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6127Y1 - 브라운관의 애노드 버튼 실리콘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브라운관의 애노드 버튼 실리콘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127Y1
KR950006127Y1 KR92000899U KR920000899U KR950006127Y1 KR 950006127 Y1 KR950006127 Y1 KR 950006127Y1 KR 92000899 U KR92000899 U KR 92000899U KR 920000899 U KR920000899 U KR 920000899U KR 950006127 Y1 KR950006127 Y1 KR 9500061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rt
anode button
fixed
brus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920008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8754U (ko
Inventor
한진석
Original Assignee
안시환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시환,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안시환
Priority to KR920008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127Y1/ko
Publication of KR9300187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87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1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12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01Generalised techniques
    • H01J2209/012Coating
    • H01J2209/015Machin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브라운관의 애노드 버튼 실리콘 도포장치
제 1 도 이 고안에 관련되는 실리콘 도포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 2 도는 이 고안의 브라운관의 애노드 버튼 실리콘 도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
제 3 도는 종래기술의 브라운관의 애노드 버튼 실리콘 도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6축 로보트 22 : 핸드부
23 : 가속부 24 : 프레임
25, 28, 33 : 축 26 : 제1치차
27 : 제2치차 29, 32 : 베어링
30 : 하우징 31 : 제2치차
34 : 제4치차 35 : 고정구
36 : 브러쉬 37 : 브라운관
이 고안은 브라운관의 애노드 버튼 실리콘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휘발성이면서 유동성 용매체(크실렌, 톨루엔)의 첨가제인 실리콘 용액의 흘러내림과 분진이 발생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치함은 물론 신속한 도포를 이룰 수 있도록 한 브라운관의 애노드 버튼 실리콘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라운관에 고압의 전원이 인가되는 애노드 버튼이 제공되어 흑연막으로 형성된 내부 도전막에 의해 전자총에 전원이 인가되어 전자비임이 조사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애노드 버튼에는 고압(25000V)의 전원이 인가되는데 주변에 절연을 위해 실리콘액을 도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실리콘액은 휘발성이면서 크실렌이나 톨루엔 등 유독성의 용매제가 첨가된 실리콘액을 스프레이 건에 의해 분사시키므로 분진이 발생하여 인체에 해를 끼치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고 신속한 도포를 이룰 수 있도록 많은 연구가 행하여지고 있다.
제 3 도는 종래기술의 브라운관의 애노드 버튼 실리콘 도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부호(1)은 실리콘액이 저장된 리저버 탱크(도시생략)와 연통 설치되어 소정의 압력으로 실리콘액을 분사시키는 스프레이건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스프레이 건(1)은 스위치(도시생략)의 온(ON), 오프(OFF)에 따라 노즐(2)이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실리콘액이 분사됨은 물론 지지대(3)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지지대(3)은 소정의 위치에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일측이 힌지 고정됨과 아울러 타측이 승강수단(4)에 의해 고정 설치된 지지대(5)에 제공된 에어 실린더(6)의 로드(7)와 탄성부재(8)로 탄발 설치되어 에어실린더(6)의 작동에 따른 충격을 흡수함은 물론 지지대(5)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9)에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스프레이 건(1)이 제공된 지지대(3)의 타측은 노즐(2)이 삽입되고, 아래측에 저장탱크(도시생략)와 연통 설치된 드레인 튜브(10)가 마련됨은 물론 송풍기(도시생략)와 연통 설치된 배출튜브(11)가 제공되어 노즐(2)로부터 분사된 분진이 벽면에 쌓여 액체상태로 흘러내림과 아울러 분사완료 후 여분의 분진을 강제 송풍시키고, 내측에 지지대(12)에 의해 고정 설치된 도포 방지구(13)를 보유함과 아울러 분사되는 분진이 도포되도록 홀(14)이 형성된 분진통(15)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분진통(15)의 홀(14)이 형성된 부분은 브라운관(16)의 애노드 버튼(도시생략)이 위치한 곡면에 접촉 되었을 때 긴밀이 유지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의 애노드 버튼 실리콘 도포장치는, 컨베이어등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됨과 아울러 애노드 버튼의 위치가 일정하게 위치되도록 이송된 브라운관(16)의 애노드 버튼위치와 스프레이 건(1)이 일치하도록 수강수단(4)를 작동시켜 지지대(5)의 경사각도를 조절한다.
이와 같이 경사각도의 조절이 완료되면 에어 실린더(6)를 작동시켜 스프레이건(1)이 제동된 지지대(3)를 전진시킴에 따라 분진통(15)이 전진되어 브라운관(16)의 애노드 버튼이 위치한 외측면에 접촉된다.
이때 분진통(15)과 브라운관(16)의 접촉력에 따른 충격이 로드(7)와 지지대(3)에 탄발 설치된 탄성부재(8)의 완충에 의해 그 충격력을 흡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프레이 건(1)을 온(ON)시키면 노즐(2)이 개방되어 소정의 압력에 의해 실리콘액이 미립화되어 분진상태로 분사되게 된다.
따라서 분산된 실리콘 분진이 도포 방지구(13)에 의해 애노드 버튼이 위치한 곳은 도포가 방지됨과 아울러 주변부는 홀(14)을 통과한 실리콘 분진에 의해 도포된다.
이와같이 도포가 완료되면 에어 실린더(6)를 전기한 작용과 반대로 작동시켜 후진시킴과 아울러 송풍기를 작동시켜 분진통(15)에 남아있는 여분의 분진을 배출튜브(11)를 통해 배출시킨다.
이와같이 상기한 작동을 반복 시행함에 따라 분진통(15)의 내측벽면에 분진이 쌓이게 됨으로써 액체상태로 전환되어 드레인 튜브(10)를 통해 저장탱크로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브라운관(16)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애노드 버튼이 주위에 절연을 하도록 실리콘액이 스프레이 건(1)에 의해 미립화되어 분진상태로 도포됨으로써 그 기능을 실현할 수 있지만, 실리콘액에 첨가되는 크실렌이나 톨루엔 등 인체에 해로운 용매제가 사용되기 때문에 분진발생에 따른 위생상태의 보전이 불량함은 물론 분진이 쌓인 후 액체상태로 흘러 저장탱크에 저장되지만 손실 발생으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휘발성이면서 유독성 용해제의 실리콘액의 흐름 및 분진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음 물론 신속한 도포가 이루어지게 하여 위생상태의 보전이 양호함과 아울러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브라운관의 애노드 버튼 실리콘 도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이 고안은, 6축 로보트의 핸드부에 마련된 프레임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6축에 제공된 서어보 모우터의 축에 고정 설치된 제1치차와 치차 결합된 제2치차, 그리고 제2치차와 동일한 축으로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베어링을 지지되어 하우징에 수납된 제3치차와 치차결합됨은 물론 베어링에 의해 축지지된 제4치차로 이루어진 가속부와, 상기한 가속부의 제4치차가 지지된 축에 고정구로 고정 설치되어 브라운관의 애노드 버튼 주위의 곡면에 따라 실리콘액을 도포하는 브러쉬로 구성된 브라운관의 애노드 버튼 실리콘 도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가속부의 제1치차와 제2치차의 회전비는 1 : 2, 제3치차와 제4치차의 회전비는 1 : 2 로 이루어지져 제1치차와 제4치차의 회전비가 1 : 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브러쉬는 브라운관의 곡면을 정확하게 도포되도록 서어보 모우터의 회전각도에 따라 6축 로보트의 핸드부가 제어부에 의해 승강제어됨은 물론 장착위치가 서어보 모우터의 원점상태와 일치하도록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이 고안에 관련되는 실리콘 도포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 2 도는 이 고안의 브라운관의 애노드 버튼 실리콘 도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로서, 부호(20)은 6관절로 이루어진 6축 로보트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6축 로보트(20)는 베이스(21)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핸드부(22)에 가속부(23)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가속부(23)는 핸드부(22)에 제공된 프레임(24)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서어보 모우터(도시생략)의 축(25)에 고정 설치된 제1치차(26)와 제2치차(27)가 치차 결합되고, 상기한 제2치차(27)와 동일한 축(28)으로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베어리(29)으로 지지되어 프레임(24)의 아래측단에 제공되어 있는 하우징(30)에 수납된 제3치차(31)와 치차 결합됨은 물론 베어링(32)에 의해 축(33) 지지된 제4치차(3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가속부(23)의 제4치차(34)가 지지된 축(33)의 자유단부에는 고정구(35)에 의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한 브러쉬(36)가 고정 설치되어 컨베이어 등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브라운관(37)의 애노드 버튼 주위에 실리콘액을 도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브러쉬(36)는 브라운관(37)의 곡면을 따라 정확하게 도포되도록 서어보 모우터의 회전각도에 따라 6축 로보트(20)의 핸드부(22)가 제어부(도시생략)에 의해 승강 제어됨은 물론 장착위치가 서어보 모우터의 원점 위치에 한정되도록 고정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가속부(23)의 제1치차(26)의 제2치차(27)의 회전비는 1 : 2, 제3치차(31)와 제4치차(34)의 회전비는 1 : 2로 이루어져 서어보 모우터의 축(25)에 고정 설치된 제1치차(26)와 브러쉬(36)가 제공된 제4치차(34)의 회전비가 1 : 4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 고안의 브라운관의 애노드 버튼 실리콘 도포장치는, 컨베이어 등의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브라운관(37)의 고전압이 인가되는 에노드 버튼 주위에 절연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6축 로보트(20)를 작동시켜 핸드부(22)의 제공된 브러쉬(36)를 별도로 마련된 저장통(도시생략)에 위치시켜 실로콘액을 묻힌다.
이러한 상태에서 6축 로보트(20)의 핸드부(22)를 작동시켜 브라운관(37)의 애노드 버튼 위치에 위치시킨 다음 서어보 모우터를 작동시킨다.
상기한 서어보 보우터가 작동됨에 따라 축(25)에 제공된 제1치차(26)의 회전비가 각각의 치차(27)(31)(34)에 의해 4배속으로 가속되어 애노드 버튼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브러쉬(36)에 의해 브라운관(37)의 표면에 도포된다.
이때 브라운관(37)의 곡면을 따라 정확하게 도포되도록 서어보 모우터의 회전각도가 45°에 이르기까지 핸드부(22)가 점차적으로 하강되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어됨은 물론 45°부터 90°에 이르기까지는 핸드부(22)가 점차적으로 상승되도록 제어되어 서어보 모우터의 1회전시 가속부(23)에 의해 브러쉬(36)가 4회전되어 매끄럽고 완전한 절연이 가능하도록 애노드 버튼을 중심으로 도포되고, 서어보 모우터의 회전각도가 45°를 주기로 핸드부(22)가 점차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의 반복 제어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고안의 애노드 버튼 실리콘 도포장치는, 브라운관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애노드 버튼의 주위에 절연을 위해 도포되는 실리콘액을 6축 로보트의 핸드부에 제공된 가속부에 의해 4배 가소시킨 브러쉬로 도포함으로써 인체에 해로운 크실렌이나 톨루엔의 용매제가 첨가된 실리콘액의 분진발생과 흘러내림을 미연에 방지하여 위생상태를 양호하게 보전함은 물론 도포속도를 증대시킴으로써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소모되는 실리콘액을 절감하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6축 로보트(20)의 핸드부(22)에 마련된 프레임(24)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6축에 제공된 서오보 모우터의 축(25)에 고정 설치된 제1치차(26)와 치차 결합된 제2치차(27), 그리고 제2치차(27)와 동일한 축(28)으로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베어링(29)을 지지되어 하우징(30)에 수납된 제3치차(31)와 치차 결합됨은 물론 베어링(32)에 의해 축(33) 지지된 제4치차(34)로 이루어진 가속부(23)와, 상기한 가속부(23)의 제4치차(34)가 지지된 축(33)에 고정구(35)로 고정 설치되어 브라운관(37)의 애노드 버튼 주위의 곡면에 따라 실리콘액을 도포하는 브러쉬(3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의 애노드 버튼 실리콘 도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속부(23)의 제1치차(26)의 제2치차(27)의 회전비는 1 : 2, 제3치차(31)와 제4치차(34)의 회전비는 1 : 2로 이루어져 서어보 모우터의 축(25)에 제공된 제1치차(26)와 브러쉬(36)가 제공된 제4치차(34)의 회전비가 1 : 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의 애노드 버튼 실리콘 도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브러쉬(36)는 브라운관(37)의 곡면을 따라 정확하게 도포되도록 서어보 모우터의 회전각도에 따라 6축 로보트(20)의 핸드부(22)가 제어부에 의해 승강 제어됨은 물론 장착위치가 서어보 모우터의 원점 상태와 일치하도록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의 애노드 버튼 실리콘 도포장치.
KR92000899U 1992-01-22 1992-01-22 브라운관의 애노드 버튼 실리콘 도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500061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0899U KR950006127Y1 (ko) 1992-01-22 1992-01-22 브라운관의 애노드 버튼 실리콘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0899U KR950006127Y1 (ko) 1992-01-22 1992-01-22 브라운관의 애노드 버튼 실리콘 도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754U KR930018754U (ko) 1993-08-21
KR950006127Y1 true KR950006127Y1 (ko) 1995-07-29

Family

ID=19328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0899U Expired - Fee Related KR950006127Y1 (ko) 1992-01-22 1992-01-22 브라운관의 애노드 버튼 실리콘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12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6615A (ko) * 1997-04-11 1998-11-16 윤종용 실리콘통의 토출부 커팅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754U (ko) 199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61069A1 (en) Method of electrostatically spray-coating a workpiece with paint
CA2369315A1 (en) Automated priming station
KR950006127Y1 (ko) 브라운관의 애노드 버튼 실리콘 도포장치
KR100335890B1 (ko) 차량의 글래스 실러 도포장치
JPH02277569A (ja) 五軸可動スプレーガン
DE3566775D1 (en) Spray device for plant protection solutions
JPH076639Y2 (ja) 発電機付き除電除塵装置
CN109078771B (zh) 一种带转向功能手持喷漆装置
JPH06315659A (ja) 粘性流体塗布装置
JPS6490884A (en) Door opening/closing method and device for automobile
JPS60244372A (ja) ペンキ塗布用ローラー付塗装装置
CN213315679U (zh) 适用于工件的喷涂装置
CN213700371U (zh) 一种数控静电喷漆设备
JPH04138664A (ja) バッテリー端子の自動防錆処理装置
JPH0218916Y2 (ko)
JP2510275Y2 (ja) ペ―スト塗布装置
CN218308672U (zh) 一种水电站金属异型结构件防腐蚀涂层静电高压喷涂装置
CN221183868U (zh) 涂膜机擦辊机构
CN217069371U (zh) 一种抗爆涂层喷涂辅助装置
CN214390680U (zh) 一种高效静电发生器
JPS58183965A (ja) 塗装装置
JPH04363171A (ja) 静電塗装方法
JPS6234615Y2 (ko)
JP2000218201A (ja) 簡易縦型塗装機
JP3127720B2 (ja) フラックスの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20122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3021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122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70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510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512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5121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8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7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7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9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6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