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12155B1 - 목재건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목재건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155B1
KR950012155B1 KR1019910017874A KR910017874A KR950012155B1 KR 950012155 B1 KR950012155 B1 KR 950012155B1 KR 1019910017874 A KR1019910017874 A KR 1019910017874A KR 910017874 A KR910017874 A KR 910017874A KR 950012155 B1 KR950012155 B1 KR 950012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drying
combustion gas
wood
drying chamber
combus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7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8450A (ko
Inventor
사찌오 이시이
Original Assignee
사찌오 이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찌오 이시이 filed Critical 사찌오 이시이
Publication of KR920008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15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 F26B23/02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incinerating volatiles in the dryer exhaust gases, the produced hot gases being wholly, partly or not recycled into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4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partly outside the drying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목재건조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목재건조장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목재건조실 2 : 연소가스발생기
3 : 연소가스공급로 4 : 공기도입관
5 : 연소가스회수관 6 : 배기가스배출관
7 : 굴뚝 21 : 연소챔버
41, 52, 61 : 댐퍼 51 : 팬
본 발명은 목재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말하면 벌채된 목재, 대나무등의 생식물을 단시간에 함유 수분이 안정화된 건조목재, 건조대나무등의 건조된 식물로 제조하기 위하여 건조시키는 가열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벌채된 생목재등에는 수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통상 많은 벌레와 그 알이 부착되어 있다. 그래서, 건축용 및/또는 기구용 재목을 제조할 때는 생목재를 건조시키고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벌레와 그 알을 죽이는 것이 보통이다. 지금까지 건조공정에서는 생목재를 목재제조장에서 3 내지 5년의 장기간 동안 생목재를 방치해야 하는 자연 건조법으로 처리하여 왔다.
이 장기간 동안 목재제조장의 작업자들은 그 건조공정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목재를 자주 이동시켜야 한다. 그러나, 장기간 동안 목재제조장에 목재를 방치하면 자금회전 효율이 나쁘고 목재의 병충해를 막는데도 불리하다.
그러한 상황하에서 지금까지 단시간에 목재를 건조시키는 급속 건조방법이 많이 제안되어 왔다. 예컨대, 이들 종래 건조방법중 하나는 전공 건조타입이며, 또다른 이들 종래 건조방법으로서는 고온 공기가 공급되는 건조실을 사용하는 가열 건조방법이 있다.
그러나, 종래 급속 건조방법으로 제조된 건조목재는 자연 건조법에 의해 제조된 건조목재에서와 같이 균열 및 수분의 흡수로 목재가 뒤틀리는 문제점을 방지하는데 있어 불리하다.
종래 급속 건조방법의 고유의 상술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또다른 방법(즉 종래 가열타입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종래 가열타입 방법에서는 먼저 생목재를 목재설 등을 태워서 발생된 고온 연소가스가 바로 도입되는 건조실에 수용함으로써 화학처리 및 건조목재의 뒤틀림이 없이 생목재는 고온연소가스와 접촉하게 되어 연소가스의 여러 연기성분과 열로 건조되며 살균되어서 목재에 붙은 벌레와 그 알을 죽이게 된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 50-129373호 및 60-103281호에는 생목재가 열통을 통과시키는 상부와 냉풍을 통과시키는 하부를 갖춘 처리챔버에 수용되어 목재를 건조시키는 상술한 종래 가열타입방법중의 하나가 개시되어 있다. 또 이들 일본 특개소의 명세서에는 또 목재의 처리 효율에 있어 빈약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도 개시하고 있다. 이 방법에서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처리챔버에 복수의 생목재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건조목재는 함유 수분이 변하는 경향이 있어 제품(또는 건조된 목재)의 품질을 안정화시킬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 건조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의 고유의 상술 문제점의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목재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다.
목재를 건조시키는 방법은 생목재를 목재건조실에 쌓는 단계, 밀봉하기 위하여 목재건조실을 폐쇄하는 단계, 목재건조실내에 이미 존재한 공기를 점진적으로 교체하기 위하여 목재건조실이 연소가스로 채워질때까지 고온연소가스는 발생시키고 이 고온연소가스를 목재건조실로 도입시키는 단계, 연소챔버로 도입된 신선한 공기의 양을 제어하고 이 도입된 신선한 공기의 양 만큼의 연소가스의 양을 목재건조실로부터 방출하고 목재건조실내 분위기의 산소농도를 안정된 저레벨로 유지하고 온도분포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연소가스의 일부분을 강제 순환시킴으로써 연소챔버내에서의 연소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진다.
본 발명의 복수의 목재를 건조시키는 장치는 내부공간이 통상 장애없이 개방되고 밀폐가능한 목재건조실, 그 하부에 설치된 연소챔버로 연소용의 신선한 공기를 도입하는 공기도입관으로 구비되는 연소가스발생기, 이 연소가스발생기의 상부로 부터 목재건조실의 상부로 연장되어 있고 연소가스가 자연스럽게 상기 목재건조실에 들어가도록 하는 연소가스공급로, 목재건조실의 저부로 부터 굴뚝으로 연장하는 배기가스 배출관, 상기 목재건조실(1)과 별개로 형성되어 있고 목재건조실의 저부로 부터 연소가스발생기로 연장되어 있는 연소가스회수관, 배기가스 배출관 및 연소가스회수관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가스 유량제어 유닛으로 이루어진다.
목재건조용의 본 발명의 장치에서 연소가스회수관은 연소가스발생기와 바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또 공기도입관과 연소가스회수관을 연결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장치에서 가스유량 제어유닛(배기가스 배출관 및 연소가스 회관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은 팬과 댐퍼(damper)가 조합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스 유량제어 유닛도 팬 및 댐퍼중의 어느 하나 만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장치의 공기도입관에 팬 및/또는 댐퍼를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러나, 공기도입관의 구비는 본 발명의 장치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공기도입관, 배기가스 배출관 및 연소가스회수관중 적어도 하나에 팬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생목재등을 건조하는 상기 구조의 본 발명 장치의 작동에서는 본 발명 장치의 연소가스발생기에서 목재설등이 연소되어 연기를 수반한 고온 연소가스가 생긴다. 그 다음 고온 연소가스는 연소가스공급로를 통하여 목재건조실의 상부로 도입된다.
목재건조실에서 고온 연소가스는 목재를 가열하고 건조시키기 위해서 하방으로 생목재(건조실에 쌓여져 있는)를 통과하여 건조실의 저부에 도달하며 그 저부로 부터 연소가스는 배기가스 배출관으로 흘러서 장치의 굴뚝을 거쳐 대기로 방출된다.
본 발명의 장치의 상기 작동에서 목재건조실의 저부로부터 흐르는 연소가스 일부분은 순환되어서 연소가스회수관으로 유입되어 순환되는 일부 연소가스는 연소가스발생기로 되돌아가서 이 순환된 일부 연소가스는 공기도입관을 거쳐 연소가스발생기로 도입된 신선한 공기와 혼합되어 상기 연소가스발생기에서 연료(즉, 목재설)의 연소속도를 조정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목재건조장치에서 생목재의 유효한 건조작업에서는 장치가 실제 산소를 함유하지 않는 연소가스를 발생시킬 필요가 있으며, 연소가스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러므로 연소가스의 일부 순환은 본 발명의 장치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장치를 통한 연소가스 일부를 순환시킴으로써 장치로부터 굴뚝을 통하여 가스가 배출되기 전에 연소가스로부터 수분 및 휘발성 물질을 회수할 수 있다. 그래서 회수된 휘발성 물질은 굴뚝을 통해 대기로 배출되기 전에 다시 분해 연소되어 공기오염(연소가스에 함유된 휘발성 물질에 의해 야기되는) 해소에 기여하기 되며 휘발성 물질이 본 발명의 장치에서 연료로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코스트 절약에도 기여하게 된다.
이후에, 본 발명을 수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목재등의 건조작업에서 목재를 목재건조실(1)에 수용하여 쌓아올린다. 목재건조실(1)은 밀폐될 수 있고 연소가스발생기(2)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서 연소가스발생기(2)의 상부는 연소가스공급로(3)에 의하여 목재건조실(1)의 상부와 연통된다. 연소가스발생기는 목재건조실(1)의 폭과 대체로 동일하다.
연소가스발생기(2)의 하부는 목재설 등의 적당한 연료가 연소하여 고온 연소가스가 생기게 되는 연소챔버(21)를 형성한다. 연소가스발생기(2)의 연소챔버(21)는 공기도입관(4)과 연결되어 신선한 공기를 도입한다.
공기도입관(4)위의 제위치에서 연소가스발생기(2)에 면한 벽(8)에는 연료투입개구부(9)가 목재설을 연소챔버(21)내로 투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 있다. 목재설이 연소챔버(21)내에 놓여진 후에, 연료투입개구부(9)를 통과한 목재설에 불이 당겨지고 연료투입개구부는 밀봉하기 위하여 폐쇄된다.
목재설이 연소됨에 따라 생성되고 연소챔버(2)내에 쌓여지는 재는 연료투입구멍을 통하여 삽 또는 굴착기(excavator)로 제거된다.
이하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건조목적으로 목재건조실(1)로의 생목재의 운반은 연소가스발생기(2)에 대행한 목재건조실(1)의 측면에서 밀봉적으로 폐쇄가능한 입구(도시생략)를 통하여 달성되며, 따라서 연소가스발생기(2)는 생목재를 목재건조실(1) 안팎으로 적재하는데 장애가 되지 않는다.
공기도입관(4)의 개구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댐퍼(41)는 연소가스발생기(2)의 연소챔버(21)로 도입되는 신선한 공기의 유량을 제어한다. 댐퍼(4)는 상술된 바와 같이 연소챔버(21)내의 목재설에 불이 당겨지면 개방된다.
목재건조실(1)의 복수의 바닥 또는 플로어 위치에서 이 목재건조실(1)은 공기도입관(4)과 연결된 복수의 연소가스회수관(5)과 연결된다.
연소가스회수관(5) 각각에는 연소가스발생기(2)로 연소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목재건조실(1)로부터 연소가스를 흡입하는 팬(51)과 목재건조실(1)로부터 흡입연소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는 댐퍼(52)가 설치되어 있다.
또 배기가스 배출관(6)은 목재건조실(1)의 코너부분에 연결되어서 목재건조실(1)의 대각선 방향으로 연소가스공급로(3)로부터 마주하여 배치됨으로써 배기가스 배출관(6)의 입구는 연소가스공급로(3)에 관하여 목재건조실(1)의 가장 먼곳에 위치된다. 배기가스 배출관(6)은 이를 통과하는 배기가스가 대기로 배출되는 굴뚝(7)으로 연장한다.
배기가스 배출관(6)에는 굴뚝(7)으로 방출되는 배기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는 댐퍼(6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목재건조장치의 작동에서 먼저 보우기(bogie)와 같은 적당한 캐리어는 목재건조실(1)의 플로어에 생목재가 쌓여지는 목재건조실(1)로 생목재를 운반한다. 그후 목재건조실(1)은 폐쇄되어 밀봉되어 다음 목재설 등의 적당한 연료는 연소가스발생기(2)의 연소챔버(21)에서 연소되어 연소가스공급로(3)를 거쳐 목재건조실(1)로 유입되는 고온 연소가스를 발생시킨다.
이때에 배기가스 배출관(6)의 댐퍼(61)가 밀폐될 때 고온 연소가스는 목재건조실(1)에 이미 존재한 공기를 교체하기 위하여 목재건조실(1)에 점차적으로 채워지며, 상기 목재건조실(1)의 공기는 연소가스회수관(5)을 거쳐 연소가스발생기(2)의 연소챔버로 흡입된다. 목재건조실(1)이 연소가스로 채워질때까지 장치를 통하여 발생된 고온 연소가스는 순환된다.
목재건조실(1)의 온도가 고온 연소가스의 열로 높아질 때 목재건조실(1) 분위기의 산소농도가 낮아져서 연소가스발생기(2)의 연소챔버(21)내에서 연료의 연소속도를 느리게하며 이에 따라 목재건조실(1)의 온도의 상승률이 낮아지게 된다.
이런 상황하에서 배기가스 배출관(6)의 댐퍼(61)가 약간 열려져서 일부분의 연소가스(목재건조실(1)에 가두어진)가 배기가스 배출관(6)을 통하여 굴뚝(7)으로 방출되도록 한다. 그 결과, 신선한 공기는 공기도입관(4)을 통하여 연소가스발생기(2)의 연소챔버(21)로 도입되며 신선한 공기의 양은 목재건조실(1)로부터 방출되는 연소가스의 양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기 언급된 방식으로 연소가스발생기(2)의 연소챔버(21)로 도입된 신선한 공기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연소챔버(21)내의 연료의 연소율은 적당하게 제어된다.
또한, 작업시 연소가스회수관(5)의 댐퍼(52) 및 팬(51)을 작동시킴으로써 목재건조실(1)내의 연소가스 일부분은 장치를 통하여 강제 순환되어서 연소가스발생기(2)의 연소챔버(21)로 공급되어 연소챔버(21)로 공급된 신선한 공기는 순환된 연소가스로 희석되어서 목재건조실(1) 분위기의 산소농도를 낮게 유지할 수가 있다. 이 결과, 본 장치에서 목재건조실(1)내 분위기의 산소농도는 변하지 않으며 목재건조실(1)의 온도분포로 균일하게 되거나 안정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로 수행된 건조작업시 목재건조실(1)은 산소농도가 낮고 온도분포가 안정화된 고온 연소가스로 채워진다. 그러므로 장치의 목재건조실(1)내 생목재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작업 동안에 목재건조실(1)내 생목재로부터 발생한 휘발성가스 대부분은 순환되어서 연소가스발생기(2)의 연소챔버(21)로 공급되며 연소챔버(21)에서 이들 휘발성 가스들은 목재성과 같은 연료와 함께 연소되어서 연소가스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재건조장치는 대기가 상기 휘발성 가스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언하면, 본 발명의 장치의 상기 구체예에서 배기가스 배출관(6)은 목재건조실(1)의 저부코너에 바로 연결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장치는 배기가스 방출관(6) 일부가 연소가스회수관(5)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재건조장치에서는 연소가스회수관(5)의 어느 하나의 분기관과 같은 배기가스 배출관(6)을 형성할 수도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목재건조장치에서는 가스유량제어유닛을 팬(51) 및 이 팬(51)과 결합된 댐퍼(52), 또는 댐퍼(41), (61)만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목재건조장치에서는 목재건조실(1)의 고온 분위기가, 온도 분포가 균일 또는 안정화하면서 낮은 산소농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고품질 생성품 또는 고수율의 건조목재를 생산할 수 있다.

Claims (8)

  1. 목재를 건조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생목재를 목재건조실에 쌓는 단계, 밀봉하기 위하여 목재건조실을 폐쇄하는 단계, 목재건조실내에 이미 존재한 공기를 점진적으로 교체하기 위하여 목재건조실이 연소가스로 채워질때까지 고온연소가스는 발생시키고 이 고온연소가스를 목재건조실로 도입시키는 단계, 연소챔버로 도입된 신설한 공기의 양을 제어하고 이 도입된 신선한 공기의 양 만큼의 연소가스의 양을 목재건조실로부터 방출하고 목재건조실내 분위기에 산소농도를 안정된 지레벨로 유지하고 온도분포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연소가스의 일부분을 강제 순환시킴으로써 연소챔버내에서의 연소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목재를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내부공간이 통상 장애없이 개방되고 밀폐가능한 목재건조실(1), 목재건조실(1)과 연소가스발생기(2)가 서로 인접하여 있고 이들 사이의 벽이 상기 목재건조실(1)과 상기 연소가스발생기(2)를 형성하여 연소용의 신선한 공기를 그 하부에 구비된 연소챔버(21)로 도입하기 위한 공기도입관(4)을 갖춘 연소가스발생기(2), 상기 연소가스발생기(2)의 상부로부터 상기 목재건조실(1)의 상부로 연장되어 있고 연소가스가 자연스럽게 상기 목재건조실에 들어가도록 하는 연소가스공급로(3), 상기 목재건조실(1)의 저부로부터 굴뚝(7)으로 연장되어 있는 배기가스 배출관(6), 상기 목재건조실(1)과 별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목재건조실(1)의 상기 저부로부터 상기 연소가스발생기(2)로 연장되어 있는 연소가스회수관(5)과, 상기 배기가스 배출관(6) 및 상기 연소가스회수관(5)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가스유량 제어유닛(52,6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회수관(5)이 연소가스발생기(2)에 바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건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회수관(5)이 상기 공기도입관(4)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건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배출관(6)과 상기 연소가스회수관(5)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상기 가스유량 제어유닛(52,61)이 팬 및 댐퍼와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건조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유량 제어유닛(52,61)이 상기 팬 및 상기 댐퍼중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건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팬 및/또는 상기 댐퍼가 본 발명의 장치중에서 상기 공기도입관(4)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건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팬이 상기 공기도입관(4), 상기 배기가스 배출관(6) 및 상기 연소가스회수관(5)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건조장치.
KR1019910017874A 1990-10-12 1991-10-11 목재건조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50012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272187 1990-10-12
JP2272187A JP2516467B2 (ja) 1990-10-12 1990-10-12 木材乾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450A KR920008450A (ko) 1992-05-28
KR950012155B1 true KR950012155B1 (ko) 1995-10-14

Family

ID=17510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7874A Expired - Fee Related KR950012155B1 (ko) 1990-10-12 1991-10-11 목재건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5293700A (ko)
EP (1) EP0480445B1 (ko)
JP (1) JP2516467B2 (ko)
KR (1) KR950012155B1 (ko)
CN (1) CN1050419C (ko)
BR (1) BR9104430A (ko)
CA (1) CA2053323C (ko)
CZ (1) CZ282719B6 (ko)
DE (1) DE69109435T2 (ko)
FI (1) FI106578B (ko)
HU (1) HU209986B (ko)
MY (1) MY107645A (ko)
NZ (1) NZ240199A (ko)
PH (1) PH30068A (ko)
RU (1) RU2105941C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576B1 (ko) * 2009-04-14 2009-12-03 솔렌스(주) 목재 열처리 건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6467B2 (ja) * 1990-10-12 1996-07-24 石井 拓司 木材乾燥装置
DE4300557C2 (de) * 1993-01-12 1995-11-30 Alexander Schmidmeier Verfahren zur Herstellung rißfreier, getrockneter Bambusrohre
JP2540100B2 (ja) * 1993-06-25 1996-10-02 幸男 石井 木材乾燥装置
FR2720969A1 (fr) * 1994-06-14 1995-12-15 Herve Montornes Procédé de traitement haute température d'un matériau ligno-cellulosique.
KR960703712A (ko) * 1994-10-12 1996-08-31 미노루 안도 벽공벽 파괴목재
JPH09229555A (ja) * 1996-02-19 1997-09-05 Kodaijin Sugaoka:Kk 木材の燻煙乾燥工法
US5758434A (en) * 1996-11-12 1998-06-02 Georgia-Pacific Corporation Wood drying system
FR2757097B1 (fr) * 1996-12-13 1999-01-29 Bci Dispositif et procede de traitement a haute temperature de materiau ligno-cellulosique
FR2790698B1 (fr) * 1999-03-09 2001-07-06 Jean Laurencot Dispositif pour le traitement thermique a haute temperature d'une matiere ligneuse
US8272143B1 (en) 2002-02-20 2012-09-25 David Hedman System and process for removing or treating harmful biological and organic substances within structures and enclosures
US20110064607A1 (en) * 1999-05-28 2011-03-17 Thermapure, Inc. Method for removing or treating harmful biological organisms and chemical substances
US8256135B2 (en) * 1999-05-28 2012-09-04 Thermapure, Inc. Method for removing or treating harmful biological and chemical substances within structures and enclosures
US7837932B2 (en) * 1999-05-28 2010-11-23 Thermapure, Inc. Method for removing or treating harmful biological organisms and chemical substances
US8221678B2 (en) * 2002-02-20 2012-07-17 Hedman David E System and process for removing or treating harmful biological and organic substances within an enclosure
RU2153640C1 (ru) 1999-10-27 2000-07-27 Скроцкая Ольга Пантелеймоновна Сушильный комплекс и способ сушки древесины
AT409184B (de) * 2000-01-20 2002-06-25 Muehlboeck Ku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olztrocknung
RO118548B1 (ro) * 2000-03-06 2003-06-30 Technical System Keep Limited Company Metodă de uscare a lemnului
CN1333225C (zh) * 2004-04-21 2007-08-22 夏银增 一种高效节能木材烘干窑
US7739829B2 (en) * 2004-09-02 2010-06-22 Virginia Tech Intellectual Properties, Inc. Killing insect pests inside wood by vacuum dehydration
US20060101663A1 (en) * 2004-11-08 2006-05-18 Perin Nolan A Lumber drying
US7383642B1 (en) * 2004-12-01 2008-06-10 Sustainable Communities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and preservation of wood materials
US7963048B2 (en) * 2005-05-23 2011-06-21 Pollard Levi A Dual path kiln
US20110064605A1 (en) * 2006-07-05 2011-03-17 Thermapure, Inc. Method for treating an object contaminated with harmful biological organisms or chemical substances utilizing electromagnetic waves
ES2532627T3 (es) * 2009-03-10 2015-03-30 Kronotec Ag Instalación de secado de virutas de madera para secar virutas de madera y correspondiente procedimiento para secar virutas de madera
US8201501B2 (en) 2009-09-04 2012-06-19 Tinsley Douglas M Dual path kiln improvement
RU2479807C2 (ru) * 2010-05-27 2013-04-20 Глеб Викторович Жарков Способ сушки древесины
GB201103899D0 (en) * 2011-03-08 2011-04-20 Dbk David & Baader Gmbh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drying of water damaged buildings
CA2757608A1 (en) * 2011-11-07 2013-05-07 Guy Prud'homme Apparatus and method for thermo-transformation of wood
CA3052993A1 (en) * 2017-02-10 2018-08-16 Dirigo Timberlands Co. Hopper system
CN107138369A (zh) * 2017-06-27 2017-09-08 浙江明泉工业装备科技有限公司 异型管屏件的喷漆烘干装置
US10619921B2 (en) 2018-01-29 2020-04-14 Norev Dpk, Llc Dual path kiln and method of operating a dual path kiln to continuously dry lumber
DE102018005578B4 (de) * 2018-07-16 2021-04-29 Wenker Gmbh & Co. Kg Thermodynamisch geregeltes Verfahren und thermodynamisch geregelte Trocknungsanlage zum Trocknen von Trocknungsgütern
CN112324183A (zh) * 2020-10-23 2021-02-05 陕西省建筑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砖石筒仓的拆除方法
IT202100007169A1 (it) * 2021-04-06 2022-10-06 Incotech S R L Forno migliorato per il trattamento termico e l’essiccazione del legno mediante tecnica di essiccazione discontinua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850C (ko) *
US1413018A (en) * 1920-09-28 1922-04-18 Fujino Kakuji Apparatus and process for drying wood
FR544959A (fr) * 1921-04-28 1922-10-03 Procédé et appareil pour le séchage des bois
US1961143A (en) * 1931-05-06 1934-06-05 Charles L Gehnrich Oven heated by convection
US2358423A (en) * 1941-06-03 1944-09-19 Stone Carlton Drying apparatus
US2553452A (en) * 1948-03-31 1951-05-15 Clifford R Guthrie Drying kiln
US2725224A (en) * 1953-05-11 1955-11-29 Albert R Pierce Dry kiln apparatus
US2884707A (en) * 1954-01-18 1959-05-05 Sandback Jonas Method for drying wood
US3675600A (en) * 1971-01-21 1972-07-11 Michel Lumber Co Recirculating dryer system
US4099338A (en) * 1976-11-10 1978-07-11 Proctor & Schwartz, Inc. Solar assisted dryer apparatus and method
US4233914A (en) * 1978-10-02 1980-11-18 Wellons, Inc. Pressurized waste wood furnace system
US4344237A (en) * 1979-12-13 1982-08-17 A.P.M. Wood Products Pty. Ltd. Wood drying kiln
US4312320A (en) * 1980-06-16 1982-01-26 Pa Incorporated Incinerator apparatus and method
US4391205A (en) * 1981-02-06 1983-07-05 Morey Norval K Method and apparatus for burning green wood chips
US4384850A (en) * 1981-06-17 1983-05-24 Tri-Mark Metal Corporation Recirculating air heater
JPS59129373A (ja) * 1983-01-14 1984-07-25 氏家 実 木材乾燥方法及び同装置
JPH0228073B2 (ja) * 1983-11-10 1990-06-21 Minoru Ujiie Mokuzainoshorihohooyobisonosochi
JPH0443283Y2 (ko) * 1985-12-24 1992-10-13
DE3715668A1 (de) * 1987-05-11 1988-12-01 Baehre & Greten Verfahren und anlage zum reinigen von trocknungsabgasen beim trocknen von holzspaenen, holzfasern oder dergleichen
JP2516467B2 (ja) * 1990-10-12 1996-07-24 石井 拓司 木材乾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576B1 (ko) * 2009-04-14 2009-12-03 솔렌스(주) 목재 열처리 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109435D1 (de) 1995-06-08
MY107645A (en) 1996-05-30
PH30068A (en) 1996-11-08
CN1050419C (zh) 2000-03-15
DE69109435T2 (de) 1995-09-07
FI106578B (fi) 2001-02-28
CA2053323A1 (en) 1992-04-13
JPH04148184A (ja) 1992-05-21
CN1060522A (zh) 1992-04-22
HU209986B (en) 1995-01-30
RU2105941C1 (ru) 1998-02-27
US5293700A (en) 1994-03-15
FI914727A0 (fi) 1991-10-07
NZ240199A (en) 1993-04-28
JP2516467B2 (ja) 1996-07-24
KR920008450A (ko) 1992-05-28
BR9104430A (pt) 1992-06-09
CZ282719B6 (cs) 1997-09-17
HU913215D0 (en) 1992-01-28
CA2053323C (en) 2000-09-12
EP0480445B1 (en) 1995-05-03
HUT63922A (en) 1993-10-28
USRE36728E (en) 2000-06-13
EP0480445A1 (en) 1992-04-15
CS308391A3 (en) 1992-05-13
RU94045806A (ru) 1996-10-27
FI914727L (fi) 199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2155B1 (ko) 목재건조방법 및 장치
CA2506996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heat treatment of lignocellulosic material
KR100577218B1 (ko) 목재 건조 방법
CA2388584A1 (en) Drying plant and method for drying wood
JP3309097B2 (ja) 木材改質装置
JP2005180746A (ja) 木質系バイオマスの発生熱利用方法
JPH09229555A (ja) 木材の燻煙乾燥工法
JPH06213566A (ja) 木材改質装置
JP3414809B2 (ja) 木ガスによる木材生長応力除去装置
JP3640999B2 (ja) 木材乾燥装置
JP3294816B2 (ja) 木材乾燥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3519385B2 (ja) 材木の燻煙乾燥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3294815B2 (ja) 木材乾燥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3366964B2 (ja) 茸の栽培方法
JP4074478B2 (ja) 木質系素材乾燥装置
JP2003211413A (ja) 燻煙乾燥処理方法と装置
JP4074479B2 (ja) 木質系素材乾燥装置
JPH0327361B2 (ko)
JP2000317914A (ja) 木材乾燥処理装置
JP2004306297A (ja) 木材の燻煙乾燥方法及び装置
NO130657B (ko)
JP2005237369A (ja) 畜舎の消臭方法および消臭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810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8101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