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9902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902B1
KR950009902B1 KR1019900002725A KR900002725A KR950009902B1 KR 950009902 B1 KR950009902 B1 KR 950009902B1 KR 1019900002725 A KR1019900002725 A KR 1019900002725A KR 900002725 A KR900002725 A KR 900002725A KR 950009902 B1 KR950009902 B1 KR 950009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locking member
latching
elast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2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5381A (ko
Inventor
고오지 아오야마
Original Assignee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제이 엘.사이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제이 엘.사이칙 filed Critical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00015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5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90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7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 H01R13/4368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제1도는 하우징과 록킹부재와의 분리 사시도.
제2a도는 제1도 2A-2A 선 단면도.
제2b도는 제1도 2B-2B 선 단면도.
제2c도는 제1도 2C-2C 선 단면도.
제3a도는 내지 제3e도는 하우징으로의 록킹부재의 가고정 위치에서 본고정 위치까지의 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제4a도 내지 제4e도는 하우징으로의 록킹부재의 가고정 위치에서 본고정 위치까지의 과정을 도시하는 제2a도 내지 제2e도와는 다른 위치에 도시한 부분 확대단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상기 가고정 위치 및 본고정 위치에 있는 하우징 및 록킹부재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1 : 단자 수용실
13 : 프레임 17 : 탄성 래칭부
19 : 훅크 20 : 미끄럼 접촉단
21 : 결합구멍 24 : 통로
50 : 록킹부재 51 : 프레임
52 : 결합아암 56 : 공동
62 : 래칭돌기 63 : 사면
64 : 사면 67 : 래칭부
68 : 훅크 100 : 단자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특히, 하우징의 단자 수용실에 삽입된 전기 단자에 결합하여 이 단자의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들면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소화 63-58470호에 있어서, 하우징의 복수의 단자 수용실에 각각 삽입된 전기 단자에 결합하여 이 단자의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서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록킹부재(스페이서)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록킹부재는 하우징에 삽입 가능한 가요성 록킹아암을 구비하고 있다. 이 록킹부재는 하우징에 대해서 가고정(가삽입)위치에서 본고정(본삽입)위치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록킹부재의 가고정 위치에 있어서 각 단자 수용실에 단자를 삽입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그 본고정 위치에 있어서 각 단자 수용실에 삽입한 단자를 삽입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그 본고정 위치에 있어서 각 단자 수용실에 삽입한 단자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전기 접촉부의 내단에 결합 아암의 山자 모양의 래칭돌기가 결합하고 이 단자가 삽입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빠짐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 단자 수용실에 삽입한 단자에 결합 아암의 래칭돌기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래칭돌기를 단자 수용실의 상면을 형성하는 사면에 가깝게 강제적으로 아래 방향으로 변형시켜 결합 아암을 하우징으로 삽입할려면, 비교적 강한 가압력을 필요로 하고 그 조작이 용이하지 않고 그외에 결합 아암이 변형피로나 영구 굽힘을 일으킨다. 또한 상기 가고정 및 본위치를 보존하기 위한 수단 모두를 하우징 및 결합 아암의 양측면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특히 커넥터가 다극으로 가로 길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커넥터의 길이 방향 중간부분에 있어서 록킹부재와 하우징과의 결합기능이 충분하지 않으며, 나아가서는, 이 중간부분 근처에 있어서 각 단자에 대한 결합 아암의 결합 기능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없게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록킹부재의 결합 아암을 단자 수용실에서 강제적으로 변형시키는 일없이 단자 수용실에 삽입한 단자 위치로 전진시키면서 하강시켜서 단자에 결합시킬 수가 있도록 구성하는 것과, 록킹부재의 하우징으로의 가고정 수단과 본고정 수단을 다른 위치에 설치하는, 즉 가고정 수단을 하우징 및 록킹부재의 양측면에 설치하는 한편, 본고정 수단을 하우징 및 록킹부재의 상하단, 바람직하기는 그 중간부분 근처에 설치하도록 구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단자 수용실을 가진 직사각형의 하우징과 상기 수용실내에 삽입되어지는 다수의 단자와 단자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록킹부재를 래치 수용하기 위한 직사각형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 록킹부재는 상기 하우징내의 단자 수용실에 대응하여 절연벽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공동을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단자 수용실내로 삽입되어지는, 프레임에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전단을 향해 연장하는 다수의 결합 아암과 상기 단자를 공동을 통해 상기 단자 수용실로 삽입할 수 있는, 상기 단자 록킹부재가 전단에서 떨어진 예비 위치로 상기 단자 록킹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래칭하기 위한 프레임의 양측면부분에 형성된 탄성 래칭부를 포함하는 일체형 부재이고, 상기 단자 록킹부재를, 상기 결합 아암의 선단이 상기 단자를 결합할 수 있는 선단에 가까운 최종 위치까지 래칭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과 상기 단자 록킹부재의 프레임의 보다 긴 측면을 따라 형성된 탄성 래칭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의 단자 수용실내에는 상기 단자를 주로 록킹하기 위해 하우징과 일체인 탄성 랜스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 양태에 있어서, 사면은 상기 단자 록킹부재가 전단을 향해 밀릴 때 수직으로 미끄럼 이동하기 위해 단자 록킹부재의 프레임상에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기 커넥터를 록킹하기 위한 탄성 레버를 가지며, 상기 단자 록킹부재는 상기 탄성 레버에 틈을 제공하는 오목부를 가진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에 대한 록킹부재를 약간 밀어 넣으므로서 록킹부재가 가고정 위치에 이르면, 하우징과 일체인 탄성 랜스에 의해 가고정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전기 단자가 록킹부재의 공동에서 단자 수용실에 삽입된다. 또한, 록킹부재를 더욱더 하우징으로 밀어넣으므로서 록킹부재의 프레임에 형성된 사면에 의해 록킹부재가 전진하면서 하강하고, 결합 아암의 선단이 단자에 결합하는 본고정 위치에 이르면, 탄성 레버와 오목부에 의해 본고정되어, 록킹부재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우징에 고정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제2a도 및 제2b도에 있어서, 커넥터는 플라스틱 재료에서 만들어진 절연성 하우징(1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후단(12)에서 전단(26)으로 연장되고 상하 좌우로 설치된 다수의 단자 수용실(11)을 갖는다. 하우징(10)의 후단면을 감싸는 프레임(13)이 이어서 도출하고 있다. 프레임(13)은 상측부분(14), 양측면부분(15) 및 하측부분(16)으로 형성된다. 상측부분(14)의 양쪽에는 슬릿(18)을 통해서 탄성 래칭부(17)가 설치되고 이 래칭부는 하향의 훅크(19)를 갖는다. 탄성 래칭부(17)의 양측에 있어서 위측부분(14)의 하면에는 미끄럼 접촉단(20)을 갖는다. 양측면 부분(15)에는 경사 가장자리(22)를 갖는 결합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하측부분(16)의 양쪽에는 요홈(23)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 요홈과 후단(12)과의 교차각에는 통로(2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상면 벽에는 요홈(25)이 형성되고 이 요홈에는 전단(26)에 연속하여 후단(12)으로 연출하는 탄성 레버(27)가 위치하고 이 레버는 그 상면 중앙에 래칭돌기(28) 및 후단(12)측에 가압부(29)를 갖는다. 이 래칭돌기(28)는 하우징(10)과 상관관계가 있는 대응 커넥터의 하우징(도시않음)의 래칭부와 결합한다. 전단(26)에는 각 단자 수용실(11)과 대응해서 상기 커넥터의 수형 단자가 끼워지는 관통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수평 방향 중간에 있는 칸막이(34) 및 하면벽(35)에는 단자 수용실(11)로 돌촐하는 탄성 랜스(30)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 수용실(11)의 저면에는 단자가 하면 양측에 갖는 스태빌라이저(도시않음)을 안내 미끄럼시키는 골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 부분(14)과 상면벽(33)과 이어지는 부분에는 창구멍(36)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면벽의 거의 중앙에는 사면(3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중간 칸막이(34)에도 동일한 사면(37)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 사면에 연속하는 후단(12)측에는 충차면(3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c도에 있어서, 커넥터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전열성 록킹부재(50)를 포함한다. 록킹부재(50)는 프레임(51) 및 결합 아암(52)군으로 형성된다. 프레임(51)은 상측부분(53), 양측면 부분(54) 및 하측부분(55)에서 형성되는 하우징(10)의 단자 수용실(11)과 대응하는 개별의 공동(56)을 갖는다. 결합 아암(52)은 상측부분(53) 및 수평 방향의 중간 칸막이(34)에서 단자 수용실(11)에 각각 삽입하는 개수만큼 하우징(10)측으로 이어서 도출하고 있다. 상측부분(53)의 상면 중앙에는 하우징(10)의 요홈(25)의 외주에 끼워지는 오목부(58)가 형성되어 있다. 양측면 부분(54)에는 슬릿(59)을 거쳐서 탄성 래칭부(60)가 설치되고 이 래칭부는 하향의 훅크(61)를 갖는다. 상측부분(53)에는 소정 간격으로 래칭돌기(62)가 돌설되고 이 래칭돌기는 사면(63)을 갖는다. 래칭돌기(62)의 양측에서의 상측부분(53)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하우징(10)의 미끄럼 접촉단(20)과 미끄럼 접촉하는 사면(64)이 형성되어 있다. 각 결합 아암(52)의 선단(65)은 아래 방향으로 굴곡하여 그 상면과 하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하측부분(55)의 양측하면에는 하우징(10)의 요홈(23)으로 미끄러지고 통로(24)를 통과하는 탄성 래칭부(67)가 설치되고 이 래칭부는 훅크(68)를 갖는다. 양탄성 래칭부(67) 사이에는 스톱퍼(69)가 설치되어 있다. 공동(56)의 저면에는 단자의 하면 양측에 갖는 스태빌라이저를 안내 미끄럼시키는 골홈(70)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부호(73)는 하단의 결합 아암(52)군의 상면에 있는 리브로서, 이것은 하우징(10)의 구조와의 관계로 하단의 결합 아암군이 상단의 그들보다도 엷게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3a도 내지 제3e도, 제4a도 내지 제4e도 및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한다.
제3a도 및 제4a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먼저 하우징(10)의 각각의 단자 수용실(11)에 록킹부재(50)의 각각의 결합 아암(52)을 삽입하여 하우징(10)에 록킹부재(50)를 가고정한다. 록킹부재(50)가 이 가고정 위치에 이르는 과정에 있어서는 록킹부재(50)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탄성 래칭부(60)의 돌기(61)(제1도 참조)가 하우징(10)의 양측면 부분(15)의 내면에 탄성적으로 접하면서 미끄럼하여 이 양측면 부분에 위치하는 결합구멍(21)에 결합한다. 이 결합은 조작자에 손감각을 주어 록킹부재(50)가 가고정 위치로 이동한 사실을 충분히 감지시킨다. 이 가고정 위치에서는 하우징(10)의 후단(12)측의 단자 수용실(11)의 개구와 록킹부재(50)의 공동(56)의 전후단면의 개구가 정렬되어 있다. 예를들어 상단에 위치하는 단자 수용실(11)과 공동(56)에 대해서 보면 단자 수용실(11)의 저면과 공동(56)의 저면(57a)이 동일 평면에 위치하고 있다.
이 가고정 위치에 있어서 록킹부재(50)의 후단(71)측에서 공동(56)을 거쳐 단자 수용실(11)에 암형 단자(100)를 삽입한다. 단자(100)는 상대 커넥터의 수형 단자를 삽입하는 전기 접속부(101), 전선(150)의 나선(151)에 대한 압착부(102), 전선(150)의 피복부에 대한 압착부(103) 및 접속부(101)의 하면에 오목하게 잘려나간 부분(106)을 갖는다. 이러한 단자(100)의 단자 수용실(11)로의 삽입은 탄성 랜스(30)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미끄럼하므로서 이루어지고 단자(100)가 소정 부위로 미끄러지면 탄성 랜스(30)가 탄성력으로 오목하게 잘려나간 부분(106)에 결합한다. 이 가고정 위치에 있어서 하우징(10)의 탄성 래칭부(17) 및 미끄럼 접촉단(20)이 록킹부재(50)의 사면(63,64)에 각각 미끄럼 접촉하지 않고 탄성 래칭부(67)의 훅크(68)가 하우징(10)의 요홈(23)에 자연 상태로 위치하고 있다.
제3b도 내지 제3d도 및 제4b도 내지 제4d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하우징(10)으로의 록킹부재(50)의 삽입 즉, 단자 수용실(11)로의 결합 아암(52)의 삽입을 더욱 진행하면, 이 록킹부재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탄성 래칭부(60)의 훅크(61)(제1도, 제5도 참조)가 결합구멍(21)의 경사 가장자리(22)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이 결합구멍의 아래 가장자리에 맞대이면서 동시에 하우징(10)의 미끄럼 접촉단(20)이 록킹부재(50)의 사면(64)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이 록킹부재의 꼭지면으로 상승하고, 그 때문에 이 록킹부재가 전진하면서 하강한다. 또한 이 과정에 있어서, 하우징(10)의 탄성 래칭부(17)의 훅크(19)가 록킹부재(50)의 래칭돌기(62)의 사면(63)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이 래칭돌기의 꼭지면에 얹쳐서 상향으로 변형한다. 또한 이 과정에 있어서, 탄성 래칭부(67)가 변형하면서 요홈(23)에 미끄러진다.
제3e도 및 제4e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단자 수용실(11)로의 결합 아암(52)의 삽입을 더욱 더 진행시키면 미끄럼 접촉단(20)이 록킹부재(50)의 꼭지면을 미끄러지는 동시에 탄성 래칭부(17)의 훅크(19)가 래칭돌기(62)의 앞면(내면)측으로 떨어져서 상기 변형에서 복원해서 이 하측부분의 일부에 결합한다(본고정 위치).
이때 탄성 래칭부(60)의 훅크(61)가 결합 구멍(21)의 앞가장자리로 이동하여 이것에 맞대여 있다(제6도 참조).
이와같이, 하우징(10)에 록킹부재(50)를 본고정 하였을때 즉 단자 수용실(11)로의 결합 아암(52)의 삽입을 종료하였을 대 결합 아암(52)의 선단(66)이 단자(100)의 전기 접속부(101)의 내단(104)에 근접해서 마주한다. 따라서 단자(100)가 그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빠짐이 결합 아암(52)의 선단(66)에 의해 저지된다. 또한 이때, 하우징(10)의 후단면(12)에 록킹부재(50)의 프레임 앞측부분(72)이 근접함과 동시에 단자 수용실(11)의 후단 개구의 위치보다도 하방향으로 공동(56)의 개구가 위치 어긋나 있다.
제3a도 내지 제3e도(제2a도, 제2b도 참조)에서 이해되는 바와같이, 하우징(10)의 상면벽(33)에 창구멍(36) 및 사면(37), 중간 칸막이(34)에 사면(37) 및 층차 요면(38)을 형성하는 한편, 결합아암(52)의 선단(65)을 하방향으로 굴곡하여 그 상면과 저면에 단차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단자 수용실(11)로의 결합 아암(52)의 삽입이 진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결합 아암(52)은 그 상면이 단자 수용실(11)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벽(33)의 내면 및 중간 칸막이(34)의 하부 내면에 각각 강제적으로 접촉하는 일없이 단자 수용실(11)로 이동한다.
이상과 같이, 하우징(10)의 단자 수용실(11)에 단자(100)를 삽입함과 동시에 이 하우징에 록킹부재(50)를 삽입을 끝낸 조립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커넥터에는 이것과 상관관계에 있는 상대 커넥터가 끼워져 있다. 이때, 상대 커넥터의 래칭부가 실시예의 커넥터의 탄성 레버(27)를 가압하여 그 래칭돌기(28)를 초월하여 이것에 결합함과 동시에 상대 커넥터의 수형단자의 전기 접촉이 실시예의 커넥터의 암형 단자(100)의 전기 접속부(101)에 삽입 접축하는 것으로 양 커넥터의 전기 접속이 이루어진다. 양 커넥터의 분리는 실시예의 커넥터의 탄성 레버(27)를 가압부(29)로 가압하여 상기 결합을 해제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록킹부재를 하우징에 삽입해서 가고정하는 제1위치에서 더욱 삽입하여 본고정하는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록킹부재를 전진시키면서 하강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록킹부재의 결합 아암을, 단자 수용실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면을 강제적으로 변형시키는 일없이, 단자 수용실에 삽입한 단자에 결합 아암의 선단을 결합하는 위치에 이르게 할 수가 있고, 또한 이 때문에 하우징으로 록킹부재를 원활경쾌하게 삽입할 수가 있고, 결합 아암에 변형피로나 영구히 굽힘을 주는 일도 없다.
상기 제2위치(본 고안 위치)에 있어서 하우징 및 록킹부재의 상하단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분 근처에 결합하여 록킹부재를 하우징에 본고정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커넥터가 비교적 다극으로 가로 길일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 중간부분에 있어서 하우징으로 의 록킹부재의 결합을 보존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단자에 대한 결합 아암의 결합을 항상 학보할 수가 있다.

Claims (4)

  1. 다수의 단자 수용실(11)을 가진 직사각형의 하우징(10)과 상기 단자 수용실(11)내에 삽입되어지는 다수의 단자(100)와 단자 록킹부재(50)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 록킹부재(50)를 래치 수용하기 위한 직사각형의 프레임(13)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 록킹부재(50)는 상기 하우징(10)내의 단자 수용실(11)에 대응하여 절연벽(57)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공동(56)을 가지는 프레임(51)과, 상기 단자 수용실(11)내로 삽입되어지는, 프레임(51)에서부터 상기 하우징(10)의 전단을 향해 연장하는 다수의 결합 아암(52)과 상기 단자(100)를 공동(56)을 통해 상기 단자 수용실(11)로 삽입할 수 있는, 상기 단자 록킹부재가 전단(26)에서 떨어진 예비 위치로 상기 단자 록킹부재를 상기 하우징(10)에 래칭하기 위한 프레임(51)의 양측면부분(54)에 형성된 탄성 래칭부(60)를 포함하는 일체형 부재이고, 상기 단자 록킹부재(50)를, 상기 결합 아암(52)의 선단(66)이 상기 단자(100)를 결합할 수 있고 선단(26)에 가까운 최종 위치까지 래칭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단자 록킹부재(50)의 프레임(13,51)의 보다 긴 측면을 따라 형성된 탄성 래칭부(17,6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내의 단자 수용실에는 상기 단자(100)를 주로 록킹하기 위해 하우징(10)과 일체인 탄성 랜스(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면(63,64)은 상기 단자 록킹부재(50)가 전단(26)을 향해 밀릴 때 수직으로 미끄럼 이동하기 위해 단자 록킹부재(50)의 프레임(51)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전기 커넥터를 록킹하기 위한 탄성 레버(27)를 가지며, 상기 단자 록킹부재(50)는 상기 탄성 레버(27)에 틈을 제공하는 오목부(58)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19900002725A 1989-03-05 1990-03-02 전기 커넥터 Expired - Fee Related KR9500099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2669 1989-03-05
JP52669 1989-03-05
JP1052669A JP2807252B2 (ja) 1989-03-05 1989-03-05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381A KR900015381A (ko) 1990-10-26
KR950009902B1 true KR950009902B1 (ko) 1995-09-01

Family

ID=12921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2725A Expired - Fee Related KR950009902B1 (ko) 1989-03-05 1990-03-02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5004436A (ko)
JP (1) JP2807252B2 (ko)
KR (1) KR950009902B1 (ko)
DE (1) DE4006437C2 (ko)
GB (1) GB22303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8629B2 (ja) * 1989-08-24 1995-06-21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係止具付コネクタ
JP2695487B2 (ja) * 1989-09-29 1997-12-24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5071374A (en) * 1990-09-24 1991-12-10 Molex Incorporated Floatable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component
US5108310A (en) * 1990-11-21 1992-04-28 Yazaki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DE4102100A1 (de) * 1991-01-25 1992-08-06 Reinshagen Kabelwerk Gmbh Elektrischer verbinder mit einem verriegelungsteil fuer die kontaktelemente
JP2573752B2 (ja) * 1991-03-20 1997-01-22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押え具付コネクタ
JP2505389Y2 (ja) * 1991-03-26 1996-07-31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係止具付コネクタ
US5181865A (en) * 1992-02-21 1993-01-26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secondary locking
JP2635486B2 (ja) * 1992-08-25 1997-07-3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574771Y2 (ja) * 1992-10-07 1998-06-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670601B2 (ja) * 1993-09-16 1997-10-2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ハウジングへの端子及びスペーサの取付方法及びその為のスペーサ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US5622521A (en) * 1994-09-29 1997-04-22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that facilitates fully inserting a terminal
US5575692A (en) * 1994-12-08 1996-11-19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a rear end mounte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US5782657A (en) * 1995-04-13 1998-07-21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secondary lock
JP3221553B2 (ja) * 1996-08-26 2001-10-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5890935A (en) * 1997-12-10 1999-04-06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JP3955172B2 (ja) * 2000-09-04 2007-08-08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コネクタの端子係止構造
TWI255592B (en) * 2002-08-23 2006-05-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JP4499662B2 (ja) * 2003-06-18 2010-07-07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7004790B2 (en) * 2004-05-28 2006-02-2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terminal retention
JP2007095396A (ja) * 2005-09-28 2007-04-12 Mitsubishi Cable Ind Ltd 電気コネクタハウジング
CN200972950Y (zh) * 2006-10-09 2007-11-0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7625251B2 (en) * 2007-09-25 2009-12-0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with redundant terminal locking
WO2011010224A2 (en) * 2009-07-20 2011-01-27 Fci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horting bar operation device
DE102011051291A1 (de) * 2011-06-23 2012-12-27 Tyco Electronics Amp Gmbh Steckverbinder mit Kammerblock und Kontaktsicherung
DE102014005941A1 (de) * 2014-04-24 2015-11-12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elektrischen Kontaktelements zur Vermeidung von Zinnwhiskerbildung, und Kontaktelement
US10109955B2 (en) 2016-01-14 2018-10-23 J.S.T.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having a male housing and a female housing with ribs
US10673169B2 (en) 2016-01-14 2020-06-02 J.S.T. Corporation Method of operating MSL connector series
US10622746B2 (en) * 2016-01-15 2020-04-14 J.S.T. Corporation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and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US9819111B2 (en) * 2016-02-12 2017-11-14 J.S.T. Corporation Connector with terminal carrier lock and individual TPA retention features
JP6729273B2 (ja) * 2016-10-12 2020-07-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構造
JP2019153409A (ja) * 2018-03-01 2019-09-1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DE102018106880A1 (de) * 2018-03-22 2019-09-26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Modularer Kontaktträger für einen Industriesteckverbinder
TWD202845S (zh) 2019-01-31 2020-02-21 美商莫仕有限公司 電連接器之部分
CN209217300U (zh) * 2019-01-31 2019-08-06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
US11251560B2 (en) * 2019-03-11 2022-02-15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with multiple latches
US10897103B1 (en) 2019-09-12 2021-01-19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seal protection
DE102020117717B4 (de) * 2020-07-06 2022-02-03 Md Elektronik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S12191603B2 (en) * 2021-06-03 2025-01-07 Molex, Llc First electrical connector, second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47022A1 (de) * 1982-12-18 1984-06-20 Grote & Hartmann Verriegelungseinrichtung fuer ein in einer gehaeusekammer steckendes, elektrisches kontaktelement
JPS6076A (ja) * 1983-06-16 1985-01-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WO1986006555A1 (en) * 1985-04-30 1986-11-06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secondary locking member
US4708662A (en) * 1986-06-20 1987-11-24 Amp Incorporated Connector assembly with pre-staged terminal retainer
JPH0244463Y2 (ko) * 1986-10-02 1990-11-26
US4758182A (en) * 1986-10-16 1988-07-19 Shinagawa Jidosha Densen Co. Ltd. Electric connector
JPH01197979A (ja) * 1988-01-31 1989-08-09 Amp Inc タブルロックを有するコネクター
JPH0758629B2 (ja) * 1989-08-24 1995-06-21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係止具付コネクタ
JPH081571Y2 (ja) * 1990-03-05 1996-01-17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係止具付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30391A (en) 1990-10-17
US5004436A (en) 1991-04-02
DE4006437C2 (de) 1998-11-19
GB2230391B (en) 1994-03-23
KR900015381A (ko) 1990-10-26
USRE34539E (en) 1994-02-08
GB9004619D0 (en) 1990-04-25
DE4006437A1 (de) 1990-09-06
JPH0355775A (ja) 1991-03-11
JP2807252B2 (ja) 199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9902B1 (ko) 전기 커넥터
JP2695487B2 (ja) 電気コネクタ
US6659797B2 (en) Connector with resiliently deflectable lock arm
EP0001159B2 (en) Electrical connector
US4969840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flat cable
US6183315B1 (en)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US4405193A (en) Preloaded electrical connector
US4273402A (en) Electrical connector receptacle
US6325680B1 (en) Female contac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20070099520A1 (en) Connecting terminal
US4007977A (en) Electrical connector
JPH0797507B2 (ja) モジュラープラグ用ジヤツク
WO1985005501A1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CN211789791U (zh) 插头电连接器
EP1557910A1 (en) Connector with lock mechanism
CA1069199A (en) Cam actuated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US4295698A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US6132252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ing of the contact terminals
US20020146114A1 (en) Modular jack
US5015200A (en) Connector with double acting latch
US6334790B2 (en) Electrical connection and housing having a lance in a terminal accommodation chamber
US6305979B1 (en) Lower profile micro connector assembly
JP2542133B2 (ja) コネクタ
US4447102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EP0043200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releasably retained termi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309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30902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