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1089B1 - 시스템 상태 감지 및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시스템 상태 감지 및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089B1
KR960001089B1 KR1019920015396A KR920015396A KR960001089B1 KR 960001089 B1 KR960001089 B1 KR 960001089B1 KR 1019920015396 A KR1019920015396 A KR 1019920015396A KR 920015396 A KR920015396 A KR 920015396A KR 960001089 B1 KR960001089 B1 KR 960001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mmc
module
management device
maintenance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5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15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0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089B1/ko

Links

Landscapes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시스템 상태 감지 및 시험장치
제1도는 종래의 원격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중 선로다중 접속장치(103)의 구체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시스템의 전체 블럭도.
제4도는 제3도중 선로 다중 접속장치(306)의 구체 블럭도.
제5도는 제4도중 선로 다중 접속장치(306)내의 상태감시 및 시험장치(405)의 구체 블럭도.
제6도는 상기 제5도중 선로 접속회로(504)의 구체 회로도.
본 발명은 공중 전화망(PSTN)을 이용하여 중앙국과 가입자댁내에 있는 각종 서비스 단말간에 통신을 수행하는 원격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스템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위한 시스템 상태 감시 및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및 홈 인텔리젼스(Home Intellige nce)등의 추세의 일환으로 원격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필요성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분야에 개시되어 있는 원격정보 서비스 시스템 내의 선로 다중 접속장치(103)에 대한 종래의 기술을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제1도의 원격정보 서비스 시스템내에서 컴퓨터 센터(108)와 멀티플렉서(117)간에 접속된 선로 다중 접속장치(103)는 제2도와 같이 컴퓨터 센서(108)내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데이타 및 어드레스 버스를 통하여 연결된 다수의 주모듈(201) 및 부 모듈(20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스템의 운용자가 각 모듈의 시험을 하기위해서는 MMC터미널(206)의 통신 단자(204)를 시험하고자 하는 모듈의 MMC단자 (202)에 반드시 연결해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의 종래 기술은 선로 다중 접속장치(103)가 다수의 모듈(201) 및 부모듈(203)로 구성되어 있는바, 각각의 모듈을 MMC터미널(206)로 시험하기 위해서는 각 모듈의 MMC단자(202)에 MMC터미널(206)의 통신단자(204)를 일일이 연결하여 주어야 하므로 이에 따른 시험 능율이 떨어질뿐만 아니라 선로 다중 접속장치(103)의 문을 그때마다 여닫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더우기, 선로 다중 접속장치(103)와 MMC터미널(206)과 거리가 먼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가 가중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보완적인 기능을 하는 다수의 장치들과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갖는 다수의 보드(Board)들로 구성된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정상적인 작동여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상태 감시 및 시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격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각 모듈에 대한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선로 다중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격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버스와 연결되며 각기 MMC단자(402)를 가지고 있는 주모듈 및 부모듈과 ; 상기 유지보수 관리장치(307)의 선로(308)로 부터 선로 선택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주모듈 및 부모듈중의 하나의 선택된 MMC단자(402)에 MMC선로(404)를 접속시킨후 상기 유지 보수 관리장치(307)의 MMC송수신선로(318)와 통신루프를 형성해주기 위해, 상기 선로(308)에 연결된 통신 인터페이스(502) 및 상기 MMC선로(404)와 상기 송수신 선로(318)간에 접속된 선로 접속회로(504)와 상기 선로 접속회로(504)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501)를 포함하는 상태감시 및 시험장치(405)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제3도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이 기술구성에 연결된 상태감시 및 시험장치와 유지보수 관리장치가 마련된다.
상기 상태감시 및 시험장치와 유지보수 관리장치의 접속에 따라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은 말끔이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시스템의 전체 블럭도로서, 중앙국인 컴퓨터센터 (301)는 라인(302)을 통해 공익회사의 단말(303)들과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제어명령에 의해 선로 다중 접속장치(306)를 통해 전화기(315,316)들의 가입자 댁내에 있는 유저단말(314)들로 부터 제공되는 서비스용 검침 및 경보 데이타를 받는다.
상기 전화기(315,316)들의 댁내 가입자는 통상시에는 분배기(311)를 통하여 기존의 통신 네트웍(309)과 연결되어 전화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선로 다중 접속장치(306)는 제4도에 나타나 있다.
제4도는 상기 제3도중 선로 다중 접속장치(103)의 구체 블럭도로서, 외부의 유지보수 관리장치(307)와의 연결관계를 나타내었다.
제4도에서, 주모듈(401) 및 데이타 및 어드레스 버스를 통하여 상기 주모듈 (401)과 연결된 부모듈(403)은 종래의 구성고 동일 또는 유사하지만, 상태 감시 및 시험장치(405)가 상기 유지보수 관리장치(307)간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상태 감시 및 시험장치(405)에 대한 세부 구성은 제5도에 나타나 있으며, 상기 장치(405)의 내부에 있는 선로 접속회로(504)는 제6도에 있는 구체도로서 나타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시스템의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MMC선로 접속을 선택적으로 하는 것을 설명하면,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선로 다중 접속장치 (306)는 주모듈(401)과 부모듈(403)이 다수 실장되어 있으며 유지보수 관리장치 (307 : Personal Computer)는 비교적 멀리 떨어져 설치되어 있다.
시험자가 시험을 필요로 하는 모듈을 유지보수 관리장치(307)에서 지정하면 유지보수 관리장치(307)는 해당 모듈을 선택 요구하는 명령을 통신 선로(308)을 통하여 상태 감시 및 시험장치(405)로 보낸다.
이 명령을 수신한 상태 감시 및 시험장치(405)는 해당 모듈을 선택하여 모듈의 MMC통신선로(404)를 유지보수 관리장치(307)의 MMC송수신선로(318)에 접속하여 시험자가 시험을 진행하도록 한다. 시험이 종료되어 시험자가 유지보수 관리장치에서 작업 종료를 하게되면 유지보수 관리장치는 시험종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태 감시 및 시험장치(405)에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상태 감시 및 시험장치(405)는 선택했던 선로를 해제하고 초기상태로 돌아가서 다음 명령을 기다린다.
상기 감시 및 시험장치는 MMC선로 접속을 위하여 제5도와 같이 구성되어 있음을 상기에서 설명하였다.
마이크로프로세서(501)는 통신 인터페이스(502)를 통하여 통신선로(308)와 접속되어 상기 유지보수 관리장치(307)와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01)는 유지보수 관리장치(307)로 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분석하고 선로 접속회로(504)를 구동시켜 해당하는 모듈의 MMC선로(404)를 선택하여 유지보수 관리장치(307)의 MMC송수신선로(318)에 선별적으로 접속하여 주도록 한다.
상태 감시 및 시험장치(405)의 선로 접속회로(504)는 제6도와 같은 구성을 하고있다. 다수의 모듈(401,403)로 부터 접속된 MMC선로(404)는 마이크로프로세서 (501)의 제어선(505,506)의 제어를 받아 송신선로(607)중 한선과 수신선로(608)중 한선을 선택하여 유지보수 관리장치(307)의 MMC송수신 선로(318)에 접속하여 준다.
선로 다중 접속장치(306)의 초기화 상태 및 평상(노말) 상태에는 유지보수 관리장치(307)의 MMC송수신 선로(318)를 상태감시 및 시험장치(405) 자체의 MMC선로(606)에 연결하여 놓을 수 있도록 제어선로(506)를 로직하이(LOGIC HIGH) 상태로 유지시켜주어, 선로 제어소자(603)는 오프(OFF)상태, 릴레이(604)는 온(ON)상태가 되게한다. 모듈의 MMC선로(404)를 선택하고자 할때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제어선(506)을 로직로우 상태를 유지시켜 선로 제어소자(603)은 온상태, 릴레이(604)는 오프상태가 되도록 한다.
선택되는 모듈의 MMC선로(404)와 제어선로(506) 및 선로선택 제어선로 (505)의 관계는 하기의 표-1과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1]
따라서, 상기의 MMC선로 선택 제어에 따라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되어진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선로 다중 접속장치(306)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와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는 유지보수 관리장치(307)에서 선로 다중 접속장치내의 여러 모듈의 상태를 시험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원격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유지보수 관리장치(307)와 접속되어 각 모듈의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선로 다중 접속장치에 있어서 ; 상기 원격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버스와 연결되며 각기 MMC단자(402)를 가지고 있는 주모듈 및 부모듈과 ; 상기 유지보수 관리장치(307)의 선로(308)로 부터 선로 선택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주모듈 및 부모듈중의 하나의 선택된 MMC단자(402)에 MMC선로(404)를 접속시킨후 상기 유지보수 관리장치(307)의 MMC송수신선로(318)와 통신루프를 형성해주기 위해, 상기 선로(308)에 연결된 통신 인터페이스(502) 및 상기 MMC선로(404)와 상기 송수신 선로(318)간에 접속된 선로 접속회로(504)와 상기 선로 접속회로(504)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501)를 포함하는 상태감시 및 시험장치(405)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다중 접속장치.
KR1019920015396A 1992-08-26 1992-08-26 시스템 상태 감지 및 시험장치 KR960001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5396A KR960001089B1 (ko) 1992-08-26 1992-08-26 시스템 상태 감지 및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5396A KR960001089B1 (ko) 1992-08-26 1992-08-26 시스템 상태 감지 및 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089B1 true KR960001089B1 (ko) 1996-01-18

Family

ID=19338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5396A KR960001089B1 (ko) 1992-08-26 1992-08-26 시스템 상태 감지 및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08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1497A (en) Alarm and test system for a digital added main line
US45515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 data message to a selected station during a silent interval between ringing
US5598455A (en) Alarm and test system for a digital added main line
JP2984685B2 (ja) 構内交換機、通信リンク試験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用装置
US4965795A (en) D channel monitor
KR930008709B1 (ko) 디지탈 전송 라인 루프 형성 방법 및 장치
KR930009857B1 (ko) 송신 및 수신 경로를 상호 접속하는 채널 장치
US4910729A (en) ISDN traffic generator adapter
US5115462A (en) Remotely controlled apparatus for conditioning telephone line exclusive of metallic DC bypass pair
US70396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ucting subscriber's phone testing remotely via the internet
KR960001089B1 (ko) 시스템 상태 감지 및 시험장치
JPS60158759A (ja) デイジタル交換システム用ループ分析試験装置
US47291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ervising the accessing and testing of communication systems
JP2580043B2 (ja) 自動検針システムにおける集中検針盤
JP2921744B2 (ja) 加入者線試験方式
KR910005332B1 (ko) 종합 원격정보 서비스 시스템
JP2008306762A (ja) 通信ネットワーク
KR910005334B1 (ko) 교환 시스템의 가입자 시험장치
KR940007981B1 (ko) Gci 모드를 이용한 선로코드가 2biq인 디지틀 가입자 정합회로
KR100342486B1 (ko) 다중화장치에서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의 디지털 루프캐리어서비스방법
CA2222850C (en) Repeater bipolar violation in-service detection system
KR0165080B1 (ko) 교환기 시스템의 가입자 선로 측정방법
KR0123257B1 (ko) 종합 정보 통신망 기본 속도 정합 회로 보드 테스트 지그 장치
KR940007984B1 (ko) 4b3t 방식의 가입자 정합회로
JP2877922B2 (ja) リモートメインテナンスのプロテクション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8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208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5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5122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03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04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604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2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