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5530B1 - 마그네틱카드와 바코드의 데이터 자동인식방법 및 그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마그네틱카드와 바코드의 데이터 자동인식방법 및 그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530B1
KR950005530B1 KR1019930004801A KR930004801A KR950005530B1 KR 950005530 B1 KR950005530 B1 KR 950005530B1 KR 1019930004801 A KR1019930004801 A KR 1019930004801A KR 930004801 A KR930004801 A KR 930004801A KR 950005530 B1 KR950005530 B1 KR 950005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put
microprocessor
output
keyp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4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2327A (ko
Inventor
전주호
송덕일
신희조
Original Assignee
삼진전산주식회사
전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진전산주식회사, 전주호 filed Critical 삼진전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04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5530B1/ko
Publication of KR940022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2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53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그네틱카드와 바코드의 데이터 자동인식방법 및 그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메인부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입출력부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3도는 제1도와 제2도를 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4도(a) (b) (c) (d) (e)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크로 프로세서 2 : 디코더
3 : 메모리 4 : 입출력단
5 : 클럭 6 : 리셋신호발생기
7 : 통신드라이버 8 : 프린터
9 : 액정표시판 10 : 마그네틱 스트립 리이더
11 : LED : 12 :부저
13 : 키이패드 14 : 통신
15 : 바코드스캐너 16 : TTL신호입출력단
17 : 변환스위치 18 : 입력장치
19 : 출력장치 20 : 백업전원
21 : 버퍼
본 발명은 마그네틱 카드의 데이터와 바코드의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마그네틱 카드와 바코드의 데이터 자동인식방법 및 그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마그네틱 스트립 카드로부터 판독해낸 데이터와 바코드 스캐너를 통해서 들어온 바코드의 데이터를 인식하는 장치로써 그 인식된 데이터를 이용하며 기기간의 하드웨어를 제어하거나 컴퓨터와의 데이터 통신에 의해 인식된 데이터를 컴퓨터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마그네틱 카드 리더시스템은 단순 인식장치로써 데이터를 판독해내는 리이더와, 그 데이터를 받아서 보관하고 있다가 컴퓨터에 전송하는 제어장치가 둘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그 시스템의 운용 및 설치가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장치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그 제어장치에 연결되는 모든 리이더의 작동이 정지되어 버리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데이터를 판독해 내서 보관해 두었다가 그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과, 출입문을 제어하는 기능이 구분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며, 특히 제어장치와 리이더가 구분된 장치는 출입문 제어가 불가능하게 되어 있어 별도의 출입문 제어장치를 사용해야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데이터를 처리할 경우에 시각적인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이 시스템에 LED 혹은 LCD을 부착하여 카드의 판독 상태를 나타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바코드 스캐너를 접속하여 바코드 데이터를 판독해낼 수 있으며 마그네틱 스트립 카드의 데이터와 병행하여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어장치부와 리이더부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온라인 통신시에 컴퓨터와 본 제어장치가 1 : 1로 대응하기 때문에 고장이 발생하여도 다른 장치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개의 리이더를 부착하여 마그네틱 카드데이터와 바코드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프린터 제어기능이 있기 때문에 본 제어장치로 읽어들인 데이터를 즉시 프린터로 직어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출입문 등의 제어기능을 갖는 응용 범위가 넓고, 부품수가 적은 소형으로서 원가 절감과 운반설치 및 운용 조작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메인부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써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와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 의해 제어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디코더(2)와, 그리고 그 디코더(2)에 의해 제어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디코더(2)와, 그리고 그 디코더(2)에 의해서 메모리(3)와 입출력을 제어하기 위해 지정되는 입·출력단(4)을 선택한다.
상기 메모리(3)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 의해서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들어 있는 ROM(3A)과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장치를 제어할 때의 초기값과 각종 파라미터 및 작업 영역을 설정하여 주는 RAM(3B)과, 그리고 마그네틱 스트립 리이터(10)에서 읽어들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ROM(3C)로 구성 된다.
상기 입·출력단(4)는 디코더(2)에서 제어되는 신호에 의해 외부이 주변장치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어서 프린터(8), 액정표시판(9), LED(11), 부저(12)등을 제어한다.
상기 입·출력단(4)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내보낸 명령을 디코더(2)가 분석하여 외부 장치에 명령을 보내거나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부분으로써 예를들어 클럭(5)에서 발생한 시간을 입·출력단(4)을 통해서 액정표시판(9)에 표시할 경우 입·출력단(4)을 통해서 데이타를 내보낸다.
상기 클럭(5)은 시간 기능을 내장하고 있어서 년 월 일 시 분 초를 자동적으로 계산하여 주며 백업전원(20)을 연결하여 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의 도움이 없이도 자동적으로 시간을 계산한다.
리셋 신호 발생기(6)는 회로에 리셋 신호를 발생하여 제공하는 기능으로써 공급 전원이 불안정할 경우 순간적인 정전에 의해 장치의 작동이 멈춰버릴 수가 있는데 이때 장치에 리셋 신호를 제공하여 준다.
종래의 장치들은 리셋 신호를 발생하여 주는 회로에 문제가 있어서 순간적인 정전으로 작동이 멈춰버리거나 이상 동작을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일이 있는데 본 장치는 전원이 순간적으로 끊어지더라도 리셋신호를 발생시켜 주므로 장치의 작동이 멈추거나 오동작을 일으키지 않는다.
통신 드라이버(7)는 본 장치와 컴퓨터 사이에 통신을 할 경우 또는 바코드 스캐너로 인식한 데이터를 장치에 입력할 경우 통신 장치를 구동시켜 주는 기능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입출력부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써, 외부 주변장치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나타내고 있다. 버퍼(21)는 프린터(8)와 액정표시판(9)에 DATA를 내보낼때 데이터의 안정성을 위해 부착하며 프린터(8)의 경우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회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막아주는 완충 역할을 한다.
상기 프린터(8)는 기존의 어떤 제품이라도 연결이 가능하며 본 장치에서는 마그네틱 스트립 리이더(10)로 읽어들인 데이터를 프린터(8)에 찍을 수 있으며 컴퓨터와 본 장치를 연결하여 컴퓨터에서 보내오는 데이터를 본 장치를 통해서 프린터(8)을 찍을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판(9)은 마그네틱 스트립 리이터(10)의 데이터를 표시하며 클럭(5)에 보내오는 년 월 일 시 분 초를 표시하고 KEY PAD에서 KEY를 누름에 따라 기능의 상태 및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표시하며 기타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 의해 제어되는 장치의 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마그네틱 스트립 리이더(10)는 마그네틱 스트립 카드의 데이터를 읽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로 보내는 역할을 하며 단순히 데이터를 입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LED(1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마그네틱 스트립 리이더(10)가 읽어들인 데이터의 정상, 에러를 판별하여 표시하며 키이패드의 눌림 상태에 따라 기능을 나타낼 때 LED(11)에 표시한다.
상기 부저(12)는 LED(11)와 마찬가지로 데이터의 정상, 에러를 부저음으로 표현하여 카드가 정상적으로 읽혀졌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키이패드(13)에서 KEY를 누를때 올바로 눌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부저음으로 표현한다.
상기 키이패드(13)는 본 장치가 가지고 있는 각종 기능들을 설정할 경우 키이패드(13)를 이용하여 비밀번호, 통신속도, 장치의 번지, 출입문 제어시 제어모드 그룹(GROUP), 개인, 키이모드(KEY-MODE), 메모리의 현재 남아있는 용량 및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건수 등 상태표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건수 등 상태표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삭제, 액정표시판(9)에 표시하는 년 월 일 시 분 초의 변경을 할 수 있다.
통신(14)은 컴퓨터와 본 장치, 본 장치와 본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시 필요한 부분으로써 본 장치의 통신 방식을 RS-422A 직렬 통신 방식이다.
종래의 장치(RGC-900)는 STAND ALONE TYPE으로 장치 자체에에 제어장치 기능을 내장하고 있어서 컴퓨터와 장치 사이의 통신(14)은 RS-232R 통신 방식으로 하고 장치와 장치 사이의 통신(14)은 RS-422A방식을 채택하여 컴퓨터와 연결하는 장치를 제어장치로 설정하므로 다른 장치들이 이 제어장치를 경유하여 컴퓨터와 통신(14)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장치의 단점은 제어장치가 고장을 일으킬 경우 컴퓨터와 타 장치들 사이의 통신이 두절되어 데이터 전송을 전혀할 수가 없게 된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여 본 장치는 컴퓨터와 연결시 RS-422A로 통신을 하도록 하여 모든 장치가 MULTI-DROP 방식으로 연결되므로 장치 개개가 컴퓨터와 1 : 1로 대응하도록 하였다.
또한, 종래의 장치는 컴퓨터와 제어장치의 사이의 통신 거리가 수십미터밖에 되지 않았으나 본 장치는 1.5km까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바코드 스캐너(15)와 TTL신호 입·출력단(16)은 단일 포트를 공유하여 외부와 연결하며 용도에 따라 변환 스위치(17)을 조작하여 바코드 스캐너(15)도는 TTL신호 입·출력단(16)으로 이용한다. 바코드 스캐너(15)는 제1도에 나타나 있는 통신 드라이버(7)와 연결하여 RS-232C 통신을 수행하며, 바코드 스캐너(15)에서 읽어들인 데이터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로 보낸다.
신호 입·출력단(16)은 TTL 레벨 신호를 처리하는 장비와 연결할 때 이용한다.
입력회로(18)는 출력회로(19)와의 조합에 의해 전기도어록을 제어하는 회로를 구성하여 출입문을 제어하는 부분이며 출력회로(19)의 남은 접점은 출입문 제어시 문의 열림 상태를 체크하여 알람을 울려주거나 외부에 벨이나 램프등을 달아서 마그네틱 스트립 카드를 읽을 때 데이터가 정상일 경우 벨을 울리거나 램프를 켜주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백업전원(20)은 본 장치가 정전으로 인하여 작동을 멈출경우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DATA가 보존이 되어야 하므로 이 백업전원(20)을 부착하여 RAM(3B), (3C)에 저장된 데이터를 보존하고 클럭(5)에 들어있는 년 월 일 시 분 초의 데이터를 보존할 뿐 아니라 정상적인 시간을 개선할 수 있게 하여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제1도와 제2도를 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회로블록도로써, 먼저 전원 스위치를 켜면 리셋 신호 발생기(6)에서 리셋 신호를 발생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 및 주변회로의 I.C를 초기화한 뒤 본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준비를 갖춘다 마그네틱 스트립 리이더(10)가 바코드 스캐너(15) 또는 TTL신호 입·출력단(16)에서 읽혀진 데이터가 각각 마이크로 프로세서(1)로 입력되거나 또는 동시에 읽혀진 데이터가 입력될 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는 입력된 데이타를 판독하여 정상인지 아닌지를 구별하며 정상일 경우 먼저 디코더(4)를 통해서 메모리(3C)에 데이타를 저장하고, 입·출력단(6)을 경유하여 버퍼(21)를 통해서 액정표시판(9)에 데이타를 표시한다.
그리고 차례로 부저(12)를 한번 울린 뒤 LED(11)에 불을 켜 준다. 또한, 필요시에 버퍼(21)를 통해서 프린터(9)로 데이타를 찍어낸다.
만일 입력된 데이타가 비 정상일 경우 입·출력단(4)을 통해 부저(12)를 네번 울린 뒤 비 정상을 의미하는 LED(11)에 불을 켜 준다. 클럭(5)은 시간 계산 기능이 내장되어 있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의 제어없이도 시간 계산을 하여 년 월 일 시 분 초를 생성하며 마그네틱 스트립 리이더(10)에서 데이터가 입력될 경우 시간을 발생하여 RAM(3C)에 데이터와 같이 저장하며 동시에 액정표시판(9)에 주기적으로 시간을 표시한다. 백업전원(20)은 전원이 끊어졌을 때 RAM(3B), (3C)에 보관되어 있는 데이타 및 초기 설정값들을 보존하며 클럭 (5)에도 백업전원(20)을 공급하여 전원이 없어도 시간 계산을 가능하게 하며 현재 시간을 생성시킨다.
키이패드(13)는 입·출력단(4)을 경유하여 키이 눌림 상태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가 인식하게 되며 키이패드(13)에 있는 KEY 눌림에 따라 설정된 파라미터를 RAM(3B)에 보관하여 본 장치가 작동을 수행할 때 RAM(3B)에 보관된 파라미터에 의해 작동이 수행되도록한다. 키이패드(13)의 키이를 누를때 키이의 눌림상태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가 인식하여 정상적으로 눌렸을 경우 부저(12)를 한번 울리고 키이눌림이 비정상적이거나 설정된 파라미터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부저(12)를 네번 울려준다.
RAM(3C)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필요시에 통신(14)으로 컴퓨터에 전송하여 일괄 처리하며 전송하는 방법은 두가지로 부류된다. 하나는 데이타를 RAM(3C)에 일정 기간 보관하여 두었다가 컴퓨터로 보내는 방법과 또 다른 하나는 마그네틱 스트립 리이더(10)에서 데이타를 읽은 뒤 마이크로 프로세서(1)가 데이타를 판정하여 정상일 경우에만 데이타를 통신(7)을 통해서 컴퓨터로 온라인(ON-LINE)송신하는 방법이 있다.
이것은 본 장치의 가장 중요한 부분중의 하나이며 컴퓨터와 통신(14)을 수행할 경우 컴퓨터 한대 당 100대의 본 장치를 연결하여 통신(14)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장치의 핵심적인 기능중의 하나가 본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장치(출입문, 복사기, 벨, 램프)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출입문을 제어할 경우 입력장치(18)와 출력장치(19)의 조합으로 전기도어록(ELEC-TRIC DOOR LOCK)을 제어하여 출입문의 개폐를 조작할 수 있으며, 작동 방법은 마그네틱 스트립 리이더(10)에서 읽어들인 데이타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가 판독하여 정상일 경우 RELAY(RL1)의 접점을 붙여서 전기도어록에 전류를 흘려주어 출입문을 오픈(OPOEN)하며 비 정상적인 데이타일 경우 릴레이(RL2)의 접점을 붙여서 이곳에 벨 또는 램프를 부착하여 출입문이 열리지 않음을 알려준다.
또한, 출입문이 임의로 열려있을 경우 문이 열려 있음을 마이크로 프로세서(1)가 감지하여 부저(12)를 울려주므로서 확일할 수 있다.
또한 복사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부가적인 회로가 첨가되어야 하며 본 장치에는 들어있지 아니하다.
그러나, 외부에 회로를 부착하여 본 장치의 출력장치(19)와 연결을 할 경우 복사기의 내부에 본 장치의 접점을 연결하여 복사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마그네틱 스트립 카드를 마그네틱 스트립 리이더(10)에 읽어서 그 데이타가 정상인지 아닌지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가 판별한후에 복사기가 작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장치를 단순 카드리더시스템이 아닌 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에 의한 응용 제품으로 이용할 수가 있으며 홈 오토메이션 및 팩토링 오토메이션 에로의 접목을 시도할 수도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흐름도로써, 상기 제3도와 연계시켜 설명한다.
먼저 전원 스위치를 켜면 리셋 신호 발생기(6)에서 리셋 신호를 발생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가 ROM(3A)에서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동작이 시작된다.
흐름도,는 RAM(3C)의 여유 공간을 체크(CHECK)하여 여유공간이 있을 때는 액정표시판(9)에 스캐닝(SCANNING)이란 메시지(MESSAGE)를 표시하고 흐름도 ①로 간다.
만약, 여유공간이 없을 때에는 액정표시판(9)에 풀(FULL)이란 메시지를 표시하고 마그네틱 스트립 리이더의 입력을 중지시킨후, 흐름도 ①로 간다.
흐름도 ①은 키이패드(13)의 누름을 검출하는 부분으로 키이패드(13)의 눌림을 검출하지 못하였을 때에는 흐름도 ,로 간다.
만약, 키이패드(13)의 누름이 검출되면 눌림상태(키이패드(13)의 번호)에 따라 가능처리 부분으로 분기한다.
키이패드(13)의 "0"번이 눌려졌을 때에는 날짜, 시간, 요일을 변경하는 부분으로 키이패드(13)으로부터 암번호를 입력받아 저장암번호(RAM(3B))와 비교후 틀리면 암번호를 다시 입력받는다. 정상 암번호를 입력하였을 경우 새로운 날짜, 시간, 요일을 키이패드(13)로부터 입력 받는다.
새로운 날짜, 시간, 요일을 입력 받은후 입력 날짜, 시간, 요일이 정상인가를 비교하여 비정상이면 다시 키이패드(13)로부터 입력을 받는다. 정상이면 새로운 날짜, 시간, 요일을 클럭(5)에 출력하여 변경시킨후 흐름도,로 간다.
키이패드(13)의 "1"번이 눌려졌을 때에는 저장 암번호를 변경하는 부분으로 키이패드(13)으로부터 암번호를 입력받아 저장암번호(RAM(3B))와 비교후 틀리면 암번호를 다시 입력받는다.
정상 암번호를 입력하였을 경우 새로운 저장 암번호를 키이패드(13)로부터 입력받고 입력 완료후 새로운 저장 암번호를 RAM(3B)에 저장한 후 흐름도 ,로 간다.
키이패드(13)의 "2"번의 눌려졌을 때에는 장치의 변경하는 부분으로 키이패드(13)으로부터 암번호를 입력받아 저장 암번호(RAM(3B))와 비교후 틀리면 암번호를 다시 입력받는다.
정상 암번호를 입력하였을 경우 새로운 장치의 번지를 키이패드(13)로부터 입력 받고 입력 완료후 새로운 장치의 번지를 ROM(3B)에 저장한후 흐름도,로 간다.
키이패드(13)의 "3"번이 눌려졌을 때에는 통신(14)속도를 변경하는 부분으로 키이패드(13)으로부터 암번호를 입력받아 저장암번호(RAM(3B))와 비교후 틀리면 암번호를 다시 입력받는다.
정상 암번호를 입력하였을 경우 새로운 통신(14)속도를 키이패드(13)로부터 입력받고 입력 완료후 새로운 통신(14) 속도를 RAM(3B)에 저장한 후 직렬통신 담당 IC(마이크로 프로세서 (1)에 내장)의 속도를 변경시킨 후 흐름도,로 간다.
키이패드(13)의 "4"번이 눌려졌을 때에는 통신(14)속도를 변경하는 부분으로 키이패드(13)으로부터 암번호를 입력받아 저장 암번호(RAM(3B))와 비교후 틀리면 암번호를 다시 입력받는다.
정상 암번호를 입력하였을 경우 새로운 통신(14)속도를 키이패드(13)로부터 입력 받고 입력 완료후 새로운 통신(14)속도를 RAM(3B)에 저장한후 직렬통신 담당 IC(마이크로 프로세서 (1)에 내장)의 속도를 변경시킨 후 흐름도,로 간다.
키이패드(13)의 "5", "6", "7", "8", "9"번이 눌려졌을 때에는 출근, 퇴근, 외출, 귀사, 기타 모드(MODE)로 변경하는 부분으로 저장모드(RAM(3B))을 변경한후 흐름도,로 간다.
흐름도,에서는 RAM(3C)의 여유공간을 액정표시판(9)에 표시하고 프린터로 출력할 데이터가 있는지를 체크한다. 프린터로 출력할 데이터가 있으면 프린터(8)을 통여 출력한후 마그네틱 스트립 리이더(10)로부터 데이터 입력 여부를 비교한후 입력 데이터가 없을 때에는 흐름도,로 분기한다.
입력 데이터가 있을 때에는 정상 데이터 인가를 비교하는데 만약 비정상적인 데이터일 경우는 LED(11), 부저(12)에 비정상임을 표시한후 흐름도 ,로 간다.
정상일 경우는 지금 설정되어 있는 상태가 제어모드인가 근태모드인가를 비교하여 제어상태일 경우 개시 그룹(GROUP), 키이(KEY)제어 인가를 비교하여 키이 제어일 경우는 흐름도,로 분기한다.
그룹 제어일 경우는 마그네틱 스트립 리더(10)의 입력 데이터와 저장되어 있는 (RAM(3B))그룹코드와 설정되어 있는 길이 만큼 비교하여 비정상일 경우는 액정표시판(9)에 워링 (WARNING) 메시지를 표시하고 날짜, 시간, 요일, 상태, 입력 데이터를 조합하여 RAM(3C)에 저장한다. 저장후 LED(11), 부저(12)에 비정상임을 표시하고 흐름도,로 간다. 만약, 정상일 경우는 액정표시판(9)에 패스(PASS)메시지를 표시하고 LED(11)와 부저(12)에 정상임을 표시하고 흐름도,로 간다.
그러나, 키이 제어일 경우는 흐름도,로 분기하고 근태모드일 경우는 마그네틱 스트립 리더(10)의 입력 데이터를 RAM(3C)에 저장하고 액정표시판(9)에 표시한 후 프린터 출력을 위하여 RAM(3B)에 날짜, 시간, 입력 데이터 그리고 출근, 퇴근, 외출, 귀사, 기타 모드중 설정(RAM(3B))되어 있는 모드의 한글 그래픽 폰트를 조합하여 저장한다. 상기 작업이 완료된 후 정상 입력임을 LED(11)과 부저(12)에 표시한후 흐름도,로 간다.
흐름도,에서는 액정표시판에 엔터코드(ENTER CODE)메시지를 표시하고 키이패드(13)의 입력을 기다린다. 1초가 경과할 때까지 키이패드(13)의 입력이 없으면 흐름도,로 분기한다.
만약, 4초가 경과하기 전까지 키이패드(13)의 입력이 있으면 입력 데이터를 RAM(3B)에 저장하고 키이패드(13)으로부터 새로운 입력을 기다린다. 새로운 입력을 기다리는 대기시간은 4초이며 4초가 경과할 때까지 입력이 없으면 흐름도,로 분기한다.
상기 키이패드(13)의 입력작업은 엔터키이(ENTER KEY)가 입력될 때까지 반복되며 엔터키이가 입력되면 RAM(3B)에 저장되어 있는 키이패드(13)의 입력 데이터와 마그네틱 스트립 리이더의 입력 데이터를 설정 길이만큼 비교하여 비정상이면 흐름도,로 분기한다.
정상이면 LED(11)에 정상임을 액정표시판(9)에 패스(RSAA) 메시지를 표시하고 흐르모,로 간다.
흐름도,는 LED(11), 부저(12)에 비정상임을 액정표시판(9)에 워링(WARNING) 메시지를 표시한 후 날짜, 시간, 요일, 상태, 입력 데이터를 조합하여 RAM(3C)에 저장하고 흐름도,로 간다.
흐름도,에서는 클럭(5)에서 날짜, 시간, 요일을 입력받아 액정표시판에 표시한후 다시한번 지금 설정되어 있는 상태가 제어모드인가 근태모드인가를 비교하고 근태모드일 경우는 흐름도,로 분기한다.
제어상태일 경우 다시 그룹, 키이 제어인가를 비교하여 키이 제어일 경우는 RAM(3B)에 저장되어 있는 키이패드(13)의 입력 데이터와 마그네틱 스트립 리이더의 입력 데이터를 그룹 제어일 경우는 마그네틱 스트립 리더(10)의 입력 데이터와 저장되어 있는(RAM(3B))그룹코드와 설정되어 있는 길이만큼 비교하여 비정상일 경우는 흐름도,로 분기하고 정상일 경우는 흐름도,로 분기한다. 흐름도,에서는 저장되어 있는 (RAM(35)출입문, 열림시간을 비교하여 열림시간이 제로(ZERO)인가를 판단한다.
만약 열림 시간이 제로일 경우는 입력장치 X0(18) 입력부분으로 분기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출력장치 Y0(19)를 연결하고 설정시간을 카운트한다. 설정 시간과 카운트한 시간이 같아지면 Y0(19)를 끊고 X0(18) 입력부분으로 간다.
X0(18) 입력부분에서는 출입문의 열림상태를 감시하는데 만약 출입문이 설정시간이 경과하고도 출입문일 닫히지 않았을 경우에는 액정표시판(9)에 "CHK DOOR"메시지를 부저에 비정상임을 표시하고 마그네틱 스트립 리이더의 입력을 중지시키고 입력 데이터 저장부분으로 간다.
그러나, 정상적으로 출입문이 닫혀을 경우에는 액정표시판(9)에 스캐닝(SCANNING)메시지를 표시한후 입력 데이터 저장부분으로 간다. 입력 데이터 저장부분에서는 날짜, 시간, 요일, 상태, 입력 데이터를 조합하여 RAM(3C)에 저장한후 흐름도,로 간다.
흐름도,에서는 마그네틱 스트립 리이더에서 입력된 데이터가 비정상적일때 즉 키이 제어일 경우는 RAM(3B)에 저장되어 있는 키이패드(13)의 입력 데이터와 마그네틱 스트립 리이더의 입력 데이터를 그룹 제어일 경우는 마그네틱 스트립 리더(10)의 입력데이터와 저장되어 있는(RAM(3B))그룹코드와 설정되어 있는 길이 만큼 비교하여 비정상일 경우에 처리하는 부분으로 저장되어 있는(RAM(3B))알람 시간을 비교하여 알람 시간이 제로인가를 판단한다.
만약, 알람 시간에 제로일 경우는 흐름도,로 분기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출력장치 Y1(19)를 연결하고 설정시간을 카운트한다. 설정 시간과 카운트한 시간이 같아지면 Y1(19)를 끊고 액정표시판(9)에 스캐닝(SCANNING) 메시지를 표시한후 흐름도,로 간다.
흐름도,에서는 바코드 스캐너(15)와 TTL신호 입·출력단(16)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부분으로 입력 데이터가 없을 때에는 통신(14) 입·출력부분으로 간다.
만약, 입력 데이터가 있을 때에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ASCII CODE인가 BAR IMAGE인가를 판단하여 BAR IMAGE 일때는 코드 변환 작업을 거쳐 ASCII CODE로 변환한다.
그다음 입력 데이터를 액정표시판(9)에 표시하고 날짜, 시간, 요일, 상태, 입력 데이터를 조합하여 RAM(3C)에 저장한후 통신(14) 입·출력부분으로 간다. 통신(14) 입··출력부분에서는 입력 데이터가 있는지를 비교하여 없을 때에는 흐름도(A)로 분기한다.
만약, 입력 데이터가 있을 때에는 흐름도 ②로 분기하여 GR(CARRIGE-RETURN)데이터가 입력 될때까지 데이터를 RAM(3B)에 저장한다. 계속적인 데이터를 입력받아 GR(CARRIGE RETURN)인가를 비교하는데 GR(CARRIGE RETURN) 데이터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작업을 반복하고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정상 입력인지를 판단하는 부분으로 분기한다. 정상 입력 판단부분에서는 입력 데이터와 RAM(3B)에 저장되어 있는 장치 번호가 같은지를 판단하고 명령 구성자체가 정상인가를 비교하여 상기 2가지 조건이 맞지 않았을 경우에는 흐름도(A)로 분기한다.
만약, 2가지 조건이 맞았을 경우에는 명령 해독 작업에 들어간다. 명령에는 15가지가 있으며, 각각의 명령은 크게 2가지 종류로 구분된다. 명령 00-03까지는 RAM(3C)에 저장된 데이터를 컴퓨터로 전송하라는 것이고 명령 04-14는 RAM(3B)에 저장된 각종 파라미터 및 클럭(5)을 변경하는 명령이다. 각각의 명령을 입력받은 후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명령에 맞는 실행을 완료한후 컴퓨터로 응답을 전송하고 흐름도,로 간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른 제어장치에 접속됨이 없이 스스로 동작하며 장치 자체에 제어기능이 내장되어 있어서 읽어들인 데이터의 저장 및 보관이 가능하고 컴퓨터와 온라인 통신이 가능하며 출입문을 제어하는 기능이 있어서 제한 구역의 출입 통제를 할 수가 있다.
그리고, 통신 기능이 있어 컴퓨터와 통신을 수행할때 최대 100대까지 MULTI-DROP으로 연결하여 통신이 가능하며 모델을 연결하여 장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이 장치는 기기마다 번지를 가지고 있으며 00번지를 시작번지로 하여 00번지로는 제어장치 역할을 하여 컴퓨터와 RS-232C 통신을 히고, 01번지로부터 99번지까지는 제어장치와 RS-422A 통신을 하도록 되어있어, 기능의 다양화를 이룩할 수 있으며, 또 장치의 소형화로 장치의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고 부품수가 대폭 줄어들어서 가격의 저렴화를 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버퍼(21)를 통해서 프린터(8)로 보내거나 컴퓨터에서 보내온 데이터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프린터(8)로 보내는 수단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버퍼(21)를 통해서 액정표시판(9)에 표시하거나 컴퓨터에서 보내온 데이터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액정표시판(9)에 표시하는 수단과, 마그네틱 스트립 카드의 데이터를 읽어서 증폭한후 마이크로 프로세서(1)로 보내는 마그네틱 스트립 리이더(10)와, 그 읽어들인 데이터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가 판정하여 그 데이터가 정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후 입·출력단(4)를 통해서 LED(11)와 부저(12)로 표시하는 수단과, 키이패드(13)를 눌러 기능의 상태를 액정표시판(9)에 표시하는 수단과, 컴퓨터와 장치 사이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14)수단과, 바코드 스캐너(15)를 RS-23C 통신방식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1)와 연결하는 수단과, TTL신호 입·출력단(16)를 통해서, 입·출력하는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와 연결하는 수단을 하나의 포트를 설정하여 변환스위치(17)로 포트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과, 입력회로(18)와 출력회로(19)를 조합하여 전기도어록을 제어하는 수단과, 상기 출력회로(19)의 남은 접점을 이용하여 출입문 제어시 출입문의 열림 상태를 체크하는 수단과, RAM(3B), (3C)와 클럭(5)의 데이터를 보존하는 백업수단(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카드와 바코드의 데이터 자동인식방법.
  2. 마이크로 프로세서(1)와, 그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 의해 메모리(3)과 입·출력단을 제어하는 디코더(2)와, 상기 디코더(2)를 통해서 나오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3)와,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며, 데이터의 입·출력을 수행하는 입·출력단(4)와, 상기 입·출력단(3)은 입력장치인 키이패드(13)와 출력장치인 LED(11), 부저(12)와, 버퍼(21)를 통해 프린터(8) 및 액정표시판(9)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가 직접 제어하는 클럭(5), 마그네틱 스트립 리이더(10), 통신(14)와, 통신 드라이버(7)를 통해서 바코드 스캐너(15)를 제어하면 TTL신호 입·출력단(16)과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가 직접 제어하는 입력장치(18)과 출력장치(19)와 초기화를 걸어주는 리셋신호 발생기(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카드와 바코드의 제어장치.
KR1019930004801A 1993-03-26 1993-03-26 마그네틱카드와 바코드의 데이터 자동인식방법 및 그 제어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50005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4801A KR950005530B1 (ko) 1993-03-26 1993-03-26 마그네틱카드와 바코드의 데이터 자동인식방법 및 그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4801A KR950005530B1 (ko) 1993-03-26 1993-03-26 마그네틱카드와 바코드의 데이터 자동인식방법 및 그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327A KR940022327A (ko) 1994-10-20
KR950005530B1 true KR950005530B1 (ko) 1995-05-25

Family

ID=19352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4801A Expired - Fee Related KR950005530B1 (ko) 1993-03-26 1993-03-26 마그네틱카드와 바코드의 데이터 자동인식방법 및 그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55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4553B2 (en) 2014-03-26 2018-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Blood testing apparatus and blood test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751A (ko) * 1999-07-20 1999-12-06 이언상 바코드 스케너를 이용한 생산정보 자동화 관리장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4553B2 (en) 2014-03-26 2018-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Blood testing apparatus and blood tes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327A (ko) 199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56012B1 (en) Display control devic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US4542469A (en) Programmable demand register with two way communication through an optical port and external reading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US20060150027A1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display of process control data
US5811675A (en) Modular gas units
KR950005530B1 (ko) 마그네틱카드와 바코드의 데이터 자동인식방법 및 그 제어장치
EP0137852A1 (en) Numerical control system
CN100358290C (zh) 医疗设备使用漏费控制系统
JPH09326871A (ja) 伝送制御装置
JPS6322516B2 (ko)
JPH04312193A (ja) 非接触パスゲート
KR960031615A (ko) 출입통제장치
JPH0793492A (ja) Idプレートシステム
JPH03148799A (ja) 給油所向け販売データ処理装置の電源制御装置
JP3168039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KR950028557A (ko) 가정자동화용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JP3366152B2 (ja) 火災報知設備の表示装置および火災報知設備
JPH04289999A (ja) 非接触カードシステム
KR100191626B1 (ko) 무인 자동화 시스템의 출입문 비상개방장치와 그 제어방법
JP3022891B2 (ja) ポケットベル自動通報装置
KR19990033047A (ko) 리모트 콘트롤러 신호분석 표시방법
JPH04145397A (ja) 情報処理兼用時計装置
JPH02285486A (ja) 取引媒体処理装置
KR20030094576A (ko) 원격검침용 세대정합장치가 내장된 가정 자동화 기기
KR19980028502A (ko) Tv 본체 전원 오프시 리모콘을 이용한 현재시간 세팅장치 및 방법
KR20000012521U (ko) 검침시스템에 있어서 핸드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7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9052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0526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