여 벨브의 개폐로서 가스나 액체등을 공급하여 사용하여 왔던 바, 이와 같은 배관 설치에는 파이프를 개폐밸브에 연결시키거나 파이프의 길이가 한정적이어서 파이프와 파이프를 서로 결합시켜 연결할 때에는 양측 내부에 나사가 형성된 연결 조인트를 연결되는 파이프의 사이에 결합하여 사용하여 왔었으며, 개폐밸브의 일측에 결합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연결 조인트로서 파이프를 개폐밸브에 결합하여 사용하여 왔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파이프 연결은 파이프의 일면과 다른 파이프의 일면이 서로 맞닿으면서 연결되면 파이프의 결합 및 해체가 불가능하여 파이프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약간의 틈새를 가지므로 가스등의 누출이 발생하며 파이프의 길이가 짧게 재단되었을 때에는 재단된 파이프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재료의 낭비와 파이프를 정확한 길이로 재단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개폐밸브의 일측에는 파이프에 연결되어 결합시키는 연결너트를 가지는 연결관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연결관에 개폐밸브에 결합되는 결합너트와 파이프에 연결되어 결합시키는 연결너트를 가지는 연결 조인트를 결합시키어 연결관의 일단이 파이프의 가감(加減)길이 만큼 개폐밸브의 유통로 내부로 삽입하므로 파이프의 재단치수에 상관없이 개폐밸브에 파이프의 결함을 용이하도록 하고 연결너트가 연결관에서 유동되므로 파이프의 체결시 파이프의 일면과 연결관의 일면을 맞닿도록 하므로 가스등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파이프의 해체시 용이하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에 개폐 손잡이(13)가 형성되고 내부에 유통로(12)를 가지면 양측으로 나사부(10)가 형성되어 연결 조인트(2)로서 파이프(9)를 결합시키는 개폐밸브(1)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1)의 일측에는 일단에 요홈(5')이 형성된 연결관(3')을 형성하고 연결너트(4a)를 연결관(3')에 삽입시킨 후 0-링(6')을 요홈(5')에 삽입시켜 파이프(9)와 결합되게 하며, 개폐밸브(1)의 타측에는 일측에 단턱(11)과 요홈(5)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이탈 방지턱(11')이 형성된 연결관(3)에 파이프(9)와 결합되는 연결너트(4a)와 개폐밸브(1)의 나사부(10)에 결합되는 결합너트(4)를 삽입하며, 결합너트(4)의 밀폐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밀착와셔(8)를 결합너트(4)와 결합시키고 연결관(3)과 개폐밸브(1)의 결합시 기밀을 위한 밀착링(7)을 연결관(3)에 삽입하며 연결관(3)의 일측이 개폐밸브(1)의 유통로(12)에 삽입시 유통로(12)의 내주면과 접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0-링(6)을 연결관(3)의 요홈(5)에 삽입된 연결조인트(2)를 결합하되 개폐밸브(1)의 나사부(10)에 연결 조인트(2)의 결합너트(4)가 결합되고 연결너트(4a)에는 파이프(9)를 결합하도록 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제2도 및 제3도(a)와 (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개폐밸브(1)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관(3')에 삽입된 연결너트(4a)는 연결관(3')의 요홈(5')에 삽입된 0-링(6')에 의하여 연결관(3')에서 이탈되지 않는 상태가 되어 연결관(3')의 일면과 파이프(9)의 일면을 서로 맞닿게 한 후 연결너트(4a')로서 파이프(9)를 연결관(4a')에 결합시키고, 개폐밸브(1)의 타측에 형성된 나사부(10)에는 연결너트(4a)와 결합너트(4)가 삽입되고 결합너트(4)는 밀폐와셔(8)가 결합되며 밀착와셔(7)와 0-링(6)이 삽입된 연결 조인트(2)를 결합시키되, 연결 조인트(2)의 결합너트(4)를 나사부(10)에 결합시켜 연결관(3)의 요홈(5)에 삽입된 0-링(6)이 개폐밸브(1)의 유통로(12) 내면과 접하도록 하면 되고 연결 조인트(2)의 타측면과 파이프(9)의 일면과 접하도록 한 후 연결너트(4a)로서 파이프(9)와 연결관(3)을 서로 결합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때, 연결너트(4a)(4a')는 연결관(3)(3')외주면에서 이송이 가능하고 이탈 방지턱(11')과 0-링(6')에 의하여 연결관(3)(3')에서 연결너트(4a)(4a')가 이탈되지 않으므로 파이프(9)의 연결시 파이프(9)와 연결관(3)(3')의 일면과 서로 맞닿도록 한 후 결합시킬 수 있어 파이프(9)와 연결관(3)(3')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가스 및 액체의 누출이 없으며, 파이프(9)를 연결관(3)(3')에서 분해할 때에는 연결너트(4a)(4a')가 연결관(3)(3')의 외주면에서 뒤로 후퇴하여 해체되므로 파이프(9)를 연결관(3)(3')에서 분해하기가 용이하고, 개폐밸브(1)와 연결조인트(2)의 결합은 제3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너트(4)를 개폐밸브(1)의 나사부(10)에 결합시키면 연결관(4)의 외주면에 삽입된 밀착링(7)이 개폐밸브(1)의 일단과 밀착되어 연결 조인트(2)와 개폐밸브(1)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결합되고 일측에 형성된 요홈(5)에 삽입된 0-링(6)은 유통로(12)에 삽입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연결 조인트(2)에 결합되는 파이프(9)의 길이가 짧으면 제3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3)을 개폐밸브(1)로 부터 잡아당겨 주면 단턱(11)에 의하여 결합너트(4)에 삽입된 밀착와셔(8)가 걸리므로 더이상 연결관(3)이 개폐밸브(1)의 유통로(12)에서 이탈되지 않아 연결관(3)이 유통로(12)에 삽입되는 길이로 파이프(9)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파이프(9)의 길이가 길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3)을 개폐밸브(1)로 밀어주어 요홈(5)에 삽입된 0-링(6)이 결합된 연결관(3)의 일단이 개폐밸브(1)의 유통로(12)내부로 삽입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연결 조인트(2)를 파이프(9)와 파이프(9)의 결합시 연결되는 부위에 사용하여도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9)의 일면이 서로 접하게 하고 파이프(9)의 재단 길이에 구애받지 않는 등의 효과를 가질 수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파이프와 결합되는 연결너트가 연결관에서 이송이 가능하므로 파이프와 연결관의 일면을 서로 접하게 하여 결합시킬 수 있고 파이프의 해체시 연결너트가 연결관 외주면에서 이송이 가능하므로 파이프에 해체가 용이하며, 개폐밸브의 일측에 결합된 연결 조인트의 0-링이 결합된 연결관 일단이 개폐밸브의 유통로 내부에 유동하므로 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연결관의 일면과 파이프의 일면이 서로 접하면서 결합되므로 가스나 유류등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연결 조인트를 파이프와 파이프의 연결에 사용할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상부에 개폐 손잡이(13)가 형성되고, 내부에 유통로(12)를 가지면 양측으로 나사부(10)가 형성되어 연결조인트(2)로서 파이프(9)를 결합시킨 개폐밸브(1)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1)의 일측에는 연결관(3)에 개폐밸브(1)에 결합되는 결합너트(4)와 파이프(9)에 연결되어 결합시키는 연결너트(4a)를 가지는 연결 조인트(2)를 결합시키어 결합하되 개폐밸브(1)의 나사부(10)에 연결 조인트(2)의 결합너트(4)를 개폐밸브(1)의 나사부(10)에 결합하고 연결너트(4a)(4a')에는 파이프(9)를 결합하도록 한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조인트.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일측에 단턱(11)과 요홈(5)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이탈 방지턱(11')이 형성된 연결관(3)에 파이프(9)와 결합되는 연결너트(4a)와 개폐밸브(1)의 나사부(10)에 결합되는 결합너트(4)를 삽입하며 결합너트(4)의 밀폐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밀착와셔(8)를 결합너트(4)와 결합시키고 연결관(3)과 개폐밸브(1)의 결합시 기밀을 위한 밀착링(7)을 연결관(3)에 삽입하며 연결관(3)의 일측이 개폐밸브(1)의 유통로(12)에 삽입시 기밀을 위한 0-링(6)을 연결관(3)의 요홈(5)에 삽입된 연결 조인트(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조인트.
  3.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개폐밸브(1)의 타측을 일단에 요홈(5')이 형성된 연결관(3')을 형성하고 연결 너트(4a')를 연결관(3')에 삽입시킨 후 0-링(6')을 요홈(5')에 삽입시켜 파이프(9)와 결합되게 형성하여서 된 개폐밸브(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조인트.
KR2019930020479U 1993-10-07 1993-10-07 파이프 연결 조인트 Expired - Lifetime KR9600028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479U KR960002851Y1 (ko) 1993-10-07 1993-10-07 파이프 연결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479U KR960002851Y1 (ko) 1993-10-07 1993-10-07 파이프 연결 조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005U KR950012005U (ko) 1995-05-16
KR960002851Y1 true KR960002851Y1 (ko) 1996-04-09

Family

ID=19365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0479U Expired - Lifetime KR960002851Y1 (ko) 1993-10-07 1993-10-07 파이프 연결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85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802B1 (ko) * 2004-07-23 2005-04-11 주식회사 퓨어라인 티에스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005U (ko) 199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7662B1 (en) Method and a coupler for joining two steel pipes
EP1832793B1 (en) Pipe coupling with a grip washer
US6382678B1 (en) Coupling assembly
KR910002165Y1 (ko) 파이프 이음쇠 구조물
US5857717A (en) Plumbing device and method
US6832790B2 (en) Water tight three piece coupling for electrical conduits
US4778204A (en) Pipeline connector for plastic instruments
JPH07158783A (ja) 締め付けフランジ型管取付け組立体
WO2000020792A1 (en) Coupling assembly
ATE178699T1 (de) Schnellrohrkupplung mit einem sicherheitsventil
JPH03634Y2 (ko)
KR920015064A (ko) 유체기기의 관의 이음매 구조
JPH0577913B2 (ko)
KR960002851Y1 (ko) 파이프 연결 조인트
US5595368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slippage in pipe couplings
US6019398A (en) Tapping sleeve with a gland
US2735505A (en) Kleiman
CN210661822U (zh) 一种软管快速连接组件及水龙头
US4850615A (en) Multi-pipe trap adapter
US20030080563A1 (en) Irrigation valve
KR200404438Y1 (ko) 관이음 구조
US6116262A (en) Plumbing coupling and method of use
EP0803672B1 (en) Fluid valve
KR200255541Y1 (ko) 볼밸브의 유체파이프 연결장치
KR200235241Y1 (ko) 관이음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3100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3100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31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06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