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9264B1 - 가스탕비기 - Google Patents

가스탕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264B1
KR950009264B1 KR1019870005515A KR870005515A KR950009264B1 KR 950009264 B1 KR950009264 B1 KR 950009264B1 KR 1019870005515 A KR1019870005515 A KR 1019870005515A KR 870005515 A KR870005515 A KR 870005515A KR 950009264 B1 KR950009264 B1 KR 950009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amount
water
valve
hot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5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0750A (ko
Inventor
유다까 아오끼
Original Assignee
팔로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고바야시 도시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팔로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고바야시 도시히로 filed Critical 팔로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0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26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스탕비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탕비기의 1실시예의 구조 설명도.
제2도는 작동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열교환기 24 : 가스버어너
25 : 가스밸브 40 : 다이어프램장치
41 : 다이어프램 50 : 혼합밸브
53 : 열탕입구 54 : 냉수입구
55 : 출탕구 56 : 혼합밸브체
70 : 자동밸브 Q0: 최소유량
본 발명은 열교환기를 가열하는 가스버어너에로의 가스공급량을, 열교환기에로의 통수량의 증감에 응하여 비례적으로 감소시키도록 한 가스탕비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가스탕비기는 열교환기에로의 통수량의 증감에 응하여 가스공급량이 비례적으로 증감하므로, 통수량이 변화하여도 출탕온도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출탕온도의 조절은,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61-72923호 공보에 나타난 바와같이, 가스밸브를 작동시키는 다이어프램장치와 관련하여 설치한 온도조절밸브에 의해 열교환기에의 통수량과 가스공급량의 비율을 변화시켜 행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가스공급량의 비율을 감소시켜서 출탕온도를 저하시키면 열교환기의 온도가 저하하므로 연소가스중의 수분이 작은 물방울로 되어 열교환기의 표면에 서려붙어 드레인(drain)으로 되어 물방울이 떨어진다.
이와같은 드레인은 연소가스중의 황산화물이나 질소산화물을 용해하여 강산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열교환기나 가스탕비기의 내부를 부식하여 내구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또, 급수가 열교환기를 통과하는데는 어느 시간을 요하므로, 온도조절밸브에 의해 통수량과 가스공급량의 비율을 바꾸어도 곧 출탕온도는 변화하지 않고 시간이 늦는 것이 생긴다는 문제가 있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통수량과 가스공급량의 비율을 일정하게 하여 열교환기에 의해 가열되는 급수를 항상 소정의 고온도의 열탕으로 하여, 이것을 혼합밸브에 의해 냉수와 혼합하여 소망의 설정온도의 출탕을 얻도록 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기술에 있어서는 다이어프램장치 및 열교환기에의 통수량은 전급수량의 일부로 되므로, 출탕온도를 저온으로 설정하여 또한 출탕량을 감소시킨 경우에는 다이어프램장치에의 통수량의 대폭적인 감소에 의해 가스밸브의 개구면적이 너무 감소하여 가스버어너의 연소가 불안정하게 되어서 실화(失火)의 염려가 생긴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밸브의 최저개구면적을 소정한도 이상으로 설정하면 열교환기가 과열되어서 비등이 생길 염려가 있으며, 또 이것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최저출탕량을 많게 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사용하는데 매우 불편하게 된다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가스탕비기는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와같이, 가스버어너(24)에 의해 가열되는 열교환기(16)에의 통수량에 응하여 변위하는 다이어프램(41)을 가지는 다이어프램장치(40)와, 상기 다이어프램에 연동되어 상기 통수량의 증감에 응하여 상기 가스버어너(24)에의 가스공급량을 증감시키는 가스밸브(25)를 갖추어 이루어진 가스탕비기에 있어서, 열탕입구(53), 냉수입구(54) 및 출탕구(55)가 설치되어 상기 양 입구(53, 54)로부터의 유입량의 비율을 설정된 출탕온도에 응하여 제어하는 혼합밸브체(56)를 가지는 혼합밸브(50)와, 상기 다이어프램장치(40)와 동심적으로 배치되어서 상기 다이어프램(41)에 연동되어 상기 가스공급량이 상기 가스버어너(24)의 안정연소에 필요한 최저량(Q0) 이하로 되면 닫히는 자동밸브(70)를 갖추어, 상기 다이어프램장치(40)는 상기 통수량의 여하에 불구하고 상기 열교환기(16)에 의해 항상 거의 소정온도의 열탕을 얻도록 그의 작동특성을 설정하는 동시에 이 열탕을 상기 열탕입구(53)에 공급하여, 상기 냉수입기(54)에는 상기 다이어프램장치(40)의 상류측으로부터 분기된 급수를 상기 자동밸브(70)를 통하여 공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가스탕비기에의 전급수량이 많은 상태에 있어서는 열교환기(16)에의 통수량도 많으므로 다이어프램(41)과 연동하여 열린상태로 있는 자동밸브(70)를 통한 흡수와, 열교환기(16)에 의해 소정의 고온도에 가열된 열탕은 혼합밸브(50)에 이송되어 설정된 출탕온도에 응하여 비율이 바꾸어져서 혼합되어, 소정의 출탕온도로 되어서 출탕이 된다. 출탕온도를 저온으로 설정하여, 또한 출탕량을 감소시킨 경우에는 열교환기(16)에의 통수량은 대폭으로 감소시키려 한다. 그러나 이 통수량이 가스버어너(24)의 안정연소에 필요한 최소유량(Q0)에 가까이 그 이하로 되면, 통수량에 응하여 변위하는 다이어프램(41)과 연동하는 자동밸브(70)의 개도(開度)는 감소되어 닫히게 되므로 전급수량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다이어프램장치(40) 및 열교환기(16)에 통수된다.
따라서 전급수량 즉 출탕량이 감소한 상태에 있어서는 그의 감소비율에 비하여 다이어프램장치(40) 및 열교환기(16)에의 통수량의 감소비율은 작게되어 가스버어너(24)에의 가스공급량의 감소의 비율도 작게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열교환기에의 통수량이 소정의 최소유량 부근까지 감소한 경우에는, 자동밸브의 작용에 의해 전급수량의 감소비율에 비하여 가스버어너에의 가스공급량 및 열교환기에의 통수량의 감소비율이 적게되므로, 가스공급량의 지나치게 감소에 따른 가스버어너의 연소의 불안정이나 실화의 염려없이, 또 열교환기의 과열의 염려없이, 출탕량의 조정범위를 소출탕량측으로 확대할 수가 있고, 가스탕비기의 사용편리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자동밸브는 가스공급량을 증감시키는 다이어프램과 연동하여 작동하므로, 가스버어너의 안정연소에 필요한 최저가스공급량과 정확하게 대응하여 작동하고, 작동오차가 생기는 일이 없다.
[실시예]
다음에 첨부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가스버어너(24)에 의해 가열되는 열교환기(16)에의 급수통로(10)의 도중에는 다이어프램장치(40)가 설치되어, 이 다이어프램장치(40)는 가스버어너(24)에의 가스공급로(20)에 설치한 가스밸브(25)의 개도를 열교환기(16)에의 통수량에 응하여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가스통로(20)는 가스통로 하우징(32)내에 형성된 관로(21), 가스도입관(22) 및 노즐관(23)의 각 부분으로 구성되고, 가스통로 하우징(32)내에는 가스밸브(25)가 설치되어 있다.
가스밸브(25)는 관로(21)의 내벽에 형성된 밸브시이트(26)와 스프링(28)에 의해 가압되는 밸브체(27)를 가지며, 밸브체(27)는 통상은 개폐부(27a)가 밸브시이트(26)에 맞닿아서 가스밸브(25)를 닫고 있으나 스프링(28)에 버티면서 제1도에 있어서, 바른편으로 이동하면, 먼저 개폐부(27a)가 밸브시이트(26)로부터 떨어져서 가스밸브(25)를 최저 개도로 하여, 이어서 다시 바른편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비례부(27b)와 밸브시이트(26)의 사이의 개구면적이 증대하여 가스밸브(25)의 개도를 증대하여 가스버어너(24)에의 가스공급량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급수통로(10)는 다이어프램장치(40)를 경계로 하여 상류측의 절반부(11) 및 하류측의 후반부(12) 및 바이패스(13)로부터 구성되어, 각 부분(11, 12, 13)은 어느것이나 다이어프램장치(40)의 1차실(42)에 개구되어 있다.
전반부(11)는 서로 고정된 급수로하우징(30) 및 급수관(33)에 의해 형성되고, 후반부(12) 및 바이패스(13)는 급수로하우징(30) 및 접속관(14)에 의해 형성된다.
급수로하우징(30)과 이것에 고정된 커버(31)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양부재(30, 31)에 끼워진 다이어프램(41)에 의해 1차실(42) 및 2차실(43)로 분리되어 이들 다이어프램(41) 및 양실(42, 43)이 다이어프램장치(40)의 주요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급수통로(10)의 후반부(12)에는 벤츄리(42)가 설치되어, 2차실(43)은 연통로(47), 벤츄리(46) 외주의 환상홈(46b) 및 소공(46a)을 통하여 벤츄리(46)의 부압 발생부에 연통되어 있다.
한편 다이어프램(41)의 중앙에 고정된 끝이 가는형상(先細形狀)의 돌출한 밸브부재(44)는 1차실(42)에 개구하는 바이패스(13)의 일단부에 설치한 환상부재(44a)내에 삽입되어 양부재(44, 44a)의 드로트부(45)를 형성하고 있다.
열교환기(16)에의 통수량은 주로 벤츄리(46)와 드로트부(45)의 저항에 응한 비율로서 급수통로(10)의 후반부(12)와 바이패스(13)에 분배되어, 후반부(12)에 분배된 유량에 의해 벤츄리(46)에 생기는 부압은 2차실(43)에 전달되어서 다이어프램(41)에 제1도에 있어서 바른편에 향하는 작동력을 생기게 하여, 이 작동력은 로드(49) 및 밸브봉(29)에 가스밸브(25)의 밸브체(27)에 전달된다.
상기 통수량이 적으면 상기 작동력도 작으므로 다이어프램(41)은 변위하지 않고, 가스밸브(25)는 닫혀 있으나 소정의 최소량(후술한 Q0와 일치)까지 증대하면 다이어프램(41)은 스프링(28)에 버티면서 바른편으로 변위하여, 밸브체(27)를 이동시켜서 가스밸브(25)를 최저개도로 열리며, 가스버어너(24)의 안정연소에 필요한 최저량의 가스를 공급한다.
이 최정량의 가스연소에 의해 가열된 경우에 열교환기(16)내에 있어서 비등이 생기지 않도록, 상기 통수량의 최소유량은 정하여진다.
통수량이 다시 증대하면 그 증대에 따라 다이어프램(41)은 스프링(28)을 휘게하여 변위하고, 밸브체(27)를 이동시켜서 가스밸브(25)의 개도를 증대시킨다. 또한 통수량의 증대에 따라 드로트부(45)의 개구면적은 증대하여 이것에 따라 통수량의 분배비율을 바이패스(13)측의 비율이 증대한다. 이상의 작용에 의해 가스버어너(24)에의 가스공급량은 열교환기(16)에의 통수량과 거의 비례한 것으로 된다. 그러나 열교환기(16)로부터 후술한 혼합밸브(50)에 공급되는 열탕의 온도가 항상 소정의 고온도가 되도록 상기 통수량과 공급량의 비율은 설정되어 있다.
급수통로(10)의 전반부(11)중 급수로하우징(30)내에 형성되는 부분에는 정유량밸브(60)가 설치되어 있다.
정유량밸브(60)는 급수로하우징(30)내에 형성된 끼워맞춤구멍(10a)에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유로이 끼워맞추어져서 스프링(63)에 의해 상류측으로 가압된 접동통(62) 및 이것과 동심적으로 지지되어 끝이 가는 선단부를 접통통(62)의 내향 플랜지부(62a) 중앙의 개구(62b)내에 삽입하여 개구(62b)와의 사이에 가변 트로트부(16)를 형성하는 테이퍼부재(65)를 갖추고 있다.
테이퍼부재(65)의 근본부는 급수로하우징(30)에 고정된 안내통(69)에 의해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유로이 지지되어 안내통(69)과의 사이에 개장된 스프링(68)에 의해 상류측으로 가압되어, 그 선단은 끼워맞춤구멍(10a)과 동심적으로 급수통로(10)내에 지지된 열응동부재(66) 선단의 작동부(66a)에 맞닿아 지지되어 있다.
열응동부재(66)는 급수로하우징(30)내에 크립멈춤된 지지원판(67)에 의해 지지되어, 지지원판(67)은 열교환기(16)에의 급수를 통과시키는 연통구멍을 가지며, 또 스프링(63)에 의해 가압되는 미끄럼통(62)의 스토퍼를 형성하고 있다. 미끄럼통(62)은 열교환기(16)에의 통수량이 가스밸브(25)의 최대 개도 즉 가스버어너(24)의 최대능력에 대응하는 최대유량에 달하면, 내향 플랜지부(62a)의 전후에 생기는 압력차에 의해 스프링(63)에 버티면서 하류측으로 이동하여 가변트로트부(61)의 통로면적을 감소시켜, 통수량이 상기 최대유량 이상으로 되는 것을 방지하여 혼합밸브(50)의 열탕입구(53)에 공급되는 열탕이 항상 소정의 고온도에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가스밸브(25)의 최대개도에 대응하는 열교환기(16)에 최대유량은 급수온도에 따라 다르며, 급수온도가 높은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정유량밸브(60)에 의한 최대유량을 설정하면 그 값은 비교적 크게 되고, 급수온도가 저하한 경우에 있어서도 열교환기(16)에 상기 최대유량의 통수를 하면 가스버어너(24)의 최대능력을 초과하게 되므로, 열교환기(16)로부터 혼합밸브(50)의 열탕입구(53)에 공급되는 열탕의 온도는 소정의 고온도보다도 다소 저하한다. 반대로 급수온도가 낮은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최대유량을 설정하면 그 값은 비교적 작게되며, 급수온도가 상승한 경우에는 낮은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최대유량을 설정하면 그 값은 비교적 작게되며, 급수온도가 상승한 경우에는 가스버어너(24)가 최대능력에 달하기 이전에 통수량이 최대유량에 달하므로, 가스버어너(24)의 최대능력을 발휘할 수 없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급수온도가 상승하면 열감응부재(66) 선단의 작동부(66a)가 뻗어서 테이퍼부재(65)를 후퇴(제1도에 있어서 상방이동)시키므로, 미끄럼통(62)이 내향 플랜지부(62a)와 테이퍼부재(65)의 사이의 가변트로틀부(61)의 개구면적은 크게 되어서 급수온도가 높은 경우에 적합한 특성으로 되고, 또 급수온도가 저하하면 테이퍼부재(65)가 전진되므로 가변트로틀부(61)의 개구면적은 작게되어서 급수온도가 낮은 경우에 적합한 특성으로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로드(64)를 통하여 테이퍼부재(65)와 연통하는 급수온도보상밸브(48)가 설치되어, 벤츄리(46) 외주의 환상홈(46)은 이 급수온도보상밸브(48)와 연통로(48a, 48b)를 통하여 급수통로(10)의 전반부(11)와 연통되어 있다.
급수온도 보상밸브(48)는 급수온도가 저온의 상태에서는 개도가 작으나, 급수온도의 상승에 따른 테이퍼부재(65)의 이동에 따라서 개도가 증대하여 급수통로(10)의 전반부(11)로부터 환상홈(46b)내에의 도입량을 증대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작은구멍(46a), 환상홈(46b) 및 연통로(47)를 거쳐서 다이어프램장치(40)의 2차실(42)에 전달되는 벤츄리부압을, 급수온도의 상승에 따라서 감소시켜서 가스밸브(25)의 개도가 작게되는 방향으로 보정하여, 급수온도가 변화하여도 열교환기(16)로부터 혼합밸브(50)에 공급되는 열탕의 온도가 변화하지 않도록 보상하는 것이다.
다음에 혼합밸브(50)에 대하여 설명한다.
혼합밸브(50)의 하우징(15)내에 형성된 통로(52)의 양단부 및 중간부에는 열탕입구(53), 냉수입기(54) 및 출탕구(55)가 개구되어, 열탕입구(53)는 열교환기(16)에 냉수입기(54)는 후술하는 자동밸브(70) 및 분기로(11a)를 거쳐서 급수통로(10)의 전반부(11)에 출탕구(55)는 급탕관(17)에 각각 연통되어 있다. 냉수입기(54)와 출탕구(55)의 사이의 통로(52)의 내면에 형성된 혼합밸브 시이트(52a)와 동심적으로 서어보모터(58)에 의해 축방향으로 진퇴 구동되는 밸브축(57)이 설치되어, 그의 선단에는 혼합밸브시이트(52a)와 대향하여 혼합밸브체(56)가 고정되어 있다. 서어보모터(58)는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제어되어, 급탕관(17)에 설치된 서미스터(thermistor)(도시하지 않음)등에 의해 검출된 출탕온도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된 출탕온도보다도 낮은 경우 임의로 설정된 출탕온도보다도 낮은 경우에는 밸브축(57)을 전진(제1도에 있어서 하방이동)시켜서 혼합밸브시이트(52a)와 혼합밸브체(56)의 사이의 통로면적을 감소시켜, 분기관(11a)으로부터의 냉수의 유입비율을 감소시켜서 출탕구(55)에서 급탕관(17)에 이송출되는 탕의 온도를 상승시켜, 또 검출된 출탕온도가 설정된 출탕온도 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로 밸브축(57)을 후퇴시켜 분기관(11a)에서의 냉수의 유압비율을 증대시켜서 급탕관(17)에 송출되는 탕의 온도를 저하시킨다.
또한 출탕량의 변경은 급탕관(17)의 말단에 설치한 급탕전(도시하지 않음)을 사용자가 개폐함으로서 행한다.
혼합밸브(50)의 냉수입구(54)와 분기관(11a)의 사이에 설치되는 자동밸브(70)는 다이어프램장치(40)와 동심적으로 배치되어, 급수로하우징(30)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자동밸브시이트(72)와 다이어프램(41)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자동밸브체(73)를 갖추고 있다.
다이어프램(41) 중앙부의 돌출한 밸브부재(44)에 동심적으로 고정된 지지로드(71)의 선단부에는, 자동밸브체(73)가 그의 중앙의 보스부를 통하여 축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유로이 동심적으로 지지되어, 지지로드(71)의 중간부에 클립멈춤된 와셔(74)와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75)에 의해 지지로드(71) 선단에 걸어맞추어진 클립(80)에 향하여 가압되어 있다.
자동밸브(70)는 열교환기(16)에의 통수량이 많고, 다이어프램(41)이 제1도에 있어서 바른편으로 변위하여 가스밸브(25)가 가스버어너(24)의 안정연소에 필요한 최저량의 가스를 공급하는 개도 이상으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자동밸브체(73)가 자동밸브시이트(72)에서 분리, 열린상태로 되어서 혼합밸브(50)의 냉수입기(54)를 분기로(11a)와 연통하여 또 상기 통수량이 감소하여 가스밸브(25)가 상기 개도 이하로 되면, 제1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자동밸브체(73)가 자동밸브시이트(72)에 맞닿아서, 닫힌상태로 되어서, 냉수입기(54)와 분기로(11a)의 사이의 연통을 닫히도록 작동하는 것이다.
자동밸브시이트(72)에는 바이패스구멍(73)이 설치되어, 자동밸브(70)가 닫힌상태에 있어서도 그 양측은 바이패스구멍(76)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또한 자동밸브체(73)에는 보조밸브구멍(73a)이 설치되어, 자동밸브체(73)의 보스부에 끼워맞추어져서 같은 보스부에 클립멈춤된 와셔(79)와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78)에 의해 가압된 보조밸브체(77)에 의해 상기 보조밸브구멍(73a)은 통상은 닫혀져 있다.
보조밸브체(77)는 급탕관(17)의 말단에 설치한 급탕전(도시하지 않음)의 급격한 개폐등에 의해 급수통로(10)의 전반부(11)의 압력이 일시적으로 상승한 경우에 작동하여 보조밸브구멍(73a)을 열고, 자동밸브체(70)의 여는밸브 동작을 원활하게 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출탕온도를 최고온도로 설정하면 혼합밸브(50)의 혼합밸브시이트(52a)는 혼합밸브체(56)에 의해 닫혀져 있으므로 제2도의 특성곡선(A)에 표시된 바와같이 급수관(33)에서의 전급수량은 그대로 열교환기(16)에의 통수량으로 되고, 급탕관(17)에서의 출탕량으로 된다.
출탕온도를 저온으로 설정하면 혼합밸브체(56)는 혼합밸브시이트(52a)로부터 분리되어서 분기관(11a)으로부터의 냉수가 혼합밸브(50)에 도입되어, 이 경우의 특성곡선은 B에 표시한 바와같이 된다. 이 상태에서는 출탕량이 많은 경우 즉 열교환기(16)에의 통수량이 가스버어너(24)의 안정연소에 필요한 가스밸브(25)의 최저개도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유량(Q0) 이상인 경우에는 자동밸브(70)는 상술한 바와같이 열리게 되고, 열교환기(16)를 통하여 유량(Ua)의 열탕과 자동밸브(70)를 통하는 유량(Ub)의 냉수가 혼합밸브(50)에서 혼합되어, 설정된 출탕온도로 되어 급탕관(17)에 송출된다.
급탕관(17)의 말단에 설치한 급탕전(도시하지 않음)을 죄여서 출탕량을 감소시키면, 열교환기(16)에의 통수량도 비례적으로 감소하려고 한다.
그러나 이 통수량이 감소하여 최소유량(Q0)에 가깝게 하면 자동밸브(70)의 개도가 감소하여 열교환기(16)에의 통수량의 비율을 증대시키므로 특성곡선(B)에 표시한 바와같이 이 통수량이 거의 최소유량(Q0)으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혼합밸브(50)에 유입하는 냉수의 유량의 비율이 감소함으로 급탕관(17)에 송출되는 탕온은 설정온도보다도 상승한다.
또한 출탕량이 감소하여 Q0이하가 되면 열교환기(16)에로의 통수량은 다시 감소하여 최소유량(Q0) 이하로 되나, 이 상태에서는 다이어프램장치(40)에 의해 가스밸브(25)가 닫히게 되어 가스탕비기의 작동은 정지한다.
또한 최저출탕량(Qa)은 바이패스구멍(76)의 개구면적에 의해 변화하여 이 개구면적이 0이라면 상기 최소유량(Q0)과 일치하며, 이 개구면적이 증대하면 Qa도 증대한다.
출탕온도를 상기 저온보다도 조금 고온으로 설정하면 그 특성곡선은 C와 같게 되고 또한 고온으로 설정하면 D, E와 같은 특성곡선을 거쳐서 상술한 최고온으로 설정한 경우의 특성곡선(A)으로 된다.
자동밸브체(73)는 가스밸브체(27)에 연결된 다이어프램(41)과 지지로드(71)를 통하여 연락되어 있으므로 가스밸브(25)의 개도와 정확함에 대응하여 작동한다.
따라서 자동밸브체(73)는 가스공급량이 가스버어너(24)의 안정연소에 필요한 최저량 이하로 되면 확실하게 닫히고, 또 가스공급량이 상기 최저량 이상으로 되면 확실하게 열리기 시작하여 작동오차가 생기는 일이 없다.
혼합밸브를 갖춘 이 종류의 가스탕비기에 있어서 자동밸브(70)를 갖추고 있지 않는 것은, 출탕온도를 저온으로 설정한 경우의 특성곡선은 제2도의 B'에 표시한 바와같게 되고, 열교환기에의 통수량이 최소유량(Q0) 이하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출탕량의 최저한도를 Qb로 할 필요가 있으나, 상기 실시예의 것은 자동밸브(70)의 작용에 의해 출탕온도를 저온으로 설정한 경우의 출탕량의 최저한도(Qa)가 Qb이하로 된다.
즉 출탕량의 조정범위를 소출탕량측으로 확대할 수가 있으므로, 가스탕비기의 사용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Claims (1)

  1. 가스버어너에 의해 가열되는 열교환기에로의 통수량에 응하여 변위하는 다이어프램을 가지는 다이어프램장치와, 상기 다이어프램에 연동되어 상기 통수량의 증감에 따라 상기 가스버어너에의 가스공급량을 증감시키는 가스밸브를 갖추어 이루어진 가스탕비기에 있어서, 열탕입구, 냉수입구 및 출탕구가 설치되어 상기 양 입구에서의 유입량의 비율을 설정된 출탕온도에 응하여 제어하는 혼합하는 혼합밸브체를 가지는 혼합밸브와, 상기 다이어프램장치와 동심적으로 배치되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에 연동되어 상기 가스공급량이 상기 가스버어너의 안정연소에 필요한 최저량 이하로 되면 닫히는 자동밸브를 갖추어, 상기 다이어프램장치는 상기 통수량의 여하에 불구하고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항상 거의 소정온도의 열탕을 얻도록 그의 작동특성을 설정함과 동시에 이 열탕을 상기 열탕입구에 공급하여, 상기 냉수입기에는 상기 다이어프램장치의 상류측으로부터 분기된 급수를 상기 자동밸브를 통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탕비기.
KR1019870005515A 1986-06-09 1987-06-01 가스탕비기 Expired - Fee Related KR950009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316 1986-06-09
JP???61-87316 1986-06-09
JP1986087316U JPH0332932Y2 (ko) 1986-06-09 1986-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750A KR880000750A (ko) 1988-03-29
KR950009264B1 true KR950009264B1 (ko) 1995-08-18

Family

ID=30944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5515A Expired - Fee Related KR950009264B1 (ko) 1986-06-09 1987-06-01 가스탕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332932Y2 (ko)
KR (1) KR9500092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0112B2 (ja) * 2013-02-18 2015-11-11 リンナイ株式会社 給湯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2253U (ko) * 1975-03-08 1976-09-10
JPS5590953U (ko) * 1978-12-20 1980-06-23
JPS592364U (ja) * 1982-06-29 1984-01-09 宮武 昭典 ちようやく運動具
JPS59125325A (ja) * 1982-12-29 1984-07-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198448U (ko) 1987-12-17
JPH0332932Y2 (ko) 1991-07-12
KR880000750A (ko) 198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9264B1 (ko) 가스탕비기
JPS6336528B2 (ko)
JPH0465305B2 (ko)
KR950009265B1 (ko) 가스탕비기
GB2039344A (en) Flow regulating valve
JPS603721A (ja) 湯水混合装置
KR950002485B1 (ko) 가스 탕비기
KR920006590Y1 (ko) 서모 밸브
CN219263262U (zh) 旁通阀及包含其的热水器
JP2529763B2 (ja) 給湯器
GB1585695A (en) Gas-fired continuous-flow water heater
KR860000300Y1 (ko) 순간 온수기
JPS6225616Y2 (ko)
JP3539046B2 (ja) バイパスミキシング方式のガス給湯器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バイパスミキシング用水温感応型定流量弁
KR920005382Y1 (ko) 순간온수기
JPH09137877A (ja) 湯水混合水栓のサーモスタット
JPH0120523Y2 (ko)
JP3824400B2 (ja) バイパスミキシング方式のガス給湯器
JP3765917B2 (ja) 給湯器
KR950002490B1 (ko) 믹싱형 순간가스 탕비기(湯沸器)
JPS6234130Y2 (ko)
JP3061516B2 (ja) ガス湯沸器
JPH0429233Y2 (ko)
JPH04340050A (ja) 給湯器のバイパス制御弁
JPS631146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4081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40819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