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13659B1 -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 - Google Patents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659B1
KR950013659B1 KR1019930015694A KR930015694A KR950013659B1 KR 950013659 B1 KR950013659 B1 KR 950013659B1 KR 1019930015694 A KR1019930015694 A KR 1019930015694A KR 930015694 A KR930015694 A KR 930015694A KR 950013659 B1 KR950013659 B1 KR 950013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ndol
circulation
infrared
panel
ondol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5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362A (ko
Inventor
서순기
Original Assignee
서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순기 filed Critical 서순기
Priority to KR1019930015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3659B1/ko
Publication of KR950006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65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E04F15/08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in combination with a lower layer of other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
제 1 도는 종래 온돌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 2 도는 종래 온돌장치의 단면도.
제 3 도는 종래 온돌장치의 시간에 따른 온도의 그래프.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의 일실시예 단면도.
제 6 는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의 온도제어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
제 7 도는 제 5 도의 온돌판넬의 시간에 따른 온도와의 그래프.
제 8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에서 다른 온돌판넬을 사용한 실시예의 단면도.
제 9 도는 제 8 도의 온돌판넬의 시간에 따른 온도와의 그래프.
제 10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의 점검부의 단면도.
제 11(a) 도∼제 11(c) 도는 제 5 도에서의 히터블럭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제 1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히터볼럭의 일부 단면도.
제 13(a) 도 및 제 13(b) 도는 제 5 도에서의 순환팬의 정면도 및 측면도.
제 1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팬의 단면도.
제 1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히터블럭 및 순환팬의 결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50 : 폐쇄 순환로 12 : 내부순환로
14 : 외부순환로 20, 60 : 온돌 판넬
23, 63 : 장판 25, 55 : 바닥
27, 57, 64 : 골재층 30 : 보일러
32 : 버터 40 : 순환펌프
51 : 측벽 52 : 칸막이
56 : 모래층 61 : 자연석판재
62 : 마감층 66 : 점검구 하우징
67 : 걸림턱 68 : 홈
70 : 히터블럭 71 : 히터
72 : 전원단자 73 : 절연브라켓
74 : 고정브라켓 75 : 히터 하우징
76, 86 : 결합편 77, 87 : 흡기구
80 : 순환팬 81 : 팬
82 : 모터 83 : 모터 지지 브라켓
84 : 단열 브라켓 85 : 펜하우징
88 : 송풍구 90 : 온도조절기
본 발명은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를 순환매체로 사용하여 순환매체를 일반통행시키는 폐쇄 순환로를 벽돌로된 측벽과 칸막이 및 그 상하측의 온돌판넬 및 단열부재로 형성하고, 순환매체의 가열 수단인 전기히터와 순환수단이 순환팬을 폐쇄 순환로의 내부에 설치하며, 축열 및 열방출수단인 온돌판넬을 적외선 방사 효율이 높은 자연석판재로 형성하여 열효율이 높고,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국형 주거 공간의 난방수단으로는 바닥에 설치되는 온돌장치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온돌장치는 가열수단. 예를들어 보일러로 순환매체인 물을 가열하며, 가열된 순환매체를 폐쇄 순환로인 관의 내부에서 순환펌프로 순환시켜 축열 및 열전달 패널인 온돌패널을 가열하여 난방시키는 구조이다.
종래의 온돌장치는 제 1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순환매체인 물이 순환되는 폐쇄 순환로(10)와, 상기 폐쇄 순환로(10)와 접하는 방열수단인 온돌판넬(20)과 가열수단인 보일러(30) 및 상기 순환매체를 폐쇄 순환로(10)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폐쇄 순환로(10)는 소정재질, 예를들어 동, 스테인레스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된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폐쇄 순환로(10)는 온도판넬(20) 및 보일러(30)측에 매설되어 있는 내부 및 외부 순환로(12), (14)로 구성되며, 그 내부는 순환매체인 물이 채워져 있고, 상기 폐쇄 순환로(10)의 일측에는 순환매체를 강제 순환시키는 순환수단인 순환펌프(34)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온돌판넬(20)의 수직 구조를 제 2 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닥(21) 상에 단열을 위하여 자석 또는 자갈로된 골재층(23)이 적충되어 있으며, 상기 골재층(27)상에 내부 순환로(14)인 온수 파이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부 순환로(14)는 세면으로 된 온돌판넬(20)내에 매설되어 있으며, 상기 온돌판넬(20)사에는 장판(23)을 덮어 사용한다.
이들의 작용 및 구성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상기 보일러(30)의 버너(32)가 외부 순환로(12)의 순환매체를 가열하고, 순환펌프(34)에 의해 가열된 순환매체가 내부순환로(12)로 순환되어 온돌판넬(20)을 가열시키며, 상기 온돌판넬(20)은 축열 및 발열하여 실내를 난방하고, 차가워진 내부 순환로(12)의 순환매체는 다시 외부 순환로(14)에서 가열되는 과정이 반복 수행된다.
상술한 종래의 온돌장치는 보일러가 온돌판넬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열된 온수가 온돌판넬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많은 열손실이 발생되며, 전기 보일러의 경우 약 40%, 가스 보일러의 경우 약 70% 정도의 열손실이 발생하여 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폐쇄 순환로인 순환파이프가 통과하는 부분의 온돌판넬이 가열되어 난방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세면으로된 온돌판넬은 충분한 역확산 및 축열을 하지 못하여, 순환파이프가 통과되는 지점만 가열되어 온돌판넬 전체의 온도분포가 고르지 못하므로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일한 축열수단인 세면으로 된 온돌판넬은 축열효율이 낮아, 제 3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빨리 가열되고 빨리 식는다. 따라서 지속적인 난방이 필요하므로 연료소모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온돌장치는 순환매체로 약 95℃ 이하의 경우에 열용량이 여러가지 물질들 중 가장 큰 물질인물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장시간 사용할 경우 순환로의 관 내부에 침전물이 적충되어 열전단 효율이 떨어지고, 2-3년에 한번씩 온돌판넬을 뜯어내고 내부 순환로를 교환하여야 하므로 유지비가 증가되며, 내부 순환로를 매설한 후 불량이 발생되면 온돌판넬의 부분적인 교체가 불가능하여 전체를 다시 시공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기간 난방이 불필요한 방으로의 온수 흐름을 차단하면 내부 순환로가 동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류를 연료로 사용하는 기름 보일러의 경우 연료의 불완전 연소에 의해 공해물질이 다량으로 방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목적은 순활매체를 일방통행시키는 폐쇄 순환로를 구비하는 온돌장치의 내부에 순환매체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순환수단을 설치하고, 적외선 방출율이 높은 자연석판재를 온돌판넬로 사용하여 열손실이 적은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축열효율이 높고 적외선 방출율이 높은 재질 및 구조로 온돌판넬을 형성하여 저렴한 심야 전력으로 난방하여 유지비가 적게들고, 에너지 소비량이 적은 적외성 방출 온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순환매체로 공기를 사용하므로 침전물에 의한 열전달율의 저하나 동파를 방지할 수 있으며, 온돌판넬의 일부에 손상이 생기면 일부만의 교체 및 보수가 가능하여 손질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적외성 방출 온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순환매체의 가열수단으로 전기히터를 사용하여 공해를 방지할 수 있는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방출 온도장치의 특징은, 바닥 상에 열차단을 위하여 적충되어 있는 단열부재와, 상기 단열부재 상에 설치되어 내부를 폐쇄시키는 측벽과, 상기 측벽상에 적충되어 있으며 적외선 방출 효율이 높은 자연석판재와 그 상부에 적충되어 순환매체인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층으로 구성되는 온돌판넬과, 상기 온돌판넬과 단열부재 및 측벽으로 밀폐되어 있는 내부 공간에 순환매체인 공기가 한방향으로 흐르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되어 공기가 내부에서 한 방향으로 순환되도록 하는 폐쇄 순환로를 형성하는 탄막이와, 상기 단열부재 및 온돌판넬 사이의 폐쇄 순환로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순환매체를 가열하는 히터블럭과, 상기 히터블럭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매체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순환팬을 구비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다른 적외선 방출 온도 장치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를 제 4 도 및 제 5 도를 서로 연관시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닥면(55) 상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온돌판넬(60)이 설치되며, 상기 바닥면(550과 온돌판넬(60)의 사이에 내부를 밀폐시키는 사각 틀체 형상의 측벽(5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51)의 내부에 순환매체의 일방순환을 위하여 지그재그 형성으로 폐쇄 순환로(50)를 이루는 칸막이(52)들이 엇갈리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측벽(51)의 일측 모퉁이에는 가열수단인 전기히터를 다수개 포함하는 히터 블럭(70)과, 순환매체인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순환수단인 순환팬(8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순환매체의 온도 조절을 위하여 상기 순환팬(80)측의 측벽(51)에 온도 감지기(9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측벽(51)과 칸막이(52)는 바닥면(55) 상에 2층의 붉은 벽돌로 축조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51) 및 칸막이(52) 사이의 노출된 바닥(55)면 상에 단열부재인 모래층(56) 및 골재층(57)이 적충되어 있다. 상기 측벽(51)과 칸막이(52)들의 상부에 적충되어 있는 축열 및 열전달 수단이 온돌판넬(60)은 다층 구조로 형성되며, 정확한 온도제어 및 균일한 온도분포를 위하여 상기 온돌판넬(60)과 측벽(51) 및 칸막이(52)들의 사이는 밀봉되어 있다.
상기 모래층(56)은 주로 바닥(55)면의 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닥(55)면이 열에 약한 재질이나 화재의 위험이 있는 재질인 경우에는 상기 모래층(56)을 두껍게 깔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얇게 깔아준다. 또한 상기 골재층(57)은 자갈이나 잡석을 적층하며, 축열 작용뿐 아니라, 순환팬(80)에 의한 공기의 순환경에 모래층(56)이 날려 한곳으로 몰리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개개의 크기와 두께를 적당히 조절하여 적충한다. 상기 모래층(56)과 골재층(57)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순환매체의 폐쇄 순환로(50)가 작아지고, 너무 얇은 경우 단열 및 측열 효율이 떨어지므로 이들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하며, 본 발명에서는 두층이 벽돌두께에서 한층의 두께 즉 공간의 반 정도 두께로 적충하였다.
또한 상기 온돌판넬(60)은 자연석판재(61)와 상기 자연석판재(61)의 상부에 적충되어 여러장으로 된 자연석판재(61)간의 간격을 메꾸어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마감층(6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자연석판재(62)는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방사효율 및 축열효율이 매우 높은 재질, 예를들어 화산암 계통이나 화강암 또는 현무암 등을 사용하며, 공기에 의해 열을 받으면, 스테판-볼츠만(Stetan-Boltzmann) 적외선방사 법칙에 따라 적외선 고효율로 방사한다. 이때 상기 자연석판재(61)는 효과적인 열전달을 위하여 표면이 매끄러운 판재보다는 표면적이 넓은 표면이 거친 판재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마감층(62)은 표면을 매끄럽게 하며, 적외선 방사 효율이 높은 재질, 예를들어 황토흙이나 기타 무기질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 축열효율을 더욱 상승시킨다. 상기 마감층(63) 상에 마감재료, 예를들어 장판(63) 등을 덮는다.
여기서, 각종 판재원료의 적외선 방사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몰리브덴(Mo), 철(Fe), 니켈(Ni) 또는 탄탈륨(Ta) 등의 금속이나 니크롬, 칸탈, 스테인레스 및 아루멜 등의 합금은 가시-적외영역까지 약 0.5의 방사율로 연속방사하며, 성형성이우수하고, 비열이 낮아 가열속도가 빠르다. 또한 티타늄, 규소 및 철 등의 산화물과 탄소나 그라파이트등 비금속 재료는 가시-적외영역까지 각각 0.5-0.8 및 0.8 이상의 방사효율로 연속방사하며, 가공성이 나쁘고, 가열속도가 느리지만 방사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의 난방 과정을 제 6 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히터 블럭(70)에서 가열된 공기가 순환팬(80)에 의해 측벽(51) 및 칸막이(52)로 된 폐쇄 순환로(50) 내부를 한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순환되어 측벽의 끝 부분에서 ㄷ자 형상의 칸막이(52) 부분을 따라 온도조절부(90)를 거쳐 다시 순환팬(80)으로 돌아온다. 이때 공기는 온돌판넬(60)로 열을 전달하고, 순환팬(80)의 앞쪽에 설치된 온도조절부(90)의 감지기(도시되지 않음)가 순환되어 돌아오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며, 공기온도가 제어치 이상이면 히터블럭(70)과 연결된 전원 스위치(도시도지 않음)를 차단하고, 제어치 이하로 공기온도가 내려가면 전원스위치를 연결하는 피드 백 과정이 반복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자연석판재(61)와 무기질 재료로된 마감층을(62)를 갖는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는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천천히 온도가 상승하며, 천천히 온도가 내려간다.
본 발명에서는 온돌판넬을 적외선영역의 방사 효율이 좋은 자연석판재를 사용하였으며, 축열 및 방사 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제 8 동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연석판재(61)와 마감층(62)의 사이에 축열재인 골재층(64)을 별도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골재층(64)을 이루는 골재들 사이사이의 공간이 열저장실이 되어 축열효과를 더욱 상승시킨다.
상기와 같이 별도의 골재층(64)을 구비하는 온돌판넬(60)은 제 9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골재층 사이의 열저장실에 의해 온도가 일정한 단부를 갖고 천천히 상승하며, 하강할 때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온돌판넬은 천천히 온도가 상승하지만, 상승된 온도가 비교적 오래 지속된다.
제 10 도는 제 4 도에서의 점검부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히터블럭 및 순환팬의 점검 및 수리를 위하여 온돌장치의 일측 모퉁이에 설치되어 있는 점검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히터블럭(70) 및 순환펌프(80) 상부의 온돌판넬(60)이 일부 제거되고, 목재로된 사각틀체 형상의 점검구하우징(66)이 설칟되어 있으며, 상기 점검구 하우징(66)의 내측 하부에 걸림턱(67)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점검구 하우징(66)의 내부에는 별도의 온돌판넬(60)이 탑재되어 걸림턱(67)에 걸려 있으며, 상기 점검구 하우징(66)의 양측 상부에는 그 내부에 탑재되는 온돌판넬(60)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홈(68)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점검구 하우징(66)은 측벽(51) 및 칸막이 (52)를 구성하는 벽돌의 상부에 설치되며, 하우징(66)의 크기는 히터 블럭(70)과 순환팬(8)의 크기를 고려하여 점검 및 수리등이 불편하지 않은 범위내에서 적당한 크기로 형성된다.
제 11(a) 내지 (c) 및 제 1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수단인 히터블럭은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사각 틀체 형상의 히터 하우징(75)에 다수개의 전기히터(71)들이 상하로 서로 엇갈리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히터 하우징(75)은 상하 두개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히터(71)들은 고정 브라켓(74)에 의해 상기 히터 하우징(75)의 내부에 고정되며, 양측의 전원단자(72)는 외부전원(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된다. 상기 히터 하우징(75)의 일측에는 순환팬(8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편(76)이 설치되어 있다.
제 13 (a) 및 (c)도와 제 1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수단인 순환팬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서로 연관시켜 설명한다.
상기 순환팬(8)은 다수개의 날개가 원통형상으로 결합되어 있는 팬(81)과, 상기 팬(81)이 내부에 설치되는 팬 하우징(85)과, 상기 팬(81)을 회전시키는 모터(81)이 내부에 설치되는 팬 하우징(85)과, 상기 팬(81)을 회전시키는 모터(8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82)는 모터 지지 브라켓(83)에 의해 팬 하우징(85)의 일측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모터(82)의 단열을 위하여 절연 브라켓(84)이 팬 하우징(85)의 외부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팬 하우징(85)은 일측의 중앙 부분에 흡기구(87)가 형성되어 있어 순환된 뒤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기구(87)와 90°의 각을 이루는 타측면 상부에 송풍구(88)가 형성되어 있어 히터 블럭(8)으로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송풍구(88)측의 팬 하우징(85)에는 히터블럭(7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편(86)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히터 하우징(75)과 팬 하우징(85)은 제 15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히터 하우징(75)의 결합편(76)과 팬 하우징(85)의 결합편(85)이 착탈가능한 결합수단, 예를들어 관통공을 관통하는 볼트(도시되지 않음) 및 그와 결합되어 고정시키는 너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히터(71)들과 순환팬(80)은 온도조절을 위하여 온도감지기 및 전원스위치로 구성되는 온도조절부(90)와 연결되어 있는 피드백에 의해 난방온도를 조절한다.이러한 온도조절 방법은 폐쇄 순환로 내의 공기온도와 자연석판재, 마감재의 두께 및 온도와 표면 온도와의 관계를 실험 데이타로 작성하여 적절한 난방온도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는 순화매체인 공기가 한방향으로 순환되는 폐쇄 순환로를 벽돌로 된 측벽과 칸막이 및 그 상하측의 온돌판넬과 단열부재로 형성하였으며, 상기 폐쇄순화로의 일측에 가열수단인 히터블럭과, 순환 팬을 설치하여 온돌장치를 구성하였다. 또한 온돌판넬로는 적외선 방사효율이 높은 자연석판재와 황토흙을 적충하였으며, 상기 히터 블럭과 순환펌프의 점검을 위하여 온돌판넬의 일측에 점검구 하우징을 설치하였다.
따라서 가열수단 및 순환수단이 온돌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열전달과정에서의 열손실이 적고, 온돌판넬의 적외선 방사 비율이 높아 열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순환매체로서 공기를 사용하므로 폐새 순환로에 침전물이 쌓여 열전달율이 저하되건 폐쇄 순환로의 동파 피해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가열수단이 히터이므로 공해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온돌판넬의 축열효율이 높으므로, 심야전력을 이용하여 야간에 난방하여 하루종일 그 효과를 유지할 수 있으며, 온돌장치의 수리 및 보수가 간단하여 유지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바닥 상에 열차단을 위하여 적충되어 있는 단열부재와, 상기 단열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내부를 폐쇄시키는 측벽과, 상기 측벽 상에 적충되어 있으며 적외선 방출 효율이 높은 자연석판재와 그 상부에 적충되어 순환매체인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층으로 구성되는 온돌판넬과, 상기 온돌판넬과 단열부재 및 측벽으로 밀폐되어 있는 내부 공간에 순환매체인 공기가 한 방향으로 흘러 공기의 흐름이 하나의 폐쇄 순환로를 형성하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칸막이와, 상기 단열부재와 온돌판넬 및 측벽에 의해 형성된 폐쇄 순환로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순환매체인 공기에 열을 가하는 히터블럭과, 상기 히터블럭의 일측에 설치되어 순환매체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순환팬과, 상기 온돌판넬 하부의 히터블럭과 순환팬의 상부를 설치되어 히터블럭 및 순환팬의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점검구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온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가 모래층과, 상기 모래층 상부에 적충되어 축열작용 및 모래층의 흩어짐을 방지하는 자갈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 상기 온돌판넬의 자연석판재가 화산암 계열, 화감암 및 현무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임의의 선택되는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돌판넬의 자연석판재가 적외선 방사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표면이 거친 판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돌판넬의 마감층이 황토흙이나 무기질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돌판넬의 자연석판재와 마감층 사이에 축열을 위한 골재층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및 칸막이가 붉은 벽돌을 적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블럭이 다수개의 전기히터를 구비하여 심야전력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
KR1019930015694A 1993-08-13 1993-08-13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50013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5694A KR950013659B1 (ko) 1993-08-13 1993-08-13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5694A KR950013659B1 (ko) 1993-08-13 1993-08-13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362A KR950006362A (ko) 1995-03-20
KR950013659B1 true KR950013659B1 (ko) 1995-11-13

Family

ID=19361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5694A Expired - Fee Related KR950013659B1 (ko) 1993-08-13 1993-08-13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36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249A (ko) * 2002-07-11 2004-01-24 주식회사 쎄코텍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현무암 섬유를 이용한 건축용 황토패널
KR100919638B1 (ko) * 2009-05-08 2009-09-30 경기수 파동수와 다공성현무암을 이용한 온돌난방
KR102023419B1 (ko) * 2017-06-05 2019-10-01 청우산업 주식회사 이동식 건물의 단위 구들체 및 단위 구들의 시공방법
KR102167106B1 (ko) 2020-04-10 2020-10-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섬유, 근적외선 방출 부직포 및 근적외선 방출 안경테
KR102779730B1 (ko) 2024-05-03 2025-03-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362A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04058B1 (en) Heat storage device
EP3631338B1 (en) Heat-storing apparatus with solid filling material
JP5176209B2 (ja) 温風床暖房システムおよびその設置方法
KR950013659B1 (ko)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
JPS63271045A (ja) 建物室内への給気装置
CN103836950B (zh) 高效固体电热储能炉
KR100365994B1 (ko) 바닥난방방법및바닥난방에사용하는방열관
RU2552975C2 (ru) Система напольного отопления (охлаждения)
JP2003021349A (ja) 床暖房装置及びその温度制御方法
JP2010014296A (ja) 空調システム及びユニット建物
US4962884A (en) Heat accumulating type electric underfloor heating system having upper and lower cavities and a method for heating the same
KR101670334B1 (ko) 공기 순환을 이용한 구들장식 주거용 난방 시스템
KR100841028B1 (ko) 조사 연료 또는 방사능 물질의 저장용 장치
JP2000121167A (ja) 蓄熱パネル及び蓄熱式空調システム
WO2000009954A1 (e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GB2076955A (en) Heating device
US2458835A (en) Heating apparatus
RU2265690C1 (ru) Установка обезвоживания битума на мармитных плитах
CN113007770B (zh) 一种适用于碹窑民居的加固型节能采暖供热系统及其施工工艺
EP1146295B1 (en) Electric stove with limited-power heating circuits
US2563345A (en) Automatic electric hot-water heating system
JPH08193435A (ja) 融雪板及び融雪方法
JP2000018618A (ja) 蓄熱式暖房機
JPH08296204A (ja) 蓄熱型融雪装置およびその方法
FI102317B (fi) Lämmityskattil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811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8111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