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2157Y1 - 록크부재가 설치된 스프링판 - Google Patents

록크부재가 설치된 스프링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157Y1
KR960002157Y1 KR2019900021504U KR900021504U KR960002157Y1 KR 960002157 Y1 KR960002157 Y1 KR 960002157Y1 KR 2019900021504 U KR2019900021504 U KR 2019900021504U KR 900021504 U KR900021504 U KR 900021504U KR 960002157 Y1 KR960002157 Y1 KR 9600021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late
bent
lock member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21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1707U (ko
Inventor
손성왕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이범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이범창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21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157Y1/ko
Publication of KR9200117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7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1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15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60J3/023Additional support bracket releasably holding the sun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60J3/0252Structure of the support arm
    • B60J3/026Structure of the support arm articulated, e.g. comprising pivot joints or lazy-tong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0/00Flexible or portable closure, partition, or panel
    • Y10S160/03Auto visors and glare sh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록크부재가 설치된 스프링판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판이 해체된 상태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판이 록크된 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판을 설치한 상태사시도
제4도는 종래 스프링판의 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스프링판을 설치한 상태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프링판 11 : 라운드부
12 : 평판부 13 : 모서리부
14 : 체결부 15 : 스테이
16 : 코아브라켓
본 고안은 록크부재가 설치된 스프링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썬바이저코아와 스태이를 결속시키는 스프링판에 록크부재를 설치하여 별도로 스프링판을 조일 필요없이 단번에 조립이 가능하도록 된 록크부재가 설치된 스프링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프링판은 첨부도면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련의 스프링판(31)을 중앙에 공간이 형성되게 두겹으로 접고 각 선단부에 구멍을 뚫어 리벳(32)을 관통시켜 스프링판(31)을 조립하였다. 이렇게 조립되는 스프링판(31)을 썬바이저 코아브라켓(33)과 스테이(34)의 결속부재로 사용한 사시도가 첨부도면 제5도이다.
제5도에는 두 개의 스프링판(31)이 스테이(34)가 관통하는 코아브라켓(33)를 감싸면서 체결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판(31)의 각 선단부는 리벳(32)으로 조립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프링판에 의한 체결형태는 스프링판의 선단부에 구멍을 형성해야 되며, 그 구멍을 통해 리벳을 삽입하여 고정시켜야 하므로 조립시간이 오래걸리게 되고, 부수적으로 리벳이 필요하며 이 리벳을 조립시킬 수 있는 장비도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단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스프링판의 양쪽선단부에 록크부재를 설치하여 스프링판의 조립시 부수적인 부품이 필요없이 단번에 조립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체결작업을 보다 간소화하고, 그에 따른 부품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록크부재가 설치된 스프링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스프링판에 있어서, 한쪽 선단부를 수직방향에 대해 약55도 각도로 안쪽으로 구부리고, 다른쪽 선단부는 직각방향으로 구부리되 구부러진 선단부의 끝부분이 윗쪽을 향하도록 다시 직각으로 구부려 양선단부가 서로 록크상태로 체결될 수 있도록 된 록크부재가 설치되는 스프링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판은 그 양선단부가 서로 맞물려 록크될 수 있도록 판을 구부려서 된 것으로서, 첨부도면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판이 록크도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부호 10은 스프링판이며, 부호11은 스프링판의 라운드부이고, 부호12는 스프링판의 평판부이다. 즉 판상의 스프링판을 구부리게 되면 상기와 같이 라운드부(11)와 평판부(12)가 생기게 되며, 본 고안에서는 라운드부(11)가 평판부(12)에 대해 약 12도정도 경사지게 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판(10)의 록크부재는 한쪽의 선단부가 상기의 평판부(12)와 약55도의 경사를 이룰수 있도록 안쪽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하고 있으며, 다른쪽 선단부는 직각방향으로 두 번 구부러져 있는 형상으로 된 것이다.
즉, 스프링판(10)의 한쪽 선단부는 상기의 평판부(12)에 대해 약55도의 각도로 안쪽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대체적으로는 V자형상을 갖게 된다. 이 V자형상의 록크부재는 모서리부(13)이 다른쪽 선단부와 체결되는 부분이 된다. 그리고 다른 쪽선단부는 평판부(12)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이면서 그 구부러진 형상의 끝부분이 다시 윗쪽을 향하도록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대체적으로 제1도와 같이 ㄷ자형상을 하게 되고 부호 14로 표시된 부분이 체결부이다.
따라서, 한쪽 선단부의 체결부(14)를 다른쪽 선단부에 있는 모서리부(13)에 체결시키게 되면 첨부도면 제2도와 같이 완전 록크되게 된다. 이때 스프링판(10)은 그 자체적으로 탄력성을 갖고 있으므로 이러한 록크상태는 인위적으로 해체시키기 전까지는 견고하게 록크되어 있게 된다. 첨부도면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판(10)을 스테이(15)가 관통하는 코아브라켓(16)에 체결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의 코어브라켓(16)의 둥근면에 스프링판(10)의 라운드부(11)가 밀착되게 하고 아래쪽에 있는 모서리부(13)에 체결부(14)를 끼우게 되면 간단한 조작으로 스프링판(10)을 록크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판은 종래와 같이 리벳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인해 부수적인 부품의 소비가 없게 되고, 또 그에 따른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간단한 조작으로 보다 쉽게 썬바이저와 스테이를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라운드부(11)와 평판부(12)를 갖는 스프링판(10)에 있어서,
    한쪽 선단부를 수직방향에 대해 약55도 각도로 안쪽으로 구부려서 된 모서리부(13)와 다른쪽 선단부를 직각방향으로 구부리되 구부러진 선단부의 끝부분이 윗쪽을 향하도록 다시 직각으로 구부려서 된 체결부(14)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의 체결부(14)를 모서리부(13)에 록크상태로 체결될 수 있도록 된 록크부재가 설치된 스프링판.
KR2019900021504U 1990-12-28 1990-12-28 록크부재가 설치된 스프링판 Expired - Fee Related KR9600021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1504U KR960002157Y1 (ko) 1990-12-28 1990-12-28 록크부재가 설치된 스프링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1504U KR960002157Y1 (ko) 1990-12-28 1990-12-28 록크부재가 설치된 스프링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707U KR920011707U (ko) 1992-07-24
KR960002157Y1 true KR960002157Y1 (ko) 1996-03-15

Family

ID=19308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21504U Expired - Fee Related KR960002157Y1 (ko) 1990-12-28 1990-12-28 록크부재가 설치된 스프링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1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707U (ko) 199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2118A (en) Clip for securing a panel to a support
US5033216A (en) Sign assembly
EP0387030A2 (en) Sign assembly
CA2005294A1 (en) Box support
US3948473A (en) Universal cable rack
US5474402A (en) Plasatic screen panel connecting device
US4383519A (en) Door frame and handle combination
KR960002157Y1 (ko) 록크부재가 설치된 스프링판
US5301250A (en) Optical fiber terminator
US5584157A (en) Structure of a door frame
DE69411562D1 (de) Schliessvorrichtung für ein paneel mit lösemitteln
US6243977B1 (en) Knockdown license plate frame
JP2526486Y2 (ja) パーティションのパネル構造
KR100405502B1 (ko) 하우징에의전방프레임부착장치
SU996754A1 (ru) Зажим дл углового соединени деталей,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дл деталей мебели
KR900007305Y1 (ko) 천정판 간받이의 연결부 캡
JPS6314333Y2 (ko)
KR102632575B1 (ko) 액자 프레임 조립체
JPH0322949Y2 (ko)
KR960009504Y1 (ko) 간판
KR100595002B1 (ko) 지지대의 체결구조
KR200143357Y1 (ko) 부채
KR940004151Y1 (ko) 하우스 4각 연결 밴드
JPH0453027Y2 (ko)
JP4091154B2 (ja) 冷蔵ショーケースのコーナ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01228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3122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1228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21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05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06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6062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3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3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21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1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