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9947B1 - 사진액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사진액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947B1
KR950009947B1 KR1019930006213A KR930006213A KR950009947B1 KR 950009947 B1 KR950009947 B1 KR 950009947B1 KR 1019930006213 A KR1019930006213 A KR 1019930006213A KR 930006213 A KR930006213 A KR 930006213A KR 950009947 B1 KR950009947 B1 KR 950009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hotograph
photo
plate
front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6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3421A (ko
Inventor
김옥진
Original Assignee
금양무역상사주식회사
김수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양무역상사주식회사, 김수량 filed Critical 금양무역상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06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947B1/ko
Publication of KR940023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3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94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진액자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액자를 보인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부확대 단면도.
제3도는 액자의 압착공정을 보인 장치도.
제4a도, b도는 액자의 사용상태를 보인 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틀체부 11 : 전면판
12 : 배면판 13 : 사진
20 : 배경부 30 : 접착층
40 : 실체장식물 41 : 나뭇잎
42 : 꽃 50 : 프레스기
51 : 램 52 : 압착판
53 : 히터선 54 : 보호용 패드
55 : 포스트
본 발명은 사진을 보관하기 위한 액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진의 주위로 원하는 배경을 형성하여 사진의 실체감을 증대시켜 원근감과 생동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깨지지 않고 그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종래에 알려진 액자는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 89-6215호 및 일본 실용신안공보 소 33-678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 또는 목재로 짜여진 물체에 사진을 위치시키고, 그 전면으로는 유리판재를 부착시켜 외곽틀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첫째, 부주의에 의해 유리가 파손될 염려가 있으며, 둘째 단순히 사진의 주위로 틀체만이 외주면을 따라 배열되는 것에 의해 장식효과를 가지도록 하므로써, 사진이 갖는 특정 분위기를 살리거나 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셋째, 그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여러 조립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많은 인력과 시간이 요구되고, 결과적으로 원가가 상승되어 소비자로 하여금 경제적인 부담을 가지게 하는 폐단이 있었다.
넷째, 귀중한 사진인데도 불구하고 색이 변하거나, 특히 공기중에 포함된 곰팡이등에 의해 부패되는 등의 훼손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품질을 저하시키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진의 실체감과 생동감 및 원근감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된 사진액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깨지거나 변형되지 않고 영구히 보존시킬 수 있도록 된 사진액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배경에 맞추어 사진을 배열시켜 그 품위와 분위기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사진액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한 사진액자는, 투명 수지계열의 아크릴재로 동일크기로 되는 한쌍의 전면판(11)과 배면판(12)의 사이로 사진(13)을 위치시켜 감싸지도록 하는 틀체부(10)와, 상기 사진(13)과 배면판(12)의 사이로 사진(13)의 색상감과 내용을 감안하여 사진(13)이 부각되도록 하는 배경부(20)와, 상기 틀체부(10)의 사이로 위 사진(13) 및 배경부(20)가 접착되도록 하고, 사진(13)이 전면판(11)을 통해 변색되지 않고 비추어지도록 투명한 색상을 가지는 접착층(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틀체부(10)는 동일한 외주면 크기로 되는 한쌍의 전면판(11)과 배면판(12)으로 구성되어 그 사이로 위치되는 사진(13)을 감싸지도록 하는 틀체이다.
이 틀체부(10)의 전면판(11)과 배면판(12)들 중에 특히, 전면판(11)은 투명하여야 그 사이로 위치되는 사진(13)이 외부에서 정상적으로 보여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재질은 합성수지계열중에서 투명도와 표면강도 및 경제성등을 감안하여 볼 때 아크릴재로 하는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면판(12)도 전면판(11)과 동일하게 투명한 아크릴재질로 선택하는 것도 무방하나, 사진(13)의 배면측으로 위치되어 배경이나 사진내용이 비추어 보는 위치가 아니므로, 반드시 투명한 재질로 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상기 배경부(20)는 사진(13)과 배면판(12)의 사이로 위치되어 사진(13)의 크기보다 큰 전면판(11)에서 볼 때 사진의 주위로 원하는 내용과 색상을 갖는 배경이 나타나도록 하는 배경용 부재이다.
따라서, 이 배경부(20)는 전체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얇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종이재 내지는 직물지재로 선택하여 배열시킨다.
상기 배경부(20)를 종이재로 하는 경우에는 그 표면에 예로서, 풍경사진이나 유명인물이 전체적으로 크게 인쇄의 방법으로 표식된 것을 선택하여, 이 배경부(20)보다 작은 크기의 인물사진이 어느 풍경속에 위치된 것처럼 보이게 하거나, 유명인의 일부에 주문자의 인물이 함께 배열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직물지로 상기 배경부(20)를 선택하는 경우도 위에서 밝힌 바와 같은 배경효과는 물론, 종이재로 되는 사진(13)과는 다른 재질감을 가지도록 하고, 특히 배경그림이 없는 무늬없는 직물지로 배열하는 경우라도 사진(13)이 깨끗하고 산뜻한 느낌을 주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 이 배경부(20)를 직물지로 하는 경우 직조사이로 상기 접착층(30)이 통과되므로 전면판(11)과 배면판(12)이 일체로 연결된 상태와 같이 접착시키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
제1도와 제2도는 상기 틀체부(10)의 사이로 사진(13)의 배경효과를 실체감 있게 부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실체장식물(40)을 배열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 실체장식물(40)은 그 외관이 미려하여 장식적인 효과가 좋은 형상과 색상으로 된 나뭇잎(41), 꽃(42), 나무껍질과 같은 식물류와, 나비(43)와 같은 곤충류를 사진(13)의 내용에 따라 선택하여 배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체장식물(40)은 전체적인 두께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얇은 형태의 장식물위주로 선택하고, 두께가 두꺼운 것은 압착에 의해 변형되어 얇은 상태에서 그 형태가 유지되는 것을 주로 배열하게 된다.
상기 접착층(30)은 틀체부(10) 및 이 틀체부(10)의 사이로 배열되는 사진(13)과 배경부(20), 그리고 실체 장식물(40)들이 동시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토록 채워지는 접착제이다.
이 접착층(30)을 형성하는 접착제로는 사진(13)과 배경부(20), 그리고 실체장식물(40)들이 전면판(11)을 통해 투시되어 보일 수 있도록 하여야 하므로, 투명한 수지계열의 접착제중에서 특히, 경화성을 가지고 무색 투명하며, 아크릴에 접하여 그 경계를 용융시키면서 접착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식물이나 동물로 구성되는 실체 장식물(40)의 주위에 채워진 상태에서 부식이나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부재가 일부 포함된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실체장식물(40)은 가능한 건조공정을 거쳐 전혀 부패될 염려가 없도록 한 다음, 사진(13)의 주위로 장식을 위해 배열하면 더욱 변질의 염려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진액자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진(13)과 배경부(20) 및 실체장식물(40)들이 선명하게 보이도록 하는 것과, 실체장식물(40)이 변질되지 않도록 그 주위에 채워지는 접착층(30)의 처리에 있다.
즉, 변질 및 변색되지 않는 수지계열의 접착층(30)이 가능한 빠른 시간내에 경화되어 제품화되도록 하고, 이 접착층(30)에 기포가 전혀 생성되지 않도록 기포배출효과는 물론 실체장식물(40)의 주위가 진공이 유지되도록 하는 가공공정이 중요하다.
이 본 발명에 의한 가공공정은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은 프레스기(50)에 의해 가열공정과, 압착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스기(50)는 상부에서 램(51)이 승강되어 포스트(55)에 안내되는 압착판(52)들의 사이에 제1도와 2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틀체부(10)의 사이로 사진(13) 및 배경부(20)와 실체장식물(40)을 배열시킨 상태에서 접착층(30)이 대충 채워지게 한 것을 위치시켜 소정의 압력으로 압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압착력은 액상의 접착층(30)에 포함되어 있는 기포가 틀체부(10)의 외곽으로 빠져나가 공극없이 균일하게 전체적으로 접착제가 채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감안한 압력이면 족한데, 실험에 의하면 120-170kg/Cm2이의 압력이 작용될 때 아크릴로 된 틀체부(10)의 훼손없이 기포가 배출됨을 볼 수 있었다.
또, 이와 같은 압착공정에 의해 기포배출이 균일하게 이루어진 상태에서 압력을 제거할 경우 다시 형태가 변형되고, 기포가 생성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빠른 접착제의 경화를 위해 가열하는 가열공정을 겸하게 된다.
이 가열공정은 압착판(52)의 사이로 배열되는 히터선(53)에 의해 압착판(52)이 가열된 상태에서 틀체부(10)의 외측에서 압착이 이루어질때 동시에 가열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가열온도는 아크릴재로 된 틀체부(10)의 전면판(11)과 배면판(12)이 변형되거나 용융되지 않고, 또 접착제의 화학성 기능이 상실되지 않는 온도를 감안하여 가능한 빠르게 경화될 수 있도록 하는데, 실험에 의하면 65-90℃의 사이에서 약 20-40분 사이의 시간동안 가열할 때 적합한 접착제의 경화현상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상기 프레스기(50)의 압착판(52) 사이에서 가공물을 압착시킬 때 제품을 표면, 즉 틀체부(10)의 전면판(11)과 배면판(12)의 외측면에 금속재로 된 압착판(52)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용 패드(54)를 압착판(52)의 내측면으로 부착시키는 것이 좋다.
이 보호용 패드(54)는 히터선(53)으로부터 발열되는 온도에 의해 용융이나 변형의 염려가 없고, 표면경도가 아크릴재보다 낮은 경화고무가 적합하다.
따라서, 고압으로 프레스기(50)를 동작시켜 틀체부(10)의 사이로 채워지는 접착층(30)을 가압하더라도 전면판(11) 내지는 배면판의 표면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며, 평편한 틀체부(10)에 골고루 압력이 가해지도록 한다.
또, 도면에서는 위 공정에 의해 완성되는 액자가 평편한 판재형상으로 가공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압착판(52)과 이 압착판(52)의 내외측으로 부착되는 보호용 패드(54)를 특정 곡선을 따라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곡면으로 형성하고, 히터선(53)에 의해 발열되는 온도를 80-95℃ 사이의 비교적 고온으로 가열할 경우, 아크릴로 되는 틀체부(10)의 전면판(11)과 배면판(12)이 상기 압착판(52)의 형상을 따라 만곡지게 변형시킬 수 있어 시각적으로 볼 때 원근감의 차이로 인한 생동감과 실체감을 더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상기 프레스기(50)에 설치되는 압착판(52)들은 그 사이로 위치되는 액자 가공물이 동시에 다수개가 가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단으로 복수개가 포스트(55)의 안내로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 가공시간의 절약면에서 효과적인 데, 이 프레스기(50)는 그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트롤러(56)의 지시에 따라 온도 및 작동시간등이 자동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공정으로 가열 및 압착이 이루어진 틀체부(10)의 전면판(11)과 배면판(12) 사이의 틈새로는 위 압착공정시에 액상의 접착제가 외부로 유출된 후 경화되어 마치 스케일과 같은 형태의 이물질이 형성되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틀체부(10)의 외곽을 따라 일정하게 연삭 및 절단방법에 의한 후가공에 의해 외측 테두리가 간결하여지도록 하므로써, 제품의 품위가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a도는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후 전면판(11)의 외주면을 소비자가 원하는 경우 필요에 의해 장식용 틀체(14)를 접착등에 의한 방법으로 부착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 제4b도는 테이블등에 얹쳐놓거나 벽면에 걸어놓기 위한 브라켓트(15)가 배면판(12)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그 구조와 동작방법은 종래 액자와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아크릴로 된 틀체부의 사이로 사진이 위치되므로 충격등에 의해 깨지거나 파손될 염려가 없어 취급이 안전하고 용이하다.
둘째, 사진과 이 사진의 배경효과를 위해 배열되는 배경부(20) 및 실체장식물(40)들의 주위로 수지계열의 접착층이 채워져 마치 투명한 물속에 사진과 배경물이 위치되는 것과 같은 생동감과 실체감을 가질 수 있어 사진의 내용을 부각시키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접착층이 기포나 공극없이 채워지므로 실체장식물(40)들의 주위가 진공과 같은 환경이 형성되어, 부식 및 부폐될 염려가 전혀 없이 건조되지 않은 나비나 나뭇잎과 같은 생물류를 건조시키지 않고 직접 배열시켜 더욱 실체감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넷째, 사진(13)의 내용에 따라 이에 부합되는 배경부(20)의 무늬 및 색상을 표식하므로써, 전체적인 분위기가 부각될 수 있어 예술작품과 같이 사진을 구성할 수 있다.
다섯째, 액자의 형상을 평편하게 가공하는 것은 물론, 특정 형상의 굴곡을 따라 변형할 수 있어 액자자체의 원근감에 의한 실체감과 독특한 미감을 느끼게 하는 등,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널리 보급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투명 수지계열의 아크릴재로 동일크기로 되는 한쌍의 전면판(11)과 배면판(12)의 사이로 사진(13)을 위치시켜 감싸지도록 하는 틀체부(10)에 상기 사진(13)과 배면판(12)의 사이로 사진(13)의 색상감과 내용을 감안하여 사진(13)이 부각되도록 무늬와 색상이 표식된 배경부(20)와 장식용으로 그 외관이 미려한 식물 및 곤충과 같은 생물로 된 실체장식물(40)들을 배열하고, 이 사진(13)과 배경부(20) 및 실체장식물(40)들이 전면판(11)을 통해 비추어지도록 투명한 색상을 가지는 수지계열의 접착층(30)을 채워지게 하여 히터선(53)이 내장된 압착판(52)들의 램(51)의 승강에 따라 이동될 때, 그 사이에서 접착제 경화시간 동안 히터선(53)로 가열시키는 가열공정과, 접착제내에 포함되어 있는 기포가 배출되는 것을 감안한 소정의 압력으로 프레스기(50)에서 압착시키는 압착공정에 의해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액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판(52)의 외측면으로는 틀체부(10)의 전면판(11)과 배면판(1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용 패드(54)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액자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판(52)과 보호용 패드(54)는 다단으로 프레스기(50)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액자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 패드(54)는 경화고무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액자의 제조방법.
KR1019930006213A 1993-04-14 1993-04-14 사진액자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950009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6213A KR950009947B1 (ko) 1993-04-14 1993-04-14 사진액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6213A KR950009947B1 (ko) 1993-04-14 1993-04-14 사진액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421A KR940023421A (ko) 1994-11-17
KR950009947B1 true KR950009947B1 (ko) 1995-09-04

Family

ID=19353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6213A Expired - Fee Related KR950009947B1 (ko) 1993-04-14 1993-04-14 사진액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9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9992A1 (en) * 2005-04-12 2006-10-19 Koyang City Method for manufacturing pressed flower using acrylic and pressed flower manufactured thereb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884B1 (ko) * 2012-12-28 2014-03-10 광주광역시(광주광역시 농업기술센터소장) 곡물을 이용한 야광 조명 액자 제조방법
KR200473203Y1 (ko) * 2013-01-18 2014-06-20 임주완 온도 및 광량에 의해 색이 변하는 꽃을 구비한 다색의 엘이디 조명 액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9992A1 (en) * 2005-04-12 2006-10-19 Koyang City Method for manufacturing pressed flower using acrylic and pressed flower manufactured thereb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421A (ko) 199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9800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vering articles with sheet material
KR950009947B1 (ko) 사진액자의 제조방법
US2184121A (en) Art work
WO2004106082A1 (en) Thermal image transfer by sublimation or fusion
US3994763A (en) Method of making a decorative article containing encapsulated material
KR200446567Y1 (ko) 보릿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CN102776733B (zh) 一种刺绣工艺品及其制作方法
KR100698963B1 (ko) 스크린 인쇄를 이용한 장식부재에 도형, 글씨, 테두리 형성방법
US2374034A (en) Ornamented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0169441B1 (ko) 무늬 아크릴 판재와 그 성형방법및 성형장치
JP7681832B2 (ja) 成形工法
JP6191089B2 (ja) 装飾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装飾された物品
KR20100004670A (ko) 유리 장식 방법
KR840001801B1 (ko) 가구 표면의 착색 유리 장식방법
DE1194564B (de) Verfahren zur Verbindung von Kunststoff-, Papier- oder Stoff-Folien od. dgl. mit einem Kunststoffgegenstand in der Spritzgiessform einer Spritzgiessmaschine
JPH08103312A (ja) 押し花を空枠等に直接配置埋封した装飾品とその作り方。
KR100419714B1 (ko) 네잎클로버를 이용한 장신구 제조방법
JPH07137158A (ja) 装飾物が埋入された合成樹脂製装飾レンズの製造方法
KR20010077565A (ko) 아크릴 수지를 이용한 성형품 제조방법 및 그 성형품
CN217434573U (zh) 一种建筑家装用复合木板防霉装置
JP2756204B2 (ja) 厚物密封装飾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S60218621A (ja) 眼鏡フレ−ム等における金属表面の装飾加工方法
KR100278707B1 (ko) 합성수지재 재질의 마크 제조방법 및 그 마크를시트에 부착시키는 방법
KR100969226B1 (ko) 압화 장식물 및 그 제조방법
JP2919117B2 (ja) 乾燥押し花密封板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8090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8090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