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4854Y1 - 방송 파이롯 신호 판별 안정화 회로 - Google Patents

방송 파이롯 신호 판별 안정화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854Y1
KR950004854Y1 KR2019890009156U KR890009156U KR950004854Y1 KR 950004854 Y1 KR950004854 Y1 KR 950004854Y1 KR 2019890009156 U KR2019890009156 U KR 2019890009156U KR 890009156 U KR890009156 U KR 890009156U KR 950004854 Y1 KR950004854 Y1 KR 9500048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witching unit
comparator
unit
perio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91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755U (ko
Inventor
신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전자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전자, 구자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전자
Priority to KR20198900091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854Y1/ko
Publication of KR9100017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7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8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85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3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Stereo-Broadcasting Metho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송 파이롯 신호 판별 안정화 회로
제1도는 종래의 방송신호 처리회로 구성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에서 판별기의 구성 상세도.
제3도는 제1도에서의 각부 파형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방송 파이롯 신호 판별 안정화 회로 구성도.
제5도는 제4도에서의 각부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영상중간주파회로 2 : VIF회로
3 : 영상처리회로 4,7,10 : BPF
5,8 : FM검파회로 6,9 : LPF
711 : AM검파기 12 : 판별기
13 : 매트릭스회로 14 : 음성주신호
15 : 음성부신호 16,17 : 음성출력
18 : 파이롯신호 19 : 증폭기
20 : 리미터 21 : 미분회로
22 : 멀티바이브레이터 23,24,25 : 제2, 제3, 제1절환부
26,27 : 딜레이 28 : 인버터
29,31 : 앤드게이트 30 : 배타 오아게이트
32 : 가산부 33 : 비교기
34 : 오아게이트 35 : 노아게이트
35 : 파워리셋단자 40,41 : 비교기
42,43,44 : 기준전압 51 : 파이롯신호처리부
52 : 제어부 53 : 직류변환부
54,55 : 제1, 제2주기변화검출부 56,57 : 제2, 제1비교부
본 고안은 방송 파이롯(Pilot) 안정화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이롯 신호의 주파수 변화에 대하여 안정된 출력을 내보내는 방송 파이롯 신호 판별 안정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방송신호처리 기술적구성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안테나(ANT)가 연결된 영상중간주파회로(1)는 VIF회로(2)를 거쳐 영상처리회로(3)와 4.72[MHz]BPF(Band Pass Filter)(7)에 연결됨과 동시에 4.5[MHz]BPF(4), FM검파회로(5) 및 LPF(Low Pass Filter)(6)를 거친 음성 주신호(14)가 매트릭스(Matrix)회로(13)에 연결되고, VIF회로(2)에 연결된 BPF(7)는 FM검파회로(8)를 거쳐 55.1[MHz]BPF(10)에 연결됨과 동시에 LPF(9)를 거쳐 음성부신호(15)가 매트릭스회로(13)에 연결되고, FM검파회로(8)에 연겨된 BPF(10)는 AM검파기(Detector)(11)를 거쳐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판별기(12)의 증폭기(19)에 연결되고, 판별기(12)의 증폭기(19)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리미터(20), 미분회로(21) 및 멀티바이브레이터(22)를 거쳐 저항(R1)에 연결되고, 저항(R1)은 접지된 콘덴서(C1)의 일단을 거쳐 비교기(40)의 비반전입력단(+)과 비교기(41)의 반전입력단(-)에 연결되고, 반전입력단(-)에 기준전압(42)이 연결된 상기 비교기(40)의 출력(2개 국어방송)(A)과 비반전입력단(+)에 기준전압(43)이 연결된 상기 비교기(41)의 출력(스테레오방송)(B)은 매트릭스회로(13)에 연결되고, 매트릭스회로(13)로부터 좌·우측 음성출력(16)(17)이 발생하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한 기술적구성의 동작상태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의 AM검파기(11)로부터 출력되는 파이롯신호(18)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판별기(12)의 입력된다.
즉 파이롯신호(18)는 스테레오방송에서는 150[Hz], 2개국어방송에서는 276[Hz]가 나타나며, 모노(MONO) 방송인 경우는 0[Hz]의 신호가 나타난다(제3(a)도).
이러한 신호는 증폭기(19)에 의해 증폭되고 리미터(20)에 의해 구형파로 바뀐다(제3(b)도). 구형파로 변환된 파이롯신호는 미분회로(21)에서 미분되고 (제3(c)도), 멀티바이브레이터(22)에 의해 결정된 폭(420[Hz])으로 미분된 펄스(pulse)에 동기되어 출력되어지며(제3(d)도), 저항(R1)과 콘덴서(C1)에 의해 직류로 바뀐다(제3(e)도).
이경우 스테레오방송의 150[Hz]에서는 주기가 1/150이고 "하이"출력기간이 1/420[sec]이며, 2개국어방송의 276[Hz]에서는 주기가 1/276이고 "하이" 출력기간이 1/420[sec]이다. 따라서 저항(R1)과 콘덴서(C1)를 거친 직류출력레벨(level)의 2개국어 방송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은 모노방송이며 스테레오방송은 가장 낮다.
이러한 직류출력은 비교기(40)(41)에 비교전압으로 입력된다.
이대, 비교기(40)의 기준전압(42)은 비교기(41)의 기준전압(43)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으며, 2개국어방송시에는 비교기(40)의 출력(A)이 "하이"가 되고, 비교기(41)의 출력(B)이 "로우"가 되도록 기주년압(42)(43)을 설정하고, 스테레오방송시에는 비교기(40)의 출력(A)이 "로우"가 되고 비교기(41)의 출력(B)이 "하이"가 되도록 기준전압(42)(43)을 설정하며, 모노방송시에는 비교기(40)(41)의 출력(A)(B)이 모두 "로우"가 되도록 한다.
즉, 비교기(40)(41)의 출력(A)(B)은 아래 도표<1>과 같다.
도표<1> 방송상태에 따른 비교기(40)(41)의 출력상태도.
(* H는 Hihg이고 L은 Low이다.)
이와같은 판별기(12)의 출력(A)(B)은 매트릭스회로(13)에 입력되어 음성주신호(14)와 음성부신호(15)의 상태를 제어하여 좌·우 음성출력(16)(17)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가튼 종래의 기술적구성에 있어서는 안테나(ANT) 입력신호의 순간적 변화 또는 온도변화에 따른 파이롯신호(18)의 순간적변화는 판별기(12)의 출력(A)(B)을 변화시키게 되어 좌·우측 음성출력(16)(17)신호를 순간적으로 바뀌게됨으로써 불쾌감을 줄 뿐 아니라, 제3(d)도(A)∼제3(e)도(B)에 도시된 바와같이 파이롯신호(18)의 순간적 주기변화는 멀티바이브레이터(22)의 출력 제3(d)도(A), 제3(d)도(B)를 갖게 하고, 따라서 비교기(40)(41)의 입력제3(e)도는 제3(e)도(A), 제3(e)도(B)와 같은 파형을 유발시킨다.
즉, 제3(d)도(A), 제3(e)도(A)에 도시된 바와같이 2개국어방송시 주기(T3) 기간에는 저항(R1)과 콘덴서(C1)에 의해 직류값이 떨어지게 되어 주기(T6) 동안 2개국어방송이 아닌 모노방송이인식하게 될 것이며, 제3(d)도(B), 제3(e)도(B)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테레오방송시에는 주기(T7)동안 저항(R1)과 콘덴서(C1)에 의해 직류값이 상승하게 되어 주기(T8)동안 스테레오 방송이 아닌 모노방송이 인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따라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시킨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에서 파이롯신호(18)가 증폭기(19), 리미터(20), 미분회로(21) 및 멀티바이브레이터(22)로구성된 파이롯신호처리부(51)를 거쳐 제2절환부(23)의 스테레오/2개국어방송단자(C)에 연결됨과 동시에 제1절환부(25)의 단자(G)에 연결되고, 제어부(52)인 오아게이트(34)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제2절환부(23)의 모노방송단자(D)는 접지되고, 중립단자(P1)는 저항(P1)과 콘덴서(C1)에 의해 적분되는 직류변환부(53)의 출력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3절환부(24)의 중립단자(P2)와 연결되며, 상기 제3절연부(24)의 스테레오방송단자(E)는 제1주기 변환검출부(54)인 앤드게이트(29)의 입력단에 직접 연결됨과 동시에 딜레이(26)를 거쳐 앤드게이트(29)와 타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주기변화검출부(54)의 출력인 앤드게이트(29)의 출력은 제1절환부25)를 제어하며, 상기 제3절환부(24)의 2개국어방송단자(F)는 제2주기변화검출부(55)의 딜레이(27)를 거쳐 배타 오아게이트(Exclusive OR Gate)(30)에 연결됨과 동시에 인버터(28)를 거쳐 배타 오아게이트(30)의 타입력단 및 앤드게이트(31)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배타 오아게이트(30)의 출력은 앤드게이트(31)의 타입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주기변화검출부(55)의 출력인 앤드게이트(31)의 출력과 상기 앤드게이트(29)의 출력은 제2비교부(56)의 저항(P2), (P3) 및 다이오드(D1), (D2)를 각기 통해 접지의 콘덴서(C2) 및 반전입력단(-)에 기준전압(44)이 인가되는 비교기(33)의 비반전입력단(+)에 접속되어, 그의 출력단자가 접지의 콘덴서(C3)에 연결되고, 단자(H)가 접지된 상기 제1절환부(25)의 출력 및 상기 제2주기변환부(55)의 출력이 가산부(32)의 입력에 연결되어, 그의 출력이 상기 직류변환부(53)의 입력에 연결되고, 그 직류변환부(53)의 출력이 제1비교부(57)인 비교기(40)의 비반전입력단자(+)과 비교기(41)의 반전입력단(-)에 연결되고, 반전입력단(-)에 기준전압(42)이 인가되는 비교기(40)의 출력(A)과 비반전입력단(+)에 기준전압(43)이 인가되는 비교기(41)의 출력(B)은 노아게이트(35)의 입력단에 연결됨과 동시에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매트릭스회로(13)에 연결되며, 파워리셋단자(36), 상기 제2비교부(56)의 출력 및 상기 노아게이트(35)의 출력이 상기 제어부(52)인 오아게이트(34)의 입력에 연결되어 구성된 것으로, 상기한 기술적 구성의 동작상태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에서 파이롯신호(18)의 순간적 주기변화는 멀티바이브레이터(22)의 출력으로써 제5(a)도와 같은 파형(제3(d)도(A) 파형과 동일)을 유발시킨다.
초기에 제2절환부(23)는 파워리셋단자(36)가 "하이"가 됨에 따라 제어부(52)인 오아게이트(34)에서 "하이"가 출력되므로 모노방송단자(D)에 연결된다. 이에따라 제1절환부(25)는 제1주기변환검출부(54)의 출력인 앤드게이트(29)의 출력이 "로우"가 됨에따라 단자(G)에 연결된다.
이때 제5(a)도의 파형이 멀티바이브레이터(22)의 출력인 경우 상기 제1절환부(25)를 거쳐 가산부(32)에 입력된다. 가산부(32)의 또다른 입력이 없으므소 제5도(가) 파형은 그대로 직류변환부(53)의 저항(R1)과 콘덴서(C1)에 의해 직류화되어, 비교기(40)의 비반전입력단자 및 비교기(41)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고, 이에따라 그 비교기(40)의 출력(A)은 "하이", 비교기(41)의 출력(B)은 "로우"가 되어 2개국어방송 상태가 된다.
이러한 비교기(40)(41)의 출력(A)(B)은 노아게이트(35)에 입력되어 "로우" 신호가 되며 오아게이트(34)에 입력된다.
이때 오아게이트(34)의 또다른 입력인 비교기(33)의 출력은 앤드게이트(29), (31)의 "로우" 출력에 의해 "로우" 상태이며, 파워리셋단자(36)도 "로우"로 되어, 그 오아게이트(34)에서 "로우"가 출력되므로 제2절환부(23)는 스테레오/2개국어방송단자(C)에 연결된다. 또한 이때 비교기(40)의 비반전입력단자(+) 및 비교기(41)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직류변환부(53)의 출력전위는 상기와 같이 "하이"가 되므로 제3절환부(24)는 2개국어방송단자(F)에 연결된다. 이에따라 제5(a)도 파형은 딜레이(27)의 출력(제5(b)도)과 인버터(28)의 출력(제5(c)도)을 만들어내고, 배타오아게이트(30)에 의해 제5(d)도 파형이 나타나며 이파형은 인버터(28)의 출력(제5(c)도)과 앤드게이트(31)에서 앤드조합되어 제5(e)도와 같은 파형이 된다.
제5(e)도의 파형중 "하이" 신호는 가산부(32)에서 멀티바이브레이터(22)의 출력인 제5(a)도의 파형과 합하여져 제5(f)도의 파형이 된다.
이러한 제5(f)도의 파형에서 종래 기술에서 문제점인 제3(d)도(A)에서의 주기(T5) 동안에서의 펄스의 폭이 보상됨으로써 제3(e)도(A)에 나타난 주기(T6) 만큼의 직류레벨 감소는 없게 된다.
따라서 비교기(40)의 출력(A)은 "하이"가 되고, 비교기(41)의 출력(B)은 "로우"가 된다.
이러한 두 출력(A)(B)은 노아게이트(35)에 의해 "로우"신호가 되어 오아게이트(34)에 입력된다. 한편 앤드게이트(31)의 출력이 "하이"펄스로 나타난 부분은 저항(R2),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2)에 의해 직류로 바뀌어 비교기(33의 비반전입력단자(+)에 비교전압으로 입력되어 기준전압(44)과 비교된다. 이때의 기준전압(44)은 제5(k)도∼제5(r)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2개국어방송이 모노방송으로 바뀌는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멀티바이브레이터(22)의 출력은 제5(k)도와 같으며, 딜레이(27)의 출력은 제5(l)도, 인버터(28)의 출력은 제5(m)도, 배타오아게이트(30)의 출력은 제5(n)도, 앤드게이트(31)의 출력은 제5(o)도, 비교기(33)의 출력은 제5(p)도, 노아게이트(35)의 출력은 제5(q)도의 파형으로 나타난다. 제5(o)도의 파형중 좌측 2개의 펄스는 파이롯신호(18)의 순간적 변화에 따른 펄스이고, 우측 4개의 펄스가 앤드게이트(31)에 의해 출력되어지면, 비교기(33)의 출력이 "하이"가 되고, 이에 따라 오아게이트(34)의 출력이 "하이"가 되어 제2절환부(23)가 모노방송단자(D)에 연결된다. 모노방송기간에서는 앤드게이트(29,31)의 출력이 "로우"가 되어 제1절환부(25)는 항상 단자(G)에 연결되며, 멀티바이브레이터(22)의 출력은 그대로 가산부(32)를 거쳐 직류변환부(53)에 인가된다. 그리고 모노방송인 경우에는 파이롯 신호(18)가 없으므로 파이롯신호(18)의 변화성분을 보상키 위한 앤드게이트(31)의 출력이 필요없게 된다. 또한 제5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스테레오방송 기간의 파이롯신호(18)의 순차적 변화는 멀티바이브레이터(22)의 출력으로써 제5(g)도의 파형(제3(d)도(B) 파형과 동일)을 유발시킨다.
상기 제5(g)도의 파형은 직류변환부(53)의 저항(R1)과 콘덴서(C1)에 의해 비교적 낮은 전압이 되며, 이에따라 비교기(40)의 출력(A)은 "로우" 비교기(41)의 출력(B)은 "하이"가 되어 노아게이트(35)의 출력은 "로우"가 되고, 이에따라 오아게이트(34)의 출력 또한 "로우"가 되어 제2절환부(23)는 스테레오/2개국어방송단자(C)에 연결된다. 한편 직류변환부(53)의 저항(R1)과 콘덴서(C1)의 접속점의 낮은 전압은 제3절환부(24)를 스테레오방송단자(E)에 연결시키게 되고, 멀티바이브레이터(22)의 출력은 딜레이(26)를 겆친 출력(제5(h)도)과 앤드게이트(29)에 의해 앤드조합하여 제5(i)도의 파형과 같은 출력을 보낸다.
제5(i)도의 파형이 "하이"인 기간동안 제1절환부(25)는 단자(H)에 연결되어 제5(j)도와 같은 파형을 가산부(32)에 입력시킨다.
여기에서 제5(g)도 파형의 주기(T7" 기간에 의해 종래에 발생되었던 제3(e)도(B)의 파형에서와 같은 주기(T3)동안의 문제점은 제거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방송 파이롯 안정화 회로는 수신상태의 불량 또는 온도변화에 따른 파이롯신호(18)의 주기가 일시적으로 변화되어 좌·우측 음성출력(16)(17)이 순간적으로 변화함에 따른 음의 순간적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1)

  1. 복수개의 방송파이롯신호를 판별하여 수신상태를 가변하는 방송신호 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방송파이롯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일정레벨 및 일정폭을 갖는 구형파로 변환하는 파이롯신호처리부와, 상기 파이롯신호처리부의 출력인 구형파신호 또는 접지신호를 선택적으로 절환출력하는 제1, 제2절환부와, 상기 제2절환부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여 일측 출력단자 또는 타측 출력단자로 선택 절환출력하는 제3전환부와, 상기 제3절환부의 일측 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2절환부의 출력신호 주기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제1절환부를 제어하는 제1주기변화검출부와, 상기 제3절환부의 타측 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2절환부의 출력신호 주기변화를 검출하는 제2주기변화검출부와, 상기 제1절환부의 출력과 상기 제2주기벼화검출부의 출력을 가산하는 가산부와, 상기 가산부의 출력을 직류변환하여 상기 제3절환부를 제어하는 직류변환부와, 상기 직류변환부의 출력을 일정기준값과 비교하는 제1비교부와, 상기 제1주기변화검출부 및 제2주기변화검출부의 출력을 일정기준값과 비교하는 제2비교부와, 상기 제2비교부 및 제2비교부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여 상기 제2절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파이롯 신호 판별 안정화 회로.
KR2019890009156U 1989-06-29 1989-06-29 방송 파이롯 신호 판별 안정화 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9500048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9156U KR950004854Y1 (ko) 1989-06-29 1989-06-29 방송 파이롯 신호 판별 안정화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9156U KR950004854Y1 (ko) 1989-06-29 1989-06-29 방송 파이롯 신호 판별 안정화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755U KR910001755U (ko) 1991-01-25
KR950004854Y1 true KR950004854Y1 (ko) 1995-06-16

Family

ID=19287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9156U Expired - Fee Related KR950004854Y1 (ko) 1989-06-29 1989-06-29 방송 파이롯 신호 판별 안정화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85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755U (ko) 199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7121345A (en) Pulse noise eliminating circuit
JPS6221453B2 (ko)
JPH03117995A (ja) 色信号輪郭補正装置
KR950004854Y1 (ko) 방송 파이롯 신호 판별 안정화 회로
SU631093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мпенсации искажений видеосигналов
US5315185A (en) Switching noise cancelling system in a space diversity receiving system
JPH0422584Y2 (ko)
US4438405A (en) Frequency discriminating device
EP0375285A2 (en) Extraneous frequency detector
KR900003106Y1 (ko) 영상신호의 잡음 제거회로
US4975774A (en) Art processor in a picture-in-picture system
SU984044A1 (ru) Электронное реле
KR960008166Y1 (ko) 에이에프티 커브를 이용한 사운드 버즈 감쇄회로
SU1566513A2 (ru) Устройство фильтрации телевизионного сигнала
KR900000090Y1 (ko) 휘도 신호 주파수에 따른 필터 특성 변환회로
KR870003076Y1 (ko) 회전 헤드 방식에 의한 fm변조 음성 신호 처리에 있어서의 스위칭 노이즈 보상회로
SU585573A2 (ru) Фильтр-реле тока
KR900007329Y1 (ko) Aft 제어회로
JPS5525279A (en) Automatic frequency tuning defeat device
SU1192165A2 (ru) Устройство фильтрации телевизионного сигнала
JPH0213068A (ja) クランプ回路
JPH08195893A (ja) 同期分離回路
RU1798925C (ru) Радиоприемник с защитой входных цепей
KR930003450Y1 (ko) 채널 표시 회로
KR880003520A (ko) 자동 영상 극성 조성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90629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2033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0629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50127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50315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19950530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52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509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509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5091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31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3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