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2472B1 - 센터 모드 콘트롤 회로 - Google Patents

센터 모드 콘트롤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472B1
KR960002472B1 KR1019890011444A KR890011444A KR960002472B1 KR 960002472 B1 KR960002472 B1 KR 960002472B1 KR 1019890011444 A KR1019890011444 A KR 1019890011444A KR 890011444 A KR890011444 A KR 890011444A KR 960002472 B1 KR960002472 B1 KR 960002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signal
input signal
control circuit
in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1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218A (ko
Inventor
쯔도무 이시까와
Original Assignee
상요덴기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요덴기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filed Critical 상요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4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47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5/00Pseudo-stereo systems, e.g. in which additional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monophonic signals by means of phase shifting, time delay or reverb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Stereo-Broadcasting Metho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센터 모드 콘트롤 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제2도는 써라운드 디코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제3도는 종래의 센터 모드 콘트롤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6,27,28 : 입력단자 29,30 : 가산 증폭회로
31 : 반전 증폭회로 34 : 절환 스위치
35,36 : 콘덴서 39,40,41 : 출력단자
본 발명은 돌비ㆍ프로로직ㆍ써라운드ㆍ디코더에 사용되는 센터 모드 콘트롤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성이 좋고, IC(직접회로)화에 적화한 센터 모드 콘트롤 회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본국 소화 63년 6월 27일자의 닉께이 엘렉트로닉스 제88페이지 및 제89페이지에는, 미합중국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 가 제안한 돌비ㆍ프로로직ㆍ써라운드ㆍ시스템에 관한 기사가 게재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스테레오신호(LT및 RT)가 인가되는 좌우 입력단자(1 및 2), 상기 좌우 스테레오신호(LT및 RT)를 가산해서합신호C'(=LT+RT)를 작성하는 제1가산회로(3), 상기 좌우 스테레오신호(LT및 RT)를 감산해서 차신호 S'(=LT-RT)를 작성하는 감산회로(4), 상기 좌우 스테레오신호(LT및 RT)의 레벨을 각각 검파하는 제1 및 제2검파회로(5 및 6), 상기 합 및 차신호 C' 및 S'의 레벨비을 각각 검파하는 제3 및 제4검파회로(7 및 8), 상기 제1 및 제2검파회로(5 및 6)의 출력신호 레벨비를 검출하는 제1레벨비 검출회로(9), 상기 제3 및 제4검파회로(7 및 8)의 출력신호 레벨비를 검출하는 제2레벨비 검출회로(10), 상기 제1 및 제2 레벨비 검출회로(9 및 10)의 출력신호에 따라서 상기 좌우 스테레오신호(LT및 RT)의 레벨을 제어하는 VCA(전압 제어 증폭기)(11), 및 상기 좌우 스테레오신호와 VCA(11)의 출력신호를 선택 가산하고, 좌우 스테레오 출력신호(L 및 R)와 센터 출력신호(C)와 써라운드 출력신호(S)를 발생시키는 제2가산회로(12), 상기 좌우 스테레오 출력신호(L 및 R)와 센터 출력신호(C)를 모드에 따라서 절환하는 센터 모드 콘트롤회로(13), 상기 써라운드 출력신호(S)에 대해서 지연이나 잡음 제거 등의 신호 처리를 행하는 패시브 디코더(14)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도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음의 정위(定位)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방향성 강조라고 하는 신호 처리가 달성되고, 청취자에게 현장감 있는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이 시스템은 대형 텔리비젼의 음성 신호 처리에 적용해서 효과가 있고, 시청자에 대해서 영화관에서 영화를 보고 있는 것과 동등한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센터 모드 콘트롤 회로는 노말 모드, 팬텀(phantom) 모드, 및 와이드 모드간의 모드 절환을 행하기 위해 배치되어 있고, 노말 모드에 있어서는 센터 출력신호(C)의 저역성분만이 좌우 스테레오 출력신호(L 및 R)에 가산된다. 또한, 팬텀 모드에 있어서는 센터 출력신호(C)의 전역이 좌우 스테레오 출력신호(L 및 R)에 가산된다. 또한, 와이드 모드에 있어서는, 가산이 행해지지 않고, 좌우 스테레오 출력신호(L 및 R)가 그대로 발생한다.
제3도는 종래의 상기 센터 모드 콘트롤 회로의 한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로, 좌우 입력단자(15 및 16)에 인가되는 좌우 스테레오 입력신호(L 및 R)는 각각 직접 제1 및 2가산회로(17 및 18)에 인가된다. 또한, 센터 입럭단자(19)에 인가되는 센터 입력신호는 저역통과필터(20) 또는 고역통과필터(21)을 통과하고, 또는 직접적으로, 제1 및 제2절환 스위치(22 및 23)의 단자에 전달되고, 제1절환 스위치(22)를 통과한 신호는 감쇠회로(24)에 인가되고, 이 감쇠회로(24)에서 3dB 감쇠된 후, 상기 제1 및 제2 가산회로(17 및 18)에 인가된다. 한편, 제2절환 스위치(23)을 통과한 신호는 센터 출력단자(25)에 센터 출력신호(Co)로서 도출된다.
여기에서 모드마다의 좌우 스테레오 출력신호(Lo 및 Ro)와 센터 출력신호(Co)와의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노말 모드에 있어서는 저역통과필터(20)의 출력신호가 제1절환 스위치(22) 및 감쇠회로(24)를 통해서 제1 및 제2가산회로(17 및 18)에 인가된다. 그 결과, 좌 스테레오 출력신호(Lo)는 좌 스테레오 입력신호(L)과 고역 차단 센터 입력신호(CL)과의 가산신호로 되고, 우 스테레오 출력신호(Ro)는 우 스테레오 입력신호(R)와 고역 차단 센터 입력신호(CL)과의 가산신호로 되고, 센터 출력신호(Co)는 고역 센터 입력신호(CH)로 된다. 또한, 팬텀 모드에 있어서는 센터 입력신호(C)가 감쇠회로(24)를 통해서 제1 및 제2가산회로(17 및 18)에 인가된다. 그 결과, 좌 스테레오 출력신호(Lo)는 (L+C)로 되고, 우 스테레오 신호(Ro)는 (R+C)로 된다. 또한, 와이드 모드에 있어서는 제1절환 스위치(22)가 개방상태로 됨과 동시에, 제2절환 스위치 스테레오(23)이 센터 입력신호(C)를 선택하므로, 좌우 스테레오 입력신호(L 및 R)가 그대로 좌우 스테레오 출력신호(Lo 및 Ro)로 되고, 또한 센터 출력신호(Co)가 센터 입력신호(C)와 균등하게 된다.
따라서, 제3도의 회로를 사용하면, 센터 모드 콘트롤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그렇지만, 제3도의 회로는 저역통과필터(20) 및 고역통과필터(21)을 필요로 하고, 이들 필터의 특성을 맞추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 IC화를 행할 경우, 저역통과필터(20), 고역통과필터(21), 제1 및 제2절환 스위치(22 및 23)을 IC에 외부 부착해서 배치해야 하고, 외부 부착 핀 수가 증가하는 등, IC화에 부적합한 것이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점에 비추어 된 것으로, 센터 입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이 증폭부의 입력단에 접속된 절환 스위치, 및 이 절환 스위치에 의해서 절환되는 콘덴서를 구비하고, 상기 절환 스위치를 절환 제어함으로써 모드 절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증폭부의 입력단에 접속된 절환 스위치를 절환 제어할 뿐만 아니라, 모드 절환을 행할 수 있다. 그 경우, 상기 절환 스위치를 노말 위치로 절환하면, 증폭부의 입력단에 센터 입력신호의 고역성분만을 접지하는 콘덴서가 접속되므로, 좌우 스테레오 입력신호에 센터 입력신호의 저역성분만을 가산할 수 있다. 또한, 절환 스위치를 팬텀 위치로 절환하면, 증폭부의 입력단에 센터 입력신호의 고역성분만을 접지하는 콘덴서가 접속되므로, 좌우 스테레오 입력신호에 센터 입력신호의 저역성분만을 가산될 수 있다. 또한, 절환 스위치를 팬텀 위치로 절환하면, 증폭부의 입력단이 개방상태로 되기 때문에, 좌우 스테레오 입력신호에 센터 입력신호의 전역을 가산할 수 있다. 또한, 절환 스위치를 와이드 위치로 절환하면, 증폭부의 입력단에 센터 입력신호의 전역을 접지하는 콘덴서가 접속되므로, 가산이 행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증폭부의 입력단에 접속된 절환 스위치를 절환할 뿐만 아니라 3개의 모드 선택을 행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로, (26)은 좌 스테레오 입력신호(L)가 인가되는 제1입력단자, (27)은 센터 입력신호(C)가 인가되는 제2입력단자, (28)은 우 스테레오 입력신호(R)가 인가되는 제3입력단자, (29)는 상기 좌 스테레오 입력신호(L)와 센터 입력신호(C)와의 가산을 행하는 제1가산 증폭회로, (30)은 상기 우 스테레오 입력신호(R)와 센터 입력신호(C)와의 가산을 행하는 제2가산 증폭회로, (31)은 정 및 부 입력단자가 각각의 저항(32 및 33)을 통해서 제2입력단자(27)에 접속된 반전 증폭회로, (34)는 이 반전 증폭회로(31)의 정 입력단자에 접속된 절환 스위치, (35)는 이 절환 스위치(34)의 제2고정단자에 접속되고, 센터 입력신호의 고역성분을 접지하는 제1콘덴서, 및 (36)은 상기 절환 스위치(34)의 제3고정단자에 접속되고, 센터 입력신호의 전역을 접지하는 제2 콘덴서이다.
현재, 절환 스위치(34)의 가동 접점이 제2고정 접점에 접속되고, 노말 모드의 선택이 행해지고 있다고 하면, 센터 입력신호의 전부가 저항(32)를 통해서 반전 증폭회로(31)의 부 입력단자에 인가됨과 동시에, 상기 센터 입력신호의 저역성분만이 반전 증폭회로(31)의 정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그때, 상기 반전 증폭회로(31)의 부 입력단자와 출력단자와의 사이에는 귀환 저항(36)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반전 증폭회로 (31)은 부 귀환 증폭회로로서 동작하고 제2출력단자(39)에 반대극성의 센터 입력신호 고역성분(CH)이 발생한다. 상기 반대극성의 센터 입력신호 고역성분은 가산 저항(37 및 38)에 의하여 센터 입력신호와 가산되므로, 결과로서 센터 입력신호 저역성분(CL)이 제1가산 증폭회로(29)에 인가되고, 좌 스테레오 입력신호(L)와 가산된다. 그 결과, 제1출력단자(40)에는 좌 스테레오 입력신호(L)와 센터 입력신호 저역성분(CL)과의 합신호 Lo(=L+CL)가 발생한다. 동일하게, 제3출력단자(41)에는 우 스테레오 입력신호(R)와 센터 입력신호 저역성분(CL)의 가산신호 Ro(=R+CL)가 발생한다.
따라서, 노말 모드 있어서는, 센터 입력신호의 저역성분이 좌우 스테레오 입력신호에 가산되게 되고, 특히 센터 스피커로서 저음이 나오지 않는 소형의 것을 사용한 경우에, 저역보상을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절환 스위치(34)의 가동 접점이 제1고정 접점에 접속되고, 팬텀 모드의 선택이 행해졌다고 하면, 센터 입력신호가 반전 증폭회로(31)의 정 및 부 입력단자에 동시에 인가되고, 상기 반전 증폭회로(31)의 출력단자에는 출력신호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센터 입력신호(C)는 각각의 가산 저항(37,38,42 및 43)을 통해서 제1 및 제2가산 증폭회로(29 및 30)에 인가되고, 좌우 스테레오 입력신호(L 및 R)와 가산된다. 그 결과 제1출력단자(40)에 좌 스테레오 입력신호(L)와 센터 입력신호(C)와의 합신호 Lo(=L+C)가, 제3출력단자(41)에 우 스테레오 입력신호(R)와 센터 입력신호(C)와의 합신호 Ro(R+C)가 각각 발생하고, 제2출력단자(39)에는 출력신호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팬텀 모드에 있어서는, 센터 입력신호가 좌우 스테레오 입력신호에 가산되게 되고, 특히 센터 스피커를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에 매우 적합한 모드로 된다.
또한, 절환 스위치(34)의 가동 접점이 제2고정 접점에 접속되고, 와이드 모드의 선택이 행해졌다고 하면, 센터 입력신호가 반전 증폭회로(31)의 부 입력단자에만 인가되고, 상기 반전 증폭회로(31)의 출력단자에, 센터 입력신호의 반전신호가 얻어진다.이 반전신호는 가산 저항(37,38,42 및 43)에 의하여 센터 입력신호에 가산되므로, 상쇄되어 버린다. 그로 인해, 제1 및 제2가산 증폭회로(29 및 30)에는, 각각 좌우 스테레오 입력신호(L 및 R)가 출력신호(Lo 및 Ro)로서 발생한다.
또한, 제2출력단자(39)에는 센터 입력신호(C)가 출력신호(Co)로서 발생한다.
따라서, 와이드 모드에 있어서는, 좌우 스테레오 입력신호(L 및 R)와 센터 입력신호(C)가 각각 좌우 스테레오 출력신호(Lo 및 Ro)와 센터 출력신호(Co)로서 스피커에 인가되게 되고, 정상적인 써라운드 시스템이 구성된다.
제1 및 제2가산 증폭회로(29 및 30)에서 가산을 행할 경우, 가산시의 음량 증대를 초래하지 않도록, 좌우 스테레오 입력신호(L 및 R)에 대해서 센터 입력신호(C)의 레벨이 3dB 저하되어 가산된다. 이것은, 제1 및 제2가산 증폭회로(29 및 30)의 귀환 저항(44 및 45)와 가산 저항(37,38,42 및 43)과의 비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행해진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센터 입력신호를 가공해서 가산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킴에 있어서, 고역통과형의 반전 증폭회로만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특성 설정이 용이하게 되고, 변동이 적은 센터 모드 콘트롤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IC화에 있어서, 증폭부의 입력단자를 외부 부착 핀으로서 도출하고, 그곳에 절환 스위치를 접속할 뿐만 아니라 모드 절환을 행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센터 모드 콘트롤 회로는 IC화에 적합한 것이다.

Claims (5)

  1. 센터 입력신호의 저역성분을 좌우 스테레오 입력신호에 가산하는 노말 모드, 상기 센터 입력신호의 전역을 좌우 스테레오 입력신호에 가산하는 팬텀 모드, 및 상기 센터 입력신호를 좌우 스테레오 입력신호에 가산하지 않는 와이드 모드의 3개의 모드 절환을 행하는 센터 모드 콘트롤 회로에 있어서, 상기 센터 입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의 입력단에 접속된 절환 스위치, 및 상기 절환 스위치에 의하여 절환되는 콘덴서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 회로가 상기 절환 스위치를 절환 제어함으로써 상기 3개의 모드 절환을 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 모드 콘트롤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정 및 부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절환 스위치는 상기 정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정 입력단자를 개방상태, 고역통과 콘덴서로의 접속상태 및 저역통과 콘덴서의 접속 상태로 절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 모드 콘트롤 회로.
  3. 좌 신호 통로와 센터신호 통로 및 우 신호 통로, 상기 센터 신호 통로에 삽입된 고역통과 반전 증폭부, 이 증폭부의 입력신호와 출력신호 및 좌 신호 통로에 인가되는 좌 스테레오 입력신호를 가산하는 제1가산회로, 상기 증폭부의 입력신호와 출력신호 및 우 신호 통로에 인가되는 우 스테레오 입력신호를 가산하는 제2가산 회로, 및 상기 증폭부의 출력신호가 고역통과 신호, 전역신호 및 영 신호로 되도록 절화되는 절환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 모드 콘트롤 회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모드 콘트롤 회로는 단일 집적 회로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절환 스위치는 상기 집적 회로의 외부 부착 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 모드 콘트롤 회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모드 콘트롤 회로는 단일 집적 회로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절환 스위치는 상기 집적 회로의 외부 부착 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 모드 콘트롤 회로.
KR1019890011444A 1988-08-12 1989-08-11 센터 모드 콘트롤 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9600024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3-2022225 1988-08-12
JP63-202225 1988-08-12
JP63202225A JPH0720319B2 (ja) 1988-08-12 1988-08-12 センターモードコントロール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218A KR900004218A (ko) 1990-03-27
KR960002472B1 true KR960002472B1 (ko) 1996-02-17

Family

ID=16454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444A Expired - Fee Related KR960002472B1 (ko) 1988-08-12 1989-08-11 센터 모드 콘트롤 회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980915A (ko)
EP (1) EP0354517B1 (ko)
JP (1) JPH0720319B2 (ko)
KR (1) KR960002472B1 (ko)
CA (1) CA1302298C (ko)
DE (1) DE68919937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718A (ko) * 2001-07-10 2003-01-23 주식회사 메데스코리아 고형비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8200A (ja) * 1989-03-01 1990-09-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響再生システム内蔵型テレビセット
JPH03236691A (ja) * 1990-02-14 1991-10-22 Hitachi Ltd テレビジョン受信機用音声回路
GB2244629B (en) * 1990-05-30 1994-03-16 Sony Corp Three channel audio transmission and/or reproduction systems
US5251260A (en) * 1991-08-07 1993-10-05 Hughes Aircraft Company Audio surround system with stereo enhancement and directivity servos
JPH0531493U (ja) * 1991-09-30 1993-04-23 株式会社ケンウツド Avアンプのヘツドホン出力回路
US5420929A (en) * 1992-05-26 1995-05-30 Ford Motor Company Signal processor for sound image enhancement
ES2149235T3 (es) * 1993-01-22 2000-11-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Transmision digital en 3 canales de señales estereofonicas izquierda y derecha y una señal central.
US5530760A (en) * 1994-04-29 1996-06-25 Audio Products International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levels between channels of a sound system
US6240189B1 (en) 1994-06-08 2001-05-29 Bose Corporation Generating a common bass signal
US5661808A (en) 1995-04-27 1997-08-26 Srs Labs, Inc. Stereo enhancement system
US5850453A (en) 1995-07-28 1998-12-15 Srs Labs, Inc. Acoustic correction apparatus
US5970152A (en) * 1996-04-30 1999-10-19 Srs Labs, Inc. Audio enhancement system for use in a surround sound environment
US5912976A (en) * 1996-11-07 1999-06-15 Srs Labs, Inc. Multi-channel audio enhancement system for use in recording and playback and methods for providing same
US6281749B1 (en) 1997-06-17 2001-08-28 Srs Labs, Inc. Sound enhancement system
US7010131B1 (en) * 1998-05-15 2006-03-07 Cirrus Logic, Inc. Quasi-differential power amplifier and method
US6782111B1 (en) * 1998-07-09 2004-08-24 Bose Corporation Multiple voicecoil and driver transducing
US7031474B1 (en) 1999-10-04 2006-04-18 Srs Labs, Inc. Acoustic correction apparatus
EP1096829B1 (en) * 1999-10-26 2003-09-24 Jan R. Coyle System for transcription and playback of sonic signals
US7277767B2 (en) 1999-12-10 2007-10-02 Srs Labs, Inc.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streaming audio
JP4326135B2 (ja) * 2000-10-20 2009-09-02 ローム株式会社 重低音ブースト装置
US20040151330A1 (en) * 2003-02-04 2004-08-05 Lehmkuhl John E. Audio interface device for public address systems
US8050434B1 (en) 2006-12-21 2011-11-01 Srs Labs, Inc. Multi-channel audio enhancement system
FR2936117B1 (fr) * 2008-09-18 2010-10-0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Circuit d'amelioration de la rejection des parasites de liaisons semi-differentielles d'un etage d'entree d'un equipement de traitement audio
JP5564803B2 (ja) * 2009-03-06 2014-08-06 ソニー株式会社 音響機器及び音響処理方法
CN103329571B (zh) 2011-01-04 2016-08-10 Dts有限责任公司 沉浸式音频呈现系统
US9823892B2 (en) 2011-08-26 2017-11-21 Dts Llc Audio adjust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6424A (en) * 1958-09-09 1962-01-09 Telefunken Gmbh Monaural and binaural sound system
JPS5145503A (en) * 1974-10-16 1976-04-19 Sansui Electric Co Matorikusu 4 channeruyodekooda
US4615043A (en) * 1984-12-24 1986-09-30 Don Latshaw Triphonic sound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718A (ko) * 2001-07-10 2003-01-23 주식회사 메데스코리아 고형비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20319B2 (ja) 1995-03-06
US4980915A (en) 1990-12-25
EP0354517B1 (en) 1994-12-14
KR900004218A (ko) 1990-03-27
EP0354517A2 (en) 1990-02-14
CA1302298C (en) 1992-06-02
JPH0250700A (ja) 1990-02-20
DE68919937D1 (de) 1995-01-26
EP0354517A3 (en) 1991-09-18
DE68919937T2 (de) 1995-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2472B1 (ko) 센터 모드 콘트롤 회로
JPS6028310A (ja) 電子ボリユ−ム
US4191852A (en) Stereophonic sense enhancing apparatus
US4394537A (en) Sound reproduction device
KR0135286B1 (ko) 스테레오 확대 회로 선택 장치
KR20010007260A (ko) 스테레오 신호 처리 장치
KR0163436B1 (ko) 음향부가회로
KR100307301B1 (ko) 공간스테레오신장기를갖는음성신호처리장치
US4432097A (en) Tone control circuit
US6754350B2 (en) Surround reproducing circuit
JP3359046B2 (ja) 音声出力装置
US6697612B2 (en) Receiving section of a telephone
KR930004589Y1 (ko) 마이컴을 사용하는 오디오 시스템의 스위치회로
KR920002124Y1 (ko) 음향기기의 모드 제어회로
KR100193536B1 (ko) 위성 수신기의 오디오 신호 선택회로
KR900006055Y1 (ko) 오디오 시스템의 서라운드 효과음 발생회로
JPH01298817A (ja) トーンスケルチ回路
KR900001740Y1 (ko) 서라운드회로의 자동제어 회로
JP2000152366A (ja) 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
KR900006019Y1 (ko) 써라운드 모드 절환에 따른 외부 스피커 절환회로
JPH04137903A (ja) 音声信号増幅回路
JP3013610B2 (ja) ステレオ、モノラル両用サラウンド回路
KR200147767Y1 (ko) 모노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
KR0139882Y1 (ko) 캠코더의 내부 노이즈 제거회로
JP2003101351A (ja) 音声信号切換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9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002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00218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