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7279B1 - 유도가열장치를 이용한 다리미판 - Google Patents

유도가열장치를 이용한 다리미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279B1
KR950007279B1 KR1019900011103A KR900011103A KR950007279B1 KR 950007279 B1 KR950007279 B1 KR 950007279B1 KR 1019900011103 A KR1019900011103 A KR 1019900011103A KR 900011103 A KR900011103 A KR 900011103A KR 950007279 B1 KR950007279 B1 KR 950007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iving
working coil
iron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1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2872A (ko
Inventor
김용범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11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279B1/ko
Publication of KR920002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27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Landscapes

  • Iron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도가열장치를 이용한 다리미판
제1도는 본 발명의 다리미판의 구동제어회로의 전체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 구동제어회로의 듀티제어부, 워킹코일선택부의 상세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 구동제어회로의 인버터 구동부의 상세블럭도.
제4도는 본 발명 구동제어회로의 다리미판 온도검지부의 상세블럭도.
제5도는 본 발명 구동제어회로의 이상유무검지부의 상세블럭도.
제6도는 본 발명 구동제어회로의 키보오드부 표시램프부 경보부와 팬모터구동부의 상세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마이콤 나 : 키보오드부
다 : 표시램프부 라 : 워킹코일듀티제어부
마 : 워킹코일선택부 바 : 인버터구동부
사 : 인버터부 아 : 다리미판온도검지부
자 : 과열검지부 차 : 부하검지부
카 : 과부하검지부 타 :경보부
파 : 팬모터구동부 하 : 정류회로부
본 발명은 유도가열장치를 이용한 다리미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리미판 내부에 복수개의 워킹코일(working coil)과 이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회로를 내장시켜 상기 복수개의 워킹코일에서 발생되는 고주파자계에 의한 자성체의 소용돌이 전류손으로 자성체의 다리미를 가열시켜 줌으로써 가열된 다리미로 다림질을 할 수 있도록한 유도가열장치를 이용한 다리미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다림질을 할때 가열장치가 내장된 다리미와 통상의 담요나 섬유재를 소정두께 만들어서 다리미판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다리미판에는 아무런 가열장치가 없고 다리미판에 올려져 다리게 되는 가열장치를 가진 다리미를 가열시켜 다림질을 하게 되는바 이와같이 다림질을 하던 도중에 사용자가 가열되는 다리미의 가열장치를 오프시키기 전에는 계속 가열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사용정지시에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시키게 됨은 물론 과열로 인한 화재발생을 유발시키게 되는 안전성이 결여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리미를 유도가열장치를 이용한 와류전류손으로 가열시켜 다림질을 할 수 있는 다리미판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림질을 정지하였을때 전원이 자동차단되어 불필요한 전력소비는 물론 다리미의 과열로 인한 불안전성을 방지시키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다리미판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제어회로의 전체 블럭도로서 입력되는 신호를 미리 프로그래밍된 상태에 따라 제어하고 이 제어된 신호를 출력시켜 각부를 제어하도록된 마이콤(가)과, 다림질하고져 하는 섬유에 따라 구동온도 설정 및 전원을 온, 오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키보오드부(나)에서 선택된 신호에 따라 상기 마이콤(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램프를 점멸시키고 구동온도를 점멸시키는 램프표시부(다)와, 초기구동시나 정상구동시 마이콤(가)의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개의 워킹코일에 초기발진 및 정상발진하도록 제어시키도록 된 워킹코일듀티제어부(라)와 상기 마이콤(가)의 제어신호와 상기 워킹코일듀티제어부(라)의 신호에 의하여 복수개의 워킹코일중 어느 하나를 선택 구동시키도록된 워킹코일선택부(마)와, 상기 워킹코일선택부(마)에서 선택된 상태에 의하여 복수개의 워킹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인버터구동부(바)와, 인버터부(사) 구동시 다리미의 가열온도 상태를 검지하는 다리미의 온도검지부(아)와 상기 인버터(사)의 과열상태를 검지하는 인버터과열검지부(자)와 상기 복수개의 워킹코일에 자성체인 다리미가 놓여져 있나 없나 및 비자성체 또는 자성체소물이 올려진 상태를 검지하는 부하검지부(차)와, 상기 워킹코일상에 자성체인 다리미보다 큰 물체가 을려져 있거나 강자성체인 물체가 올려져 있을 경우 이를 감지하는 과부하검지부(카)와 상기 키보오드부(나)의 조작이나 과열, 과부하시 마이콤(가)으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경보음을 발하는 경보부(타)와 상기 키보오드부(나)의 조작시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워킹코일을 냉각시켜주는 팬모터구동부(파)와 교류입력전압을 직류전압으로 정류하고 각부에 정전압을 공급해주는 정전압공급부(하)로 구성된다.
제2도는 본 발명 구동제어회로의 워킹코일듀티제어부와 워킹코일선택부의 상세블럭도로서, 워킹코일듀티제어부(라)는 마이콤(가)의 제어신호에 따라 초기 구동전압과 정상구동전압을 설정하는 신호선택부(A)와, 소정의 삼각파펄스 전압발생시키는 기준전압펄스발생부(B)와 상기 신호선택부(A)의 전압과 기준전압펄스발샐부(B)의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차전압을 출력시키는 듀티조절부(C)로 구성되어 초기 구동시와 정상 구동시의 발생되는 차전압으로 복수개의 워킹코일(WC1) (WC2)에 교번으로 초기 구동 및 정상 구동 발진파형을 인가해 주게 된다.
워킹코일선택부(마)는 상기 마이콤(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교번하면서 온, 오프 구동하는 워킹코일선택구동부(D)(D′)와 상기 워킹코일선택고정부(D)의 전압과 상기 워킹코일듀티제어부(라)의 듀티조절부(C)의 전압을 논리곱하는 논리부(E)(E′)로 구성되며 이 논리부(E)(E′)의 출력에 따라 워킹코일(WC1)(WC2)의 구동을 선택하게 된다.
제3도는 본 발명 구동제어회로의 인버터구동부의 상세블럭도로서 인버터구동부(바)는 상기 워킹코일선택부(마)로부터 선택되어 인가되는 신호 전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1, 제 2인버터구동부(F)(F′)와 상기 제1, 제 2인버터구동부(F)(F′)의 구동상태에 따라 워킹코일(WC1)(WC2)가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1, 제 2인버터부(G)(G′) 구성되어 초기 구동시와 정상 구동시 상기 유도가열(WC1)(WC2)이 초기 발진구동과 정상 발진구동을 하면서 교번자속을 발생토록 되어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구동제어회로의 다리미판 온도검지부의 블럭도로서, 다리미판의 가열온도를 검지하는 온도검지부(H)(H′)와 마이콤(가)의 제어 신호를 버퍼(Buf)를 통해서 받아 일정기준 전압을 발생시키는 기준전압발생부(I)와 상기 온도검지부(H)(H′)에서 검지된 신호 전압과 상기 기준전압발생부(I)로부터 발생되는 전압과 비교하여 이 비교시 전압을 마이콤(가)의 제어입력단자에 입력시키는 온도비교부(J)(J′)로 구성되어 상기 온도검지부(J)(J′)에서 검지된 다리미판의 가열온도에 따라 마이콤(가)을 제어하여 마이콤(가)으로 하여금 이미 프로그래밍된 상태로 제1, 제 2인버터부(G)(G′)의 워킹코일(WC1)(WC2)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의 구동제어회로의 이상유무검지부의 블럭도로서, 인버터과열검지부(자)와 부하검지부(차)와 과부하검지부(카)로 구성되며, 상기 인버터과열검지부(자)는 상기 인버터구동부(F)(F′)의 제1, 제2인버터부(G)(G′)의 과열상태를 감지하도록 온도감지부(K)(K′)와 온도비교부(L)(L′)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온도감지부(K)(K′)로서 제1, 제 2인버터부(G)(G′)의 온도가 소정치이상 올라가면 감지하여 마이콤(가)으로 하여금 발진구동정지 및 키보오드부(나)의 전원을 오프시켜주게 된다.
상기 부하검지부(차)는 자성체인 다리미가 올려져 있지 않거나 비자성체나 자성체소물이 올려져 있는 경우 정류회로부(하)로부터 전류를 검출하여 전압으로 변환하는 입력전류검출부(M)와 소물부하비교부(N)로 구성되어 상기 정류회로부(하)에서 기준전류이하의 전류가 검출되면 입력전류검출부(M)에서 이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고 소물부하비교부(N)로 비교하여 이 비교차전압을 마이콤(가)에 입력시켜 마이콤(가)으로 하여금 미리 프로그래밍된 상태로 제어한 후 인버터듀티제어부(라)를 제어하여 정상발진상태를 중지시키고 초기 발진상태로 구동시키는 한편 램프를 점멸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과부하검지부(카)는 자성체인 다리미보다 큰 물체가 올려져 있거나 강자성체가 올려져 있을 경우 상기 입력전류검출부(M)에서 검출된 전압과 일정의 기준전압과를 비교하는 과부하비교부(O)로 구성되어 상기 정류회로부(하)로부터 입력전류검출부(M)로 기준전류이하의 전류가 검출되면 상기 과부하비교부(O)에서는 마이콤(가)에서 비교차전압신호를 입력시켜 마이콤(가)으로 하여금 제어한후 인버터듀티제어부(라)를 제어하여 정상상태발진에서 초기상태로 발진하도록 하고 램프를 점등시키는 동시에 경보 및 전원을 오프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의 구동제어회로의 키보오드부, 표시램프부, 경보부와 팬모터 구동부의 회로도로서 키보오드부(나)는 전원스위치(P-SW),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스위치(SW1∼SW4)와 풀업저항(R1∼R5)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다리고져하는 섬유에 따라 구동온도를 설정하도록 되어 있고, 표시램프부(다)는 전원램프(P-LP) 현재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램프(S-LP), 키보오드부(나)의 구동온도설정에 따라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표시램프(T-LP)와 구동온도상태에 따라 점멸되는 구동표시램프(D-LP), 버퍼(Buf2)(Buf3)와 바이어스저항(R6∼R22)으로 구성되어 상기 마이콤(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점멸되도록 되어 있다.
경보부(타)는 저항(R23∼R24), 트랜지스터(TR1)로 구성된 부저구동부(P)와 부져(BZ)로 구성되어 마이콤(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팬모터구동부(파)는 저항(R25∼R26), 트랜지스터(TR2)(TR3)와 릴레이(RY)로 구성된 모터구동부(Q)와 팬모터(FM)로 구성되어 초기 구동시와 이상유무발생시 마이콤(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온, 오프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CLK-Gen은 클럭발생부, RESET논리세트부(하)는 정전압 회로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을 인가시키고, 키보오드부(나)의 전원스위치(P-SW)를 온시키면 마이콤(가)에서는 이를 제어하여 표시램프부(다)에 전원램스(P-LP)를 점등시켜주고 이어서 다리고져하는 섬유에 해당하는 온도를 키보오드부(나)로서 설정하면 마이콤(가)에서는 다시 이를 제어하여 표시램프부(다)의 온도표시램프(T-LP∼T-LP5)를 점등시킴과 동시에 마이콤(가)에서는 제어단자(CON1)(CON2)를 통해서 초기 제어신호를 워킹코일듀티제어부(라)의 버퍼(Buf)를 거쳐 출력시키면 신호선택부(A)에서는 초기 설정전압을 듀티조절부(C)의 일측 입력단에 입력시키는 동시에 기준전압펄스발생부(B)의 전압을 타측입력단에 인가시켜 듀티조절부(C)로 하여금 비교하여 비교차전압에 대한 구동발진전압을 출력시킨다.
한편 상기 마이콤(가)에서는 초기 구동시에 제어출력단자(CON3)(CON4)로 제어신호를 워킹코일선택부(마)로 출력시키면 워킹코일선택부(마)에서는 워킹코일선택구동부(D)를 구동시켜 구동전압을 논리부(E)(E′)의 일측 입력단에 각각 입력시키고 논리부(E)(E′)의 타측입력단에는 상기 워킹코일듀티제어부(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발진전압을 받아서 논리곱을 하게되면 상기 논리부(E)(E′)의 출력단에서 어느 하나에서 먼저 발진 구동출력을 내보내게 되어 워킹코일(WC1)(WC2)중 어느 하나를 먼저 선택구동시키게 되는바 상기 워킹코일선택부(마)에서 출력되는 발진구동출력 전압은 인버터구동부(바)의 제1, 제2인버터구동부(F) (F′)중 어느 하나에 먼저 구동전압이 인가되게 되어 먼저 선택된 어느 하나가 먼저 구동하고 이어서 발진구동출력 전압에 의하여 다른 하나의 구동부가 구동되게 되는데 이때 제 1인버터구동부(F)에 발진구동출력전압이 먼저 인가되었을 경우 상기 제 1인버터구동부(F)는 온, 오프 구동하면서 제 1인버터부(G)를 온, 오프 구동시켜 주게되어 워킹코일(WC1)은 1HZ로 초기 구동을 시켜주는 동시에 상기 표시램프부(다)의 상태표시램프(S-LP)를 1HZ로 점멸시키고 이어서 다른 제 2인버터구동부(F′)와 제 2인버터(G′)를 구동시켜 워킹코일(WC2)를 1HZ로 초기 구동시켜주게 된다.
이와같이 초기 구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자상체인 다리미가 상기 제1, 제 2인버터부(F)(F′)의 워킹코일(WC1)(WC2)중 어느 하나에 놓여지게 되면 제5도의 부하검지부(차)에서는 정류회로부(하)로부터 전류를 검출하여 검출된 전류를 입력전류검출부(M)를 통해서 전압을 변환시켜 검출한후 소물부하비교부(N)를 통하여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비교차전압을 마이콤(가)의 입력제어단자에 입력시키면 마이콤(가)에서는 상기 입력된 신호전압을 미리 프로그래밍된 상태에 의거 제어한후 워킹코일듀티제어부(라)에 정상구동하도록 제어신호를 보내는 동시에 워킹코일선택부(마)에 제어신호를 보내 상기 다리미가 올려져 있는 워킹코일(WC1)이 구동하도록 선택을 하게 된다.
따라서 워킹코일선택부(마)에서는 상기 인버터구동부(바)중 다리미가 올려져 있는 워킹코일(WC1)측의 제1인버터구동부(F)를 구동시켜주고 제 1인버터부(G)를 구동시켜 워킹코일(WC1)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시켜 주게된다.
그러므로 워킹코일(WC1)은 25KHZ로 정상발진을 하면서 워킹코일(WC1)상에 올려진 미리 설정된 온도로 다리미를 가열시켜 주게되어 다림질을 하게되고 이어서 다리미가 다른 워킹코일(WC2)상에 올려지게되면 다시 상기 부하검지부(차)에서 정류회로부(하)의 전류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전류를 전압을 변환되어 비교되고 마이콤(가)에 입력되게 된다.
따라서 마이콤(가)에서는 상기 입력된 신호전압을 미리 프로그래밍된 상태에 따라 제어하여 워킹코일듀티제어부(라)와 워킹코일선택부(마)를 제어시켜 주게되고 제어된 신호는 상기 인버터구동부(바)의 다른 제 2구동부(G′) 및 인버터부(F′)를 구동시켜 워킹코일(WC2)에 고주파전류를 공급시켜 워킹코일(WC2)상에 올려져 있는 다리미를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시켜주게 되므로 다리미를 전후로 이동하면서 다림질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열된 다리미로 다림질을 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열된 다리미는 제4도에 도시된 다리미판온도검지부(아) 온도검지부(H)(H′)에서 가열된 다리미의 온도를 검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온도검지부(H)(H′)로부터 검지된 온도전압과 상기 마이콤(가)에서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에 의한 기준전압발생부(I)로부터 발생되는 전압을 온도비교부(J)(J′)에서 비교검출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보다 감지된 온도전압이 높거나 낮을 경우 이 높은 신호전압은 마이콤(가)의 입력제어단자를 통해서 입력되게 된다. 따라서 마이콤(가)에서는 프로그래밍 된 상태에 따라 워킹코일듀티제어부(라) 및 워킹코일선택부(마)를 제어하고 이 제어된 신호를 인버터구동부(바)와 인버터부(G)(G′)를 통해서 워킹코일(WC1)(WC2)의 고주파전류의 공급을 차단 또는 공급시켜 주는 동시에 표시램프부(다)를 제어하여 상태램프(S-PL)를 소등 또는 점등시켜 주게된다. 이어서 상기 다리미판온도검지부(아)에서 다리미의 가열상태의 온도를 계속 검지하다가 다시 다리미가 설정온도 이하로 떨어지게되면 마이콤(가)에서는 이 신호를 제어하여 다시 워킹코일듀티제어부(라)와 워킹코일선택부(마), 인버터구동부(바), 제1, 제 2인버터부(G)(G′)를 구동시켜 워킹코일(WC1)(WC2)을 재가열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다리미를 계속 가열시켜가면서 다림질을 하는 동안 워킹코일(WC1)(WC2)에는 정류회로부(하)로부터 고주파전류를 공급받게 되고 이 고주파전류는 제1, 제 2인버터부(G)(G′)를 통해서 접지되게 되므로 제1, 제 2인버터부(G)(G′)에서는 발열을 하게된다. 이때 제1, 제 2인버터부(G)(G′)에서 발생되는 발열로 인하여 제1, 제 2인버터부(G)(G′)가 과열되어 구동을 하지 못하게 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원인이 되게된다.
따라서, 제5도의 인버터과열방지부(자)로서 상기 제1, 제 2인버터부(G)(G′)의 발열상태를 검지하게 되는데 상기 인버터과열방지부(자)에서는 온도검지부(K)(K′)를 통하여 발열상태의 온도를 검지하여 검지된 온도에 해당하는 전압을 검출하여 온도비교부(L)(L′)로서 기준전압과 비교검출한후 마이콤(가)의 제어입력단자(CON5)를 통해서 상기 온도비교부(L)(L′)에서 비교 검출된 차전압신호를 입력시킨다. 그러므로 마이콤(가)에서는 상기 입력된 신호에 대하여 미리 프로그래밍된 상태로 제어한후 제언단자를 통해서 워킹코일듀티제어부(라) 워킹코일선택부(마) 및 인버터구동부(바) 제1, 제 2인버터부(G)(G′)를 제어하여 워킹코일(WC1)(WC2)의 구동발진을 정지시켜 주는 동시에 경보부(타), 표시램프부(다), 팬모터구동부(파)를 제어하여 경보음 및 램프소등모터 구동을 정지시켜 줌과 아울러 전원을 오프시켜주게 된다.
한편, 상기 워킹코일(WC1)(WC2) 초기 구동중에 워킹코일(WC1)(WC2)상에 다리미가 올려져 있지 않거나 또는 다리미보다 작은 자성체의 소물이 올려져 있는 경우나 비자성체가 올려져 있는 경우 상기 워킹코일(WC1)(WC2)에 다리미가 올려져 있지 않은 상태로 방치될 경우 워킹코일(WC1)(WC2)에는 5분간 초기 발진하다 자동오프되게 되고, 상기 다리미보다 작은 자성체나 비자성체가 올려져 있을 경우 부하검지부(차)는 상기 정류회로부(하)로부터 전류를 검출하게 되는데 이때 정류회로부(하)로부터 기준전류이하의 전류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전류는 입력전류검출부(M)를 통해서 전압변환되어 소물부하비교부(N)의 일측입력단자로 입력되게 되고 소물부하비교부(N)의 타측입력단자에는 기준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따라서 소물부하비교부(N)에서는 상기 투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된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차전압을 마이콤(가)의 제어입력단자에 입력시키게 되어 마이콤(가)에서는 미리 프로그래밍된 상태로 제어하여 워킹코일듀티제어부(라)와 워킹코일선택부(마)를 제어하여 워킹코일(WC1)(WC2)에 정상발진구동을 정지시키고, 다리미검지를 위한 초기 발진을계속하게 된다. 이때 마이콤(가)에서는 표시램프부(다) 상태표시램프(S-LP)를 점멸시켜주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5분간 계속되면서 다리미가 검지되기를 기다리다 다리미가 검지되지 않으면 이 또한 자동오프 되게된다.
또한 상기 워킹코일(WC1)(WC2)상에 다리미보다 큰 물체가 올려지거나 강자성체인 물체가 올려질 경우 상기 과부하검지부(카)에서 상기 정류회로부(하)로부터 기준전류이하의 전류를 검출하여 이 검출된 전류를 입력전류검출부(M)에서 전압으로 변환시켜 과부하검지부(카)로 입력시키게 된다.
따라서 과부하검지부(카)에서는 상기 입력전류검출부(M)에서 검출된 전압과 일정기준전압과 과부하비교부(O)로서 비교하여 비교차전압신호를 상기 마이콤(가)에 입력시킨다. 이때도 마이콤(가)에서는 미리 프로그래밍된 상태로 제어한후 제어된 신호로 워킹코일듀티제어부(라)와 워킹코일선택부(마)를 제어하여 워킹코일(WC1)(WC2)의 정상발진을 중단시키고 다리미를 검지하기 위한 초기발진을 하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표시램프부(다)의 상태표시램프(S-LP)를 점멸시켜주고 경보부(타)를 구동시켜 경보음을 계속 발생시키며 약30초간 계속되다가 자동 전원을 차단시켜 주게 됨으로써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다리미판 내부에 복수개의 워킹코일과 이를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회로를 내장시켜 상기 워킹코일상에 자성체인 다리미가 위치에 있을때는 고주파전류가 공급되면서 25KHZ의 발진구동을 교번으로 구동시켜 다리미를 가열시켜주되 설정전압 이상으로 가열될때에는 이를 제어구동시켜 불필요하게 다리미가 가열되는 상태를 방지시켜주고 워킹코일상에 비자성체나 자성체의 소물 또는 다리미보다 큰 물체, 강자성체가 올려질 경우에는 이를 검지하여 워킹코일을 초기발진구동 또는 구동을 정지시켜 주도록 됨으로써 불필요한 다리미의 가열로 인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과부하 발생으로 인한 과열 상태를 방지할 수 있어 사용상에 안전성을 높인 다리미판을 제공해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입력되는 신호를 미리 프로그래밍된 상태에 따라 제어하여 제어된 신호를 각부로 출력시켜 각부를 제어시킬 수 있도록 된 마이콤(가)과 다림질하고져 하는 섬유에 따라 온도설정 및 전원을 온, 오프시킬 수 있는 키보오드부(나)와, 상기 키보오드부(나)에서 선택된 상태에 따라 마이콤(가)의 제어신호를 램프를 점멸구동시키고 구동 온도 및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된 표시램프부(다)와, 초기 구동시나 정상구동시 마이콤(가)의 제어신호에 따라 워킹코일(WC1)(WC2)을 초기 발진 또는 정상 발진을 하도록 제어하는 워킹코일듀티제어부(라)와, 상기 마이콤(가)의 제어신호와 상기 워킹코일듀티제어부(라)의 제어신호에 따라 워킹코일(WC1)(WC2)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워킹코일선택부(마)와, 상기 워킹코일선택부(마)에서 선택된 상태에 따라 초기 또는 정상으로 워킹코일(WC1)(WC2)을 선택구동시키는 인버터구동부(바)와, 다리미 가열 구동시 다리미판의 온도상태를 검지하는 다리미판온도검지부(아)와, 상기 인버터구동부(바)의 과열상태를 검지하는 과열검지부(자)와 상기 워킹코일(WC1)(WC2)상에 자성체인 다리미 유무상태 및 비자성체나 자성체소물이 올려져 있나를 검지하는 부하검지부(차)와, 상기 워킹코일(WC1)(WC2)상에 강자성체나 다리미보다 큰 물체가 올려져 있을 경우 발생될 수 있는 과부하상태를 제어하는 과부하검지부(카)와, 경보음을 발하는 경보부(타), 초기구동시 모터를 구동시키는 팬모터구동부(파)와, 각부에 정전압을 공급하거나 워킹코일(WC1)(WC2)에 고주파전류를 공급하는 정류회로부(하)로 구성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장치를 이용한 다리미판.
KR1019900011103A 1990-07-21 1990-07-21 유도가열장치를 이용한 다리미판 Expired - Fee Related KR950007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1103A KR950007279B1 (ko) 1990-07-21 1990-07-21 유도가열장치를 이용한 다리미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1103A KR950007279B1 (ko) 1990-07-21 1990-07-21 유도가열장치를 이용한 다리미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872A KR920002872A (ko) 1992-02-28
KR950007279B1 true KR950007279B1 (ko) 1995-07-07

Family

ID=19301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1103A Expired - Fee Related KR950007279B1 (ko) 1990-07-21 1990-07-21 유도가열장치를 이용한 다리미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2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421B1 (ko) * 2013-04-05 2015-03-09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도료의 점도 및 유동성 관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421B1 (ko) * 2013-04-05 2015-03-09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도료의 점도 및 유동성 관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872A (ko) 199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1014A (en) Electromagnetic cooker including load control
KR950007279B1 (ko) 유도가열장치를 이용한 다리미판
US4336487A (en) Generation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generators
JPH06101368B2 (ja) 交流電力制御装置
JP2901979B2 (ja) 電磁調理器
JP2552453B2 (ja) 交流電力制御装置
US4656958A (en) Temperature compensated solenoid in a sewing machine
KR0143128B1 (ko) 다리미용 자동 온도 조절장치
KR890003055B1 (ko) 유도 가열 조리기
JP2903689B2 (ja) 誘導加熱調理器とその専用負荷装置
JP2643376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060081743A (ko) 유도 가열조리기의 파워레벨 제어방법
JP2523768B2 (ja) 高周波加熱装置
JPH0665144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4022256A (ja) 電磁誘導加熱装置
JPH0819866B2 (ja) エンジン発電機の遠隔制御方法並びにその装置
JP2000150126A (ja) 誘導加熱装置
JP3125568B2 (ja) コードレスアイロン
JP2642823B2 (ja) 電磁調理器
JP2007032995A (ja) 加熱調理器
KR0128011B1 (ko) 오존발생기능을 갖는 전기 마사지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JP2710270B2 (ja) 温熱治療器
JP2679277B2 (ja) 誘導加熱式アイロン
JPH0790095B2 (ja) スチームアイロン
JPS63279900A (ja) アイロン用温度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007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00708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