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5937B1 - 캡션자막 표시 제어장치와 표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캡션자막 표시 제어장치와 표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937B1
KR950005937B1 KR1019920018745A KR920018745A KR950005937B1 KR 950005937 B1 KR950005937 B1 KR 950005937B1 KR 1019920018745 A KR1019920018745 A KR 1019920018745A KR 920018745 A KR920018745 A KR 920018745A KR 950005937 B1 KR950005937 B1 KR 950005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tion
screen
display
subtitle
deco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8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0043A (ko
Inventor
이은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엘지전자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엘지전자,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엘지전자
Priority to KR1019920018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5937B1/ko
Priority to US08/134,020 priority patent/US5500680A/en
Priority to CN93118500A priority patent/CN1028811C/zh
Priority to JP5277408A priority patent/JP2655305B2/ja
Publication of KR940010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9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04N7/087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 H04N7/08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 H04N7/0884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for the transmission of additional display-information, e.g. menu for programme or channel selection
    • H04N7/0885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for the transmission of additional display-information, e.g. menu for programme or channel selection for the transmission of subti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Studio Circuit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캡션자막 표시 제어장치와 표시 제어방법
제1도의 (a)(b)는 캡션 영상화면의 예.
제2도는 종래의 캡션 영상장치의 블록구성도.
제3도는 종래의 캡션자막 표시 제어방법의 플로우차트.
제4도의 (a)(b)(c)는 종래의 캡션자막의 표시화면 예.
제5도는 본 발명의 캡션자막 표시 제어장치이 블록수성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캡션자막 표시 제어방법의 플로우챠트.
제7도의 (a)(b)(c)는 본 발명에 의한 캡션자막의 표시화면 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캡션모듈12 : 캡션데이타 추출부
13 : 캡션 마이컴14 : 동기분리부
15 : 온스크린 표시부16 : 제어로직부
17 : 영상중첩부
본 발명은 캡션 영상장치에서 표시되는 캡션자막을 1줄식 스크롤업(scroll-up)시켜 줌으로서 문장이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한 캡션자막 표시 제어장치와 표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캡션 영상장치는 영상신호의 기수필드(Odd Field) 21번째 라인에 실려있는 원래의 대사(캐릭터)를 디코드하여 텔레비젼(TV)화면의 특정위치(상단 또는 하단의 정해진 위치)에 표시해주는 장치로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 적용되고 있다.
즉, 외국에서 제작된 비디오 테이프를 자국에서 배포하는 경우 자국의 시청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자국어로 된 대사를 더빙하여 표시해주게 되는데, 예를 들면 영어로 제작된 비디오 테이프를 한글로 자막 처리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이와같이 자국어로 직접 더빙된 비디오 테이프는 시청자가 그 더빙된 자막의 표시여부를 임의로 선택할수 없게 되며, 이러한 경우를 오픈 캡션이라고 한다.
한편 원래의 대사를 영상신호의 기수필드 21번째 라인에 엔코딩시켜 놓고 이를 디코딩하여 시청자의 선택여부에 따라 자막으로 화면의 상단 혹은 하단에 표시 가능하게 하기도 하며, 이러한 경우를 클로우즈도 캡션이라고 한다.
따라서 캡션 영상장치는 클로우즈도 캡션데이타를 디코딩하여 제1도의 (a)와 같이 그 데이타가 지시하는 화면상의 특정위치 즉, TV화면을 총 15개의 라인(L1-L5)으로 등분하여 상단 4개라인(제1-제4라인)또는 하단 4개라인(제12 내지 제15라인)중 어느 한쪽에 자막을 표시해주거나(캡션모드), 또는 제1도(b)와 같이 화면전체의 15개 라인(L1-L15)에 텍스트 데이타를 표시해주는 장치이다. (텍스트 모드)
제2도는 이와같은 종래의 캡션 영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내에서 캡션기능을 수행하는 캡션모듈(1)과 상기 캡션모듈(1)에서 구현된 캡션영상을 원래의 합성 영상신호에 중첩시켜 화면상에 표시해주기 위한 영상중첩부(7)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캡션모듈(1)은, 합성영상신호의 지정된 라인에 실려있는 캡션데이타를 추출해내는 캡션데이타 추출부(2)와, 캡션데이타 해독과 자막 표시제어를 수행하는 캡션 마이컴(3)과, 캡션실행에 필요한 수평, 수직동기신호를 제공해주는 동기분리부(4)와, 상기 캡션 마이컴(3)의 제어를 받아 화면에 캡션자막을 표시해주는 온스그린 표시부(5)와, 상기 각 회로블록의 동작클록, 신호처리 타임 제어 신호들을 제공해주는 제어로직부(6)를 포함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캡션 영상장치의 동작은 제3도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캡션데이타 추출부(2)는 영상신호에 실려있는 캡션데이타를 추출하여 캡션 마이컴(3)에 공급하고 캡션 마이컴(3)은 캡션데이타를 구성하는 제어코드와 캐릭터 코드를 디코드하여 갭션자막이 표시될 위치, 들여쓰기, 표시형태(속성)등을 해독하고 또한 실제로 표시될 글자들을 해독하며, 이 해독결과를 제어신호로서 온스크린 표시부(5)에 공급한다.
즉, 캡션코드에 따른 표시정보를 온스크린 표시부(5)의 영상 메모리에 써준다. 이와같은 캡션데이타중 제어코드는 화면상의 15개 라인 상, 하 각 4개라인이 캡션자막이 위치가능한 라인과 들여쓰기 정도, 문자속성등을 지시하는 정보로 해독하고, 캐릭터 코드는 실제로 문자로서 표시될 ASCII코드로서 해독되는 것이다.
따라서 캡션자막은 제어코드에 의해 지시된 특정라인에 캐릭터 코드에 의해 지시된 문자들을 표시해주는 것이다
즉, 온스크린 표시부(5)가 상기와 같은 캡션 마이컴(3)의 디코드 결과에 따른 제어를 받아 내부의 폰트메모리를 액세스하여 캡션자막 데이타를 출력하여 영상중첩부(7)를 통해 화면상에 캡션자막을 표시해주게 된다.
이러한 캡션자막은 캡션모드에서 통상 제1도의 (a)와 같이 화면 15라인(Ll-L15)중에서 하단의 4개라인(L12-L15)에 표시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텍스트 모드로 동작하여 캡션자막이 제1도의 (b)와 같이 화면의 전체 라인에 표시되기도 한다.
이는 동기분리부(4)로부터 제공되는 수평, 수직동기신호를 기준신호로 하고 제어로직부(6)의 타이밍 제어를 받아 수행되는 것이며, 이때 표시되는 자막상의 문자는 백색, 그 배경(BACKGROUND)은 문자가 존재하는 영역에만 흑색의 박스(BOX)로 표시하여 문자의 식별력을 높여주고 있다.
즉, 문자(캐릭터)가 존재하는 부분의 전/후 1캐릭터 부분만 배경처리하고 4개라인중 그 이외의 부분은 원래의 영상이 보여지게 투명(Transparent)처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캡션자막 표시장치에 의하면 매 장면 장면마다 그 장면에 맞는 대사(캡션자막)가 짧은 시간동안 표시되고 장면이 전환될때마다 화면에는 이전 장면의 대사가 지워지고 새로운 장면의 대사가 표시되기 때문에 어학능력의 우열에 따라 통상의 시청자는 대사내용을 미처 이해하지 못하고 다음 장면으로 넘어가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고, 따라서 캡션 비디오 시청에 오히려 불편을 느끼게 되며 어학학습시에 그 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캡션영상의 장면 전환시마다 넣어지는 대사가 표시될때 이전 시각에서의 장면에 대한 대사와 현재 장면에 대한 대사가 한 화면상에 스크롤-업되면서 표시되도록 하여 캡션자막을 쉽게 천천히 읽고 이해 가능하며 캡션 비디오 시청과 학습에 편리와 능률을 기할수 있게한 캡션자막 표시 제어장치와 표시 제어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장치의 구성부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캡션자막 표시 제어장치는 캡션모드에서 화면상단 또는 하단의 캡션자막 표시와 텍스트 모드에서 화면전체의 캡션자막 표시와 스크롤 텍스트 모드에서 장면마다 대응하는 자막의 스크롤업 표시를 수행하는 캡션듈(11)과, 상기 캡션모듈(11)에서 구현된 캡션자막을 영상신호와 중첩시켜 합성영상신호로 화면상에 표시해주는 영상중첩부(17)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캡션모듈(11)은, 합성영상신호의 지정된 라인에 캡션데이타를 추출해내는 캡션데이타 추출부(12)와, 캡션데이타를 해독하고 캡션모드 또는 텍스트모드 또는 스크롤턱스트 모드에 대응하는 자막의 화면표시가 이루어지도록 온스크린 표시부(15)를 제어하는 캡션 마이컴(13)과, 캡션실행에 필요한 수평, 수직동기신호를 제공해주는 동기분리부(14)와, 상기 캡션 마이컴(13)의 제어를 받아 화면에 캡션모드 또는 텍스트모드 또는 스크를 테스트 모드의 캡션자막을 표시해준 온스크린 표시부(15)와 상기 각 회로블록의 동작클록, 신호 처리 타이밍 제어신호들을 제공해주는 제어로직부(16)를 포함한다.
한편,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밭명 장치에 의한 캡션자막 표시 제어방법은 제6도를참조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캡션자막의 표시모드를 판별하는 제1과정과, 상기 판별결과 스크롤 텍스트 모드이면 캡션코드를 디코드하고, 온스크린 표시 화면전체를 상기 디코드한 캡션자막 l라인분 만큼 스크롤업시킨 다음 상기 디코드한 캡션자막을 이전자막과 함께 표시해주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과정의 모든 판별결과 캡션모드이면 캡션코드를 디코드하고 디코드한 캡션자막을 화면상부 또는 하부에 표시해주는 과정과, 상기 제1공정이 모드 판별결과 텍스트 모드이면 텍스트 코드를 디코드하고 디코드한 캡션자막을 전체의 텍스트 화면으로 표시해주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캡션자만 표시 제어장치와 그 표시 제어방법에 의한 캡션자막 표시동작을 제5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캡션데이타 추출부는 합성영상신호에 실려있는 캡션데이타를 추출하여 캡션 마이컴(13)에 공급하고, 캡션 마이컴(l3)은 캡션 제어신호를 해독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캡션 표시모드를 판별한다. 캡션 마이컴(13)은 또한 상기 캡션데이타 추출부(12)에서 공급된 캡션데이타를 해독하여 캡션자막이 표시될 위치, 글자의속성, 문자정보등을 해독하고 이 해독결과를 온스크린 표시부(15)에 공급한다.
즉, 캡션 마이컴(13)의 표시모드 판별결과 캡션모드의 경우는 캡션코드의 입력여부를 판별하여 캡션코드가 입력되면 그 캡션코드를 디코드하고, 디코드된 자막의 문자가 표시될 수 있게 하는 해당 데이타를 온스크린 표시부(15)의 영상메모리(VIDEO RAM)에 기록해준다.
이에 대응하여 온스크린 표시부(15)는 영상 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타에 따라 내부의 폰트메모리를 액세스하여 해당 캐릭터 (온스크린 표시데이타)를 출력시키고, 이 온스크린 표시데이타는 영상 중첩부(17)에서 원래의 영상신호와 중첩되어 화면상의 상단 또는 하단부에 캡션자막을 표시해 주게 된다.
이와같은 동작은 동기분리부(14)에서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여 캡션데이타 추출부(12) 및 온스크린 표시부(15)에 공급하고, 한편으로 제어로직부(l6)에서 상기와 같은 데이타 처리의 타이밍 제어를 담당하므로서 수행 가능하며, 이하 텍스트 모드 및 스크롤 텍스트 모드에서도 또한 같다.
한편, 상기한 캡션 마이컴(13)의 표시모드 판별결과 텍스트 모드인 경우에는 텍스트 모드의 입력 여부를 판별하여 텍스트 모드가 입력되면 그 텍스트 모드를 디코드하고, 디코드된 자감의 문자가 표시될 수 있게하는 해당 데이타를 온스크린 표시부(15)의 영상메모리에 기록해준다.
이에 대응하여 온스크린 표시부(15)는 영상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타에 따라 내부의 폰트메모리를 엑세스하여 해당 온스크린 표시데이타를 출력시키고, 이 온스크린 표시데이타는 영상중첩부(17)에서 원래의 영상신호와 중첩되어 화면전체에 표시된다.
한편, 상기한 캡션 마이컴(13)의 표시모드 판별결과 스크롤 텍스트 모드인 경우에는 캡션코드의 입력여부를 판별하여 캡션코드가 입력되면 그 캡션코드를 디코드한다. 이때 디코드되는 캡션모드는 자막의 위치를 지정해주는 제어코드를 무시하고 디코드하며 캐릭터코드[문자데이타)를 읽어들인다.
이어서 온스크린 표시부(15)에 화면전체를 온스크린 표시화면으로 할당해주는 15라인×32캐릭터 사이즈의 박스(BOX)를 지정해준다.
또는 온스크린 표시부(15)에 화면의 상부 또는 하부의 1/2을 온스크린 표시화면으로 할당해주고 나머지부분은 원래의 영상이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사이즈의 박수를 지정해줄 수 있다.
이와같이 하여 온스크린 표시화면의 사이즈가 지점되었으면 그 온스크린 표시 화면전체가 스크롤 업되도록 온스크린 표시라인 카운터(OLC)의 카운트값을 1감산시켜준다. 그리고 이 감산된 카운터값이 지정하는 영상메모리의 어드레스에 상기 디코드한 캡션데이타를 기록해준다.
즉, 온스크린 표시화면의 상위 1라인의 화면상에서 사라지게 되고 하위의 1라인이 공백으로 남게되는 것이며, 따라서 이 공백의 라인에 새릅게 디코드된 캡션자막의 데이타를 표시해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하여 온스크린 표시부(15)의 영상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타에 따라 내부의 폰트메모리를 엑세스하여 영상중첩부(17)를 통해 화면에 표시해주게 된다.
제7도의 (a)는 첫번째 타이밍에서 디코드된 캡션데이타가 표시된 화면이고, (b)는 1라인 스크롤업되어 다음 타이밍에서의 캡션데이타가 표시된 화면이고, (c)는 2라인 스크롤업된 화면을 보이고 있다.
이와같이 하여 캡션자막이 차례차례로 스크롤업되면서 화면상에 표시되므로 캡션자막의 내용 이해를 용이하게 할수 있고, 대사의 전환이 완만하므로 어학학습시 높은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시청에 편리를 기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캡션데이타 추출부(12)에서 추출된 캡션데이타를 해독하고 캡션자막이 화면상에서 스크롤업 되면서 표시되게 제어하는 캡션 마이컴(13)과, 상기 캡션 마이컴(13)의 제어를 받아 화면상에서 캡션자막을 스크롤업 시켜주는 온스크린 표시부(15)와, 상기 온스크린 표시부(15)에서 스크롤업되어 출력되는 캡션자막을 원래의 영상신호와 중첩시켜 화면에 표시해주는 영상중첩부(17)를 포함하는 캡션자막 표시 제어장치.
  2. 사용자가 선택한 캡션자막의 표시모드를 판별하는 제1과정과, 상기 판별결과 스크롤 텍스트 모드이면 캡션코드를 디코드하고, 온스크린 표시 화면전체를 상기 디코드한 캡션자막 1라인분 만큼 스크롤업시킨 다음 상기 디코드한 캡션자막을 이전자막과 함께 표시해주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진 캡션자막 표시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에서 스크롤업으로 표시되는 온스크린 캡션자막 표시화면은 전체화면의 상부 또는 하부의 1/2에 표시하고 나머지 부분은 원래의 영상을 표시해주는 캡션자막 표시 제어방법.
KR1019920018745A 1992-10-12 1992-10-12 캡션자막 표시 제어장치와 표시 제어방법 KR950005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8745A KR950005937B1 (ko) 1992-10-12 1992-10-12 캡션자막 표시 제어장치와 표시 제어방법
US08/134,020 US5500680A (en) 1992-10-12 1993-10-08 Caption display controlling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for selectively scrolling and displaying a caption for several scenes
CN93118500A CN1028811C (zh) 1992-10-12 1993-10-12 标题字幕显示控制装置及其方法
JP5277408A JP2655305B2 (ja) 1992-10-12 1993-10-12 キャプション字幕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8745A KR950005937B1 (ko) 1992-10-12 1992-10-12 캡션자막 표시 제어장치와 표시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043A KR940010043A (ko) 1994-05-24
KR950005937B1 true KR950005937B1 (ko) 1995-06-07

Family

ID=19341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8745A KR950005937B1 (ko) 1992-10-12 1992-10-12 캡션자막 표시 제어장치와 표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00680A (ko)
JP (1) JP2655305B2 (ko)
KR (1) KR950005937B1 (ko)
CN (1) CN102881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309B1 (en) * 1994-02-16 1996-07-18 Lg Semicon Co Ltd On screen display circuit
DE69514212C5 (de) 1994-12-14 2020-06-04 Koninklijke Philips N.V. Übertragungssystem für untertitel
JPH08275205A (ja) * 1995-04-03 1996-10-18 Sony Corp データ符号化/復号化方法および装置、および符号化データ記録媒体
JP3393356B2 (ja) * 1995-05-26 2003-04-07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IL114278A (en) * 1995-06-22 2010-06-16 Microsoft Internat Holdings B Camera and method
JPH0993548A (ja) * 1995-09-27 1997-04-04 Toshiba Corp 文字情報表示機能付きテレビ受信機
US5850266A (en) * 1995-12-22 1998-12-15 Cirrus Logic, Inc. Video port interface supporting multiple data formats
JPH09200708A (ja) * 1996-01-23 1997-07-31 Sony Corp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CN1178479C (zh) * 1996-05-03 2004-12-01 三星电子株式会社 适用于音节文字的视听者选择型字幕显示的翻卷方法
KR100212134B1 (ko) * 1996-05-03 1999-08-02 윤종용 시청자 선택형 자막표시의 소프트 스크롤 방법
US6097442A (en) * 1996-12-19 2000-08-01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formatting auxiliary information included in a television signal
US6055023A (en) * 1996-12-19 2000-04-25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Television apparatus for simultaneous decoding of auxiliary data included in multiple television signals
US6816201B1 (en) * 1998-01-13 2004-11-09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America, Inc. XDS enhancement system
US6482011B1 (en) * 1998-04-15 2002-11-19 Lg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learning of foreign languages using indexed database
US6373526B1 (en) * 1999-03-19 2002-04-16 Sony Corporation Processing of closed caption in different formats
JP2002016885A (ja) * 2000-06-30 2002-01-18 Pioneer Electronic Corp 映像再生装置及び映像再生方法
EP1168840A3 (en) * 2000-06-30 2003-12-17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and apparatus for special video reproduction modes
JP4843872B2 (ja) 2001-07-03 2011-12-21 船井電機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US6952236B2 (en) * 2001-08-20 2005-10-04 At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version of text embedded in a video stream
AU2002367241A1 (en) * 2001-12-08 2003-07-15 Korea Media Co., Ltd. Portable cd player displaying caption data and audio cd having caption index data and system for providing caption data
EP1420580A1 (en) * 2002-11-18 2004-05-19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coding/decoding items of subtitling data
JP4552426B2 (ja) * 2003-11-28 2010-09-2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処理のプログラム
KR100678938B1 (ko) * 2004-08-28 2007-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과 자막의 동기화 조절 장치 및 방법
CN1324883C (zh) * 2004-11-17 2007-07-04 威盛电子股份有限公司 检测字幕卷动的装置及其方法
CN100367777C (zh) * 2005-02-24 2008-02-06 威盛电子股份有限公司 实时侦测字幕滚动的装置及其方法
KR20080057847A (ko) * 2006-12-21 2008-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 및 이의 오픈 캡션 정보 저장 방법
EP1976277A1 (en) * 2007-03-31 2008-10-01 Sony Deutschland Gmbh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US20090199091A1 (en) * 2008-02-01 2009-08-06 Elmalik Covington System for Electronic Display of Scrolling Text and Associated Images
WO2009157893A1 (en) * 2008-06-24 2009-12-30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system for redisplaying text
TWI392349B (zh) * 2008-12-17 2013-04-01 Mstar Semiconductor Inc 字幕視窗顯示裝置與顯示方法
JP4935891B2 (ja) * 2009-12-21 2012-05-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合成装置及び画像合成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1792A (en) * 1974-06-25 1975-06-24 Asahi Broadcasting Television character crawl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DE2909660C3 (de) * 1979-03-12 1981-12-17 Kernforschungsanlage Jülich GmbH, 5170 Jüli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arstellung von in alphanumerischer Form vorliegender Information auf einem nach dem Zeilenrasterverfahren arbeitenden Sichtgerät
JPS5842089A (ja) * 1981-09-08 1983-03-1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US5202669A (en) * 1982-08-24 1993-04-13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control device for superimposing data with a broadcast signal on a television screen
JPS61147677A (ja) * 1984-12-21 1986-07-05 Mitsumi Electric Co Ltd ス−パ−インポ−ズ装置
JPS62146087A (ja) * 1985-12-20 1987-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ジヨン受像機
JPS6429680A (en) * 1987-07-22 1989-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tor-driven compressor
JPH03250872A (ja) * 1990-02-27 1991-11-08 Sanyo Electric Co Ltd スーパーインポーズ装置
IT1245403B (it) * 1991-01-31 1994-09-20 Sisvel Spa Ricevitore perfezionato di trasmissioni teletex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00680A (en) 1996-03-19
JP2655305B2 (ja) 1997-09-17
KR940010043A (ko) 1994-05-24
JPH06217268A (ja) 1994-08-05
CN1086921A (zh) 1994-05-18
CN1028811C (zh) 1995-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5937B1 (ko) 캡션자막 표시 제어장치와 표시 제어방법
US7173671B2 (en) Selectively overlaying a user interface atop a video signal
KR100596149B1 (ko) 텔레비전 신호에 포함된 보조 정보를 재포맷팅하기 위한 장치
KR100486086B1 (ko) 디스플레이가능한 텍스트 정보의 스크롤링 속도를 조절하는 장치 및 방법
EP094500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uxiliary information proximate an auxiliary image in a multi-image display
US5781687A (en) Script-based, real-time, video editor
KR940010776A (ko) 캡션 자막 표시 제어장치와 표시 제어방법
US20030227565A1 (en) Auxiliary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ith a bitmapped on-screen display using limited computing resources
KR20050031847A (ko) 복수의 재생경로를 가지는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텍스트기반의 자막 정보가 기록된 저장 매체, 재생 장치 및 그재생 방법
WO2001095617A2 (en) Auxiliary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ith a bitmapped on-screen display using limited computing resources
KR20060116819A (ko) 비디오 영상 처리 방법
JPH0946657A (ja) クローズドキャプションデコーダ装置
KR100215431B1 (ko) Cd-i의 자막처리장치
KR0126816B1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문자 자막 처리방법
KR950005608B1 (ko) 캡션자막 표시 제어장치와 표시 제어방법
KR19980020291A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 표시 위치 이동방법
KR930011593B1 (ko) 티브이의 좌,우 온스크린 표시방법
KR100531311B1 (ko) 멀티 패스를 갖는 osd의 구현 방법
KR19990064596A (ko) 외국어 학습 전용 캡션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00064149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ption of video equipment
JP2001268464A (ja) 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機
KR100261443B1 (ko) 정지시 캡션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자막 디스플레이 방법
KR100224095B1 (ko) 캡션방송 수신장치의 듀얼자막에 대한 상호 번역출력방법
KR100618227B1 (ko) 영상표시기기의 자막 처리장치 및 방법
KR950009451B1 (ko) 다중캡션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10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210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5051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508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51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51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3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5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9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1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