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8919Y1 - 선재압연의 가레트라인(Garret Line) 곡선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선재압연의 가레트라인(Garret Line) 곡선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919Y1
KR950008919Y1 KR2019930030586U KR930030586U KR950008919Y1 KR 950008919 Y1 KR950008919 Y1 KR 950008919Y1 KR 2019930030586 U KR2019930030586 U KR 2019930030586U KR 930030586 U KR930030586 U KR 930030586U KR 950008919 Y1 KR950008919 Y1 KR 9500089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ase
side guide
wire rod
rol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05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6899U (ko
Inventor
조병훈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조말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조말수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305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919Y1/ko
Publication of KR9500168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68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9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91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1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wire rods, bars, merchant bars, rounds wire or material of like small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재압연의 가레트라인(Garret Line) 곡선 가이드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구름마찰부재에 대한 롤러의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대한 사이드 안내부재와 구름마찰부재의 일부 평면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 2 : 사이드 안내부재
3 : 이송로 5 : 구름마찰부재
7, 21 : 힌지핀 8 : 덮개
9 : 핀 22 : 고리
51 : 롤러 52 : 홀더
53, 54 : 조절볼트 81 : 고리
82 : 접촉방지편
본 고안은 선재압연의 가레트라인(Garret Line) 작업시 제품의 표면에 긁힘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곡선을 이루고 있는 ψ30, ψ60 두께의 파이프관을 제품이 통고할 때 제품의 루프(Loop) 및 텐션(Tension)에 의한 마찰로 긁힘이 심하게 발생되는 현상과 제품에 묻어 나온는 딱지가 파이프 내경에 묻으므로 인하여 제품에 심하게 발생하는 마크(Mark)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한 선재 압연의 가레트라인 곡선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재압연의 가레트라인(Garret Line) 작업에는 사이즈(Size)가 ψ41-ψ25인 제품의 생산시에는 내경이 ψ$인 파이프를 사용하고 ψ26-ψ42인 제품을 생산할 때 에는 내경이 ψ60인 파이프를 사용하여 왔다.
이 과정에서 선재압연되어 나오는 제품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은 선재압연을 위한 파이프 내경을 통과할 때의 마찰에 의하여 파이프 내경에 흡착되는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는 파이프의 내경을 지나가는 제품표면에 긁힘이 발생되었으며, 특히 잦은 강종변경시와 사이즈 조정시 압연에서 스탠드롤 갭을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제품 루프(Loop) 및 텐션(Tension)에 의한 마찰이 발생하여 제품표면에 긁힘이 심하게 발생되었고 특히 잦은 강종 변경시와 사이즈 조정시 압연에서 스탠드 롤 갭을 조정하여 제품 사이즈를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소재 스피드가 변하므로 제품, 핀치롤, 릴러의 스피드균형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제품의 전장에 긁힘이 발생하였다.
또한 파이프 마찰이 발생되어 이물질 협착 또는 마모부위가 생기면 확인 및 점검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가레트라인(Garret Line) 작업시에는 제품의 긁힘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파이프(PIPE) 내부에 산세 및 아연도금하여 파이프(PIPE) 내부에 완전한 이물질 제거 및 표면관리 하였고 여러개의 예비 파이프 가이드(Pipe Guide)를 준비하여 작업해 왔던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선재 가레트라인(Garret Line) 작업에는 곡선 파이프 가이드(Pipe Guide) 내경의 표면관리 및 여러개의 예비품 확보 작업시 반드시 필요하였지만 이러한 파이프(PIPE)내경 표면관리를 하여도 제품통과시 루프(Loop) 및 텐션(Tension)에 의하여 긁힘이 발생되고 파이프 가이드(Pipe Guide) 내경에 점검이 난해하여 마모가 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교체가 필요하며, 또한 파이프 가이드(Pipe Guide) 교체 시간도 20분-30분의 과다한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제품의 긁힘이 발생되는 위치가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워 상당한 라인(Line) 점검시간의 발생으로 고질적인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선재 가레트라인작업시에서의 제품의 긁힘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품의 속도변화 및 핀치롤(Pinch Roll) 및 릴러(Reeler)의 R.P.M 변화등을 하여 보았지만 제품에 긁힘방지에는 큰 성과를 얻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품을 통과 시키기 위한 파이프의 사용대신 제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만한 곡선으로 형성된 베이스부재; 베이스 부재의 측단 상부 고정요소에 의해서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부착되어 안내통로를 형성하는 사이드 안내부; 사이드 안내부재의 사이에 수개의 롤러를 수직으로 베이스 상면에는 수평한 롤러를 구름운동가능하게 설치한 구름마찰부재와; 사이드 안내부재의 상면은 분할형으로 오픈이 가능하여 부위별 내부 점검이 원할하게 제작되어 핀으로 착탈되는 카바부재로 이루어진 선재압연의 가레트라인 곡선 가이드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은 선재압연의 가레트라인(Garret Line) 작업시 곡선 파이프 가이드(Pipe Guide) 장치에 의하여 제품의 외면에 긁힘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이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 분해 사시도로써 소정의 규격으로된 (2340×150L×30t) 베이스(1)는 그의 상면에서 제품이 제작 되므로 평탄하여야 하고 휘어지지 않아야 한다.
상기 베이스(1)의 양측단 상부에는 수개의 사이드 안내부재(2)를 설치하고 이를 통상의 체결요소(13)로 고정하여 베이스(1)상에 이송로(3)를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1)상에 설치되는 사이드안내부재(2)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안내부재 사이에 일정한 간격(t)을 가지도록 설치한다.
제품을 안내 이송시키는 구름마찰부재(5)는 구름운동을 하는 롤러(51)와 상기의 롤러(51)를 지지하며 사이드 안내부재(2)에 고정하여 주는 홀더(52)로 이루어지며 홀더(52)의 선단에는 롤러(51)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홀더(52)와 롤러(51)를 관통하는 통상의 힌지핀으로 너트체결을 하여 홀더(52)상에서 롤러(51)가 회전하게 한다.
이러한 구름마찰부재(1)를 베이스의 양측 상단에 설치하는 사이드 안내부재(2)의 외면과 베이스(1)의 저면 양측에 설치한다.
구름마찰부재(5)를 사이드 안내부재(2)의 외면에 설치할 때 외면으로 돌출시킨 힌지핀(21)에 홀더(52)를 삽입하여 홀더(52)와 힌지핀(21)에 일치하는 핀공으로 힌지핀(7)을 삽입하여 힌지핀(7)에서 지짐회동을 이루게하고, 힌지핀(21)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 할 수 있는 홀더(52)의 양측에는 롤러(51)의 갭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절볼트(53), (54)를 설치한다.
상기와 구름마찰부재(5)가 사이드 안내부재(2)에 설치된 상태에서 롤러(51)는 사이드 안내부재(2) 사이의 간격(t)에 위치하게 되며 이들 롤러(51)는 베이스(1) 상에 형성되는 이송로(3)에 돌출되는 상태를 이룬다.
이러한 구름마찰부재(5)의 설치상태는 베이스(1) 저면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따라서 베이스(1)상에 형성되는 이송로(3)의 양측면과 하단에는 롤러(51)의 원주면이 돌출되는 상태를 제2도와 같이 이루고 있으며 베이스(1) 저면에서 돌출되는 롤러(51)는 베이스(1) 바닥에서 10mm 높게 사이드 안내 부재(2)의 측면에서 돌출되는 롤러(52)는 8mm 나오도록 설치한다.
상기의 이송로(3)를 형성하는 베이스(1)의 사이드 안내부재(2) 상부에 고리(22)를 형성하며 사이드 안내부재(2)의 설치폭으로 형성된 덮게(8)의 저면에도 상기와 같은 형상의 고리(81)를 형성하여 이들의 고리(22), (81) 사이로 조립용 핀(9)이 삽입되는 구성을 이루고 또 덮개(8)의 선던은 한부분을 약 20°각도로 구부려 제품 선단부 통과시 흔들림에 의한 소재 치입을 원활하게 하여주는 접초방지편(82)을 형성해서 덮개(8)를 사이드 안내부재(2)에서 부분적 오픈하여 내부에 상태를 점검이 용이하게 분해 조립이 간편하게 분할식으로 형성한다.
상기의 구성에서 홀더(52)에 설치되는 롤러(51)에는 롤러(51)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베어링을 사용한다.
그리고 홀더(52)에 설치되는 롤러(51)는 제품과 접촉되는 상태로 회전을 하는 것이어서 롤러에서는 마찰열이 발생한다.
따라서 홀더(52)의 선단에 수직으로 형성한 홀은 외부의 냉각제를 롤러(51)에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홀(55)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하여 가레트라인 작업시 통과중인 제품이 베이스(1) 및 사이드 안내부재(2) 등에 설치된 구름마찰부재(5)의 롤러(51)에 구름접촉되는 상태로 이송하므로 제품의 표면에서 긁힘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며 덮개(8)를 열어서 내부 및 통과중인 제품을 점검 가능하고 제품과 접촉하는 부분에서 마찰열이 발생하여 사용수면이 단축될 수 있는 문제점을 홀더에의 냉각수홀로 공급하는 냉각제에 의하여 마찰열과 마모를 줄여 교체 점검이 어려웠던 파이프가이드(Pipe Guide) 작업에 비하여 품질향상, 장애시간 단축, 생산성 향상, 원가절감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평판상이면서 좁은 폭으로 이루어진 베이스(1); 상기 베이스(1)의 양측면 상단에 소정의 간격(t)을 두고 설치되는 사이드 안내부재(2); 상기의 사이드 안내부재(2)의 외면에 설치되어 사이드 안내부재(2) 사이의 간격(t)으로 롤러(51)가 수직하게 위치하며 베이스(1)의 저면에 설치하는 홀더(52)에 의하여 롤러(51)가 수평이 되도록 위치하게 하는 구름마찰부재(5); 상기의 사이드 안내부재(2)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베이스(1)상의 이송로(3)를 선택적으로 은폐시킬 수 있도록한 덮개(8)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압연의 가레이트라인 곡선 가이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에 형성되는 이송로(3) 측면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는 롤러(51)는 8mm, 베이스 바닥에서 돌출되는 롤러(51)는 10mm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압연의 가레트라인 곡선 가이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사이드 안내부재(2)에 설치되는 구름마찰부재(5)는 사이드 안내부재(2)의 힌지핀(21)에 홀더(52)를 설치하여 양측의 조절볼트(53), (54)에 의하여 롤러갭을 조절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압연의 가레트라인 곡선 가이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마찰부재(5)의 홀더(52)에는 롤러(51)의 마모방지의 냉각을 이루기 위한 냉각수홀(55)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압연의 가레트 라인 곡선 가이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8)는 제품의 이송방향과 수직으로 교차되는 선단에 형성하는 접촉 방지편(82)은 약 20°상부를 향하여 구부러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압연의 가레트 라인 곡선 가이드 장치.
KR2019930030586U 1993-12-29 1993-12-29 선재압연의 가레트라인(Garret Line) 곡선 가이드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500089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586U KR950008919Y1 (ko) 1993-12-29 1993-12-29 선재압연의 가레트라인(Garret Line) 곡선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586U KR950008919Y1 (ko) 1993-12-29 1993-12-29 선재압연의 가레트라인(Garret Line) 곡선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899U KR950016899U (ko) 1995-07-20
KR950008919Y1 true KR950008919Y1 (ko) 1995-10-18

Family

ID=19373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0586U Expired - Fee Related KR950008919Y1 (ko) 1993-12-29 1993-12-29 선재압연의 가레트라인(Garret Line) 곡선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91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899U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7941B1 (en) Web transporting method and apparatus
CA216677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lacing conveyor belts
KR950008919Y1 (ko) 선재압연의 가레트라인(Garret Line) 곡선 가이드 장치
US443112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metal strip
JPH08215747A (ja) 薄板製造・処理ラインのピンチロール設備
US4400963A (en) Roller entry guide for angles
KR200183930Y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TWI877146B (zh) 具有殼體及安裝在該殼體中可旋轉且可軸向位移的旋轉元件的裝置、用於金屬帶的側向導引的裝置及其用途、輥軋機的輥道段以及熱軋帶機之盤繞入口的輥道段
JP5068565B2 (ja) コンベヤ自動調芯装置
US2721739A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strip
EP0159215B1 (en) Loop type continuous metal casting machine
RU209517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центрирования рул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JPH07204725A (ja) 棒線材の圧延ローラーガイド
KR100632768B1 (ko) 크로스롤 압연기 및 그것을 사용한 압연 방법
US20020070101A1 (en) Chain tensioning structure
US6010088A (en) Apparatus for centralizing rings being deposited in an overlapping pattern on a cooling conveyor
KR100792755B1 (ko) 압연롤 지지장치
KR19990010262U (ko) 선재압연의 중간 사상에 사용되는 푸쉬암 롤러 조정장치
KR101828343B1 (ko) 리턴벨트 사행방지 장치
US4496043A (en) Supporting assembly for troughing rolls of conveyor belts
JPH0330327Y2 (ko)
CN216549589U (zh) 一种可调整油桶位置的润滑油灌装流水线
KR200227322Y1 (ko) 압연권취기용벨트라퍼톱프레이트갭조정장치
KR200162222Y1 (ko) 업-루퍼의 로울러 조립장치
RU212952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одки ленто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3122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3122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50811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91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01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01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6011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6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9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9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9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