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0597Y1 - 자동차용 동력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동력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597Y1
KR960000597Y1 KR2019930012315U KR930012315U KR960000597Y1 KR 960000597 Y1 KR960000597 Y1 KR 960000597Y1 KR 2019930012315 U KR2019930012315 U KR 2019930012315U KR 930012315 U KR930012315 U KR 930012315U KR 960000597 Y1 KR960000597 Y1 KR 9600005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 shaft
sleeve
power steering
shaft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23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598U (ko
Inventor
이인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기아기공
김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기아기공, 김재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기아기공
Priority to KR20199300123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597Y1/ko
Publication of KR9500035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5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5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59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2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mechanical, e.g. using a power-take-off mechanism for taking power from a rotating shaft of the vehicle and applying it to the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5Boun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동력 조향장치
제 1 도는 종래 기술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 2 도는 종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어하우징 20 : 파위피스톤
30 : 워엄샤프트 32 : 단턱
40 : 섹터샤프트 50 : 스텁샤프트
60 : 슬리브 70 : 토오션바
80 : 로터 100 : 체결부재
110 : 셋팅핀
본 고안은 주행시 바퀴로부터 핸들에 전달되는 충격(킥백 : Kick Back)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핸들의 조향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자동차용 동력조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워엄샤프트의 중립위치의 셋팅작업 및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동력조향 장치는 여러가지 방식이 개발되어 있는데, 본 고안은 그중에서도 로터리 밸브 타입의 동력조향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지금까지 실시되고 있는 종래 기술의 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제 1 도와 같이 기어하우징(1)내를 좌측 및 우측유압실로 구분하는 파워피스톤(2)과, 파워 피스톤에 불나사 결합하는 워엄샤프트(3)와, 파워피스톤(2)의 워엄부에 결합되어 바퀴의 조향을 이루게 되는 섹터샤프트(4)와, 워엄샤프트(3)와 일측에 일체로 연장 구성되며 그 내측에 로터(8) 및 스텁샤프트(5)가 설치되는 슬리브(6)와, 일단은 워엄샤프트(3)에 연결되고 타단은 스텁샤프트(5)에 연결되어 스텁샤프트 회전시 소정의 비틀림 변위를 갖도록 된 토오션바(7)로 이루어지는 일체식 동력조향장치가 있는데, 이대 일체식이라 함은 워엄샤프트(3)와 슬리브(6)가 일체로 구성된 것을 편의상 명칭한 것으로, 상기 두 부재가 분리 구성된 것을 별체식이라 명칭하게 될 것이다.
상기 일체식 동력조향장치는 핸들의 회전에 따라 스텁샤프트(5)가 회전하게 되면 토오션바(7)에 의해 워엄샤프트(3)가 회전하여 파워피스톤(2)을 어느 일정방향으로 이동시키려는 힘이 발생되는데 이때 파워피스톤(2)은 바퀴가 지면에 접촉되어 있는 마찰력의 영향을 받는 섹터샤프트(4)에 의해 그 이동이 제한되어 결국 토오션바아(7)가 비틀리며 스텁샤프트(5)와 일치하고 로터(8)가 회전하여 선택된 방향으로 오일통로(9)가 열리며 유압이 파워피스톤(2)에 작용하여 파워피스톤(2)을 밀게 되므로 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섹터샤프트(4)가 회전하여 조향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체식 동력조향장치는 장착차체의 부피가 작고 워엄샤프트의 강성이 높은 장점이 있으나, 특수가공설비를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불량율이 높은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즉, 워엄샤프트와 슬리브가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인해 그 가공자체에 정밀도를 요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공작물의 크기거 커지게 되어 이를 가공시에 휨 또는 파손등이 발생되기 쉬우며 특히 워엄샤프트 중립위치의 셋팅이 곤란한 점등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고자 한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2-24817 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워엄샤프트와 슬리브를 이분 구성한 별체식 동력조향장치가 개발되어 있는데, 이는 제 2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상의 구조에 워엄샤프트(3)와 슬리브(6)를 이분 구성하되 이들을 상호 나사결합하고, 그 나사결합부위를 세트스크류로 고정시킨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별체식 동력조향장치에 있어서는 가공은 다소 용이하나 강성이 떨어지는 결점이 발생되고, 슬리브 내부의 유로홈과 워엄샤프트와의 정확한 결합위치설정을 위하여 드릴링(Drilling) 및 태핑(Tapping) 작업의 고도한 정밀도를 요하게 되어 가공 또한 그렇게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이 또한 워엄샤프트의 중립위치의 설정을 손쉽게 이룰 수 없는 문제를 그대로 갖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워엄샤프트의 강성을 높임과 동시에 중립위치의 설정을 용이하게 실시있을 수 있는 자동차용 동력조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워엄샤프트와 슬리브를 이분구성한 자동차용 동력조향장치에 있어서, 슬리브 내단 일측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워엄샤프트를 슬리브에 셋팅핀으로 결합하며, 워엄샤프트 주연에 끼워지는 체결부재를 구비하여 체결부재의 외경에 형성된 숫나사부를 슬리브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하되 체결부재의 선단이 워엄샤프트의 단턱을 가압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달성될 수 있다.
즉, 세팅핀에 의해 워엄샤프트와 슬리브를 정확한 중립위치에 셋팅한 후에 체결너트로서 두 부재를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써, 기어하우징(10) 내를 좌측 및 우측 유압실로 구분하여 파워피스톤(20)이 구비되고, 파워피스톤(20)에 불나사가 결합하는 워엄샤프트(30) 및 상기 파워피스톤(20)의 워엄부에 결합되어 바퀴의 조향을 이루게 되는 섹터샤프트(4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워엄샤프트(30)의 일측에는 내부에 로터(80) 및 스텁샤프트(50)가 설치되는 슬리브(6)가 구비되며, 일단은 워엄샤프트(30)에 연결되고 타단은 스텁샤프트(50)에 연결되어 스텁샤프트(50) 회전시 소정의 비틀림 변위를 갖도록 된 토오션바(70)를 갖춘 통상의 구조에 본 고안은 상기 슬리브(60) 내단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워엄샤프트(30)를 슬리브(60)의 암나사가 형성된 측으로 삽입 셋팅핀(110)으로 결합한 후에 내주연은 워엄샤프트(30)에 끼워지며 외주연에는 숫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60)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하는 체결부재(1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체결부재(100)의 선단은 나사결합시 워엄샤프트(30)에 형성된 단턱(32)을 가압 워엄샤프트(30)와 슬리브(60)를 견고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워엄샤프트(30)를 셋팅핀(110)으로서 슬리브(60)에 정확한 위치에 결합함으로써 워엄샤프트(30)의 중립위치를 정확히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체결부재(100)로써 워엄샤프트(30)를 슬래브(60)에 가압 체결토록 하여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동력조향장치는 워엄샤프트(30)와 슬리브를 이분 구성하되 이를 셋팅핀 및 체결부재로 가압 고정함으로써 중립위치의 셋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워엄샤프트의 강성을 높일 수 있게 된 유용한 효과를 갖게 된 것이다.

Claims (1)

  1. 워엄샤프트(30)와 슬리브(60)를 이분구성한 자동차용 동력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60)의 일측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워엄샤프트(30)를 슬리브(60)에 셋팅핀(110)으로 결합하며, 워엄샤프트(30) 주연에 끼워지며 외주연에는 숫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60)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하는 체결부재(100)를 구비하여 이 체결부재(100)의 선단은 나사결합시 워엄샤프트(30)의 단턱(32)을 가압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동력조향장치.
KR2019930012315U 1993-07-06 1993-07-06 자동차용 동력 조향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600005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2315U KR960000597Y1 (ko) 1993-07-06 1993-07-06 자동차용 동력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2315U KR960000597Y1 (ko) 1993-07-06 1993-07-06 자동차용 동력 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598U KR950003598U (ko) 1995-02-17
KR960000597Y1 true KR960000597Y1 (ko) 1996-01-18

Family

ID=19358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2315U Expired - Fee Related KR960000597Y1 (ko) 1993-07-06 1993-07-06 자동차용 동력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5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598U (ko) 199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1866B2 (en) Electronic power steering apparatus
KR880009834A (ko) 차량용 조향컬럼의 조향핸들 각위치 조절장치와 이 장치가 구비된 조향 핸들
KR960000597Y1 (ko) 자동차용 동력 조향장치
JPS6283246A (ja) テレスコピツクステアリング装置
JPH075083B2 (ja) 車両車輪操舵装置
KR970705493A (ko) 차량의 보조동력 조향을 위한 로타리 슬라이드밸브
JPS6149147B2 (ko)
KR100262425B1 (ko) 파워스티어링 장치
US6067713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rack and pinion steering gear
JP2535083Y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US5836401A (en) Driving mechanism for a pneumatic tool
JP6360446B2 (ja) ラック軸の押し付け機構
JP2001341656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ウォームギヤのバックラッシ調整装置
CA2276554A1 (en) Rear wheel steering device having fail-safe features
EP1010604A3 (en) Steering apparatus
EP0612649A1 (fr) Arbre de direction télescopique notamment pour véhicule automobile
EP0727340A1 (fr) Dispositif de montage d'un volant de direction de véhicule automobile sur un arbre de direction
GB2204933A (en) Rack and pinion steering gear
CN216407533U (zh) 一种汽车转向管柱双联万向节
CN219029530U (zh) 摩擦力矩补偿机构、转向管柱总成、线控转向系统及车辆
KR960015708B1 (ko) 동력조향장치의 입·출력축의 결합구조
JPS6138849Y2 (ko)
JPS6122774Y2 (ko)
JPH0547740Y2 (ko)
GB945318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otor vehicle steering mechanis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3070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3070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50930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2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03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04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6040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1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1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0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