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5487Y1 - 이송거리 가변 콘베이어 - Google Patents

이송거리 가변 콘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487Y1
KR950005487Y1 KR92018787U KR920018787U KR950005487Y1 KR 950005487 Y1 KR950005487 Y1 KR 950005487Y1 KR 92018787 U KR92018787 U KR 92018787U KR 920018787 U KR920018787 U KR 920018787U KR 950005487 Y1 KR950005487 Y1 KR 9500054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onveyor
expansion
conveying distance
he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920187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9976U (ko
Inventor
황규한
Original Assignee
박창엽
태양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엽, 태양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창엽
Priority to KR920187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5487Y1/ko
Publication of KR9400099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9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4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48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4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length or configura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4Gearing between driving motor and 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20Arrangements of rollers attached to mov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48Driving means for the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송거리 가변 콘베이어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제 1 도의 A-A선 절결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동작상태도로서, (a)도는 콘베이어의 이송거리가 수축된 상태도, (b)도는 콘베이어의 이송거리가 확대된 상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받침대 2 : 파워실린더
3a, 3b : 업다운링크 4 : 헤드롤러
5 : 테이크업(Take-up) 6 : 메인후레임
7 : 익스팬숀롤러 8 : 리버스(Reverse)
9 : 익스팬숀후레임 9c : 래크기어
10 : 콘베이어벨트 11 : 슈터
12 : 조정모터 13 : 피니언
본 고안은 이송거리 가변 콘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조정 모터의 구동으로 익스팬숀롤러가 착설된 익스팬숀후레임이 이동되어 벨트콘베이어의 이송거리를 신축시키도록 함으로써 일정하지 않은 이송거리에 쉽게 대응하는등 호완성을 부여하고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물등 물품을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콘베이어는 다수의 롤러를 등간격으로 설치한 롤러콘베이어와, 서로 이격되게 설치한 롤러사이를 벨트로 연결하여 물품을 이동시키는 벨트콘베이어와, 레일이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클램프등이 이동되는 레일콘베이어등으로 구성되는데, 지금까지 사용되어온 종래의 콘베이어는 일정한 거리가 셋팅되어 이송거리를 가변할 수 없었기 때문에 설비의 위치변경등으로 이송거리가 바뀌면 기존에 사용하던 콘베이어를 사용할 수 없었던 것은 물론이며 가공물의 크기에 따라 콘베이어의 이송거리가 가변되어야 할때 민감하게 대응하지 못하였던 것이 허다한 실정이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본실개소 47-34979(1972. 12. 19)가 있으나 이는 곡물이나 석탄등 분말가루를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 콘베이어와 하부 콘베이어를 단이지게 각각 구성하고 상부 콘베이어가 고정설치되는 고정판 양측에 레일을 형성하여 하부 콘베이어가 상기 고정판의 레일을 따라 전후진 하도록 구성한 다음 상부 콘베이어벨트와 하부 콘베이어 벨트는 접동롤러에 의해 회동마찰력이 전달되어 회동되도록함과 동시에 하부 콘베이어를 수동으로 전, 후진 시키도록 한 것이 있으나 이는 상부 콘베이어벨트와 하부콘베이어의 동력 전달방식이 롤러에 의한 간접 전달이므로 정확한 동작을 기대하기 어렵고, 하부 콘베이어가 전진시 후단에 형성된 두개의 지지판에 의하여 하부 콘베이어가 기지되어 많은 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중량체를 이송시키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으며 상부 콘베이어와 하부 콘베이어 두개로 이루어져 운반물이 단이지게 이송됨으로 충격을 야기시키며 콘베이어의 길이조절이 수동에 의존하므로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재결함을 감안하여 롤러가 설치되는 후레임을 래크와 피니언으로 연동되도록한 조정모터의 구동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콘베이어의 이송거리를 쉽게 가변시키므로써, 이송하고자 하는 물품의 크기에 따라 이송거리가 달라지는 경우나 콘베이어가 설치되는 곳의 기계설비위치가 약간씩 가변되어도 쉽게 조정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콘베이어의 호환성을 부여하고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함은 물론 콘베이어 벨트가 단일체로 구성되어 동작이 정확하고 이송이 수평으로 이루어짐으로서 부품등에 충격을 유발시키지 않는 등 사용에 편리하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받침대(1) 좌, 우 양측에 설치되는 파워실린더(2)에 의해 승강되면서 헤드롤러(4)와 테이크업롤러(5)를 설치한 메인후레임(6)과, 상기 메인후레임(6)에 슬라이드 동작되도록 설치되어 익스팬숀롤러(7)와 리버스롤러(8)를 구비한 익스팬숀후레임(9)과, 상기 헤드롤러(4)와 텐숀유지롤러(5)와, 익스팬숀롤러(7)와 리버스롤러(8)에 권취되는 콘베이어벨트(10)와, 상기 콘베이어벨트(10)의 이송거리를 가변시키는 가변수단으로 구성하되 여기서 메인후레임(6)은 우측단부에 설치한 헤드롤러(4)와, 상기 헤드롤러(4)측 선단부에 설치되어 조정바(11a)로 절첩되는 슈터(11)와, 상기 헤드롤러(4)의 상단과 일치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롤러(6a)와, 상기 이송롤러(6a) 저부의 전후 양측내벽에 첨부도면 제 2 도에서와 같이 서로 대향지게설치하여 익스팬숀후레임(9)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6b)와, 상기 가이드롤러(6b) 아래측에 설치하여 조정볼트(5a)로 위치를 조정하는 테이크업롤러(5)와, 상기 테이크업롤러(5) 좌측에 조정모터(12)로 구동되도록 설치한 피니언(13)으로 구성한다.
상기 익스팬숀후레임(9)은, 좌측 단부에 상향 돌출되도록 설치한 익스팬숀롤러(7)와, 상기 익스팬숀롤러(7)보다 아래측에 위치하도록 우측단부에 설치된 리버스롤러(8)와, 상기 리버스롤러(8) 상단과 일치되도록 상단에 설치하는 다수의 지지롤러(9a)와, 제 2 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전, 후 양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9b)과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래크기어(9c)로 구성한다.
그리고 콘베이어벨트의 이송거리를 가변시키는 가변수단은, 첨부도면 제 1 도와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메인후레임(6)의 가이드롤러(6b)에 익스팬숀후레임(9)의 가이드레일(9b)을 결합하여 리버스롤러(8)가 헤드롤러(4)와 테이크업롤러(5)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상기 익스팬숀후레임(9)의 저면에 형성된 래크기어(9c)를 조정모터(12)로 구동하는 피니언(13)과 치합하여 조정모터(12)의 구동으로 콘베이어 이송거리를 조정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콘베이어벨트(10)는, 익스팬숀롤러(7)와, 헤드롤러(4)와, 테이크업롤러(5)에는 내접되고, 리버스롤러(8)에서 외접되도록 권취하여 조정모터(12)의 구동으로 이송거리가 조절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메인후레임(6)에 설치된 헤드롤러(4)와 테이크업롤러(5) 및 상기 익스팬숀후레임(9)에 설치된 익스팬숀롤러(7)와 리버스롤러(8)를 제거하고 첨부도면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메인후레임(6) 상단에 다수의 이송롤러(16)를 등간격으로 설치하고 여기에 결합되어 슬라이드이송되는 익스팬숀후레임(9)의 상단에 다수의 이송롤러(19)를 등간격으로 설치한 롤러콘베이어의 이송거리를 신축하도록 구성할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제 1 도와 같이 구성된 벨트콘베이어를 기계설비나 기존 설비된 장소등, 콘베이어 설치를 필요로하는 위치에 설치하고 파워실린더(2)를 동작시켜 가공부품등 물품이송에 알맞은 높이가 되도록 높이조절을 한다음, 이송하고자 하는 가공물이나 이송거리등에 따라 콘베이어의 이송거리를 조절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파워실린더(2)의 양측에는 업다운링크(3a)(3b)가 설치되어 보다 안정된 승강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송콘베이어의 높이가 조절되면, 사용에 알맞게 벨트콘베이어의 이송거리를 조절하게 되는데 첨부도면 제 3a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콘베이어의 이송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익스팬숀후레임(9)이 메인후레임(6)내로 최대로 진입된 상태에서 조정모터(12)를 구동시키면, 이와 연동되는 스플라켓(4a)이 기어박스(14)내로 충분히 감속되어 구동되고 상기 스플라켓(14a)과 체인(15)으로 걸려 연동되는 스플라켓(13a)이 회동되면서 이와 동일축(13b)상에 축착된 피니언(13)이 회동되어 상기 피니언(13)과 래크기어(9c)가 치합된 익스팬숀후레임(9)이 첨부도면 제 3b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살표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벨트콘베이어의 이송거리가 확대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고 있을 때 익스팬숀후레임(9)의 일측단에 설치되어서 메인후레임(6)에 설치되어 있는 헤드롤러(4)와 테이크업롤러(5) 사이에 위치하는 리버스롤러(8)가 콘베이어벨트(10)를 적절하게 풀어주어 익스팬숀롤러(7)와 헤드롤러(4)에 권취되어서 물건을 나르는 콘베이어벨트(10)를 팽팽하게 당겨서 유지시킨다.
여기서 벨트콘베이어에 권취된 콘베이어벨트(10)의 장력을 조절하고자 할 때는 테이크업롤러(5)의 조정볼트(5a)를 죄어서 여기에 권취된 콘베이어벨트(10)를 긴체시키는 것이다.
이와같이 벨트콘베이어의 이송거리가 조정되면 별도의 동력(도시하지 않음)으로 헤드롤러(4)가 구동되어 콘베이어벨트(10)가 회전하면서 가공물등 물품을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가공물은 조정바(11a)의 조정으로 경삭각을 조정하는 슈터(11)를 통하여 콘베이어벨트(10)위에 공급되어 헤드롤러(4)측에서 익스 팬숀롤러(7)측으로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하는 본 고안의 이송거리를 축소시키고자 할 때는 조정모터(12)를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회동시켜 익스팬숀후레임(9)를 화살표와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또한 상기한 본 고안의 첨부도면 제 4 도와 같이 롤러콘베이어로 구성하였을 때 롤러콘베이어의 이송거리를 벨트콘베이어와 동일한 방법으로 신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콘베이어의 이송거리를 간단한 구성으로 신축시키도록 함은 물론 단일 콘베이어벨트를 사용하여 운반물이 수평으로 이송되도록 함과 동시에 동작중 콘베이어벨트가 처지거나 장력이 변화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송거리의 변화에 따라 콘베이어가 쉽게 조정되는 호완성을 부여하고, 콘베이어의 이송거리를 정확하게 조정하여 작업이 편리하게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실사용에 있어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콘베이어벨트의 이송거리를 가변시키도록한 콘베이어에 있어서, 받침대, 좌, 우 양측에 설치된 파워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면서 우측단부에는 헤드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헤드롤러측 선단부에 조정바로 절첩되는 슈터를 설치하며, 상기 헤드롤러의 상단과 일치되도록 다수의 이송롤러를 설치하며, 상기 이송롤러 저부의 전, 후 양측 내벽에 서로 대향지게 가이드롤러를 설치하여 익스팬숀후레임을 안내하며 상기 가이드롤러 아래측에 테이크업롤러를 설치하여 조정볼트로 위치를 조정하며, 상기 테이크업롤러 좌측에 조정모터로 구동되도록 설치한 피니언을 구성한 메인후레임과, 상기 메인후레임에 슬라이드 동작되도록 설치되어 좌측 단부에 상향 돌출되도록 익스팬숀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익스팬숀롤러보다 아래 측에 위치하도록 우측단부에 리버스롤러를 설치하며, 상기 리버스롤러 상단과 일치되도록 상단에 다수의 지지롤러를 설치하며, 전, 후 양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공지의 가이드레일에 안내되며 저면에 래크기어를 일체로 구성한 익스팬숀후레임과, 상기 익스팬숀롤러와, 헤드롤러와, 테이크업롤러에는 내접되고, 리버스롤러에서 외접되도록 권취하여 조정모터의 구동으로 이송거리가 조절되도록 구성한 콘베이어벨트와, 상기 콘베이어벨트의 이송거리를 가변시키는 가변수단으로 구성하여 콘베이어 좌우양측높이를 필요에 따라 조정가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거리 가변 콘베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베이어벨트의 이송거리를 가변시키는 가변수단은, 상기 메인후레임의 가이드롤러에 익스팬숀후레임의 가이드레일을 결합하여 리버스롤러가 헤드롤러와 테이크업롤러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상기 익스팬숀후레임의 저면에 형성된 래크기어를 조정모터로 구동되는 피니언과 치합하여 조정모터의 구동으로 콘베이어 이송거리를 조절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거리 가변 콘베이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후레임의 상단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이송롤러를 설치하고, 여기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송되는 익스팬숀후레임의 상단에 다수의 이송롤러를 등간격으로 설치하여 롤러콘베이어의 이송거리를 신축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거리 가변 콘베이어.
KR92018787U 1992-10-01 1992-10-01 이송거리 가변 콘베이어 Expired - Fee Related KR9500054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8787U KR950005487Y1 (ko) 1992-10-01 1992-10-01 이송거리 가변 콘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8787U KR950005487Y1 (ko) 1992-10-01 1992-10-01 이송거리 가변 콘베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976U KR940009976U (ko) 1994-05-21
KR950005487Y1 true KR950005487Y1 (ko) 1995-07-12

Family

ID=19341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8787U Expired - Fee Related KR950005487Y1 (ko) 1992-10-01 1992-10-01 이송거리 가변 콘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54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776B1 (ko) * 2007-11-07 2013-07-31 주식회사 포스코 가변 롤러 스탠드 장치
KR102152563B1 (ko) * 2020-02-21 2020-09-04 조성근 포장용 박스 제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711B1 (ko) * 2001-11-21 2007-12-05 주식회사 포스코 트리퍼 이동형 신축 벨트콘베어
KR20020068999A (ko) * 2002-08-12 2002-08-28 (주)삼우기계 확장형 롤러 테이블
KR101038969B1 (ko) * 2008-09-09 2011-06-0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 수평 이송 방법
KR101271531B1 (ko) * 2011-08-23 2013-06-05 주식회사 엠엠테크 업다운 컨베이어의 기어 어셈블리 구동수 낙하 유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776B1 (ko) * 2007-11-07 2013-07-31 주식회사 포스코 가변 롤러 스탠드 장치
KR102152563B1 (ko) * 2020-02-21 2020-09-04 조성근 포장용 박스 제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976U (ko) 199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5516A (en) Three-way transfer conveyor
US5692594A (en) Transport apparatus
US4062444A (en) Apparatus for cycleless transportation
US20180244474A1 (en) Chain conveyor with adjustable distance between shafts
KR950005487Y1 (ko) 이송거리 가변 콘베이어
US6390766B1 (en) Shingle bundle palletizer with improved metering conveyor, pattern conveyor and shuttle conveyor
US4023672A (en) Transfer table
US4776741A (en) Stacking device for stacking elongated goods
US408327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preading and transferring of rows of brick-like articles
US3509984A (en) Article orienting conveyor
KR20080091567A (ko) 팔레트의 수평 이송식 컨베이어
US3256011A (en) Piler mechanism for metal sheets
US5244077A (en) Transport gear chain arrangement
US4130206A (en) Sheet piling machine with classifier and multiple piling arrangements
KR890002997B1 (ko) 1 프레스로부터 다른 프레스로 공작물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
KR200281021Y1 (ko) 롤러각도조절이 가능한 롤러스탠드
US5181599A (en) Dual-belt shuttle unit
GB729687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veyors for feeding workpieces to metal cutting andlike machine tools
CN113844885A (zh) 一种扁钢自动上料装置
KR0133692Y1 (ko) 무인반송차의 컨베이어 폭 가변장치
JPH11292258A (ja) 形鋼材の反転装置
CN218808794U (zh) 一种气动移载装置
JPS59223623A (ja) 無端コンベヤ装置上の荷物の方向変更装置
CN222934175U (zh) 托盘宽度可调的运输装置
CN220333985U (zh) 一种工件的上料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2100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2100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4103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50330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61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509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5102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5102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1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7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7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7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7

Year of fee payment: 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06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