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12586B1 -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586B1
KR950012586B1 KR1019920024185A KR920024185A KR950012586B1 KR 950012586 B1 KR950012586 B1 KR 950012586B1 KR 1019920024185 A KR1019920024185 A KR 1019920024185A KR 920024185 A KR920024185 A KR 920024185A KR 950012586 B1 KR950012586 B1 KR 950012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call
service
call waiting
register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4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7606A (ko
Inventor
정동수
안지환
김승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920024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2586B1/ko
Publication of KR940017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7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58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전자 교환기 서브시스팀의 구성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 흐름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발신 상태에서의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개시 처리흐름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상태에서의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개시 처리흐름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처리흐름도.
제 6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종료 처리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입자 교환 서브시스팀(ASS)
2 : 내부 연결망 서브시스팀(INS)
3 : 중앙 제어 서브시스팀(CCS)
4 : 시분할 스위치 제어 서브시스팀(LSS)
5 : 가입자 및 중계선 정합 서브시스팀(LTAS)
6 : 신호 송수신 및 신호음 발생 서브시스팀(SSS)
7 : 호처리 제어 서브시스팀(TCS)
8 : 특수서비스 제어 서브시스팀(OSS)
9 : 번호 번역 및 루팅 처리 서브시스팀(NHS)
10 : 공간 스위치 및 통화 스위치 자원 관리 서브시스팀(SNS)
11 : 망동기 및 공간 스위치 제어 서브시스팀(CSS)
12 : 통계데이타 수집 관리 서브시스팀(MSS)
13 : 과금 정보 처리 서브시스팀(CAS)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서 제공되는 가입자 특수 서비스 중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교환기에도 통화중대기 서비스 기능이 제공되고 있으나, 중요한 통화를 하거나 데이타를 전송하는 경우에 가입자가 통화중대기 서비스를 원치않을 때에도 이 서비스가 무조건 제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가입자가 자기 의사에 관계없이 무조건 제공되는 서비스를 필요에 따라 거부할 수 있게 하여, 보다 다양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입자의 중계선의 정합을 제어하는 LTAS, 시분할 스위치를 제어하는 LSS, R2 MFC(Multi Frequency Code)와 DTMF( Dual Tone Multiple Frequency) 신호의 송수신 그리고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SSS, 기본적인 호처리를 제어하는 TCS, 특수서비스 호처리를 제어하는 OSS를 포함하는 가입자 교환 접속 서브시스팀(ASS)과 ; 번호 번역 및 루팅 처리를 하는 NHS, 공간 스위치와 회의 통화장치 그리고 각종 녹음 안내 장치를 제어하는 SNS, 망동기 및 공간 스위치를 제어하는 CSS를 포함하는 내부 연결망 서브시스팀(INS)과 ; 통계 데이타를 수집하는 MSS와 과금 처리를 하는 CAS를 포함하는 중앙 제어 서브시스팀(CCS)를 구비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휴지 상태이면 통화중대기 서비스와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를 등록한 가입자가 수화기를 들고 통화중대기 취소 코드를 다이얼한 후 통화를 원하는 상대 가입자 번호을 다이얼하여 통화하고, 통화중 상태이면 통화중대기 서비스와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를 등록한 가입자가 통화중에 훅 플래쉬를 하여 상대 가입자를 보류시키고 통화중대기 취소 코드를 다이얼한 후 다시 훅 플래쉬하여 상대 가입자와 통화하는 제 1 단계 ; 상기 제 1 단계 수행 후, 통화중 상태에서 제 3 의 가입자가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를 개시한 가입자를 호출하면 통화중대기 서비스를 등록했어도, 통화중대기 서비스를 수행하지 않고, 착신 요구한 발실 가입자에게 화중음을 들려주어 절단하게 하는 제 2 단계 ; 및 상기 제 1 단계 수행 후,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를 개시한 가입자가 통화를 끝내고 수화기를 내려놓으면 그 호에 대한 절단 처리와 함께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를 종료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전자 교환기의 구조도로서, ASS(1) 서브시스팀 계열에는 시분할 스위치 제어 서브시스템(LSS)(4), 가입자 및 중계선 정합 서브시스팀(LTAS)(5), R2 MFC(Multi Frequency Code)와 DT MF(Dual Tone Multiple Frequency) 신호 송수신과 각종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서브시스팀(SSS)(6), 일반적인 호처리 전반을 제어하는 서브시스팀(TCS)(7), 및 각종 특수 서비스 호처리를 제어하는 서브시스팀(OSS)(8)이 속해 있고, INS(2) 서브시스팀 계열에는 번호번역 및 루팅을 처리하는 서브시스팀(NHS)(9), 공간 스위치와 녹음안내 장치 및 회의 통화 장치를 관리하는 서브시스팀(SNS)(10), 망동기 및 공간 스위치를 제어하는 서브시스팀(CSS)(11)이 속해 있다. 또한, CCS(3)서브시스팀에는 교환기 운용중에 발생하는 각종 통계 데이타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출력시키는 서브시스팀(MSS)(12)과 가입자에게 제공된 호서비스에 대하여 통화시간, 기간, 거리에 따라 요금 산정을 하기 위한 과금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가입자에게 제공하거나 마그네틱 테이프(MT) 또는 디스크(Disk)에 수록하는 서브시스팀(CAS)(13)이 속해 있다. 서브시스팀 OSS(8)는 서브시스팀 TCS(7)로부터 호제어 요구를 받아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를 위한 각종 처리를 제어하며 나머지 서브시스팀에 필요한 처리를 요구한다.
제 2 도는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처리의 개략적인 전체 흐름도이다.
편의상 통화중대기 및 퉁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등록 가입자를 A,A 가입자와 통화중이던 원래의 상대 가입자를 B, A 가입자와 B 가입자가 통화를 하고 있을때 A 가입자를 호출한 제 3의 가입자를 C 가입자라고 칭한다.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는 가입자가 전화기를 들자마자 개시할 수도 있고, 다른 가입자와 통화중에 상대 가입자를 보류시킨 후에 서비스 개시를 요구할 수도 있다.
서비스가 시작되면 통화 상태를 조사하여(20)호 상태가 휴지 상태인 경우에는 가입자 A가 전화기를 들고(21), 발신음을 들으면서(22) 통화중대기 취소 코드를 다이얼하면(23), 이 정보가 데이타 베이스(Database)에 저장되고 이때부터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가 개시된다(24). 이때 가입자 A가 가입자 B 번호를 다이얼하면(25), 정상적인 호처리를 수행하여 가입자 B를 호출하면(26), 착신 가입자 B가 응답하면(27), 가입자 A와 B가 통화를 하게 된다.
또한, 가입자 A와 가입자 B가 통화를 하다가, 가입자 A가 훅 플래쉬를 하면(28), 가입자 A에게 발신음이 연결되고(29), 가입자 A가 통화중대기 취소 코드를 다이얼하면(30), 이 정보가 데이타 베이스(Database)에 저장되며 이때부터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가 개시된다(31). 이때 가입자 A가 훅 플래쉬를 하면(32) 가입자 A와 가입자 B가 다시 통화를 하게 된다.
그리고, 가입자 A와 가입자 B가 통화를 하고 있는데 제 3의 가입자 C가 가입자 A를 호출하면(33), 가입자 A가 착신이 가능한지를 조사하여(34), 착신이 불가능하면 가입자 C를 절단하게 하며(35), 착신이 가능하다면 통화중대기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조사한다(36). 통화중대기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역시 가입자 C에 대한 절단처리를 수행하며(37), 통화중대기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었다면 다시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가 개시되고 있는지를 조사하여(38),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가 개시되지 않았으면 통화중대기 서비스를 처리한다(39). 또,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가 개시되고 있었으면 통화중대기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가입자 C에 대한 절단 처리를 수행하며(40), 가입자 A와 가입자 B는 계속 통화를 하게 된다.
그리고, 통화를 끝낸 가입자 A가 수화기를 내려 놓으면(41), 데이타 베어스(Database)에 저장되어 있던 통화중대기 취소 정보가 삭제되어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가 종료되며(42), 두 가입자에 대한 절단 처리를 수행하고(43), 휴지 상태로 바뀌면서 이 서비스는 종료된다.
상세한 처리는 다음의 제 3 도 내지 제 6 도 사이에서 기술하였다. 제 3 도는 휴지 상태에서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를 개시하는 처리흐름도이다.
휴지 상태(50)이던 통화대기 및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등록 가입자 A가 전화기를 들으면(51), LTAS 서브시스팀에서 이를 검출하여 TCS 서브시스팀에 통보하고 TCS 서브시스팀은 SSS 서브시스팀에 발신음을 연결하게 한다(52). 가입자 A가 첫 디지트를 다이얼하면(53), SSS 서브시스팀이 발생음을 절단하며(54), 가입자 A로부터 다시 디지트를 수신하면(55), NHS 서브시스팀에서 그 디지트를 분석하여(56), 가입자 B의 번호이었을 경우에는 정상적인 호처리를 수행하여 가입자 A와 가입자 B가 통화를 하게 한다(57).
그리고, NHS 서브시스팀에서 분석한 결과, 가입자 A가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요구 코드를 다이얼한 경우에는 통화중대기 기능이 등록되어 있는지를 조사하여(58),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SSS 서브시스팀에서 오류음을 들려주어 가입자 A가 호를 절단하게 하며(59),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시 통화중대기 취소 기능이 등록되어 있는지를 조사하여 (60),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SSS 서브시스팀에서 오류음을 들려주어 가입자 A가 호를 절단하여(61), 이 서비스를 종료한다.
그리고,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통화중대기 취소 정보를 데이타 베이스(Database)에 저장하고 이때부터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가 개시된다. (62), 그리고, SSS 서브시스팀에서 가입자 A에게 특수발신음을 들려주어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개시 되었으며 다이얼을 돌릴 수 있음을 알려준다(63). 이때 가입자 A가 첫 다이얼을 돌리면(64), SSS 서브시스팀에서 특수발신음을 절단하며(65), 계속해서 가입자 B의 번호를 다이얼하면(66), NHS 서브시스팀에서 그 번호를 분석하여(67)착신 가입자 B를 호출하고 가입자 A와 가입자 B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하는 정상적인 호처리를 수행한다(68). LTAS 서브시스팀이 연결한 호출신호를 듣고 가입자 B가 응답하면(69) 가입자 A와 가입자 B는 서로 통화를 하게 된다.
제 4 도는 양자 통화 상태에서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를 개시하는 처리흐름도이다.
발신 또는 착신으로 통화를 하고 있던 통화중대기 및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등록 가입자 A가 훅 플래쉬를 하여(80) LTAS 서브시스팀에서 이를 검출하면 호처리 제어를 OSS 서브시스팀으로 이전하고, SSS 서브시스팀에서 가입자 A가 첫 디지트를 다이얼하면 SSS 서브시스팀에서 발신음을 절단하고, 이어 NHS 서브시스팀에서 다이얼한 디지트를 분석한 결과 통화중대기 취소 요구이었으면(83), 통화중대기 서비스와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를 등록한 가입자인지를 조사하여(84), 등록이 안된 경우에는 SSS 서브시스팀에서 가입자 A에게 오류음을 연결하여(85) 서비스를 받을 수 없음을 알리고, 가입자 A가 다시 훅 플래쉬를 하여(86) LTAS 서브시스팀에서 이를 검출하면, SSS 서브시스팀에서 가입자 A에게 연결되던 오류음을 절단하고(87), 가입자 B에 연결되면 보류음을 절단하며(88), LSS, CSS 및 SNS 서브시스팀에서 가입자 A와 가입자 B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하여(89), 가입자 A와 가입자 B는 다시 서로 통화를 하게 되며 호처리 제어는 TCS 서브시스팀으로 이전된다.
그리고, 통화중대기 서비스와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등록 기입자인 경우에는 통화중대기 취소 정보를 데이타 베이스(Database)에 저장하고 이때부터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가 개시되며(90), SSS 서브시스팀에서 가입자 A에게 확인음을 들려줘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개시되었음을 알려준다(91). 그리고 가입자 A가 훅 플래쉬를 하여(92) LTAS 서브시스팀이 이를 검출하면, SSS 서브시스팀에서 가입자 A에게 연결되던 확인음을 절단하고(93), 가입자 B에게 연결되던 보류음을 절단하며(94), LSS, CSS 및 SNS 서브시스팀에서 가입자 A와 가입자 B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하여(95), 가입자 A와 가입자 B는 다시 서로 통화를 하게 되며 호처리 제어는 다시 TCS 서브시스팀으로 이전된다.
제 5 도는 제 3의 가입자가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를 개시한 가입자를 호출했을 때 수행되는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처리흐름도이다.
상기 제 3 도 또는 제 4 도의 과정을 통해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를 개시한 가입자 A가 가입자 B와 발신 또는 착신으로 통화를 하고 있는데(100) 지국 또는 타국에 있는 제 3의 가입자 C가 가입자 A의 번호를 다이얼하여 착신 요구를 하면(101), TCS 서브시스팀에서 그 가입자가 블럭되었거나, 착신금지 또는 통화정지중이어서 착신이 불가능한 가입자인지를 조사하여(102), 착신이 불가능한 가입자이면 절단처리를 수행한다(103).
그리고, 착신이 가능한 가입자이면 그 가입자가 통화중대기 서비스보다 높은 서비스 우선 순위를 갖는 무조건 착신통화전환, 부재중 녹음안내, 착신거부 녹음안내 등의 서비스를 등록했는지를 조사하여(104), 등록했으면 OSS 서브시스팀이 해당 서비스를 처리하게 하고(105), 등록하지 않았으면 가입자 A가 통화중인지를 조사하여(106), 휴지중이면 정상적인 착신 처리를 수행하고(107), 통화중이면 조건부 착신통화전환 서비스를 등록했는지를 조사한다(108). 이때 조전부 착신통화전환 서비스를 등록했으면 OSS 서브시스팀에서 그 서비스를 처리하게 하고(109). 등록하지 않았으며 통화중대기 서비스를 등록했는지를 조사하여(110), 등록하지 않았으면 화중에 의한 절단처리를 수행하며(111), 등록하였으면 다시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를 개시했는지를 조사하여(112), 개시하지 않으면 OSS 서브시스팀에서 통화중대기 서비스를 처리하게 하고(113), 개시했으면 SSS 서브시스팀이 가입자 C에게 화중음을 연결하게 하여 가입자 C가 절단하게 하며(114), 가입자 A와 가입자 B는 계속 통화를 하게 된다.
제 5 도는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종료 처리흐름도이다.
제 3 도 또는 제 4 도의 과정을 통해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를 개시한 가입자 A가 가입자 B와 통화를 하다가 통화를 완료하고 수화기를 내려놓으면(120) LTAS 서브시스팀이 이를 검출하여 TCS 서브시스팀에 통보하고 TCS 서브시스팀은 LSS, CSS 및 SNS 서브시스팀이 가입자 A와 가입자 B사이의 스위치를 절단하게 하고, CAS 서브시스팀에서 그 통화에 대한 과금 처리를 하게 하며(121), 가입자 B에게는 SSS 서브시스팀에서 화중음을 연결하게 하여 절단하도록 한다(122). 또한, 데이타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중대기 취소 정보를 삭제하고(123), 가입자 A의 상태를 휴지 상태로 바꿔주어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가 종료된다. 또한, 제 3 도에서 가입자 A가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를 개시한 후, 가입자 B의 번호를 다이얼하여 호출하다가 통화 실패를 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그 호에 대한 절단 처리를 수행하고, 데이타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중대기 취소 정보를 삭제하여,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를 종료시킨다.
통화중대기 서비스는 그 기능을 등록한 가입자가 통화하고 있을때 제 3의 가입자가 호출을 하면 가입자 A에게 통화중대기음을 들려주어 이를 알려주는데, 가입자 A가 통화중대기 서비스를 받기 위해 훅 플래쉬를 하면 통화를 하고 있던 상대 가입자 B를 보류시키고 제 3 의 가입자 C와 통화를 하게 되며, 다시 훅 플래쉬를 하여 두 가입자 사이를 오가며 통화를 계속할 수 있는 편리한 서비스이나, 중요한 통화를 하거나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해서 통화중대기 서비스를 받고 싶지 않은 통화의 경우에도 통화중대기음이 무조건 연결되므로 오히려 서비스 가입자에게 피해를 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화중대기 서비스와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를 등록한 가입자가 원할 경우 전화기를 들고 통화중대기 취소 코드를 다이얼한 후 호출한 가입자와 통화를 하거나, 이미 통화를 하고 있다고 훅 플래쉬를 하여 상대 가입자를 보류시키고 통화중대기 취소 코드를 다이얼한 후 다시 훅 플래쉬를 하여 통화를 하고 있는 가입자에게는 통화중대기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게 하여 가입자에게 보다 다양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가입자와 중계선의 정합을 제어하는 LTAS(5), 시분할 스위치를 제어하는 LSS (4), R2 MFC(Multi Frequency Code)와 DTMF(Dual Tone Multiple Frequency) 신호의 송수신 그리고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SSS(6), 기본적인 호처리를 제어하는 TCS( 7), 특수서비스 호처리를 제어하는 OSS(8)를 포함하는 가입자 교환 접속 서브시스팀(ASS)(1)과 ; 번호 번역 및 루팅 처리를 하는 NHS(9), 공간 스위치와 회의 통화 장치 그리고 각종 녹음 안내 장치를 제어하는 SNS(10), 망동기 및 공간 스위치를 제어하는 CSS(11)를 포함하는 내부 연결망 서브시스팀(INS)(2)과 ; 통계 데이타를 수집하는 MSS(12)와 과금 처리를 하는 CAS(13)를 포함하는 중앙 제어 서브시스팀(CCS)(3)를 구비하는 전전자 교화기의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휴지 상태이면 통화중대기 서비스와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를 등록한 가입자가 수화기를 들고 통화중대기 취소 코드를 다이얼한 후 통화를 원하는 상태 가입자 번호를 다이얼하여 통화하고, 통화중 상태이면 통화중대기 서비스의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를 등록한 가입자가 통화중에 훅 플래쉬를 하여 상대 가입자를 보류시키고 통화중대기 취소 코드를 다이얼한 후 다시 훅 플래쉬하여 상대 가입자와 통화하는 제 1 단계(20 내지 32) ; 상기 제 1 단계(20 내지 32) 수행 후, 통화중 상태에서 제 3 의 가입자가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를 개시한 가입자를 호출하면 통화중대기 서비스를 등록했어도, 통화중대기 서비스를 수행하지 않고, 착신 요구한 발신 가입자에게 화중음을 들려주어 절단하게 하는 제 2 단계(33 내지 40) ; 및 상기 제 1 단계(20 내지 32) 수행 후,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를 개시한 가입자가 통화를 끝내고 수화기를 내려놓으면 그 호에 대한 절단 처리와 함께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를 종료하는 제 3 단계(41 내지 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20 내지 32)의 휴지중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개시는, 휴지중이던 가입자가 수화기를 들고 통화중대기 취소 코드를 다이얼하면 상기 NHS(9)에서 적법한 가입자인지 조사하여 적법한 가입자이면 상기 SSS에서 특수 발신음을 들려주고, 통화중대기 취소 정보를 저장하여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가 개시되는 제 4 단계(50 내지 63) ; 및 상기 단계(50 내지 63) 수행 후, 특수 발신음을 듣고 있던 가입자가 통화를 원하는 가입자를 호출하여 통화하는 제 5 단계(64 내지 6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50 내지 63)는, 휴지 상태이던 가입자 A가 혹 오프하면, 상기 LTAS(5)에서 이를 검출하여 상기 TCS(7)에 통보하고 상기 TCS (7)는 상기 SSS(6)에 발신음을 연결하고 가입자 A가 첫 디지트를 다이얼하면, 상기 SSS(6)가 발신음을 절단하며, 가입자 A로부터 다시 디지트를 수신하면, 상기 NHS(9)에서 그 디지트를 분석하여 가입자 B의 번호이었을 경우에는 정상적인 호처리를 수행하여 가입자 A와 가입자 B가 통화하는 단계(50 내지 57) ; 상기 NHS에서 분석한 결과, 가입자 A가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요구 코드를 다이얼한 경우에는 통화중대기 기능이 등록되어 있는지를 조사하여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SSS(6)에서 오류음을 들려주어 가입자 A가 호를 절단하게 하며,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시 통화중대기 취소 기능이 등록되어 있는지를 조사하여,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SSS(6)에서 오류음을 들려주어 가입자 A가 호를 절단하는 단계(58 내지 61) ; 및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통화중대기 취소 접조를 데이타 베이스(Database)에 저장하고 상기 SSS(6)에서 가입자 A에게 특수발신음을 들려주어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개시되었으며 다이얼을 돌릴 수 있음을 알려주는 단계(62, 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20 내지 32)의 통화중 상태에서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개시는, 통화중이던 가입자가 훅 플래쉬를 하여 상대 가입자를 보류시킨 후 통화중대기 취소 코드를 다이얼하면, 그 가입자가 적법한 가입자인지를 조사하는 단계(80 내지 84) ; 상기 단계(80 내지 84) 수행 후, 적법하지 않은 가입자이면 상기 SSS(6)이 그 가입자에게 오류음을 들려주고, 그 가입자가 훅 플래쉬를 하면 보류중인 가입자와 다시 통화하는 단계(85 내지 89) ; 및 상기 단계(80 내지 84) 수행 후, 적법한 가입자이면 통화중대기 취소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SSS(6)에서 가입자에게 확인음을 연결하고 가입자가 훅 플래쉬를 하여 보류중이던 가입자와 다시 통화하는 단계(90) 내지(9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33 내지 40)는, 발신 또는 착신 통화중인 가입자에게 착신 요구가 들어오면 상기 TCS(7)에서 그 가입자가 착신 가능한가를 조사하는 단계(100 내지 102) ; 상기 단계(100 내지 102) 수행 후, 착신이 불가능하면 절단 처리를 하고, 착신이 가능하면 무조건 착신전환 등과 같은 특수서비스가 등록되었는지를 조사하여 등록되었으며 상기 OSS(8) DPTJ 해당 서비스를 처리하고 등록되지 않았으면 착신 화중인지를 조사하는 단계(103 내지 106) ; 상기 단계(103 내지 106) 수행 후, 착신 화중이 아니면 정상 착신 처리를 하며, 착신 화중이면 조건부 착신통화전환 서비스가 등록되었는가를 조사하여 등록되었으면 상기 OSS(8)에서 해당 서비스를 처리하고 등록되지 않았으면 통화중대기 등록 여부를 조사하는 단계(107 내지 110); 상기 단계(107 내지 110) 수행 후, 등록되지 않았으면 절단 처리하고, 등록되었으면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가 개시되었는지를 조사하여 개시되었으면 상기 SSS(6)가 제 3 가입자를 절단한 후 계속 통화하고, 개시되지 않았으면 상기 OSS(8)가 통화중대기 서비스를 처리하는 단계(111 내지 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방법.
KR1019920024185A 1992-12-14 1992-12-14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950012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4185A KR950012586B1 (ko) 1992-12-14 1992-12-14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4185A KR950012586B1 (ko) 1992-12-14 1992-12-14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606A KR940017606A (ko) 1994-07-27
KR950012586B1 true KR950012586B1 (ko) 1995-10-19

Family

ID=19345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4185A Expired - Fee Related KR950012586B1 (ko) 1992-12-14 1992-12-14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258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606A (ko) 1994-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7159B1 (ko) 전기통신시스템에서 호출을 자동으로 라우팅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53274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network for customer signaling during the term of a call
KR950012586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방법
JP3097114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制御方式ならびに電話機およびファクシミリ装置
JP3494701B2 (ja) ボタン電話装置
JPH05316219A (ja) 電話交換網における優先着信方式
JPH06253010A (ja) 通話中着信表示方式
KR950012587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통화중 대기 서비스 방법
JPH1042047A (ja) 交換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H03237856A (ja) 交換装置
JPH01183950A (ja) 電話交換システムにおける通話ルート指定方法
JPS5830261A (ja) 待合せ接続方式
KR930010954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호재시도 서비스 방법
KR940006520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호 보류 서비스 방법
KR950011483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부재중 및 착신거부 녹음안내 서비스 방법
KR0184361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발신번호 추적 서비스방법
KR100211890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통화중 가입자에게 메시지 송출서비스 방법
KR0154500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악의호 정보 접수 및 안내 방법
JPH0530220A (ja) 電子交換機の転送方式
JP3397719B2 (ja) 電気通信網による呼の保留・接続方法
KR100215966B1 (ko) 자국안내대의 타국가입자에 대한 호전환서비스방법
JPH01314496A (ja) トランク発着信衝突制御方法
JPH04259157A (ja) 転送放棄方式
JPH0465957A (ja) コールバック転送方式
JPS6050098B2 (ja) 電話交換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1999102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91020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