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13356B1 -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356B1
KR950013356B1 KR1019900022340A KR900022340A KR950013356B1 KR 950013356 B1 KR950013356 B1 KR 950013356B1 KR 1019900022340 A KR1019900022340 A KR 1019900022340A KR 900022340 A KR900022340 A KR 900022340A KR 950013356 B1 KR950013356 B1 KR 950013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ignal
supply
balls
abnormal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2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308A (ko
Inventor
다까도시 다께모도
가즈나리 가와시마
마사히로 이시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에이스 덴껜
다까도시 다께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34387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485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34387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205078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에이스 덴껜, 다까도시 다께모도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에이스 덴껜
Publication of KR910011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35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2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using falling playing bodies or playing bodies running on an inclined surface, e.g. pinball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전자관리장치를 도시한 개략블록도.
제 2 도는 단말관리장치의 기능을 도시한 블록도.
제 3 도는 집적관리장치의 기능을 도시한 블록도.
제 4 도는 집적관리장치의 제어반의 기능을 도시한 블록도.
제 5 도는 보급감시화면을 도시한 평면도.
제 6 도는 섬의 사시도.
제 7 도는 유기장의 사시도.
제 8 도는 보급이상의 판단을 도시한 플로챠트.
제 9 도는 본 발명의 전자관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제 10 도는 가동상황을 바둑판형 그래프로 표시한 화면의 정면도.
제 11 도는 유기기(遊技機)의 가동상황의 명세를 표시한 화면의 정면도.
제 12 도는 가동상황을 원그래프로 표시한 화면의 정면도.
제 13 도는 이상시 감시화면을 도시한 정면도.
제 14 도는 들어간볼이상이 판정방법을 도시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기기 2 : 섬
3 : 볼대출기 4 : 경품볼계수기
5,15 : 단말관리장치 6,16 : 집적관리장치
12 : 보금장치 13 : 보급볼수검출수단
71 : 이상판단수단 72 : 공접점불량판단수단
73 : 볼막힘판단수단 81 : 표시설정수단
82 : 표시수단 83 : 보급지령수단
214 : 들어간볼, 나온볼검출기 271 : 들어간볼, 나온볼감시수단
272 : 들어간볼이상감시수단 283 : 표시전환수단.
본 발명은 유기용(遊技用) 매개물로서 작은 볼을 사용하는 빠찡꼬기, 화폐나 메달을 사용하는 어레인지볼기, 작구(雀球) 빠찡꼬대, 슬롯머신 등의 메달게임기, 기타 이 종류의 빠찡꼬대에 적용할 수 있는 유기장(遊技場)의 전자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들 빠찡꼬대를 분산관리하는 전자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 종류의 전자관리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58(1983)-124469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즉, 빠찡꼬볼의 경로도중에 볼막힘검출센서를 설치하여, 볼막힘검출시에 타구용(打球用) 전동기를 구동정지시키고 있다.
그러나, 유기장에서는 볼막힘에 한하지 않고, 또 유기장 이외에도 많은 이상(異常)이 발생하는 수가 있으며,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 어떤 이상인가, 또 어디의 이상인가를 알 수 없다.
그러므로, 유기장의 수리에 품이 들고, 시간이 걸리는 결과, 유기장의 가동효율이 악화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유기기(遊技機)등의 수리가 용이하고, 유기장의 가동효율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요지로 하는 바는,
1. 복수대의 유기기와 볼대출기를 가지는 섬에 그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검출기를 복수 설치한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로서, 상기 이상검출기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이상내용을 판단하고, 이상내용신호를 출력하는 이상판단수단과, 상기 이상내용신호에 따라서, 이상표시를 설정하고, 이상표시설정신호를 출력하는 표시설정수단과, 상기 이상표시설정신호에 따라서 화면상에 이상표시를 행하는 표시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
2. 상기 이상내용은 이상의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항의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
3. 복수대 배치된 유기기는 각각 보급접시를 가지며, 보급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보급장치는 상기 보급접시에 볼을 보급하고, 상기 보급접시는 상기 보급장치에 의해 보급된 볼을 저장하고, 상기 보급접시는 공접점(空接點)을 가지며, 이 공접점은 접시내가 빈 상태일 때, 공접점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유기기 복수대마다 1대의 단말관리장치를 부설하여, 복수의 상기 단말관리장치를 집적관리장치에 의해 집중관리하는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로서, 상기 단말관리장치는, 상기 공접점신호를 소정시간 이상동안 받았을 때, 공접점불량신호를 출력하는 공접점불량판단수단을 가지고, 상기 집적관리장치는, 상기 단말관리장치를 통하여 상기 공접점불량신호에 따라서, 공접점표시설정신호를 출력하는 표시설정수단과, 상기 공접표시설정신호에 따라서 화면성에 공접점표시를 행하는 표시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
4. 복수대 배치된 유기기는 각각 보급접시를 가지며, 보급장치 및 보급볼수검출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보급장치는 상기 보급접시에 볼을 보급하고, 상기 보급접시는 상기 보급장치에 의해 보급된 볼을 저장하고, 상기 보급볼수검출수단은 보급되는 볼수를 검출하여, 보급볼수 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유기기 복수대마다 1대의 단말관리장치를 부설하여, 복수의 상기 단말관리장치를 잡적관리장치에 의해 집중관리하는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로서, 상기 단말관리장치는, 보급볼수신호를 받아서, 소정시간내의 보급볼수를 설정보급볼수와 비교하고, 이 소정시간내의 보급볼수가 설정보급2볼수 이하일 때, 볼막힘신호를 출력하는 볼막힘판단수단을 가지고, 상기 집적관리장치는, 상기 단말관리장치를 통하여 상기 볼막힘 신호에 따라서, 볼막힘표시설정신호를 출력하는 표시설정수단과, 상기 볼막힘표시설정신호에 따라서 화면상에 볼막히표시를 행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보급신호를 상기 보급장치에 출력하는 보급지령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
5. 복수대 배치된 유기기는 각각 보급접시를 가지며, 보급장치 및 보급볼수검출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보급장치는 보급신호에 따라서 상기 보급접시에 볼을 보급하고, 상기 보급접시는 상기 보급장치에 의해 보급된 볼을 저장하고, 상기 보급볼수검출수단은 보급볼수를 검출하여, 보급볼수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유기기복수대마다 1대의 단말관리장치를 부설하여, 복수의 상기 단말관리장치를 집적관리장치에 의해 집중관리하는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로서, 상기 단말관리장치는, 상기 보급볼수신호를 받아서, 보급볼수를 설정볼수와 비교하고, 상기 보급볼수가 설정볼수 이하인 경우, 상기 보급신호의 수를 연산하여, 상기 보급신호의 수가 설정신호수 이상일 때, 볼막힘신호를 출력하는 볼막힘판단수단을 가지고, 상기 집적관리장치는, 상기 단말관리장치를 통하여 상기 볼막힘신호에 따라서 볼막힘표시설정신호를 출력하는 표시설정수단과, 상기 볼막힘 표시설정신호에 따라서 화면상에 볼막힘 표시를 행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보급신호를 상기 보급장치에 출력하는 보급지령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에 있다.
이상판단수단이 섬의 이상내용을 판단하고, 표시수단에 이상표시가 행해지므로, 어떤 이상이 있는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상판단수단에 의해 판단되는 이상내용이 이상의 위치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섬의 어느 위치에 이상이 있는가 그 수리위치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 공접점불량판단수단을 가지는 경우에는, 공접점불량판단수단이 공접점신호를 소정시간 이상동안 받았을 때, 표시수단이 공접점표시를 행함으로써 보급에 이상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볼막힘판단수단을 가지는 경우에는, 볼막힘판단수단이 소정시간내의 보급볼수를 설정보급볼수와 비교하여, 그 이하일 때, 표시수단이 볼막힘표시를 행함으로써, 보급이상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볼막힘판단수단을 가지는 경우에, 볼막힘판단수단이 보급볼수를 설정볼수와 비교하여, 그 이하일 때, 보급신호의 수를 연산하고, 보급신호의 수가 설정신호수 이상일 때에는, 표시수단이 볼막힘표시를 행함으로써, 보급이상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는 다음의 양태에 의한 것이다.
6. 복수대 배치된 유기기는 각각 상기 보급장치에 의해 보급된 볼을 저장하는 보급접시를 가지며, 그 들어간볼수 및 나온볼수를 검출하는 들어간볼, 나온볼검출기와, 상기 보급접시에 볼을 보급하는 보급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보급접시는 접시내가 빈 상태일 때 공접점신호를 출력하는 공접점을 가지고, 상기 유기기를 관리하는 전자관리장치로서, 상기 들어간볼, 나올볼검출기로부터의 검출신호를 받아서, 소정시간마다의 각유기기의 들어간볼수 및 나온볼수를 연산하여, 들어간볼수신호 및 나온볼수신호를 출력하는 들어간볼 나온볼감시수단과, 상기 공접점신호를 받았을 때, 상기 들어간불수신호 및 상기 나온볼수신호로부터 상기 소정시간마다의 들어간볼수의 증가 및 나온볼수의 증가를 판정하고, 상기 소정시간마다의 들어간볼수가 증가하지 않고, 상기 소정시간마다의 나온볼수가 증가하고 있는 경우에, 들어간볼이상신호를 출력하는 들어간볼이상감시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
7. 복수대 배치된 유기기는 각각 상기 보급장치에 의해 보급된 볼을 저장하는 보급접시를 가지며, 그 들어간볼수 및 나온볼수를 검출하는 들어간볼, 나온볼검출기와, 상기 보급접시에 볼을 보급하는 보급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보급접시는 접시내 빈 상태일 때 공접점신호를 출력하는 공접점을 가지고, 상기 유기기 복수대마다 1대의 단말관리장치를 부설하여, 복수의 상기 단말관리장치를 집적관리장치에 의해 집중관리하는 전자관리장치로서, 상기 단말관리장치는, 상기 유기기 복수대의 상기 들어간볼, 나온볼검출기로부터의 검출신호를 받아서, 소정시간마다의 각 유기기의 들어간볼수 및 나온볼수를 연산하여, 들어간볼수신호 및 나온볼수신호를 출력하는 들어간볼, 나온볼감시순단과, 상기 공접점신호를 받았을 때, 상기 들어간볼수신호 및 상기 나온볼수신호로부터 상기 소정시간마다의 들어간볼수의 증가 및 나온볼수의 증가를 판정하고, 상기 소정시간마다의 들어간볼수가 증가하지 않고, 상기 소정시간마다의 나온볼수가 증가하고 있는 경우에, 들어간볼이상신호를 출력하는 들어간볼이상감시수단을 가지고, 상기 집적관리장치는, 상기 들어간볼이상신호에 따라서, 들어간볼이상표시설정신호를 출력하는 표시설정수단과, 상기 들어간볼이상표시설정신호에 따라서 화면상에 들어간볼이상표시를 행하는 표시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에 있다.
들어간볼, 나온볼감시수단은 소정시간마다의 각 유기기의 들어간볼수 및 나온볼수를 연산한다.
그리고, 들어간볼이상감시수단이 공접점신호를 받았을 때, 상기 들어간볼수신호 및 상기 나온볼수신호로부터 상기 소정시간마다의 들어간볼수의 증가 및 나온볼수의 증가를 판정하고, 상기 소정시간마다의 들어간볼수가 증가하지 않고, 상기 소정시간마다의 나온볼수가 증가하고 있을 경우에, 들어간볼이상신호를 출력한다.
표시수단이 있는 경우에는, 화면상에 들어간볼이상표시가 행해진다.
본 발명은 빠찡꼬기에 적용한 경우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7 도는 유기장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유기장에는 복수의 섬(2)이 배치되어 있다.
각 섬(2)에는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대의 유기기(1)와 볼대출기(3)를 구비하고 있다. 또, 경품볼계수기(4)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4대의 유기기(1) 및 4대의 볼대출기(3)마다, 1대의 단말관리장치(5)가 부설되어 있다.
각 섬(2)의 단말관리장치(5)는 집적관리장치(6)에 의해 집중관리되고 있다.
유기기(1)는 각각 그 이상을 검출하는 복수의 주지의 이상검출기 및 보급접시를 가지며, 보급장치(12) 및 보급볼수검출수단(13)이 설치되어 있다.
보급볼수검출수단(13)은 보급되는 볼수를 검출하여, 보급볼수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보급접시는 보급장치(12)에 의해 보급된 볼을 저장하여, 유기기(1)에 볼을 공급하는 것이다.
보급접시는 공접점(空接點)을 가진다.
공접점은 접시내가 빈 상태일 때 공접점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보급장치(12)는 보급신호에 따라서 보급접시에 볼을 보급하는 것이다.
보급장치(12)에 의한 보급의 방법으로서는, 보급신호를 수동에 의해 발하는 경우와, 자동에 의해 발하는 경우가 있다.
자동에 의한 경우에는, 공접점으로부터 공접점신호를 받았을 때, 일정한 개수의 볼을 보급접시에 보급한다. 1회의 보급개수는 10∼800개의 범위의 개수이고, 이 개수는 10개 단위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 1개 단위로 1이상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이상검출기는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도(91)에 외관이 표시되는 섬(29)의 내부의 위치 1∼7의 이상 발생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위치 1에는 경품볼계수기이상검출기, 위치 2에는 볼을 연마하여 양송(揚送)하는 연마기를 위한 연마기 정지검출기, 위치 3에는 연마기이상검출기, 위치 4에는 볼대출기(3)로부터 금고로 화폐를 반송하는 화폐콘베이어를 위한 콘베이어막힘이상검출기, 위치 5에는 화폐를 보관하는 금고를 위한 금고오버플로이상검출기, 위치 6에는 볼대출기(3)로부터 지폐보관기에 화폐를 반송하는 지폐반송기를 위한 반송막힘이상검출기, 위치 7에는 지폐보관막힘이상검출기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단말관리장치(5)에는 이상판단수단(71)과 공접점불량판단수단(72)과 볼막힘판단수단(73)이 설치되어 있다.
이상판단수단(71)은 이상검출기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이상이 있는 유기기(1)와 그 이상내용을 판단하여 이상내용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상내용에는 이상의 위치를 포함하고 있다.
공접점불량판단수단(72)은 유기기(1)이 공접점으로부터 공접점신호를 소정시간 이상동안 받을 때, 공접점불량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볼막힘판단수단(73)은 보급볼수검출수단(13)으로부터 보급볼수신호를 받아서, 소정시간내의 보급볼수를 미리 설정한 설정보급볼수와 비교하고, 이 소정시간내의 보급볼수가 설정보급볼수 이하일 때, 막힘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불막힘판단수단(73)은 또 보급볼수신호를 받아서, 보급볼수를 설정볼수와 비교하고, 상기 보급신호의 수를 연산하여, 상기 보급신호의 수가 설정수 이상일 때, 이상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단말관리장치(5)는 구체적으로는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 입력부(151)와, 제어부(152)와, 메모리(153)와, 신호출력부(154)와, 네트워크제어부(155)에 의해 상기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신호입력부(151)는 유기기(1) 및 볼대출기(3)로부터 검출신호를 입력하고, 제어부(152)에 신호를 보낸다.
제어부(152)는 그 신호에 따라서, 신호입력부(151)로부터 데이터를 메모리(153)에 입력시킨다. 그 후, 제어부(152)는 메모리(153)로부터 기억된 데이터를 얻고, 연산처리하여, 메모리(153)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신호출력부(154)는 제어부(152)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메모리(153)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출력신호로서 발한다.
또한, 네트워크제어부(155)는 제어부(152)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메모리(153)로부터 데이터를 얻는다.
네트워크제어부(155)는 집적관리장치(6)의 섬콘트롤러부(163)와 연락되어 있다.
이리하여, 단말관리장치(5)는 각종 신호검출과 데이터처리, 유기기 등의 상태관리와 제어, 각종 외부인터페이스에의 신호출력, 보급신호의 출력, 섬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전송 등을 행한다.
한편, 집적관리장치(6)에는 표시설정수단(81)과 표시수단(82)과 보급지령수단(83)이 설치되어 있다.
보급지령수단(83)은 보급신호를 보급장치(12)에 출력하는 것이다.
표시설정수단(81)은 이상내용신호에 따라서, 이상표시를 설정하여, 이상표시설정신호를 출력하고, 또 단말관리장치(5)를 통하여 공접점불량신호에 따라서, 공접점표시설정신호를 출력하고, 또 단말관리장치(5)를 통하여 볼막힘신호에 따라서, 볼막힘표시설정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표시수단(82)은 이상표시설정신호에 따라서 화면상에 이상표시를 행하고, 또 공접점표시설정신호에 따라서 화면상에 공접점표시를 행하며, 도 볼막힘표시설정신호에 따라서 화면상에 볼막힘표시를 행하는 것이다.
표시수단(82)에 표시되는 급감시화면에는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선도(91)로 섬(2)의 외관이 표시되고, 선도(91)의 내부의 이상 발생위치에 1∼7까지의 부호가 붙어 있다.
이상의 표시는 이 이상발생위치1∼7의 점멸에 의해 행해진다.
위치 1의 점멸은 경품볼계수기의 이상을 위치 2는 연마기의 정지를, 위치 3은 연마기의 이상을 위치 4는 화폐콘베이어의 막힘을, 위치 5는 금고의 오버플로를, 위치 6은 지폐반송기의 반송막힘을, 위치 7은 지폐보관기의 막힘을 각각 표시한다.
또, 위치 Z9에는 섬(2)의 섬번호가 표시된다.
선도(91)의 아래에는 메시지란(92)이 설치되고, 메시지란(92)에는 해당항목과 수리방법이 표시된다.
집적관리장치(6)는 구체적으로는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61)와, 메모리(162)와, 섬콘트롤러부(163)와, 제어반(164)과, 통신포트부(165)에 의해 상기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단말관리장치(5)로부터 보내져오는 데이터의 처리, 축적, 제어반에의 표시데이터의 작성, 인쇄데이터의 작성, 유기기(1)에의 각종 제어지령의 접수와 발행, 각종 상수의 관리, 통신포트의 제어 등을 행하고 있다.
제어반(164)은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제어부(171)와, 입력부(172)와 표시부(173)와, 인쇄부(175)와, 표시설정부(174)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각 유기기에의 제어요구, 각 유기기, 유기장의 상태표시, 집계데이터의 인쇄, 이상의 통지 등을 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유기기」라는 것은, 예를 들면 빠찡꼬기, 어렌인지볼기, 작구빠찡꼬대 등의 메달게임기, 기타 종류의 빠찡꼬대이며, 「볼」이라는 것은 예를 들면 빠찡꼬기에서 사용되는 작은 볼, 어레인지볼기나 작구빠찡꼬대 등에서 사용되는 화폐나 메달, 기타 이 종류의 빠찡꼬대 등에서 사용되는 유기용 매개물을 말한다.
다음에,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상판단수단(71)은 이상검출기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섬(2) 내의 이상내용을 판단하고, 이로써 표시수단(82)에는 이상표시가 행해진다.
이상표시에서는 제 5 도에 도시한 위치 1∼7이 점멸함으로써, 어느 위치에 어떤 이상이 있는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 메시지란(92)에는 수리방법이 표시되므로, 수리가 용이하다.
또, 공접점불량판단수단(72)은 공접점신호를 소정시간 이상동안 받았을 때, 보급이상이 있는 것이라고 판단하여, 공접점불량신호를 출력한다.
이로써, 표시수단(82)은 공접점표시를 행하므로, 보급이상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볼막힘판단수단(73)은 소정시간내의 보급볼수를 설정보급볼수와 비교하여, 소정시간내의 보급볼수간 미리 정해진 설정보급볼수 이햐일 때, 보급이상이 있는 것을 판단하여, 볼막힘 신호를 출력한다.
이로써, 표시수단(82)은 보급이상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8 도에 보급이상의 판단을 나타내는 플로챠트를 도시한다.
통산의 상태에서 보급신호가 있으면, 솔레노이드가 구동되고(스텝 101), 보급장치(12)의 볼공정관이 보급 접시측으로 이동한다.
공접점불량판단수단(72)은 보급접시내의 공접점에 의해 보급개수가 증가하고 있는가를 판단한다(스템 102).
증가하고 있는 경우에는, 볼막힘판단수단(73)이 규정부급개수에 달했는가를 판단한다(스텝 103).
달하여 있는 경우에는, 보급이상은 없는 것으로 된다.
한편, 스텝 102에서 보급개수가 증가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볼막힘판단수단(73)은 구동회수에 1을 가한 수가 10회를 초과했는가를 판단한다(스텝 105).
초과하여 있는 경우에는, 보급이상이 있다고 판단한다.
또, 스텝 103에서 규정보급개수에 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1초 기다린 후, 볼막힘판단수단(73)은 규정시간을 초과했는가를 판단한다(스텝104).
초과하여 있는 경우에는, 보급이상이 있다고 판단한다.
이리하여, 보급이상을 판단하고 있다.
제 9 도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다음의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간략화 또는 생략한다.
단말관리장치(15)에는 들어간볼, 나온볼감시수단(271)과, 들어간볼이상감지수단(272)이 설치되어 있다.
들어간볼, 나온볼감시수단(271)은 4대의 유기기(1)의 주지의 들어간볼·나온볼검출기(214)로부터의 검출신호를 받아서, 소정시간마다 각 유기기(1)의 들어간볼수 및 나온볼수를 연산하여, 들어간볼수 신호 및 나온볼수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이다.
들어간볼이상감시수단(272)은 공접점신호를 받았을 때, 들어간볼수신호 및 나온볼수신호로부터 소정시간마다의 들어간볼수의 증가 및 나온불소의 증가를 판단하고, 소정시간마다의 들어간볼수가 증가하지 않고, 소정시간마다의 나온볼수가 증가하고 있는 경우에, 들어간볼이상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이다.
단말관리장치(15)는 구체적으로는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입력부(151)와, 제어부(152)와, 메모리(153)와, 신호출력부(154)와, 네트워크제어부(155)에 의해 상기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신호입력부(151)는 유기기(1) 및 볼대출기(3)로부터 검출신호를 입력하여, 제어부(152)에 신호를 보낸다.
제어부(152)는 그 신호에 따라서, 신호입력부(151)로부터 데이터를 메모리(153)에 입력시킨다. 그 후, 제어부(152)는 메모리(153)로부터 기억된 데이터를 얻고, 연산처리하여 메모리(153)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신호출력부(154)는 제어부(152)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메모리(153)로부터의 얻은 데이터를 출력신호로서 발한다.
또한, 네트워크제어부(155)는 제어부(153)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메모리(153)로부터 데이터를 얻는다.
네트워크제어부(155)는 집적관리장치(6)의 섬콘트롤러부(163)와 연락되어 있다.
이리하여, 단말관리장치(15)는 각종 신호검출과 데이터처리, 유기기등의 상태관리와 제어, 각종 외부인터페이스에의 신호출력, 보급신호의 출력, 섬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전송 등을 행한다.
한편, 집적관리장치(16)에는 표시설정수단(81)과 표시수단(82)과 표시전환수단 (283)이 설치되어 있다.
표시설정수단(81)은 들어간볼이상신호에 따라서, 들어간볼이상표시설정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또, 표시설정수단(81)은 바둑판형 그래프 및 원그래프의 표시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바둑판형 그래프는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대의 유기기가 하나의 4각형으로 표시되고, 표시내용마다 배분된 색구분으로 표시된 것이다.
제 10 도에서는 가동대와, 비가동대와, 피버대와, 타구중지대와, 이상대(異狀臺)로 색구분된다.
또, 표의 아래에는 타구중지, 피버대, 해방대, 특별추가대 들의 표시가 대(臺)번호에 의해 표시된다.
그리고, 이 표시는 새로이 타구중지, 피버 등이 이루어진 것이 제 10 도의 우측에 표시되고, 먼저의 것은 좌측으로 순차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원그래프는 제 1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표시내용마다 배분된 색구분으로 표시되는 것이다.
또, 표시설정수단(81)은 제 11 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기 각 대의 상세한 상황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제 11 도에 의햐면, 대번호마다 특별추가, 타구중지, 소유볼, 총들어간볼, 총나온볼, 총볼의 차의 각 볼수등의 상세가 표시되고, 표의 아래에는 타구중지대, 피버대, 해방대, 특별추가대 등의 표시가 대번호에 의해 표시된다.
또, 표시설정수단(81)은 제 1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상표시를 행할 수도 있다.
이상표시에서는 화면상에 몇 개의 난을 설정하여, 난 (376)에 가장 새로운 이상이 발생한 유기기(1)의 대번호를, 난(377)에 가장 새로운 이상이 발생한 섬(2)의 섬번호를, 난(378)에 유기기(1)에 관한 이상의 상세를, 난(379)에 섬(2)에 관한 이상의 상세를 표시한다.
표시수단(82)은 들어간볼이상표시설정신호에 따라서 화면상에 들어간볼이상표시를 행하는 것이다.
표시전환수단(283)은 들어간볼이상표시설정신호에 따라서, 표시수단(82)의 표시를 들어간볼이상표시로 우선적으로 전환하는 수단이다.
집적관리장치(16)는 구체적으로는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61)와, 메모리(162)와, 섬콘트롤러부(163)와, 제어반(164)과, 통신포트부(165)에 의해 상기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단말관리장치(15)로부터 송출되어 오는 데이터 처리, 축적, 제어반에의 표시데이터의 작성, 인쇄데이터의 작성, 유기기(1)에의 각종 제어지령의 접수와 발행, 각종 상수의 관리, 통신포트의 제어 등을 행하고 있다.
제어반 (164)은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선제어부(171)와, 입력부(172)와, 표시부(173)와, 인쇄부(175)와, 표시설정부(174)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각 유기에의 제어요구, 각 유기기, 유기장의 상태표시, 집계데이터의 인쇄, 이상의 통지 등을 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유기기」라는 함은, 예를 들면 빠찡꼬기, 어렌인지볼기, 작구빠찡꼬대 등의 메달게임기, 기타 이 종류의 빠찡꼬대이며, 「볼」이라 함은 예를 들면 빠찡꼬기에서 사용되는 작은 볼, 어레인지볼기나 작구빠찡꼬대 등에서 사용되는 화폐나 메달, 기타 이 종류의 빠찡꼬대에서 사용되는 유기용 매개물을 말한다.
다음에,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4 도를 참조하여, 들어간볼이상의 판정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들어간볼, 나온볼감시수단(271)은 들어간볼, 나온볼검출기로부터의 검출신호를 받아서, 소정시간마다의 각 유기기(1)의 들어간볼수 및 나온볼수를 연산하여, 들어간볼수신호 및 나온볼수신호를 출력한다.
들어간볼이상감시수단(272)은 보급접시내의 공접점으로부터 A로 표시한 공접점신호를 받았을 때, 들어간 볼, 나온볼감시수단(271)으로 부터의 들어간볼수신호 및 나온볼수신호에 의해 소정시간마다의 들어간볼수 X1및 나온볼수 Y1를 기억한다.
다음에, 들어간볼이상감시수단(272)은 B로 표시한 공접점신호를 받았을 때, 들어간볼수신호 및 나온볼수신호에 의해 소정시간마다의 들어간볼수 X2의 들어간볼수 X1에 대한 증가 및 나온불소 Y2의 나온볼수 Y1에 대한 증가를 판정하고, 들어간볼수 X2가 증가하지 않고, 나온볼수 Y2가 증가하고 있을 경우, 즉,
Y2-Y1≠ 0 또한 X2-X1=0
의 경우에, 들어간볼이상신호를 출력한다.
또, 들어간볼이상감시수단(272)은 또 C로 표시한 공접점신호를 받았을 때, 들어간볼수신호 및 나온 볼수신호에 의해 소정시간마다의 들어간볼수 X3의 들어간볼수 X1에 대한 증가 및 나온볼수 Y3의 나온볼수 Y1에 대한 증가를 판정하고, 들어간볼 X3가 증가하지 않고, 나온볼수 Y3가 증가하고 있을 경우, 즉,
Y3-Y1≠0 또한 X3-X1=0
의 경우에, 들어간볼이상신호를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표시설정수단(81)은 들어간볼이상신호에 따라서, 들어간볼이상표시설정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표시수단(82)은 들어간볼이상표시설정신호에 따라서 화면상에 들어간볼이상표시를 행한다.
이로써, 들어간볼이상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표시수단(82)에서는 제 10 도에 도시한 바둑판형 그래프 및 제 12 도에 도시한 원그래프에 의해 이상대를 색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 들어간볼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표시수단(82)의 화면은 우선적으로 제 13 도에 도시한 이상표시로 전환하여, 이상을 확실하게 알 수 있다.
제 1 의 발명에 있어서, 이상판단수단에 의해 섬에서 어떤 이상이 있었는가 용이하게 알 수 있으므로, 유기장 수리가 용이하고, 유기장의 가동효율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이상내용이 이상의 위치를 포함할 경우에는, 섬의 수리위치를 용이하게 알 수 있으므로, 유기기의 수리가 또한 용이하게 된다.
또, 공접점불량판단수단을 가지는 경우에는, 공접점표시에 의해 보급이상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볼막힘판단수단을 가지는 경우에는, 시간을 기준으로하여 볼막힘의 판단을 행하면 볼막힘에 의한 보급이상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볼막힘판단수단을 가지는 경우에, 보급신호의 수를 기준으로 하여 볼막힘의 판단을 행하면 볼막힘에 의한 보급이상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공접점신호를 받았을 때, 소정시간마다의 들어간볼수가 증가하지 않고, 소정시간마다의 나온볼수가 증가하고 있을 경우에, 들어간볼이상신호를 출력하면 들어간볼이상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재빨리 들어간 볼이상을 알고, 들어간볼이상이 발생한 유기대를 정지하고 수리할 수 있으므로, 들어간볼이상에 의해 유기자가 예측할 수 없는 불이익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복수대의 유기기(遊技機)와 볼대출기를 가지는 섬에 그 이상(異常)을 검출하는 이상검출기를 복수 설치한 유기장(遊技場)의 전자관리장치로서, 상기 이상검출기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이상내용을 판단하고, 이상내용신호를 출력하는 이상판단수단과, 상기 이상내용신호에 따라서, 이상표시를 설정하고, 이상표시설정신호를 출력하는 표시설정수단과, 상기 이상표시걸정신호에 따라서 화면상에 이상표시를 행하는 표시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내용은 이상의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
  3. 복수대 배치된 유기기는 각각 보급접시를 가지며, 보급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보급장치는 상기 보급접시에 볼을 보급하고, 상기 보급접시는 상기보급장치에 의해 보급된 볼을 저장하고, 상기 보급접시는 공접점(空接點)을 가지며, 이 공접점은 접시내가 빈 상태일 때, 공접점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유기기 복수대마다 1대의 단말관리장치를 부설하여, 복수의 상기 단말장치를 집적관리장치에 의해 집중관리하는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로서, 상기 단말관리장치는, 상기 공접점신호를 소정시간 이상동안 받았을 때, 공접점불량신호를 출력하는 공접점불량판단수단을 가지고, 상기 집적관리장치는, 상기 단말관리장치를 통하여 상기 공접점 불량신호에 따라서, 공접점표시설정신호를 출력하는 표시설정수단과, 상기 공접점표시설정신호에 따라서 화면상에 공접점표시를 행하는 표시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
  4. 복수대 배치된 유기기는 각각 보급접시를 가지며, 보급장치 및 보급볼수검출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보급장치는 상기 보급접시에 볼을 보급하고, 상기 보급접시는 상기 보급장치에 의해 보급된 볼을 저장하고, 상기 보급볼수검출수단은 보급되는 볼수를 검출하여, 보급볼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유기기 복수대마다 1대의 단말관리장치를 부설하여, 복수의 상기 단말관리장치를 집적관리장치에 의해 집중관리하는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로서, 상기 단말관리장치는, 보급볼수신호를 받아서, 소정시간내에 보급볼수를 설정보급볼수와 비교하여, 이 소정시간내의 보급볼수가 설정보급볼수 이하일 때, 볼막힘신호를 출력하는 볼막힘판단수단을가지고, 상기 집적관리장치는, 상기 단말관리장치를 통하여 상기 볼막힘신호에 따라서, 볼막히표시설정신호를 출력하는 표시설정수단과, 상기 볼막힘표시설정신호에 따라서 화면상에 볼막힘표시를 행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보급신호를 상기 보급장체에 출력하는 보급지령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
  5. 복수대 배치된 유기기는 각각 보급접시를 가지며, 보급장치 및 보급볼수검출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보급장치는, 보급신호에 따라서 보급접시에 볼을 보급하고, 상기 보급접시는 상기 보급장치에 의해 보급된 볼을 저장하고, 상기 보급볼수검출수단은 보급볼수를 검출하여, 보급볼수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유기기 복수대마다 1대의 단말관리장치를 부설하여, 복수의 상기 단말관리장치를 집적관리장치에 의해 집중관리하는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로서, 상기 단말관리장치는, 상기 보급볼수신호를 받아서, 보급볼수를 설정볼수와 비교하고, 상기 보급볼수가 설정볼수 이하인 경우, 상기 보급신호의 수를 연산하여, 상기 보급신호의 수가 설정신호수 이상일 때, 볼막힘신호를 출력하는 볼막힘판단수단을 가지고, 상기 집적관리장치는, 상기 단말관리장치를 통하여 상기 볼막힘신호에 따라서, 볼막힘표시설정신호를 출력하는 표시설정수단과, 상기 볼막힘표시설정신호에 따라서 화면상에 볼막힘표시를 행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보급신호를 상기 보급장치에 출력하는 보급지령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
  6. 복수대 배치된 유기기는 각각 상기 보급장치에 의해 보급된 볼을 저장하는 보급접시를 가지며, 그 들어간볼 및 나온볼수를 검출하는 들어간볼, 나온볼검출기와, 상기 보급접시에 볼을 보급하는 보급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보급접시는 접시내가 빈 상태일 때 공접점신호를 출력하는 공접점을 가지고, 상기 유기기를 관리하는 전자관리장치로서, 상기 들어간볼·나온볼검출기로부터의 검출신호를 받아서, 소정시간마다의 각 유기기의 들어간볼수 및 나온볼수를 연산하여, 들어간볼수신호 및 나온볼수신호를 들어간볼·나온볼감시수단과, 상기 공접점신호를 받았을 때, 상기 들어간볼수신호 및 상기 나온볼수신호로부터 상기 소정시간마다의 들어간볼의 증가 및 나온볼수의 증가를 판정하고, 상기 소정시간마다의 들어간볼수가 증가하지 않고, 상기 소정시간마다의 나온볼수가 증가하고 있는 경우에, 들어간볼이상신호를 출력하는 들어간볼이상감시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
  7. 복수대 배치된 유기기는 각각 상기 보급장치에 의해 보급된 볼을 저장하는 보급접시를 가지며, 그 들어간볼 및 나온볼수를 검출하는 들어간볼, 나온볼검출기와, 상기 보급접시에 볼을 보급하는 보급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보급접시는 접시내가 빈 상태일 때 공접점신호를 출력하는 공접점을 가지고, 상기 유기기 복수대마다 1대의 단말관리장치를 부설하여, 복수의 상기 단말관리장치를 집적관리장치에 의해 집중관리하는 전자관리장치로서, 상기 단말관리장치는, 상기 유기기 복수대의 상기 들어간볼, 나온볼검출기로부터의 검출신호를 받아서, 소정시간마다의 각 유기기의 들어간볼수 및 나온볼수를 연산하여, 들어간볼수신호 및 나온볼수신호를 출력하는 들어간볼, 나온볼감시수단과, 상기 공접점신호를 받았을 때, 상기 들어간볼수신호 및 상기 나온볼수신호로부터 상기 소정시간마다의 들어간볼수의 증가 및 나온볼수의 증가를 판정하고, 상기 소정시간마다의 들어간볼수가 증가하지 않고, 상기 소정시간마다의 나온볼수가 증가하고 있는 경우에, 들어간볼이상신호를 출력하는 들어간볼이상감시수단을 가지고, 상기 집적관리장치는, 상기 들어간볼이상신호에 따라서, 들어간볼이상표시설정신호를 출력하는 표시설정수단과, 상기 들어간볼이상표시설정신호에 따라서 화면상에 들어간볼이상표시를 행하는 표시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
KR1019900022340A 1989-12-29 1990-12-29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500133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9-343877 1989-12-29
JP1343877A JPH0634858B2 (ja) 1989-12-29 1989-12-29 遊技場の電子管理装置
JP89-343874 1989-12-29
JP1343874A JPH03205078A (ja) 1989-12-29 1989-12-29 遊技場の電子管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308A KR910011308A (ko) 1991-08-07
KR950013356B1 true KR950013356B1 (ko) 1995-11-02

Family

ID=26577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2340A Expired - Fee Related KR950013356B1 (ko) 1989-12-29 1990-12-29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335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308A (ko) 1991-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3399A (en) Coin handling mechanism for supplying coins to coin game machines and collecting coins therefrom and gaming facility having the same
US5496032A (en) Management method for gaming hall
US3680566A (en) Bulk coin dispenser
JP2007330597A (ja) メダル補給設備
JPH0634858B2 (ja) 遊技場の電子管理装置
KR950013356B1 (ko)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
JP2003265695A (ja) 遊技媒体補給装置
US5382940A (en) Alarm system for amusement arcade
JP2001246145A (ja) メダル遊技設備
JP2004236780A (ja) 遊技設備の不正検出装置
JP2600058B2 (ja) 遊技場の電子管理方式
JP3502331B2 (ja) 遊技設備
JP4104699B2 (ja) 遊技媒体計数装置
KR950013411B1 (ko)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
JP2589649B2 (ja) 遊技場の電子管理装置
JP3732165B2 (ja) 遊技媒体計数機
KR950013355B1 (ko)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
JP6081629B2 (ja) 遊技用管理装置
JP5033506B2 (ja) 遊技機の異常監視装置及び異常監視方法
JP2002159625A (ja) パチスロ機用ユニット島
JP2000317101A (ja) パチンコ遊技機の払出球検出装置
JP6984845B2 (ja) 遊技媒体補給装置
JPH0749072B2 (ja) 玉返却装置
JPH07213717A (ja) パチンコ玉払出装置
JPH1142364A (ja) 遊技機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01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011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01103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