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0412Y1 - 카셋트 플레이어의 전원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카셋트 플레이어의 전원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412Y1
KR960000412Y1 KR2019890011228U KR890011228U KR960000412Y1 KR 960000412 Y1 KR960000412 Y1 KR 960000412Y1 KR 2019890011228 U KR2019890011228 U KR 2019890011228U KR 890011228 U KR890011228 U KR 890011228U KR 960000412 Y1 KR960000412 Y1 KR 9600004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tape
power
cylindrical portion
cassette p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12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3252U (ko
Inventor
김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900112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412Y1/ko
Publication of KR9100032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2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4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41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셋트 플레이어의 전원 차단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 차단장치의 분해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 차단장치의 조립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전원 차단장치 사용상태도로서,
a-A도는 카셋트 테이프가 장착되기 전의 상태도
a-B도는 그 전원 회로도이고,
b-A도는 카셋트 테이프가 장착된 후의 상태도
b-B도는 그 전원 공급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이드부 2 : 작동부재
3 : 전원차단장치
본 고안은 카셋트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셋트 내에 테이프를 장착시켜 주어야만 플레이 될 수 있도록 된 전원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셋트 플레이어는 본체내로 테이프가 장착되어 있던지 또는 장착되지 않았던지간에 카셋트 본체에 구비된 작동보턴을 눌러주면 캡스턴(capstan)모터가 작동되어 본체내의 테이프 구동릴이 작동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구소로 된 종래의 카셋트 플레이어는 그 내부에 테이프가 삽입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부주의로 조작버튼(play 보턴 FF/REW 보턴 등)을 조작시켜 주게 되면 캡스턴 모터가 구동되어 필요치 않은 전력을 소모시키는 폐단이 있었다.
그리고 카셋트 삽입구에 설치한 개폐문이나 또는 개폐문의 지지축과 카세트를 삽입하는 샤시를 도전성 부재로 접속하도록 하여 상기 개폐문이 열리면서 카셋트 테이프 플레이어를 도통하도록 한 것이 고안되고 있으나, 이 또한 개폐문이 항상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오동작을 유발할 우려가 많은 것이며, 또한 개폐문과 샤시를 도전성 부재로 형성하기 때문에 누전 또는 감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카셋트 플레이어 내부로 테이프를 삽입장착시켜 주어야만 캡스턴 모터가 작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 상대에서 작동버튼을 눌러주므로서 캡스턴 모터가 구동되어 카셋트 플레이어가 작동되도록 하는 전원 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에는 본원 고안에 따른 카셋트 플레이어의 전원 차단장치를 카셋트 본체에 설치되는 방향을 따라 배열하고 있는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원 고안에 따른 카셋트 플레이어의 전원차단장치는, 카셋트의 접촉면(P)에 테이프 구동릴(R)이 설치된 테이프의 삽입장착부(D)에 가이드부(1)를 가공하고, 상기 가이드부(l)에 설치되어 테이프 삽입장착부(D)의 카셋트 접촉면측(P)으로 그 일단이 돌출되도록 하여 작동부재(2)를 형성하며, 테이프의 삽입시 상기 작동부재(2)가 테이프와 접촉 동작에 연동하는 전원차단부(3)를 구성하여, 테이프의 삽입시에만 기기가 작동하도록 하고 있다.
제 1 도의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1)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 원형구멍으로 형성되며 작동부재(2)는 볼형(ball形)의 것으로 하고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전원차단부(3)는 제 1 원통부(31)와 제 2 원통부(32)로 분할 구성하여, 이들 원통부(31과 32)안에, 상기 작동부재(2)를 스프링(34) 및 이동접점판(35)과 함께 장착하고, 상기 작동부재(2)가 전후진 하면 이동접점판(35)이 고정접점(36)에 접촉되거나 또는 분리되면서 전원을 차단 또는 연결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제 1 원통부(31)는 헤드부(31B)에 작동부재(2)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하여 돌출구멍(31C)을 가공하여, 이 돌출구멍(31C)쪽에 작동부재(2)를 조립하였을 때에는 작동부재(2)는 그 일부표면이 제 1 원통부(31)의 헤드부(31B)로 돌출되어 나온 다음, 다시 상기 가이드부(1)에까지 돌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며, 또 제 1 원통부(31)의 내원통은 그 안에 수납되는 작동부재(2)의 활동공간이 되는 제 1 직경부(31E)와 전도체의 재질로 형성된 이동접점판(35)이 이동가능하도록 수납되는 제 2 직경부(31F)를 각각 가공한다.
그리고 제 1 원통부(31)의 외원주면에는 체결 볼트구멍(31H)이 가공된 풀렌지(31L, 31L)를 형성 부착하고 체결볼트(31M)를 준비한다.
제 2 원통부(32)는 그 일단은 개방하고 다른쪽단은 폐쇄하며 개방된 내원통부에는 스프링(34)이 수납되는 스프링 시트가 되는 것이며, 내원통부의 양쪽면에 전도체 재질로 고정접점(36, 36)을 형성 부착하고, 양쪽의 고정접점(36, 36)에는 캡스턴 모터(M)와 전원(V)에 연결이 되도록 전원 공급선(L)을 각각 접속 연결하여 둔다.
제 1 원통부(31)와 제 2 원통부(32)에, 위와 같이 구성되는 부분들을 결합하여 본원 고안에 따른 전원 차단장치를 형성하고 이를 테이프 삽입장착부(D)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제 2 도 및 제 3 도와 같이 살펴보기로 한다.
제 2 원통부(32)안에 스프링(34), 이동접점판(35), 작동부재(2)를 차례로 조립하고 상기 제 2 원통부(32)에 제 1 원통부(3l)를 결합하고, 작동부재(2)가 가이드부(1)를 통하여 카셋트 접촉면쪽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플렌지(31L, 31L)를 체결볼트(31M)로 데이트 삽입장착부(D)에 체결 고정한다.
이와 같이 작동부재(2)를 삽입장착부(D)의 가이드부(1)에 설치고정하게 되면 스프링(34)을 작동부재(2)로 하여금 가이드부(1)를 통하여 카세트접촉면(P)위로 돌출되어 나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는 것이며, 이 상태는 고정접점(36, 36)과 이동접점판(35)은 서로 떨어져 있는 상태(3도 a-A)로, 이 상태는 제 3 도 a-B도에서와 같이 전원회로가 단절되어 있기 때문에 캡스턴모터(1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작동보턴(도시되지 않음)을 눌러주어도 카셋트 플레이어가 작동되지 않는다.
그리고 테이프(T)가 일단 테이프 삽입장착부(D)에 삽입이 되면 테이프(T)의 측면이 작동부재(2)를 밀어주면서 제 3 도 b-A도와 같이 이동접점판(35)이 스프링(34)의 탄력을 극복하면서 압축되어져 이 이동접점판(35)과 2개의 고정접점(36, 36)이 접촉되는 것이며, 이 상태는 제 3 도 b-B도와 같은 회로를 구성하면서 캡스턴모터(1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전원회로가 이루어진 상태, 즉 테이프(T)가 삽입장착된 상태에서 작동보턴을 눌러주면 카셋트 플레이어가 작동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카셋트 플레이어내에 테이프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카셋트가 작동되지 않고 반드시 테이프가 카셋트 몸체내로 삽입 장착되어야만 카셋트가 작동되게 됨으로써 필요시에만 전원이 공급되어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정정) 테이프 구동릴이 설치된 테이프 삽입 장착부에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어 테이프 삽입 장착부의 카셋트 접촉면측으로, 일단이 돌출되도록 설치된 작동부재와, 테이프의 삽입시 상기 작동부재가 테이프와 접촉 동작에 연동하는 전원 차단부로 구성되어, 테이프의 삽입시에만 기기가 작동하도록 하는 카셋트 플레이어의 전원차단장치.
  2. (신설) 제 1 항에서, 상기 전원 차단부는 전원공급선에 연결된 고정접점(36)을 고정한 제 2 원통부와, 상기 작동부재에 연동하는 이동접점판(35)과 상기 고정 접점 사이에 게재된 스프링(34)과, 상기 제 2 원통부가 고정되는 제 1 원통부로 구성된 카셋트 플레이어의 전원차단장치.
  3. (신설) 제 1 항에서 상기 작동부재는 작동 볼인 카셋트 플레이어의 전원차단장치.
KR2019890011228U 1989-07-31 1989-07-31 카셋트 플레이어의 전원 차단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600004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1228U KR960000412Y1 (ko) 1989-07-31 1989-07-31 카셋트 플레이어의 전원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1228U KR960000412Y1 (ko) 1989-07-31 1989-07-31 카셋트 플레이어의 전원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252U KR910003252U (ko) 1991-02-27
KR960000412Y1 true KR960000412Y1 (ko) 1996-01-08

Family

ID=19288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1228U Expired - Fee Related KR960000412Y1 (ko) 1989-07-31 1989-07-31 카셋트 플레이어의 전원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41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252U (ko) 1991-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1587A (en) Rotary switch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5782654A (en) Battery receiving mechanism
KR960000412Y1 (ko) 카셋트 플레이어의 전원 차단장치
US7586054B2 (en) Switch assembly
US4623763A (en) Rotary multi-contact switch
US3730535A (en) Cartridge locking mechanism
US5797762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cam actuator for a plurality of contacts
JP2872289B2 (ja) スイッチボード
US4121062A (en) Change-over slide switch with grounding spring member
KR200298262Y1 (ko) 브이씨알의 셔틀노브 조립체
KR20000061653A (ko) 압력스위치
JP2583903B2 (ja) 操作レバー装置
KR0126425Y1 (ko) 스위치 구동장치
KR950001604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헤드드럼 청소장치
KR100246042B1 (ko) 자동차용 오디오 시스템
JP3146595B2 (ja) 電子機器のスイッチ装置
JPH0311774Y2 (ko)
KR960000812Y1 (ko) 캠코더용 자동차 밧데리의 플러그 구조
KR860000222B1 (ko) 테이프 플레이어
JPH02825Y2 (ko)
JPH10294043A (ja) 回転操作ダイヤル装置
KR200157769Y1 (ko) 카 오디오용 더스트 커버
JPH11111092A (ja) スイッチの操作ノブ組付構造
JPS603548Y2 (ja) 釈放型電磁石装置
JP2004055434A (ja) 押ボタン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90731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2073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0731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41029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50327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1995081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J2001 Appeal

Decision date: 19960327

Appeal identifier: 1995201002131

Request date: 19950919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UB09011R01I

Patent event date: 1995091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UB09011R02I

Patent event date: 19950427

Comment text: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Patent event code: UB09011R02I

Patent event date: 19950206

Comment text: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Patent event code: UB09011R02I

Patent event date: 19920730

Comment text: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13

B701 Decision to grant
U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19960327

Patent event code: UB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51117

Patent event code: UB07011S01I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06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606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27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