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12881B1 - 낚시용 리일의 핸들 접는 장치 - Google Patents

낚시용 리일의 핸들 접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881B1
KR950012881B1 KR1019880009604A KR880009604A KR950012881B1 KR 950012881 B1 KR950012881 B1 KR 950012881B1 KR 1019880009604 A KR1019880009604 A KR 1019880009604A KR 880009604 A KR880009604 A KR 880009604A KR 950012881 B1 KR950012881 B1 KR 950012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topper
arm
bifurcated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9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139A (ko
Inventor
교오이찌 가네꼬
Original Assignee
다이와 세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모리히데 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와 세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모리히데 다로오 filed Critical 다이와 세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6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낚시용 리일의 핸들 접는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정면도.
제 2 도는 제 1 도 A-A선의 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접는 상태의 종단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핸들축 2 : 핸들대좌
3 : 핸들아암 4 : 두갈래 형상부
6 : 조작부 7 : 걸어맞춤부
8 : 핸들스토퍼 10 : 걸어맞춤면
13 : 스프링
본 발명은 낚시용 스피닝 리일의 핸들 접는 장치의 관한 것이다.
스피닝리일에 있어서 핸들아암에 헐거움을 생기는 일없이 측방으로 접기 자유롭게 장착하는 것이 일본국 특공소 62-10620호 공보, 실개소 60-12972호 공보 등으로 알려져 있으나 종래의 방식은 핸들스토퍼를 핀으로 축받이해서 회전조작하고 있어 그 부분의 큰 작동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고 핸들이 대형화됨과 동시에 제조조립도 번잡하다는 등의 결함이 있다.
본 발명은 이들의 현상에 감안하여, 핸들 스토퍼를 핸들대좌를 끼워맞추어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핸들아암에 형성한 두갈래 형상의 바닥부에 있어서의 간극에서 미끄럼 움직이기 자유롭게 끼워붙임으로써 헐거움을 확실하게 흡수하면서 핸들스토퍼의 작동 스페이스의 축소를 도모하고 핸들 접는 기구를 경량 콤팩트화함과 동시에 핸들스토퍼를 핀을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조립을 간이하게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핸들 아암의 선단부에 형성된 두갈래 형상부내에 핸들축에 설치된 핸들대좌의 선단부를 두갈래 형상부의 바닥부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끼워맞추어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상기 두갈래 형상부 바닥부와 핸들대좌와의 사이에는 일단에 조작부를 가짐과 동시에 타단에 핸들대좌측으로 향해 걸어맞춤부를 돌출설치한 핸들스토퍼를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유롭게 장착하고, 상기 핸들대좌의 선단 한쪽에는 상기 걸어맞춤부와 쐐기작용으로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면을 형성하고, 또한, 핸들스토퍼와 상기 핸들아암의 두갈래 형상부 바닥부와의 사이에는 핸들스토퍼의 조작부가 돌출 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을 설치한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스피닝 리일의 핸들축(1)의 성단에는 선단부를 편평상으로 형성한 핸들대좌(2)가 설치되고, 이 핸들대좌(2)의 편평부는 핸들아암(3)의 굴곡선단부에 형성된 두갈래형상부(4)에 그 바닥부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끼워붙이고 축(5)으로 축받이되어 있다.
또, 상기 핸들아암(3)의 두갈래 형상부(4)의 바닥부와 핸들대좌(2)의 선단부와의 사이에는 일단에 조작부(6)를 형성함과 동시에 타단에 핸들대과(2)로 향해 걸어맞춤부(7)를 돌출설치한 핸들스토퍼(8)가 두갈래 형상부(4)의 간극부에서 약간 경사해서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유롭게 끼워붙여지고, 상기 걸어맞춤부(7)는 핸들대좌(2)의 선단 한쪽에 형성된 노치부(9)의 걸어맞춤면(10)과 걸어맞춤해서 양자의 테이퍼형상의 쐐기작용으로 핸들아암(3)을 축(5)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압압하도록 형서되고, 또한, 핸들 아암(3)의 두갈래 형상부(4)의 바닥부에 설치된 걸림노치부(11)와 핸들스토퍼(8)에 형성된 걸림부(12) 사이에는 스프링(13)이 개장되어서 핸들스포터(8)의 조작부(6)를 돌출시키도록 가압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도의 핸들아암(3)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핸들스토퍼(8)의 조작부(6)를 스프링(13)에 대항해서 압압하여 핸들아암(3)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걸어맞춤부(7)는 핸들대좌(2)의 걸어맞춤면(10)에서 이탈하기 때문에, 핸들아암(3)은 제 3 도와 같이 접혀진다.
또 핸들아암(3)을 핸들축(1)에 장착하는데는, 제 3 도의 상태에서 핸들아암(3)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핸들 스토퍼(3)의 걸어맞춤부(7)는 핸들대좌(2)의 걸어맞춤면(10)에 충접하여 양자의 테이퍼 걸어맞춤에 의한 쐐기작용으로 핸들아암(3)은 축(5)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압압회전되어서 핸들스토퍼(8)의 조작부(6) 측의 측면은 핸들대좌(2)의 선단부 단면에 압압하고, 핸들아암(3)은 핸들대좌(2)에 헐거움을 생기게 하는 일없이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그리하여 핸들스토퍼(8)는 핸들아암(3)의 두갈래 형상부(4)의 바닥부에 경사상으로 장착되어 있어 핸들아암(3)을 접을때에 있어서도 걸어맞춤부(7)가 핸들대좌(2)와의 쐐기작용에 의해 핸들스토퍼(8)가 두갈래 형상부(4)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본 발명은 핸들아암을 핸들대좌에 대하여 장착상태로 걸어맞춤하든지, 접는 상태로 유지되든지 하는 핸들스토퍼를 핸들아암의 두갈래 형상부 바닥부와 이 두갈래 형상부에 끼워맞추어 회전가능하게 고정한 핸들대좌 선단부와의 사이에 있어서,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유롭게 끼워붙이도록 하였기 때문에, 핸들스토퍼의 작동 스페이스는 핸들아암의 두갈래 형상부 바닥부에 있어서의 간극방향의 극히 작은 미끄러져 움직이는 작용마능로 충분하고, 따라서 핸들 접는 기구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핸들스토퍼는 종래와 같은 축받이핀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핸들아암의 두갈래 형상부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제조조립도 극히 용이하고, 그위에 핸들스토퍼는 핸들아암과 핸들대좌와의 사이의 헐거움을 확실히 흡수제거하여 핸들의 회전조작도 원활히 할 수 있는 뛰어난 특징을 가진다.

Claims (1)

  1. 핸들아암의 선단부에 형성된 두갈래 형상부내애 핸들축에 설치된 핸들대좌의 선단부를 두갈래 형상부의 바닥부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끼워맞추어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상기 두갈래 형상부 바닥부와 핸들대좌와의 사이에는 일단에 조작부를 가짐과 동시에 타단에 핸들대좌측으로 향해 걸어맞춤부를 돌출설치한 핸들스토퍼를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유롭게 장착하고, 상기 핸들대좌의 선단한 쪽에는 상기 걸어맞춤부와 쐐기작용으로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면을 형성하고, 또한 핸들스토퍼와 상기 핸들아암의 두갈래 형상부 바닥부와의 사이에는 핸들스토퍼의 조작부가 돌출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리일의 핸들 접는 장치.
KR1019880009604A 1987-10-09 1988-07-29 낚시용 리일의 핸들 접는 장치 KR9500128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54943 1987-10-09
JP62254943A JPH0829040B2 (ja) 1987-10-09 1987-10-09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折畳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139A KR890006139A (ko) 1989-06-12
KR950012881B1 true KR950012881B1 (ko) 1995-10-23

Family

ID=17272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9604A KR950012881B1 (ko) 1987-10-09 1988-07-29 낚시용 리일의 핸들 접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829040B2 (ko)
KR (1) KR9500128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5176Y2 (ja) * 1991-10-01 1998-11-11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折り畳み構造
KR100355069B1 (ko) * 1994-07-13 2002-12-28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낚시용릴의핸들접는장치
WO2006013979A1 (ja) 2004-08-06 2006-02-09 Sharp Kabushiki Kaisha 送信機、受信機、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通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6574U (ko) * 1980-03-14 1981-10-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139A (ko) 1989-06-12
JPH0198435A (ja) 1989-04-17
JPH0829040B2 (ja) 1996-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0844A (en) Wiper device
KR870001073B1 (ko) 낚시용 리일의 핸들절첩 장치
KR950012881B1 (ko) 낚시용 리일의 핸들 접는 장치
ES2183437T3 (es) Viga de carga telescopica con bloqueo longitudinal.
US4955739A (en) Mechanical pencil having side push button actuated lead advance
US4711519A (en) Assembly including an optical fiber secured in a wall
KR890003576A (ko) 와이퍼블레이드의 피봇죠인트
KR960033648A (ko) 공구 위치 수정 장치
JPH0529179Y2 (ko)
US4795120A (en) Supporting apparatus for movably supporting an attachment apparatus relative to a basic apparatus
US5765771A (en) Positive securement for a fishing reel handle folding device
DE2618605C3 (de) Fahrtlichtumschalter mit einem auf den Schalthebel aufgeschobenen Rastkopf
KR840005682A (ko) 렌 치
US4025936A (en) Axially displaceable lens housing
KR0129704Y1 (ko) 수납형 핸들장치
KR900009656Y1 (ko) 프린터의 플레튼 조절노브
ATE176945T1 (de) Eckumlenkung für spindel- und schubstange
KR0139725Y1 (ko) 클러치 릴리이스 포크의 힌지구조
JPH052907Y2 (ko)
FR2687607A1 (fr) Dispositif de decoupage pour des feuilles continues.
SU1131677A1 (ru) Исполнительный механизм однокривошипного пресса
JPH0198434A (ja)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折畳み装置
GB2167713A (en) Telescopic point bow compass
BE1000672A5 (fr) Cliquet porte-filieres.
KR0119514Y1 (ko) 상보적 결합구조체의 결합위치 조정용 스토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807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303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807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5092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01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6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0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0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9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0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4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0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