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5220Y1 - 주편내부의 필러 유입방지용 필러캡 - Google Patents

주편내부의 필러 유입방지용 필러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220Y1
KR950005220Y1 KR92028211U KR920028211U KR950005220Y1 KR 950005220 Y1 KR950005220 Y1 KR 950005220Y1 KR 92028211 U KR92028211 U KR 92028211U KR 920028211 U KR920028211 U KR 920028211U KR 950005220 Y1 KR950005220 Y1 KR 9500052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mold
cast
cap
cast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82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4785U (ko
Inventor
전준봉
Original Assignee
정명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명식
Priority to KR920282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5220Y1/ko
Publication of KR9400147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47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2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2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03Distributing the molten metal, e.g. using runners, floats, distribu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주편내부의 필러 유입방지용 필러캡
제 1 도는 주형에 본 고안이 구비된 주편 연속주조시의 계통도.
제 2 도는 본 고안이 구체적인 상태도로서, (a)는 사시도, (b)는 평면도, (c)는 단면도.
제 3 도는 종래의 주편 연속주조시의 계통도.
제 4a, b 도는 종래의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주편과 본 고안을 구비하여 생산된 주편 상태의 각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래들(Radle) 2 : 턴뒤시(Turn Dish)
3 : 오픈노즐 4 : 용강주입로
5 : 주형 6 : 주편인발장치
7 : 필러 8 : 노즐폐쇄봉
9 : 더미바 10 : 필러캡
11 : 필러차단판 12 : 필러유입구
13 : 필러미끄럼나팔관 14 : 필러유출구
15 : 받침대
본 고안은 주편(Billet)을 연속주조할때 주형에 주입되는 필러가 주편에 유입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러캡(Filler Cap)에 관한 것이다.
필러(Filler)는 주편 연속주조에 있어서, 용강을 주형에 주입시켜주는 과정중 주입 초기에 용강의 유출을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종래의 주편 연속주기는 제 3 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소단면(小斷面)연속주조기로서 주조의 특성상 턴디쉬(2)에 설비되어 있는 노즐이 오픈노즐(open Nozzle)(3)로 되어 있고, 용강주입로(4)에도 제어장치가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래들(1)로부터 턴디쉬(2)에 유입된 용강의 정압(精壓)에 의하여 용강이 주형(5)에 주입된다. 그런데 턴디쉬(2)에서 용강이 주형(5)에 주입되는 초기에는 용강이 외부로 튀겨 나가거나 흩어지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필러(7)를 사용하게 되며, 이와같이 주조초기에 필러(7)가 주형(5)에 유입되는 필러(7)가 주입되므로 주편을 주조할때에 이 필러(7)가 주조초기에 주편에 주입되므로 주편을 주조할때에 이 필러(7)가 주편내부의 선단까지 유입되어져 제품불량의 원인이 되었다. 즉, 주형(5)내에 유입되는 필러(7)가 주조 초기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어떠한 방법이나 장치가 없는 상태에서 오픈노즐(3)의 노즐폐쇄봉(8)을 제거하면 주형(5)에 필러(7)가 먼저 주입된 후에 용강이 주입되기 때문에 이미 주형(5) 내부에 유입되어 있던 필러(7)가 주조 초기에는 오히려 불순물의 형태로 되어 주편 내부에 침투되므로 제품이 불량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불량품의 일정량을 절단하여 폐기처분하게 되므로 생산성을 저하시키게 되며, 절단과 설비안전사고의 위험도 초래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 생산성의 향상과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주형에 본 고안이 구비된 주편 연속주조기의 계통이고, 제 2 도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상세도이다.
본 고안의 필러캡(10)은 필러차단판(11)의 하측방향으로 필러미끄럼 나팔관(1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측의 필러유입구(12)는 넓게, 하측의 필러유출구(14)는 좁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필러차단판(11)의 저부 각 모서리부에는 각각의 받침대(15)가 용접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필러캡(10)은 주형(5)의 내부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며, 그 작동관계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래들(1)에서는 턴디쉬(2)의 노즐폐쇄봉(8)을 제거하여 주면 용강의 정압에 의하여 필러(7)가 먼저 용강주입로(4)를 따라 흘러내려서 필러캡(10)의 필러유출구(14)를 통하여 주형(5)의 내부로 유입된다. 주형(5)의 내부로 유입된 필러(7)는 지속적으로 유입되어지는 용강의 압력과 비중의 차에 의하여 필러미끄럼나팔관(13)의 외측으로 인입되면서 부상하여 필러차단판(11)의 저면에 포진하게 된다. 이와같이 필러(7)가 필러차단판(11)의 저면에 포진된 상태에서 더미바(9)를 당겨주면 주형(5)에 주입된 용강은 주형(5)내에서 성형되어지면서 주편인발장치(6)를 통하여 주형(5)의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필러캡(10)이 이후의 주편은 고품질의 청정 주편을 생산할 수 있으며, 더미바(9)와 연결된 필러캡(10)을 포함한 주절단처리부만을 절단기로 절단하여 제거한다. 즉, 종래의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주편은 제 4a 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약 400㎜의 주절단처리부에서부터 초주편이 실시된 약 500㎜내외까지 필러(7)가 부착되어 잇어서 주절단처리부와 초주편까지 약 900㎜내외를 절단하여 제거하기 때문에 제품의 손실이 많은데 반하여, b 도에서는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을 구비하여 생산된 주편은 더미바(9)와 필러캡(10)을 포함한 약 400㎜내외의 주절단처리부만을 절단 제거하게 되므로 제품의 손실을 방지하게된다. 다만 본 고안에서는 필러캡(10)의 필러차단판(11)은 주형의 내부 공간면적과 같이 정사각형으로 하되, 주형의 내부 면적보다 약간 작게하고, 모서리 부분을 둥글게 처리하여 필러캡(10)을 주형(5)의 내부에 삽입할 때 주형의 내부 표면에 흠집등이 생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주의하면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을 구비하여서 된 주형은 불필요한 손실을 방지하고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며, 주편 뿐만 아니라 평판(Slab) 및 불룸(Bloom) 제조시에도 채택하여 확대 적용할 수도 있는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필러차단판(11)의 하측방향으로 필러미끄럼나팔관(13)을 형성시키되, 상측의 필러유입구(12)는 넓게, 하측의 필러유출구(14)는 좁게하고, 그 필러차단판(11)의 저부 각 모서리부에는 각각의 받침대(15)를 용접설치하여서 된 필러캡(10)을 주형(5)의 내부에 삽입설치하여 필러(7)와 용강을 주입시키면 필러(7)가 필러차단판(11)의 하측과 필러미끄럼나팔관(13)의 외측으로 부상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편내부의 필러유입방지용 필러캡.
KR92028211U 1992-12-31 1992-12-31 주편내부의 필러 유입방지용 필러캡 KR9500052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8211U KR950005220Y1 (ko) 1992-12-31 1992-12-31 주편내부의 필러 유입방지용 필러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8211U KR950005220Y1 (ko) 1992-12-31 1992-12-31 주편내부의 필러 유입방지용 필러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785U KR940014785U (ko) 1994-07-16
KR950005220Y1 true KR950005220Y1 (ko) 1995-07-03

Family

ID=19349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8211U KR950005220Y1 (ko) 1992-12-31 1992-12-31 주편내부의 필러 유입방지용 필러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52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990B1 (ko) * 2011-07-15 2013-08-08 주식회사 포스코 쇳물공급시 이물질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990B1 (ko) * 2011-07-15 2013-08-08 주식회사 포스코 쇳물공급시 이물질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785U (ko) 199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70105B2 (ko)
KR950005220Y1 (ko) 주편내부의 필러 유입방지용 필러캡
AU590120B2 (en) Tundish for mixing alloying elements with molten metal
JP3018960B2 (ja) 連続鋳造方法およびそのストレート浸漬ノズル
KR100934801B1 (ko) 용강의 비산 방지장치
KR101481602B1 (ko) 연속주조용 턴디쉬 및 연속주조장치
KR101322395B1 (ko) 턴디쉬
KR100815446B1 (ko) 침지노즐의 토출구
US5232046A (en) Strand casting apparatus and method
US3512573A (en) Method of continuously casting metal using carbon dioxide for cooling
JP3012912B2 (ja) 鋳型構造
KR100779714B1 (ko) 침지노즐 폐쇄장치
KR920000806B1 (ko) 무단 이동형 주형을 지닌 연속 주조기를 위한 용융금속 주입노즐
CN209773395U (zh) 滑块浇铸模具
US4155399A (en) Method for the continuous casting of steel slabs
US2049148A (en) Pouring practice and apparatus
US2196432A (en) Device for casting ingots
KR0119031Y1 (ko) 턴디쉬의 다층기공 상부 노즐부
JPH0641950U (ja)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
JPS6114051A (ja)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
KR102033642B1 (ko) 용융물 처리 장치
KR900000004Y1 (ko) 주조용 용탕 주입컵
KR20010034498A (ko) 금속 제품의 연속주조용 다각 잉곳 주형
KR200291561Y1 (ko) 빌레트 제조용 몰드 냉각재
KR970004748Y1 (ko) 래들 용강 주입용 튜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21231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50330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60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509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510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5100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6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6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27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6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