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2188B1 - 활성성분을 이용한 전달부형제로써 제어타임 릴리이즈에 의해 활성성분을 전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활성성분을 이용한 전달부형제로써 제어타임 릴리이즈에 의해 활성성분을 전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188B1
KR960002188B1 KR1019870006136A KR870006136A KR960002188B1 KR 960002188 B1 KR960002188 B1 KR 960002188B1 KR 1019870006136 A KR1019870006136 A KR 1019870006136A KR 870006136 A KR870006136 A KR 870006136A KR 960002188 B1 KR960002188 B1 KR 960002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ingredient
beads
porous
porous network
delive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6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0148A (ko
Inventor
원 리챠드
Original Assignee
어드반스트 폴리머 시스템즈 인코오포레이티드
헬렌 씨. 레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드반스트 폴리머 시스템즈 인코오포레이티드, 헬렌 씨. 레옹 filed Critical 어드반스트 폴리머 시스템즈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19870006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188B1/ko
Publication of KR890000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18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2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01N25/10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nufacturing Of Micro-Capsul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활성성분을 이용한 전달부형제로써 제어타임 릴리이즈에 의해 활성성분을 전달하는 방법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활성성분을 전달하기 위한 타임 릴리이즈(time release)법에 사용된 전달부형제및 이러한 부형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약제학, 농업 및 수의학의 응용을 포함하여 현재 많은 응용에 이용되고 있는 많은 종류의 제어탈형 제품이 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활성성분은 시간이 경과하면 탈형된다.
활성성분은 피복물질(예컨대, 구형, 입단형, 복수코팅 또는 환제), 고용체(예컨대, 구슬형, 필름, 붕대형 또는 입방체), 조성물(예컨대, 구형, 정제, 환제또는 스트립), 용기(예컨대, 캡슐,엠푸울제또는 캐필러리), 및 조합물(예컨대, 액체내, 캡슐내 또는 환제내)과 같은 여러가지 매체내에 포함될 수 있다.
마이크로캡슐화는 타임 릴리이즈 전달부형제를 제조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캡슐화는 코팅의 파괴나 용해에 의해서 탈형되는 활성성분을 포함하기 위하여 코팅을 이용한다.
또한 코팅이나 막은 활성성분이 마이크로캡슐로부터 방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반투과성 또는 다공성이다.
미국특허, 제4,322,311호는 반투과성 또는 제어다공성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는 캡슐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활성성분과 제1용액에서의 단량체는 소수성 용매내에서 유화된다. 소수성 용매내에 가용성인 제1단량체를 보충하는 단량체는 수성 소적(小滴)에 대해서 계면중합을 개시하도록 유탁액에 부가된다. 반응중에, 제1단량체에 대한 연속상의 친화도는 그 극성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연속상에 용매를 부가시킴으로써 변화시킨다. 이는 다공성 막의 결과로부터 연속상으로의 확산을 증진시킨다.
이 특허가 아민단량체의 사용을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정도의 아민단량체가 마이크로캡슐내에 캡슐화되어 남게 된다.
다른 캡슐화 기술은 미국특허 제4,444,699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작은 캡슐이 한꺼번에 제조된다. 이 방법은 포름알데히드와 멜라민의 중축합 또는 메틸올 멜라민이나 에스테르화 메틸을 멜라민의 그 자체중합, 또는 수성 부형제내에서 그 저분자량 고분자를 이용하며, 이 반응은 다가 전해질물질 및 염의 존재하에서 행해진다. 그러나 이 방법은 건강문제를 일으킬 포름알데히드의 잔사를 전형적으로 남긴다.
기타 캡슐화 기술의 실시예가 미국특허 제4,324,683, 4,353,809, 4,353,888, 4,353,962, 4,391,909, 4,396,670, 4.407,957, 4,439,488 및 4,464,27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은 한정된 기계적 강도를 가지고, 막이 파괴될 때 활성성분이 전부 즉시 탈형된다.
이 한정된 기계적 안정성은 마이크로캡슐을 매체속으로 동합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키고 또한 이러한 전달부형제의 저장 수명을 한정한다.
또한 마이크로캡슐은 전형적으로 화학적 안정성의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는 반응성기를 함유하고 있다.
활성성분에 대한 다른 전달부형제는 미국특허 제3,985,298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활성성분을 모든 또는 부분적인 액상인 셀루로오스 고분자-액상 조성물내 및 그 속으로 침투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활성성분은 활성성분이 제거될 때 수축되거나 붕괴되는 겔 매트릭스(gel matrix)로부터 탈형된다. 겔 구조는 기계적으로 강하지 않기 때문에 미세구와 관련된 기계적인 문제를 야기시킨다.
따라서 제어-탈형 응용에 유용한 높은 기계적강도를 갖는 경제적인 타임-릴리이즈 전달부형제가 필요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제어타임 릴리이즈에 의해서 활성성분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방법에 유용한 문제의 조성물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공 망상구조내에 활성성분을 보유하는 다공 망상구조를 갖는 중합체 비이드로 구성된 전달부형제는 활성성분의 제어타임 릴리이즈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활성성분은 윤활제, 점활약, 습윤제, 안료, 곤충이나 벼룩 방충제, 향료, 비타민, 기타약제기능성분 등이 있다. 전달부형제는 겔, 크림, 로션, 연고, 액체류와 같은 매체내에 합체되어 표면에 적용된다. 활성성분은 다시 압력, 확산, 또는 휘발에 의해서 탈형된다. 그래서 전달부형제는 활성성분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법에 의해 바람직하게 탈형될 수 있도록 광범위한 응용에 대한 용도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따른 전달부형제는 마이크로캡슐이나 겔 전달부형제에 대해서 기계적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에 따른 전달부형ㅇ제는 마이크로캡슐이나 겔 전달부형제에 대해서 기계적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에 따른 비이드의 다공 망상구조는 종래 기술의 전달부형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삼투압 현상과 무관하다. 또한 증가된 기계적 안정성은 종래기술의 겔 또는 마이크로캡슐화 전달부형제를 파괴하거나 손상을 주는 기계적인 교반과 같은 보다 심한 조건하에서 전달부형제를 제조하고 진행하며 취급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전달부형제는 종래기술의 전달부형제를 더 어렵고 고가로 합체시키는 것보다 어떤 매체내에서 용이하게 합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달부형제가 스티렌 및 디비닐벤젠으로부터 중합될 때, 전달부형제는 스티렌 디비닐벤젠 중합체 비이드가 반응성기를 포함하지 않고 벤젠링을 갖는 탄화수소로 필수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종전의 전달부형제에 대해서 더 큰 화학적 안정성을 갖는다. 스티렌 디비닐 벤젠 중합체 비이드는 반응성기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비이드는 불필요한 반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없고 비이드는 매우 넓은 pH 범위에서 안정하며, 비이드는 보통의 산화 및 환원반응에 저항성이 크고, 비이드는 더 높은 온도에 안정하며, 비이드는 습기에 의해 손상되지 않고, 비이드는 더 긴 저장수명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몇몇 전달부형제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스티렌 디비닐벤젠 중합체 비이드는 피부에 바를때 독성, 자극 등의 문제를 야기시키는 어떤 반응성기나 중합체를 함유하지 않는다.
전달부형제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면, 활성성분은 비이드의 중합중에 다공 망상구조에 걸리게 된다. 그래서, 활성성분을 이미 형성된 매트릭스 속으로 흡수하는 방법과는 달리 본 발명의 전달부형제내의 활성성분은 다공 망상구조 전체를 통하여 실제로 균일한 농도를 갖는다.
이 균일성은 일정시간에 걸쳐서 다공 망상구조로부터 활성성분의 더 제어된 타임 릴리이즈를 생성하도록 한다. 나아가서, 본 발명의 전달부형제는 마이크로캡슐화된 전달부형제의 막이 파괴될 때 전체의 탈형에 비해서 일정시간에 걸쳐 지속된 탈형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전달부형제의 다른 잇점은 미반응 단량체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래서 마이크로캡슐화 전달부형제에서 막 내부에 활성성분과 함께 캡슐화되기 때문에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 문제는 특히 심한 건강문제를 발생시키는 우레아-포름알데히드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하는 몇몇 종래기술의 전달부형제에 있어서 특히 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시간에 걸쳐서 제어타임 릴리이즈에 의한 활성성분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형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목적 및 잇점은 하기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관련된 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자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활성성분은 제어타임 릴리이즈에 의해서 다공 망상구조로부터 탈형된다.
활성성분은 어떤 기능을 수행하도록 다공 망상구조로부터 탈형되는 기능성분 또는 성분으로 정의된다.
예를들어, 활성성분이 피부병 치료에 사용되는 약일때, 활성성분은 항전염제(예컨대 항생제, 살균제, 이 또는 홈살충제, 또는 요오드와 같은 항전염제), 항염제, 진양약, 수렴제, 지한제, 각질용해약 및 부식제, 각질 연화제, 발적제, 일광차단제, 착색제, 점활약, 보호제및 세제로 구성되어 있다. 피부병 치료에 사용되는 것외에, 활성성분은 여러가지 형태의 기타응용 예컨대 화장품, 미용 및 화장용에 응융되고, 그 활성성분을 겔, 크림, 로션, 연고, 액체류와 같은 미체에 같이 사용된다.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전달부형제는 손크림, 여드름제품, 방취제, 지한제, 베이비파우더, 후트파우더, 립아이스, 립스틱, 베이비크림 및 로숀, 마우스워쉬, 치약, 치료용 안면크림 및 로숀, 샴푸, 세이빙크림, 세이브전후로션, 탈모제및 머리손질약품과 같은 미용제품속에 사용된다. 활성성분은 담체가 시약을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시약과 담체로 구성되고 시약은 기능성분이다.
그래서 예컨대 시약은 시약내에 부유된 고형성분이다. 따라서, 활성성분이란 활성성분이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비이드의 다공 망상구조내에 보유되는 한 전범위에 걸친 가능한 조성물 또는 물질을 망라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달부형제는 자유라디칼 현탁중합법에 의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합체를 중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한쌍의 공단량체 또는 단량체, 또한 활성성분인 불활성 포로겐내에 용해되어 하나의 상내에 현탁된 용액 또는 그 용액에 양립할 수 없는 용매를 형성한다. 상이나 용매의 한 예로는 부가제로 안정화된 물이 좋다. 상내에 그 용액을 현탁시킨 후, 그 용액 및 상을 교반하여 상내에 부유된 용액의 복수개의 소적을 형성한다. 복수개의 소적을 형성한 후에, 복수개의 소적내의 단량체 또는 단량체들은 활성화 되어 하나의 단량체가 가교결합된 중합반응을 개시하거나 또는 둘 또는 그 이상의 단량체는 중합하여 다공 망상구조내에 보유된 포로겐과 망상구조를 갖는 다공 비이드를 형성한다.
이 활성화는 단량체 용액내에 용해될 수 있는 개시제에 의해서 개시된다.
또한 활성화는 방사와 같은 에너지원에 의해서도 개시된다. 불활성 포로겐은 중합중에 내부 희석제의 역할을 하여 후처리된 전달부형제속에 다공 망상구조 또는 소망의 스폰지와 같은 거대 다공구조를 도입시킨다.
불활성 포로겐은 중합중에 존재하는 단량체와 반응해서는 안되고, 또는 중합을 방해해서는 안된다. 전달부형제의 비이드는 불활성 포로겐내에서 팽윤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한다.
다공 비이드의 형성후, 비이드는 상으로부터 분리되어 세척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정제를 거쳐서, 비이드로부터 어떤 미반응 단량체나 불순물을 제거한다. 비이드의 정제는 각각의 비이드에 있어서 다공 망상구조로부터 포로겐을 제거하도록 설계되어서는 안된다. 정제후, 비이드는 건조시켜서 비이드가 타임 릴리이즈 전달부형제로서 사용될 때 활성성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다공 망상구조내에 포로겐을 보유한 비이드로 구성된 파우다와 같은 물질을 얻는다.
본 발명의 제법은 실제로 구형으로 생각되는 비이드의 다공성과 입자직경을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동일한 중합조건에서, 다공성은 실측 또는 이론적인 가교 결합도를 증가하거나 또는 용액내의 포로겐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증가된다. 다공성에서의 증가는 비이드내에 보유될 수 있는 포로겐의 중량%와 비이드의 표면면적을 증가시킨다.
동일한 중합조건하에서 입자직경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내의 분산제의 교반 또는 농도를 증가시켜야 한다. 비이드의 다공성 및 입자직경을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하기 적절한 전달부형제가 생성된다. 일반적으로, 비이드는 약 10 내지 100미크론의 직경을 갖고 약 10%를 초과한 계산치 가교결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성분은 조성물 또는 중합체 비이드와 활성성분으로 구성된 전달부형제의 전중량에 대해 약 5 내지 60% 사이에서 구성되어야 한다.
조성물이 활성성분의 제어타임 릴리이즈를 제공하기 위한 전달부형제로서 사용되기 위해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가를 알아보기 위해, 그 조성물을 습윤시험을 한다. 조성물이 실제로 모든 활성성분이 비이드가 비이드를 습윤시키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활성성분이 용해될 수 있는 용매내에 위치할 때 다공 망상구조로부터 탈형될 수 있도록 계산치 가교결합 밀도와 활성성분농도를 갖는다면, 그 조성물은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습윤시험은 활성성분의 최초량을 함유하고 있는 시험물질의 건조샘플을 중량 측정함으로써 행해진다. 건조샘플은 활성성분이 습윤 샘플을 형성하도록 용해될 수 있는 용매와 혼합한다. 건조샘플이 본 발명에 따른 전달부형제로 구성된 경우에 습윤샘플은 다시 충분한 시간동안 교반하여 비이드를 습윤시킨다.
용매속으로 탈형된 활성성분의 양을 다시 측정한다. 용매속으로 탈형된 활성성분의 양은 실제로 건조샘플이 주로 전달부형제로 구성된 경우에 활성성분의 최초의 양과 같고, 반면에 탈형된 양은 건조샘플이 겔제품 또는 마이크로캡슐화 제품의 실제적인 양을 함유한다면 최초의 양보다 실제로 작게 된다.
본 발명의 공정은 계면중합에서 종종 사용되는 클로로포름이나 기타 염화 용매와 같은 비싸고 환경에 독성이 있는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서 행해질 수 있다. 나아가서, 다공 망상구조내에 보유된 포로겐을 잔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포로겐이 다공 망상구조로부터 제거되도록 용해시켜야 하는 부가 세척단계가 필요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정은 적절한 개시제와 상 또는 용매가 선택될 때 가능한 환경오염을 최소로 하고 매우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전달부형제를 이용하기 위하여, 전달부형제를 표면에 응용되는 혼합물을 형성하도록 매체와 혼합한다.
활성성분은 다시 에너지 또는 힘에 의해서 다공 망상구조로부터 탈형된다. 제어타임 리릴이즈는 확산 또는 휘발로써 행해지고, 이들 두 방법은 운동에너지에 변화하기 쉽다.
또한 활성성분은 압력과 같은 힘에 의해서 탈형된다. 압력탈형은 점차적으로 꾸준하게 진행된다. 또한 압력탈형은 다공 망상구조로부터 탈형된 활성성분의 농도를 변화할 간헐적인 압력에 의해서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달부형제는 비이드의 중합체 구조와 가교결합 또는 공중합도 때문에 기계적으로 감하게 된다. 이 비이드가 강성 스폰지 즉 집합적으로 다공 망상구조를 형성하는 랜덤공간 또는 구멍을 남게하는 3차원의 가교결합 또는 공중합에 의해 형성된 망상구조와 같이 형상화될 수 있는 것이다.
중합체 구조 또는 비이드는, 활성성분이 비이드의 중합중에 형성된 중합체 망상구조속으로 확산되고 외부힘이나 에너지가 중합 비이드내의 다공 망상구조로부터 포로겐을 탈형할 때까지 보유되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다공 망상구조내에 활성성분을 보유한다.
그러나, 물질이 상기 망상구조내에 보유될 때 중합체 망상구조가 붕괴되는 겔이 제거되거나 또는 탈형되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전달부형제는 포로겐이 다공 망상구조로부터 제거될 때 비이드의 붕괴 또는 실제적인 수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어진 활성성분 농도로써 전체의 구조나 비이드에 충분한 강도를 부여하도록 최소한의 계산치 가교결합도를 보유해야 한다.
본 발명은 나아가서 전달부형제가 스티렌 디비닐벤젠의 화학적 안정성 때문에 특히 바람직한 공단량체쌍인 스티렌과 디비닐벤젠으로부터 공중합되는 실시예를 예시한다.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듯이, 이 명세서에서 사용된 "디비닐벤젠"은 실제로 디비닐벤젠 및 에틸비닐벤젠의 혼합물인 상업용 디비닐벤젠 뿐아니라 순수한 디비닐벤젠을 포함하는 것이다. 기타 바람직한 공단량체 쌍은 비닐 스테아레이트와 디비닐벤젠,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에틸렌글리클 디메틸메타크릴레이트, 하기 실시예에서 활성성분과 포로겐은 많은 미용첨가물내의 특히 바람직한 습윤제인 광물유이다. 기타 유사한 습윤제는 식물유 또는 해바라기씨 기름 등이 있다.
[실시예 1]
교반기, 응축기, 온도계 및 질소입구가 설치된 2,000㎖ 4-지 플라스크를 비우고 질소를 충진시킨다.
900㎖ 탈이온수, 아라비아고무 7.2g 및 상표 마라스퍼스(Marasperse) N-22의 아메리칸 캔 회사제품인 리그노술포네이트 7.2g을 반응플라스크에 충진시킨다. 혼합물을 분산제가 하나의 상을 형성하도록 용해될때까지 약 60℃에서 오일통에서 교반하고 가열한다. 이 혼합물에 스티렌 90.8g(순도 99.8%), 상업용 디비닐벤젠 45.2g(디비닐벤젠 55.6%, 에틸비닐벤젠 42.3%), 벤조일 과산화물 2.5g(활성성분 70%와 물 30%), 및 광물유 146.0g의 새로 제조된 용액을 부가시킨다.
광물유는 벤조일 과산화물이 한 다량체내에 용해되지 않으면 벤조일 과산화물에 용이하게 용해하지 않기 때문에 광물유를 부가하기 전에 개시제인 벤조일 과산화물을 단량체내에 용해시킨다. 상과 용액은 기계적인 교반기에 의해서 교반시키고 그 교반속도는 5 내지 80미크론 범위의 소적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소적을 얻을 수 있도록 조절한다. 아라비아고무 및 리그노술포네이트는 복수개의 소적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반응 혼합물에 다시 95℃까지 가열하고 다공 망상구조내에 보유된 광물유로써 다공 망상구조를 갖는 스티렌 디비닐벤젠의 다공성 비이드를 형성하도록 조절된 교반속도에서 약 18 내지 20시간동안 그 온도로 유지시킨다. 다시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다공성 중합체 비이드를 여과하여 반응 플라스크로부터 제거하고, 초기에 3회 1리터의 물로써 세척하여 아라비아고무와 리그노술포네이트를 제거하고, 다음에 1리터의 메탄올로 3의 세척하여 잔류물 및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한다.
정제된 제품은 다시 건조시켜서 메탄올을 제거하고 그 결과 중합체 전달부형제는 그들의 거대 다공성을 나타내면서 백색이고 불투명하다.
정제비이드의 계산치 또는 이론적인 가교결합밀도는 18.5%이다. 이 밀도는 디비닐벤젠의 중량(45.2g)에 디비닐벤젠(0.556)의 순도를 곱함으로써 계산되어 단량체의 전체중량(45.2g+90.8g)으로 나눈 순수한 디비닐벤젠의 실제중량을 얻는다.
정제비이드의 샘플의 표면적은 B.E.T.법에 의해 측정되어 7.25m2/g이 되는 반면 공체적은 질소등온흡착법에 의해 측정되어 0.1028㎖/g이 된다.
B.E.T.법은 Brunauer, S. Emmet, P.H., 및 Teller, E.의 J. Am. Chem. Soc., 60, 309-16(1938)에 개시되어 있다. 질소등온흡착법은 Barrett, E. P., Joyner, L. G. 및 Helenda, P. P., J. Am. Chem. Soc., 73. 373-80(1951)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이들 방법에 서술된 샘플은 에틸아세테이트내에 광물유를 용해시킴으로써 제조하여 다공 망상구조로부터 광물유를 제거한다.
정제전달부형제의 샘플은 또한 습윤시험을 한다. 2.0g의 정제비이드를 정확하게 무게를 달고 250㎖ 유리 스토퍼가 있는 플라스크속에 넣는다. 스토퍼를 5±1분 동안 그 가장 높은 속도(10)에서 부렐(Burrel) 상표인 기계적 교반기 세트에 고정된 플라스크내에 다시 위치시킨다. 액체는 즉시 와트만 페이퍼 #54로 여과한다.
20㎖ 샘플을 피펫으로 제거하고 헥산이 기화할 때까지 가열램프하에 또는 스팀욕상에 위치시킨 무게를 측정한 유리용기속에 넣는다. 이 용기를 다시 30분간 105℃의 온도에서 유지시킨 오븐내에 넣는다. 이 용기를 다시 냉각시키고 무게 측정한다.
유리오일의 양을 아래와 같이 계산한다.
Figure kpo00001
유리오일(%)은 샘플의 전량의 50%이었다.
샘플 또는 전달부형제가 약 50중량%의 비이드 및 약 50중량%의 광물유로 구성되고, 실제로 모든 활성성분은 비이드의 다공 망상구조로부터 용매속으로 탈형된다.
비이드의 입자크기는 광학 현미경으로 측정한 결과 약 10 내지 30미크론의 범위내의 평균입자크기 직경으로 40미크론 이하이었다.
정제전달부형제의 다른 건조샘플을 캡이 달린 유리병속에 넣고 약 1년 동안 유리문이 달린 선반에 저장한다. 병은 공기가 밀폐가 된 것이다.
약 1년 후에 병을 열어서 샘플을 눈으로 관찰하였을 때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습윤시험은 병으로부터 얻어진 샘플상에서 행한다.
[실시예 2-4]
이들 실시예는 반응내에 이용된 광물유 및 단량체의 중량에 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반응조건과 동일하게 행해진다.
이들 값은 표 1에 설명되었다.
[표 1]
Figure kpo00002
실시예 2-4로부터 얻어진 샘플은 약 10 내지 50미크론의 범위내에 평균입자경을 갖는다.
이들 실시예로부터 샘플을 실시예 1에 설명된 습윤시험을 하고 실제로 모든 광물유는 각 실시예의 비이드의 다공 망상구조로부터 탈형된다.
각 실시예 2-4의 계산된 다공체적 표면적 및 가교결합 밀도는 실시예 1에 설명된 절차에 따라 얻어지고 이 데이타는 표 2에 설명되어 있다.
[표 2]
Figure kpo00003
[실시예 5]
이 실시예는 반응에 이용된 광물유 및 단량체의 중량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반응조건과 동일하게 행해진다.
이 실시예는 42.7g의 스티렌, 7.3g의 디비닐벤젠(DVB) 및 55.0g의 광물유를 사용하였다.
이론적인 가교결합 밀도는 8.0이고 표면적은 1.93m2/g인 반면 다공체적은 0.0284㎖/g이었다.
평균입자직경은 약 10 내지 50미크론의 범위이다.
그러나, 이 조성물의 샘플을 실시예 1의 설명된 습윤시험을 하였을 때, 유리오일의 양은 10%이고 조성물은 거대다공이 아닌 겔 비이드이고 본 발명의 제어타임 릴리이즈법에 사용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완전히 설명한 바, 특정한 조성물, 절차 방법 및 공정이 본 발명의 영역내에서 많은 방법으로 변형할 수 있다는 것을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하기 특허청구의 범위의 법적영역에 의해서 요구되는 것외에 특정한 조성물, 절차 또는 방법 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3)

  1. 불활성 포로겐내에 최소한 하나의 단량체를 용해시켜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용액과 양립할 수 없는 상내에 용액을 현탁시키는 단계, 그 용액 및 상을 교반하여 상내에 현탁된 용액의 복수개의 소적을 형성하는 단계, 복수개의 소적내에 최소한 하나의 단량체를 활성화시켜서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중합하고 포로겐의 제거시 실질적으로 붕괴되지 않는 다공 망상구조내에 포로겐을 보유한 다공 망상조직을 가진 다공성 비이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으로부터 다공중합체 비이드를 분리하는 단계, 다공중합체 비이드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전달부형제를 형성하기 위한 활성성분으로서 다공 망상구조내에 포로겐을 보유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탈형을 제어함으로써 활성성분을 전달하기에 유용한 타임릴리이즈 전달부형제를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단량체가 다공성 비이드를 형성하도록 가교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한쌍의 공단량체가 비이드를 형성하도록 공중합되고, 상기 공중합체 쌍은 스티렌과 디비닐벤젠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에틸렌글리콜 디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포로겐이 광물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 비이드가 약 10 내지 100미크론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 비이드가 약 10%를 초과한 계산치 가교결합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전달부형제는 다공 망상구조내에 보유된 활성성분을 갖는 다공 망상구조로 된 다공성 중합체 비이드로 구성되고, 상기 다공 망상구조는 활성성분을 제거할 때 실제로 붕괴되지 않는 것으로서, 상기 전달부형제를 매체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그 혼합물을 표면에 적용시키는 단계, 및 다공 망상구조로부터 활성성분을 탈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제어타임 릴리이즈에 의해서 활성성분을 전달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전달부형제가 약 10 내지 100미크론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활성성분이 전달부형제의 전중량의 약 5 내지 60%의 범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활성성분이, 압력, 확산, 또는 휘발에 의해서 탈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활성성분이 담체 및 시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활성성분이 다공 망상구조로부터 점차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탈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전달부형제는 다공 망상구조내에 보유된 활성성분을 갖는 다공 망상구조로 된 다공성 중합체 비이드로 구성되고, 활성성분이 비이드를 습윤되도록 충분한 시간동안 용해될 수 있는 용매내에 비이드를 넣을때 실제로 모든 활성성분이 다공 망상구조로부터 탈형될 수 있도록 상기 전달부형제가 계산치 가교결합밀도와 활성성분 농도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전달부형제와 매체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이 혼합물을 표면에 적용시키는 단계, 및 다공 망상구조로부터 활성성분을 탈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제어타임 릴리이즈에 의해서 활성성분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
KR1019870006136A 1987-06-17 1987-06-17 활성성분을 이용한 전달부형제로써 제어타임 릴리이즈에 의해 활성성분을 전달하는 방법 Expired - Lifetime KR960002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6136A KR960002188B1 (ko) 1987-06-17 1987-06-17 활성성분을 이용한 전달부형제로써 제어타임 릴리이즈에 의해 활성성분을 전달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6136A KR960002188B1 (ko) 1987-06-17 1987-06-17 활성성분을 이용한 전달부형제로써 제어타임 릴리이즈에 의해 활성성분을 전달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148A KR890000148A (ko) 1989-03-11
KR960002188B1 true KR960002188B1 (ko) 1996-02-13

Family

ID=19262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6136A Expired - Lifetime KR960002188B1 (ko) 1987-06-17 1987-06-17 활성성분을 이용한 전달부형제로써 제어타임 릴리이즈에 의해 활성성분을 전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18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148A (ko) 198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80304B2 (ja) 皮膚治療薬として有用なパウダー様組成物の製造方法
AU612839B2 (en) Porous particles in preparations involving immiscible phases
US5316774A (en) Blocked polymeric particles having internal pore networks for delivering active substances to selected environments
US5871722A (en) Ionic beads useful for controlled release and adsorption
US6726991B2 (en) Porous polymer particles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US4948818A (en) Method of making porous hydrophilic-lipophilic copolymeric powders
AU646414B2 (en) Erodible macroporous hydrogel particles and preparation thereof
US5677407A (en) Process for producing an oil sorbent polymer and the product thereof
US5208038A (en) Coacervated highly absorptive polymers
HK1007108B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controlled release of soluble active substances
HK1007109B (en) Erodible macroporous hydrogel particles and preparation thereof
EP0398538B1 (en) Method of making hydrophilic-lipophilic copolymeric powders
Leelarasamee et al. Kinetics of drug release from polylactic acid—hydrocortisone microcapsules
JPH0597710A (ja) 皮膚の治療方法及び組成物
US8684739B2 (en) Durable film coating compositions having sustained slow-release capability, and methods of use therefor
AU662181B2 (en) Ionic beads useful for controlled release and adsorption
KR960002188B1 (ko) 활성성분을 이용한 전달부형제로써 제어타임 릴리이즈에 의해 활성성분을 전달하는 방법
Zhou et al. Control release of prostaglandin E2 from polylactic acid microcapsules, microparticles and modified microparticles
EP0393510A1 (en) Method of making highly adsorptive copolymers
CA1283355C (en) Method for delivering an active ingredient by controlled time release utilizing a novel delivery vehicle which can be prepared by a process utilizing the active ingredient as a porogen
JPH066532B2 (ja) 親水性コロイドにより変性したワックス性微粉末
Eury et al. MicrospongeR Delivery Systems (MDS): A Topical Delivery System with Multiple Mechanism for Triggering the Release of Act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706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205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706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5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6011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04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07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607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1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1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