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9498B1 - 직물 연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직물 연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498B1
KR950009498B1 KR1019920012472A KR920012472A KR950009498B1 KR 950009498 B1 KR950009498 B1 KR 950009498B1 KR 1019920012472 A KR1019920012472 A KR 1019920012472A KR 920012472 A KR920012472 A KR 920012472A KR 950009498 B1 KR950009498 B1 KR 950009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nonionic stabilizer
nonionic
fabric soft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2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2597A (ko
Inventor
앤드류 터너 그라함
Original Assignee
유니레버 엔 브이
에이치. 드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069838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5000949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레버 엔 브이, 에이치. 드로이 filed Critical 유니레버 엔 브이
Publication of KR930002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49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5Mixtures of non-ionic with cation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44Alcohols; Metal alcoh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1Softening compositions
    • C11D3/0015Softening compositions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62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물 연화 조성물
본 발명은 직물 연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불용성 양이온계 직물연화제 및 린스가 첨가된 직물연화 조성물에 적합한 비이온계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생분해성 직물 연화 조성물의 수성 분산물에 관한 것이다.
린스가 첨가된 직물 연화 조성물을 공지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이러한 조성물은 물에 분산된 수불용성 4차 암모늄 직물 연화제를 7중량%까지 함유하는 경우 희석된 것으로 간주되거나 또는 7-50중량%의 함량으로 함유하는 경우 이 조성물은 농축된 것으로 간주된다. 직물 연화 조성물은 연화성 이외에도 기타 잇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한가지는 직물, 특히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짜여진 직물에 오물 방출특성을 부여하는 능력이다.
직물 연화 조성물과 관련된 문제점 중 하나는 저장시 이러한 조성물이 물리적으로 안정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농축 조성물인 경우와, 낮거나 높은 온도에서 저장시에 두드러진다.
그러나, 농축물 및 낮거나 높은 온도에서의 저장 안정성은 소비자에 의해 선호되고 있다. 물리적 불안정성은 조성물의 저장시 농후화로서 증명되며, 이러한 수준의 조성물은 더이상 쏟아부을 수가 없고, 심지어는 미가역성 겔을 형성시킬 수 있다. 농후화는 조성물을 더이상 편리하게 사용할 수 없게 만들기 때문에 매우 바람직하지 못하다.
예전에는, 점도 조절제 또는 겔화 방지제를 첨가함으로써 린스가 첨가된 직물 연화제 조성물의 물리적 안정성을 향상시켜 왔다. 예를 들면, EP 제13780호(프록터 & 갬블사)에서는 임의의 농축 조성물에 점도 조절제를 첨가하였다. 이 조절제는 C10-18지방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최근에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첨가함으로써 생분해성 에스테르-결합 4차 암모늄 화합물과 지방산을 함유하는 희석조성물의 물리적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EP 제280550호(유니레버사)에 제안된 바 있다.
생분해성의 에스테르-결합 4차 암모늄 화합물을 함유하는 농축 조성물의 경우 통상의 4차 암모늄 화합물에서 보다 물리적 불안정성의 문제점이 더 첨예하다.
EP 제0 040 562호(레지유르 코텔레)에는 비이온계 유화제/안정화제를 에스테르-결합 4차 암모늄 화합물을 함유하는 농축물에 첨가시켜 점성 겔을 형성시키는 것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안정화제는 9몰의 에틸렌옥사이드로 에톡실화된 C12-14알코올이다. 그러나, 알코올의 분지화도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특정 비이온계 안정화제는 생분해성 4차 암모늄 화합물을 농축 조성물을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허용되는 생분해성을 나타내고 수생계에서 사실상 전혀 독성이 없다는 점에 환경 보존적이다.
이제, 본 발명자들은 생분해성 4차 암모늄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고온안정성이 선택된 특정 비이온계 안정화제를 사용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수불용성 양이온계 직물 연화제 및 비이온계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직물 연화 조성물이 제공되며, 여기서 수불용성 양이온계 직물 연화제는 에스테르 결합을 통해 4차 질소 원자에 결합된 두 개의 C12-18알킬 또는 알케닐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4차 암모늄 물질이고, 비이온계안정화제는 10몰 이상의 알킬렌 옥사이드로 알콕시화시킨 주로 선형의 C8-22알코올이며, 이때 비이온계 안정화제는 0℃-45℃온도의 물중의 1% 농도에서 투명상이고 30℃ 미만의 크라프트점(Kraft point)을 갖는다.
이러한 조성물은 향상된 고온 안정성, 특히 37℃에서 안정성을 나타낸다.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10℃ 미만의 크라프트점을 갖는 것이 좋다. 크라프트점은 당 분야에서 용어이며, 예를 들면 문헌[R J Hunter 'Foundations of Colloid Science', Oxford University Press, volume 1, 1989, page 571]에 기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안정화 물질의 크라프트점이라는 용어는 그 온도 이하에서 물질의 용해도가 낮으며 교질 입자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크라프트점 이상의 온도에서는 용액이 투명하고, 그 온도 이하에서는 용액이 뿌옇다. 따라서, 5℃의 크라프트점을 갖는 물질의 용액은 적어도 5℃-45℃ 사이에서는 투명한 반면에, 45℃의 크라프트점을 갖는 물질은 0℃-45℃에서는 뿌옇고 단지 45℃이상에서만 투명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성 염기를 함유하는 액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의 에스테르-결합 4차 암모늄 물질은 다음 일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위 식에서, 각 R1기는 C1-4알킬, 알케닐 또는 히드록시알킬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각 R2기는 C8-28알킬 또는 알케닐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n은 0-5의 정수이다.
두번째로 바람직한 형태의 4차 암모늄 물질은 다음 일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위 식에서, R1, n 및 R2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T는또는이다.
바람직한 물질과 그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은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4 137 180호(레버 브라더스)에 기술되어 있다. 이들 물질은, 상기 특허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은 소량의 대응 모노에스테르, 예를 들면 1-탤로우옥시, 2-히드록시트리메틸 암모늄 프로판 클로라이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스테르-결합 4차 암모늄 화합물의 함량은 조성물의 1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상인 것이 좋으며, 특히 흥미로운 것은 에스테르-결합 4차 암모늄화합물을 7% 이상 함유한 농축 조성물이다. 에스테르-결합 4차 암모늄 화합물의 함량은 1-8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50중량%인 것이 좋다.
사용될 수 있는 적당한 비이온계 안정화제는 10몰 이상의 에틸렌 옥사이드, 바람직하게는 15-20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와 C8-C221차 또는 2차 주로 선형 알코올과의 축합 생성물을 포함한다. 알코올은 포화 또는 불포화된 것일 수 있다. 특히, 훽스트사 제품인 제나폴 C-100, 제나폴 C-150 & 제나폴 T-350이 있다. 또 쉘사 제품인 도바놀(Dobnol) 91-2.5 도바놀 91-5, 도나놀 91-6, 도바놀 91-8이 있다. 비이온계 안정화제는 10-20, 더욱 바람직하게는 12-20의 HLB를 갖는 것이 좋다.
비이온계 안정화제는 함량은 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5-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4중량% 범위내인 것이 좋다. 4차 암모늄 화합물 대 비이온계 안정화제의 몰비는 40 : 1-약 1 : 1, 바람직하게는 18 : 1-약 3 : 1 범위내이다.
또한, 조성물은 지방산, 예를 들면 C8-C24알킬 또는 알케닐 모노카복실산 또는 그 중합체를 함유할 수있다. 포화 지방산은, 특히 경화 템로우 C26-12지방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산은 비누화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올레산, 라우르산 또는 탤로우 지방산과 같이 유리산이 좋다.
지방산 물질의 함량은 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상인 것이 좋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지방산을 0.5-2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중량% 함유하는 농축물이다. 4차 암모늄 물질 대 지방산 물질의 중량비는 10 : 1-1 :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pH 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pH 2-5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수성 용매, pH완충제, 향료, 향료 캐리어, 형광제, 착색제, 향수성 유발 물질, 거품 억제제, 재침착 방지제, 효소, 광학 증백제, 유백제, 수축 방지제, 구김 방지제, 얼룩 방지제, 살균제, 살진균제, 산화 방지제, 부식 방지제, 주름 부여제, 정전지 방지제 및 다림질 보조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임의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은 라놀린 및 그 유도체와 같은 비이온계 직물 연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제, 다음의 제한적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예증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모든 백분율은 중량기준으로 한다.
[실시예 1]
액체 직물 연화 조성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양이온계 직물 연화제, 지방산(및 적당한 비이온계 안정화제)를 예비 혼합하고 함께 가열하여 투명한 용융물을 형성시켰다. 이렇게 형성된 용융 혼합물을 일정한 교반하에 70-80℃에서 1분 이상 동안 물에 첨가시켜 분산물을 형성시켰다.
주변 온도 또는 37℃에서 1-3달간 저장한 후 하케 회전점도계(Haake roto viscometer)로 조성물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증류수에 용해시킨 비이온계 안정화제의 1% 용액을 제조하고, 이 용액을 5℃에서 5일 동안 저장시켜 크라프트점을 측정하였다. 그런 다음, 이 용액이 투명해질 때까지 교반하면서 점차 가열시켰다. 용액이 투명해진 온도가 크라프트점으로써 채택되었다.
[참조]
1. HT TMAPC는 획스트사 제품이 1,2 디히든드 탤로우옥시-3-트리메틸 암모니오 프로판 클로라이드.
2. 유니케마사 제품인 경화 탤로우 지방산, 프로스테린 4916.
3. 11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로 에톡실화된 탤로우 알코올.
4. 15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로 에톡실화된 탤로우 알코올.
5. 18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로 에톡실화된 탤로우 알코올.
6. 20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로 에톡실화된 탤로우 알코올.
7. 10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로 에톡실화된 코코 알코올.
8. 10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로 에톡실화된 이소스테라르산 알코올.
이들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에스테르-결합 4차 암모늄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선택된 특정 비이온계 안정화제를 첨가하면 고온에서의 불안정화에 반작용하여 안정된 농축 조성물이 얻어진다는 것이다.
크라프트점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B와 유사한 조성물은, 11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로 에톡실화된, 좁은 범위의 탤로우 알코올 에톡실레이트, 제나폴 T-110(NR)로 제조하였다. 이것은 5℃ 미만의 크라프트점을 갖는 기타 에톡시레이트도 시험되었으머, 이들 모두는 더 높은 크라프트점을 에톡실레이트와 대조적으로 안정한 제품을 제공하였다.

Claims (7)

1중량% 이상의 수불용성 양이온계 직물 연화제 및 비이온계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직물 연화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불용성 양이온계 직물 연화제는 하는 일반식(1) 또는 (2)로 표시되는 4차 암모늄 물질이고, 비이온계 안정화제는 10몰 이상의 알킬렌 옥사이드로 알콕시화된 주로 선형의 C8-C12알코올로부터 선택되고, 이 비이온계 안정화제는 0℃-45℃의 물중 1% 농도에서 투명상을 가지며, 30℃ 미만의 크라프트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연화 조성물.
(1)
상기 각 식에서, 각 R1기는 C1-4알킬, 알케닐 또는 히드록시알킬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각 R2기는 C8-28알킬 또는 알케닐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n은 0-5의 정수이고, T-는또는이다.
제1항에 있어서, 비이온계 안정화제는 5℃ 미만의 크라프트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비이온계 안정화제는 0.1-10중량%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지방산 물질을 0.1중량% 이상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4차 암모늄 물질 3-50중량%, 비이온계 안정화제 0.5-5중량%, 및 지바안 물질 0.5-2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비이온계 안정화제가 10-20의 HL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ⅰ) 양이온계 직물 연화제와 비이온계 안정화제를 혼합 및 가열하여 용융물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ⅱ) 상기 용융물을 물에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6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액상 직물 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920012472A 1991-07-15 1992-07-14 직물 연화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9500094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19115255A GB9115255D0 (en) 1991-07-15 1991-07-15 Fabric softening composition
GB9115255.3 1991-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597A KR930002597A (ko) 1993-02-23
KR950009498B1 true KR950009498B1 (ko) 1995-08-23

Family

ID=10698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2472A Expired - Fee Related KR950009498B1 (ko) 1991-07-15 1992-07-14 직물 연화 조성물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EP (1) EP0523922B1 (ko)
JP (1) JP3061223B2 (ko)
KR (1) KR950009498B1 (ko)
AU (1) AU662536B2 (ko)
BR (1) BR9202670A (ko)
CA (1) CA2073517C (ko)
CZ (1) CZ285710B6 (ko)
DE (1) DE69214038T2 (ko)
ES (1) ES2092051T3 (ko)
GB (1) GB9115255D0 (ko)
HU (1) HU209946B (ko)
IN (1) IN176962B (ko)
MY (1) MY110512A (ko)
PL (1) PL170236B1 (ko)
SK (1) SK281112B6 (ko)
ZA (1) ZA9252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301728D0 (en) * 1993-01-28 1993-03-17 Unilever Plc Fabric softening composition
GB9218342D0 (en) * 1992-08-28 1992-10-14 Unilever Plc Use of fabric softening composition
DE4242480A1 (de) * 1992-12-16 1994-06-23 Henkel Kgaa Wäßrige Textilweichmacher-Dispersionen
ES2080655B1 (es) * 1993-07-15 1996-10-16 Lorente Hidalgo Antonio Nuevos tensioactivos cationicos polifuncionales, composiciones a base de los mismos, procedimiento para su preparacion y aplicaciones.
US5413723A (en) * 1993-12-17 1995-05-09 Munteanu; Marina A. Use of special surfactants to control viscosity in fabric softeners
GB9518012D0 (en) * 1995-09-04 1995-11-08 Unilever Plc Fabric softening composition
KR100574914B1 (ko) * 1999-03-23 2006-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 신호 합성 장치 및 방법
GB0014891D0 (en) 2000-06-16 2000-08-09 Unilever Plc Fabric softening compositions
GB0121802D0 (en) 2001-09-10 2001-10-31 Unilever Plc Fabric conditioning compositions
CN105803775A (zh) * 2014-12-30 2016-07-27 上海氟聚化学产品有限公司 一种涤纶缝纫线用柔软剂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67947A (en) * 1976-07-02 1980-05-21 Unilever Ltd Esters of quaternised amino-alcohols for treating fabrics
DE3608093A1 (de) * 1986-03-12 1987-09-17 Henkel Kgaa Konfektioniertes textilweichmacher-konzentrat
GB8704711D0 (en) * 1987-02-27 1987-04-01 Unilever Plc Fabric softening composition
US4789491A (en) * 1987-08-07 1988-12-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preparing biodegradable fabric softening compositions
ATE82770T1 (de) * 1987-09-23 1992-12-15 Procter & Gamble Lineare alkoxylierte alkohole enthaltende stabile, biologisch abbaubare waescheweichspuelerzusammensetzungen.
GB8804818D0 (en) * 1988-03-01 1988-03-30 Unilever Plc Fabric softening composition
DE3818061A1 (de) * 1988-05-27 1989-12-07 Henkel Kgaa Fluessiges, waessriges waeschenachbehandlungsmittel
GB8916306D0 (en) * 1989-07-17 1989-08-31 Unilever Plc Fabric softening composition
GB9106308D0 (en) * 1991-03-25 1991-05-08 Unilever Plc Fabric softening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N176962B (ko) 1996-10-12
HU9202314D0 (en) 1992-10-28
PL295287A1 (en) 1993-04-05
CA2073517A1 (en) 1993-01-16
AU1968092A (en) 1993-01-21
GB9115255D0 (en) 1991-08-28
JP3061223B2 (ja) 2000-07-10
SK281112B6 (sk) 2000-12-11
HU209946B (en) 1994-12-28
JPH05195434A (ja) 1993-08-03
MY110512A (en) 1998-07-31
EP0523922A3 (en) 1993-06-09
HUT62043A (en) 1993-03-29
ES2092051T3 (es) 1996-11-16
CA2073517C (en) 1999-12-28
BR9202670A (pt) 1993-03-23
EP0523922A2 (en) 1993-01-20
CZ218392A3 (en) 1993-02-17
ZA925272B (en) 1994-01-17
KR930002597A (ko) 1993-02-23
CZ285710B6 (cs) 1999-10-13
SK218392A3 (en) 1995-02-08
PL170236B1 (pl) 1996-11-29
EP0523922B1 (en) 1996-09-25
AU662536B2 (en) 1995-09-07
DE69214038D1 (de) 1996-10-31
DE69214038T2 (de) 1997-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89410C2 (ru) Стабильные композиции смягчителя тканей
EP0507478B1 (en) Fabric softening composition
EP0043622B1 (en) Fabric softening composition
EP0060003B1 (en) Textile treatment compositions and preparation thereof
CA2021010C (en) Fabric softening composition
US5409621A (en) Fabric softening composition
JPH10508622A (ja) 中間ヨウ素価脂肪酸鎖を含有する濃縮生分解性第四級アンモニウム布帛柔軟剤組成物
KR950009498B1 (ko) 직물 연화 조성물
EP0746603B1 (en) Fabric softening composition
JPS61179372A (ja) 布帛柔軟剤組成物
EP0128231B1 (en) Stable concentrated aqueous dispersions of water-insoluble cationic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EP0122140A2 (en) Method for preparing fabric softening compositions
CA2024699C (en) Fabric softening
EP1175485B1 (en) Concentrated perfume compositions and manufacture of fabric softening compositions therefrom
JP2757892B2 (ja) 液体繊維製品柔軟化用組成物
US5516437A (en) Fabric softening composition
CA2399441C (en) Fabric conditioning compositions
JPH09504839A (ja) 布製品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
MXPA99009500A (en) Stable rinse cycle fabric softener composition with glycerol monostearate co-softener
JP2566177C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7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908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9082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