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1297Y1 - 인쇄회로기판용 전구 소켓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용 전구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297Y1
KR960001297Y1 KR2019930001346U KR930001346U KR960001297Y1 KR 960001297 Y1 KR960001297 Y1 KR 960001297Y1 KR 2019930001346 U KR2019930001346 U KR 2019930001346U KR 930001346 U KR930001346 U KR 930001346U KR 960001297 Y1 KR960001297 Y1 KR 9600012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iece
socket
groove
bulb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13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0979U (ko
Inventor
문삼현
Original Assignee
문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삼현 filed Critical 문삼현
Priority to KR20199300013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297Y1/ko
Priority to US08/191,432 priority patent/US5492477A/en
Publication of KR9400209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09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2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2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15Fastening arrangements intended to retain light sources
    • F21V19/002Fastening arrangements intended to retain light sources the fastening means engaging the encapsulation or the packaging of the semiconductor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9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baseless lamp bul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by means of a mount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용 전구 소켓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결합단면도.
제 3 도는 종래의 전구소켓의 결합단면도.
제 4 도는 (a)는 또 다른 종래의 전구소켓이고, 제 4 도 (b)는 제 4 도 (a)의 전구소켓의 결합단면도이고, 제 4 도 (c)는 종래의 리드선과 접속편의 결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 : 소켓본체 1' : 내주면
2, 102 : 접속편 3 : 마개
4 : 내부돌조 4' : 절결부
5 : 외주면 6, 106 : 환턱
7, 107 : 접속편홈 8 : 괘정홈
9, 109 : 고정돌기 10 : 수직홈
11 : 멈춤돌기 11' : 걸림부
12 : 수직돌기 13 : 원형돌기
15 : 몸체 16, 116 : 고정홈
17 : 지지대 18 : 요홈
20, 120 : 전구 21, 121 : 리드선
22 : 인쇄회로기판
본 고안은 전구소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쇄회로기판에 장착하기 쉽고 전구의 교체가 용이한 전구소켓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서는 제 3 도에서와 같이 전구(20)와 소켓(1)이 나합하게 되어있어, 전구의 제작시 전구하부에 나사홈을 형성함으로써 비경제적이고, 전구와 소켓이 나합되어 있어 사용대상이 움직임이 없는 정적인 곳에만 사용이 가능하고 움직임이 있는 동적인 곳에 사용시에는 전구와 소켓의 나합이 풀려 접점 불량이 발생하고, 소켓의 장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의 나합식 전구소켓이 경제적으로 비용이 많이 들고 그 결합이 쉽게 풀리는 단점이 있어 소켓의 사용없이 전구의 리드선을 기판위에 직접 납땜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전구가 파손되기 쉽고 또한 파손시 전구의 교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는 다른 제 4 도 (a)와 같은 전구용 삽입소켓으로서 , 제 4 도 (c)와 같이 전구의 리드선과 접속편과의 결합을 코킹(caulking)작업에 의해 먼저 수행한 후 제 4 도 (b)와 같이 이를 전구의 소켓에 삽입하도록 된 종래의 전구용 소켓에 있어서도 작업성의 효율이 매우 낮고, 삽입후에는 전구의 용이하지 않으며 부득이 하게 전구를 교체하는 경우에도 전구의 리드선과 접속편의 접점을 해제하는 과정에서 접속편이 부러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또한 진동이 심한 곳에서는 여전히 리드선과 접속편과의 접점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전구소켓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구의 고정수단을 소켓의 내부구조 및 마개에 의해 제공하고, 전구의 리드선연결수단을 접속편에 의해 제공하며, 이의 접점을 마개에 의해 확실히 확보할 뿐만 아니라 전구의 파손 또는 불량시에 이의 교체를 가능하게 하는, 소켓의 외부에 인쇄회호기판에 장착하는 수단을 형성하고 있는 인홰회로 기판용 전구소켓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구조는 원형통체의 소켓본체(1)와 그 내부에 설치되는 두개의 절곡된 접속편(2)과 본체(1)의 하부에 끼우고 빼는 것이 자유로운 마개(3)의 3요소로 구성되었으며, 상기의 소켓본체(1)은 내주면(1')에 수직방향의 내부돌조(4)가 다수 형성되고, 외주면(5)중앙에 환턱(6)이 형성되어, 상기의 환턱(6)상면의 양측단에 접속편홈(7)과 괘정홈(8)이 형성되어 상기의 접속편홈(7)상부의 외주면(5)에 절결부(4')를 형성하고, 상기의 괘정홈(8) 상부의 외주면(5)에는 고정돌기(9)를 형성하며, 환턱(6) 하부의 양측단에 수직홈(10)이 형성되고, 또한 환턱(6)의 하부로 부터 내부에 요홈(18)을 갖는 2개의 지지대(17)가 길이방향으로 원주면의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의 접속편(2)은 하부에 걸림부(11')가 형성되며, 접속편(2)의 하부 중앙에는 멈출돌기(11)가 형성되어 절곡된 상부가 접속편홈(7)위에 일정공간을 두고, 소켓본체(1)의 내주면(1')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홈(16)에 설치되고, 상기 마개(3)는 중앙 상면에 원형돌기(13)가 형성되고, 양단에 두 개의 수직돌기(12)를 스냅식으로 형성하여 상기의 수직홈(10)에 끼워서 된 인쇄회로기판용 전구소켓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소켓본체(1)와 접속편(2)과 마개(3)의 3요소로 구성된다. 상기의 소켓본체(1)는 원형통체이고, 내부의 지름이 전구(20)의 지름보다 조금 커서 전구(20)의 삽입이 가능하게 하고, 그 내주면(1' )에는 다수의 수직방향의 내부돌조(4)를 형성함으로써 전구(20)가 삽입된 후 움직이지 않게 하여 접점불량이 발생하지 않게한다. 그리고 본체 외주면(5)에는 인쇄회로기판(22)에 장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외주면(5) 중앙에 환턱(6)과 그 상부의 외주면(5)에 고정돌기(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환턱(6)에는 양단에 두개의 접속편홈(7)과 두개의 괘정홈(8)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의 고정돌기(9)에 의해 인쇄회로기판(22)에 삽입된 후 소켓부분(1)의 하부의 원주면에 형성된 양 지지대(17)를 엇갈리게 손으로 붙잡고 소켓본체(1)를 오른나사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기판에 형성된 괘정돌기가 괘정홈(8)에 삽입되어 괘정되는 한편 접속편홈(7)에 일정공간을 두고 설치되어 있던 접속편(2)이 인쇄회로기판(22)상의 도선(導線)과 탄성을 가지면서 밀착되게 됨으로써 전구소켓(1)의 장착이 완료되게 된다. 또한, 지지대(17)에 힘을 두어 왼나사방향으로 돌리면 기판(22)의 괘정돌기가 괘정홈(8)으로 부터 이탈되어 해정상태로 되어 소켓(1)을 기판(22)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손으로 하는 대신, 대칭되는 지지대(17)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18)에 플라이어를 삽입하여 괘정, 해정 상태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의 접속편(2)의 구조는 중심부의 상측부분에서 절곡되고 하부에는 몸체(15)의 폭보다 다소 넓은 폭을 갖는 쐐기형상의 걸림부(1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접속편(2)이 소켓본체(1)의 내부에 일단 설치되면 쉽게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접속편(2)하부에 멈춤돌기(11)가 형성되어 있어, 전구(20)의 소켓(1)내 삽입위치를 고정하는 한편 걸림부(11')의 하부와 함께 전구(20)의 리드선(21)과 접속편(2)의 접점을 형성하게 된다. 접속편(2)의 상부에 형성된 절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접속편홈(7)에 설치시 환턱(6)과 일정공간을 두고 설치됨으로써 소켓(1)을 인쇄회로기판(22)에 장착할 때 인쇄회로기판(22)에 형성된 도선과 접속편(2)간에 압착되도록 하여 접점을 형성함으로써 접점불량을 방지하는 한편 기판의 진동이 심한 곳에서도 접점분리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상기의 마개(3)는 중앙에 원형돌기(13)를 형성하여, 전구(20)를 소켓(1)에 삽입한 후 마개(3)를 삽입하게 되면 리드선(21)이 각각 분리되면서 접속편(2)에 밀착시켜 수직홈(10)으로 안내되게 한다. 마개(3)의 양단에 형성된 수직돌기(12)는 스냅식으로 형성되어 본체(1)의 수직홈(10)에 마개(2)를 끼울 때는 원형돌기(13)에 의해 안내된 리드선(21)이 접속편(2)에 의해 절곡되면서 멈춤돌기(11) 및 걸림부(11')의 하부와 접점을 형성하게 되며, 마개(3)의 압력에 의해 이 접점은 확실히 유지되고 리드선(21)이 고정된 전구(20) 또한 완벽하게 고정된다.
또한, 전구(20)의 불량이나 파손시에는 스냅식으로 끼워져 있는 마개(3)를 결합된 마개(3)와 소켓본체(1) 사이에 칼과 같은 도구를 삽입하여 소켓본체(1)로 부터 분리시키면 전구(20)는 결합상태에서 해제되므로 소켓본체(1)로 부터 용이하게 이탈되므로 이를 제거하고 새로운 전구(20)를 앞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소켓본체(1)내에 삽입후 마개(3)를 끼우면 전구(3)의 교체작업이 완료하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인쇄회로기판용 전구소켓의 작용효과를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전구소켓(1)은 전구(20)를 본체 내부의 멈춤돌기(11)까지 삽입한후 리드선(21)을 각각 수직홈(10)으로 분리하여 소정의 각도로 굽힌 뒤 마개(3)를 삽입함으로써 리드선(21)과 접속편(2)간에 전기적 접점을 형성시키고, 또한 마개(3)와 접속편(2) 및 수직홈(10)에 의해 리드선(21)을 압착시켜 전구(20)를 고정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전구(20)와 소켓(1)은 내주면(1')에 형성된 내부돌조(4), 접속편(2)에 형성된 멈춤돌기(11) 및 마개(3)에 의해 움직임이 없이 고정결합되게 됨과 동시에 접속편(2)과 리드선(21)간에도 마개(3)의 압력이 작용하므로 진동이 심한 곳에서도 접점불량없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종래에는 전구의 리드선과 접속편의 접점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해 접속편의 일부를 리드선에 코킹(caulking)시키는 방법을 취하여 전구를 접속편으로 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거나 매우 어려운 일이었으나, 본 고안은 단지 마개(3)를 소켓본체(1)로 부터 분리하여 전구(20)의 결합상태를 해제할 수가 있으므로 새로운 전구(20)의 교체가 극히 용이하여 소켓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종래기술에 비해서는 매우 경제적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인쇄회로기판용 전구소켓은 전구(20)와 소켓(1)이 본체(1)내주면(1')의 내부돌조(4)와 마개(3)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마개(3)의 삽탈에 의해서 전구(20)의 삽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움직임이 심한 자동차의 내부에서도 진동없이 안전하게 결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속편(2)과 마개(3)에 의해 전구(20)의 전기적 연결과 접속편(2)과 기판(22)사이의 전기적 연결도 접점불량이 발생되지 않게 밀착되게 결합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전구(20)를 소켓본체(1)내에 삽입하여 접속편(2)과 결합시키는 과정이 매우 단순하고 기계적이므로 그 작업성 또한 우수하며 자동화에도 작합하다.
한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생상비용이 적게들며 통상의 전구를 구조의 변경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전구의 파손시 그 교체가 용이한 점등의 여러효과가 있다.

Claims (1)

  1. 원형통체의 외주면(5) 중앙에 환턱(6)이 형성되고 환턱(6)상면의 양측단에는 접속편홈(7)과 괘정홈(8)이 형성되며 접속편홈(7)상부의 외주면(5)에는 절결부(4')가 형성되고, 괘정홈(8)상부의 외주면(5)에는 고정돌기(9)가 형성된 소켓본체(1)와 그 내부면(1')에 형성된 고정홈(16)에 설치되는 두개의 절곡된 접속편(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구를 삽입하기 위한 소켓에 있어서, 상기 소켓본체(1)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이 개방된 하부로 상기 소켓본체(1)와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마개(3)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본체(1)는 내주면(1')에 수직방향의 내부돌조(4)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환턱(6) 하부의 양측단에 수직홈(10)이 형성되며 상기 환턱(6)의 하부로 부터 내측에 요홈(18)을 갖는 2개의 지지대(17)가 길이방향으로 원주면의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편(2)은 하부에 쐐기형상의 걸림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편(2)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접속편(2)이 굽어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멈춤돌기(11)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편(2)의 상부는 접속편홈(7) 위에 일정공간을 둘 정도로 굴곡되어 상기 고정홈(16)에 설치되고; 상기 마개(3)는 중앙상면에 원형돌기(13)가 형성되고, 양단에 두개의 수직돌기(12)를 형성하여 상기의 수직홈(10)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전구소켓.
KR2019930001346U 1993-02-03 1993-02-03 인쇄회로기판용 전구 소켓 KR9600012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1346U KR960001297Y1 (ko) 1993-02-03 1993-02-03 인쇄회로기판용 전구 소켓
US08/191,432 US5492477A (en) 1993-02-03 1994-02-03 Miniature lamp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1346U KR960001297Y1 (ko) 1993-02-03 1993-02-03 인쇄회로기판용 전구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979U KR940020979U (ko) 1994-09-17
KR960001297Y1 true KR960001297Y1 (ko) 1996-02-12

Family

ID=19350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1346U KR960001297Y1 (ko) 1993-02-03 1993-02-03 인쇄회로기판용 전구 소켓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492477A (ko)
KR (1) KR96000129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8538B1 (en) * 1999-11-02 2002-12-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ube lamp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DE10305647B4 (de) * 2003-02-12 2004-12-30 Vossloh-Schwabe Gmbh Fassung für ein elektrisches Betriebsmittel
US20070169962A1 (en) * 2006-01-20 2007-07-26 Bao Ping International Co., Ltd. LED base structure
US20070232139A1 (en) * 2006-03-29 2007-10-04 Christiana Industries. Llc Curved tab for a lamp socket body
US20070253201A1 (en) * 2006-04-27 2007-11-01 Cooper Technologies Company Lighting fixture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17110A (fr) * 1967-02-03 1968-03-15 Seignol Douille de lampe amovible pour circuit imprimé
US3555341A (en) * 1968-02-07 1971-01-12 Wagner Electric Corp Rear loading panel lamp assembly
US3859554A (en) * 1968-05-13 1975-01-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ctric lamp with integral plastic base member
US4152622A (en) * 1977-06-24 1979-05-01 Wagner Electric Corporation Lamp-base assembly
US4593958A (en) * 1984-05-04 1986-06-10 Kabushiki Kaisha Toshiba Socket for baseless lamp
US5160277A (en) * 1990-04-04 1992-11-03 Cooper Industries, Inc. Snap-in lamp for printed circu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92477A (en) 1996-02-20
KR940020979U (ko) 199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16167B2 (ja) 大電流基板用コネクタ
KR970002441B1 (ko) Zif 소켓 및 그 제조방법
CA2006170C (en) Clamp type connection device
US6726496B1 (en) Adapter for a discharge lamp
US20050186813A1 (en) Electrical connector
US5695367A (en) Connector attachment component
CA2125798C (en) Connector attachment component
KR960001297Y1 (ko) 인쇄회로기판용 전구 소켓
JP2000133012A (ja) 多灯照明具の接続構造
US6540540B1 (en) Memory module socket with attachable latching appendages
US6607293B2 (en) Rear combination lamp
KR101653062B1 (ko) 전기 커넥터
DK2345840T3 (en) LAMP CONNECTION CLIPS
KR20030030898A (ko) 램프 소켓과, 램프 소켓 및 반사체로 이루어진 조립체
KR100684656B1 (ko) 천장매입형 등기구
US4938709A (en) Connection terminals for rigid-wire loop cartridge light bulbs
JPH0346472Y2 (ko)
JPS61195503A (ja) 照明器具
JPH0760706B2 (ja) 電気接続具
US5927998A (en) Socket for miniature lamp
KR200158830Y1 (ko) 콘센트의 코드 접속장치
KR0112969Y1 (ko) 전원 접속용 단자
KR200217962Y1 (ko) 접촉성을 개선한 표시벌브용 소켓
KR0134948Y1 (ko) 접속부가 개선된 형광등
JP4166739B2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3020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3020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50904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11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050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05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6052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2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209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2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