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7166Y1 - 공작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공작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166Y1
KR950007166Y1 KR92024237U KR920024237U KR950007166Y1 KR 950007166 Y1 KR950007166 Y1 KR 950007166Y1 KR 92024237 U KR92024237 U KR 92024237U KR 920024237 U KR920024237 U KR 920024237U KR 950007166 Y1 KR950007166 Y1 KR 9500071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fixed
workpiece
fixed jaw
flo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92024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4878U (ko
Inventor
조대식
Original Assignee
정용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용문
Priority to KR92024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166Y1/ko
Publication of KR9400148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48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1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16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04Vices with pivoted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24Details, e.g. jaws of special shape, slideways
    • B25B1/2405Construction of the jaws
    • B25B1/2452Construction of the jaws with supplementary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24Details, e.g. jaws of special shape, slideways
    • B25B1/2405Construction of the jaws
    • B25B1/2478Construction of the jaws with more than one pair of j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작물 고정장치
제1도는 종래 공작물 고정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공작물 고정장치의 일부 절개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밑판 30 : 고정측판
40 : 이동나사 50 : 이동턱
51, 61 : 고정죠오 52, 62 : 유동죠오
60 : 고정턱 70 : 체결부재
73 : 압축스프링 80 : 볼
본 고안은 공작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공작물에 직접 접촉되는 죠오의 유동이 가능한 공작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작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통상적인 것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것은 밑판(2)의 일단에 수직으로 설치된 고정측판(3)과, 그 타단에 수직으로 설치된 고정턱(6)과, 고정측판(3)을 관통하여 그 일단의 손잡이(4')의 회전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이동나사(4)의 타단에 이동턱(5)을 구비하여 된 것으로 손잡인(4')를 회전시켜 이동턱(5)을 밑판(2)상에서 직선운동시키으로써 고정턱(6)과 이동턱(5)사이에 공작물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공작물 고정장치(1)는 고정턱(6)과 이동턱(5) 자체의 유동이 전혀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불균일한 형상 또는 각이진 공작물을 고정할 경우에는 점접촉이 되거나 접촉되는 부분이 매우 적어 그 고정력이 약화될 뿐아니라 공작물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고정력을 강화하거나 공작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판 내지 홈방지판을 덧붙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이 지거나 불균일한 형상의 공작물의 고정에 있어서도 고정력이 약화되지 않고, 홈방지판이나 공작물의 경사면을 보상하기 위한 보강판이 필요없는 공작물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다른 공작물 고정장치는, 밑판상에 고정턱과, 이에 대향되어 소정거리 왕복 운동이 가능한 이동턱이 마련된 공작물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턱과 이동턱의 각각은 고정죠오와 각 고정죠오에 요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공작물에 직접 접촉되는 유동죠오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턱과 이동턱의 각각의 고정죠오와 유동죠오의 사이에는 고정죠오에 대해 유동죠오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이 마련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공작물 고정장치는 공작물과 직접 접촉하는 유동죠오가 공작물의 형상에 따라 유동하게 되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공작물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공작물 고정장치(10)는 밑판(20)과, 그 일단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측판(30)과, 그 일단에 부착된 손잡이(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측판(30)을 관통하여 직선운동하는 이동나사(40)와, 그리고 이동턱(50)과 고정턱(60)으로 대별된다. 고정턱(60)은 밑판(20)의 타단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고, 이동턱(50)은 고정턱(60)과 대향 설치되되 이동나사(40)의 회전 및 직선 왕복운동에 따라 밑판(20)상을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이동턱(50)과 고정턱(60)은 각각 고정죠오(51)(61)와, 이의 내측에 설치되어 공작물에 직접 접촉되는 유동죠오(52)(62)로 분리 구성된다. 상기 고정죠오(51)(61)에는 내측, 즉 유동죠오(52)(62)쪽이 소경부(小徑部)로 되고 외측이 대경부(大徑部)로 된 4개의 안내공(57)이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고정죠오(51)(61)와 유동죠오(52)(62)는 머리부(71)와 자루부(72)를 갖춘 체결부재(70)에 의해 체결되는데, 자루부(72)의 단부는 나사 결합을 위해 유동죠오(52)(62)에 고정되어 이와 함께 움직이고, 머리부(71)는 안내공(54)의 대경부내에서 미끄럼운동을 하되 소경부에서 걸려 상기 미끄럼운동이 끝나도록 체결된다. 한편 상기 고정죠오(51)(61)와 유동죠오(52)(62)의 대향면의 중심부에는 이들과 구면짝(Spherical Pair)을 이루는 볼(80)이 설치되어, 고정되는 공작물의 형상에 따라 유동죠오(52)(62)가 고정죠오(51)(61)에 대하여 요동하게 된다. 즉, 유동죠오(52)(62)가 이와 접촉하는 공작물의 형상에 대응하여 그 중심부를 중심으로 전후 좌우로 요동하므로 공작물과 면접촉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한편 고정죠호(51)(61)와 유동죠오(52)(62)사이의 체결부재(70)의 자루부 외주면에는 압축 스프링(73)이 탄설되어 유동죠오(52)(52)를 고정죠오(51)(61)에 대해 탄성 바이어스하여 고정력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공작물 해제후 유동죠오(52)(62)가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공작물 고정장치에 의해 공작물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밑판(20)상에 공작물을 위치시킨 다음 손잡이(41)를 회전시켜 이동나사(40)에 고정된 이동틱(50)을 고정턱(61)에 접근시킨다. 계속 손잡이(41)를 회전시키면 이동턱(60)의 유동죠오(52)과 고정턱(60)의 유동죠오(62)는 공작물에 접촉되면서 공작물의 형상에 따라 전후좌우로 요동하여 공작물과 접촉면을 넓혀 나간다. 즉 접촉되는 공작물의 형상에 따라 유동판죠오(52)(62)에 고정된 체결부재(70)가 고정죠오(51)(61)의 안내공(54)내를 미끄럼 운동하고 유동죠오(52)(62)는 볼(80)을 중심으로 전후좌우 요동한다.
이에 의해 공작물과 유동판(52)(62)간의 접촉면이 넓어지게 되므로 공작물의 손상이 방지됨과 동시에, 손잡이(41)의 회전에 의해 이동나사(40), 이동턱(50)의 고정죠오(51), 그리고 볼(80)을 통해 전달되는 고정력과 스프링(73)의 복원력에 의한 고정력이 동시에 작용하므로 전체 고정력이 강화된다. 공작물을 해제하고자 할때는 손잡이(41)를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되는데, 공작물 해제후 체결부재(70)에 탄설된 스프링(73)의 복원력에 의해 유동죠오(52)(62)는 원위치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공작물 고정장치는 공작물을 고정할 때에 공작물 직접 접촉되는 유동판죠오가 공작물의 형상에 따라 전후좌우로 유동하므로 불균일하거나 각이진 형상의 공작물에 대해서도 접촉면을 확대하여 균형있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공작물의 손상 방지를 위한 홈방지판이나 각이진 공작물의 접촉면 보강을 위한 보강판이 필요없게 된다.

Claims (3)

  1. 밑판상에 고정턱과, 이에 대향되어 소정거리 왕복 운동이 가능한 이동턱이 마련된 공작물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턱(60)과 이동턱(50)의 각각은 고정죠오 (61)(51)와 각 고정죠오에 요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공작물에 직접 접촉되는 유동죠오(62)(52)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턱(50)과 이동턱(50)의 각각의 고정죠오(61)(61)와 유동죠오(62)(52)의 사이에는 고정죠오(61)(51)에 대해 유동죠오(52)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유동죠오를 각 해당 고정죠오에 대하여 요동가능하게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죠오에는 내측소경부와 외측대경부로된 안내공(54)을 마련하고, 상기 고정죠오의 대경부에서 이동가능하되 상기 소경부에 걸리는 머리부와 그 단부가 상기 유동죠오에 고정되는 자루부를 갖춘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체결부재(70)와, 상기 고정죠오와 유동죠오의 대향면 중심부에 이들과 구면짝을 이루는 볼(80)을 마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죠오와 해당 고정죠오의 사이에 상기 스프링을 마련함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의 자루부 외주면에 압축 스프링(73)을 설치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고정장치.
KR92024237U 1992-12-03 1992-12-03 공작물 고정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500071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4237U KR950007166Y1 (ko) 1992-12-03 1992-12-03 공작물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4237U KR950007166Y1 (ko) 1992-12-03 1992-12-03 공작물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878U KR940014878U (ko) 1994-07-16
KR950007166Y1 true KR950007166Y1 (ko) 1995-09-02

Family

ID=19345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4237U Expired - Fee Related KR950007166Y1 (ko) 1992-12-03 1992-12-03 공작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1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017B1 (ko) * 2007-12-27 2014-10-1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중장비용 선회장치의 위치조정장치 및 선회장치의위치조절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017B1 (ko) * 2007-12-27 2014-10-1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중장비용 선회장치의 위치조정장치 및 선회장치의위치조절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878U (ko) 199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97880A (en) Vise clamp
BR9503587A (pt) Dispositivo de fixaçao para uma ferramenta ou peça a trabalhar
ATE162603T1 (de) Tragevorrichtung
JPS6471639A (en) Jig for workmanship
BR9007632A (pt) Maquina-ferramenta de seis eixos e metodo para situar um operador em relacao a um objeto
KR900000157A (ko) 공작기계의 자동공구 교환장치
US3473420A (en) Jig for spinnerette
KR950007166Y1 (ko) 공작물 고정장치
US3539208A (en) Locking means for ball and socket joint
US2788686A (en) Self-centering vise for cylindrical or tapered work pieces
RU94022478A (ru) Шариковый фиксатор для резцедержателей малого диаметра
SU1634429A1 (ru) Многомест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 зажима деталей
KR19980042718U (ko) 팁 고정용 프레스의 지그
JPS57100878A (en) Clamping device of panel parts
JPS5542787A (en) Watch case spring rod fitting part hole-boring device
US3531100A (en) Vise
JPH028685Y2 (ko)
JPH0322944Y2 (ko)
KR800000149Y1 (ko) 자개 및 금속 세공기
JPH0588776U (ja) 位置決め装置
GB891118A (en) A die set
SU952514A1 (ru) Прихват
SU172615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еплени концев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FR2328870A1 (fr) Dispositif de serrage destine a assembler des elements mecaniques au moyen d'un levier oscillant.
SU170149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итирки конических отверст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2120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2120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50506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81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01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6011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8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8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28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8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